KR100555439B1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439B1
KR100555439B1 KR1020040055195A KR20040055195A KR100555439B1 KR 100555439 B1 KR100555439 B1 KR 100555439B1 KR 1020040055195 A KR1020040055195 A KR 1020040055195A KR 20040055195 A KR20040055195 A KR 20040055195A KR 100555439 B1 KR100555439 B1 KR 100555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ember
glass plate
attached
attachmen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6004A (ko
Inventor
미즈타니요시히로
가마아츠히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1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Abstract

(과제) 케이스부재를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가스곤로의 본체 케이스(11)의 상면 개구부(11b)는 내열성의 유리판(13)과 이 유리판(13)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되어 당해 유리판(13)을 지지하는 프레임부(14)로 이루어지는 상판(12)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유리판(13)의 하면의 위치에는 광센서 등의 검출수단이나 표시램프 등의 표시수단을 구비한 조작기판 (31)이 수용된 케이스부재(30)가 프레임부(14)에 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부재(30)의 프레임부(14)에 대한 부착은, 예를 들면, 프레임부(14)와 케이스부재(30)를 나사 고정하거나 서로 걸어맞춤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케이스부재(30)는 강고하게 부착된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HEATING COOKER}
도 1은 가스곤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가스곤로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을 따르는 상판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을 따르는 상판의 단면도
도 5는 가스곤로의 내부 평면도
도 6은 조작부 및 표시부의 평면도
도 7은 케이스부재가 부착된 프레임부의 평면도
도 8은 케이스부재의 단면도
도 9는 도 1의 9-9선을 따르는 가스곤로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재의 부착을 나타내는 가스곤로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재의 부착을 나타내는 가스곤로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재의 부착을 나타내는 가스곤로의 부분 단면도
도 13은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재의 부착을 나타내는 가스곤로의 부분 단면도
도 14는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재의 부착을 나타내는 가스곤로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A-A선 단면도
도 16은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부재의 부착을 나타내는 가스곤로의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B-B선 단면도
도 18은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부의 평면도
도 19는 종래의 가스곤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종래의 가스곤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조리기 본체로서의 본체 케이스 12 - 상판
13 - 유리판 14 - 프레임부
14a∼14d - 프레임편 14s - 부착부로서의 수평부
16a,16b - 열원으로서의 가스버너 30 - 케이스부재
32A∼32G - 검출수단으로서의 스위치
33A∼33C - 표시수단으로서의 표시램프
41 - 개구부 42 - 부착편
53,58 - 걸림편 57 - 부착부
본 발명은, 유리판과 이 유리판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되는 프레임부로 이루어지는 상판과, 상기 유리판을 통해서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등이 수용된 케이스부재를 구비하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가열조리기로서 가스곤로가 알려져 있으며, 곤로 본체의 전면에 조작부를 설치하여 곤로 본체에 수용된 가스버너를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가스곤로에서는 조작부가 곤로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너로부터의 열영향을 받는 일이 없지만, 특히 드롭 인 타입의 곤로인 경우에는 조작부가 조리대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에 조작부를 설치한 가스곤로가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상기 가스곤로에서는, 본체 케이스(61)가 상면을 개구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의 외주연에 형성된 플랜지부(61a)에 의해서 주방의 조리대(62)에 형성된 부착구멍(62a)에 매달리는 형태로 끼워져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61)의 상면 개구부에는 상판(63)이 부착되며, 그 상면에는 1쌍의 버너용 개구부(63a)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에는 조작부용의 1쌍의 조작축용 관통구멍(63b)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61) 내에는 상기 버너용 개구부(63a)에 대응하여 1쌍의 가스버너(6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양 버너용 개구부(63a)의 주변에는 삼발이(65)가 부착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61) 내의 전방 중앙에는 각 가스버너(64)의 점화 및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1쌍의 점화ㆍ화력조절장치(가스 콕)(6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의 조작축(66a)이 상판(63)의 조작축용 관통구멍(63b)을 통해서 상판(63)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판(63)의 상면측에서 각 조작축(66a)에 조작 손잡이(67)가 부착됨으로써 조작부를 이루고 있다. 상기 조작 손잡이(67)를 회동조작함에 의해서 점화ㆍ화력조절장치(66)가 작동되며, 각 가스버너(64)의 점화동작이나 화력조절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곤로에서는 조작부가 곤로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조작성이 향상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과 같이 조작 손잡이(67)가 상판(63)의 상면에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면, 가스버너(64)를 사용하여 가열조리를 할 경우, 특히 큰 냄비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들 조작 손잡이(67)가 열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조작 손잡이가 뜨거워져서 조작하기 어렵게 되거나, 열에 의해서 조작 손잡이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 상판(63)의 상면을 청소할 경우 등에는 상기 조작 손잡이(67)가 작업에 방해가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없는 가스곤로로서, 상판의 상면에 이 상판에서 돌출되지 않는 조작부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곤로 본체의 상면을 덮는 상판을 투광성의 유리판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이 유리판의 하면에서 당해 유리판을 통해서 유리판 상면측에서의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광센서 등의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함으로써, 각종 조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유리판의 상면 전방측에 각종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부를 인쇄나 착색 등에 의해서 형성하고, 이 조작부에 대응하는 유리판의 하면에 광센서 등의 검출수단을 배치한다. 또, 검출수단만으로는 조작자가 현재의 조작상황을 알 수 없다. 따라서, 유리판의 상면에 표시부를 인쇄 등에 의해서 형성하고, 유리판의 하면측에서 당해 유리판을 통해서 조작자에게 현재의 조작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LED 등의 표시수단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검출수단 및 표시수단을 유리판의 하면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기판 상에 이것들을 실장한 상태로 배치하게 된다. 그러나, 기판만을 유리판의 하면에 부착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브래킷이나 상자형상의 케이스부재를 통해서 부착하게 된다. 이 때, 가스버너 등의 열원으로부터의 열에 의한 영향이나 광센서 등으로의 영향을 고려하면, 상자형상의 케이스부재에 의해서 기판을 에워싼 상태로 수용하고, 이 케이스부재의 다리부 등을 유리판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부재의 유리판에 대한 부착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평10-8970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58-186302호 공보
그런데, 케이스부재를 유리판에 대해서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할 경우, 부착 대상이 유리판이기 때문에, 비록 양자를 접착하였다 하더라도 그 부착을 강고하게는 할 수 없다. 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유리판의 하면에 직접 나사 등을 고정함에 의해서 부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유리판에 나사 고정용 구멍을 형성하는 등, 유리판에 어떠한 가공을 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함과 아울러, 유리판이 취약해 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케이스부재를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되는 프레임부로 구성된 상판에 의해서 열원을 수용하는 조리기 본체의 상면이 덮여져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판의 하면측에서 당해 유리판을 통해서 유리판 상면측에서의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중 적어도 일측이 수용된 케이스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를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서 부착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수단 및 표시수단 중 적어도 일측이 수용된 케이스부재가 프레임부에 대해서 부착된다. 케이스부재의 부착시에 유리판에 대해서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직접 부착하도록 하더라도 그 부착을 강고하게는 할 수 없다. 또, 유리판이기 때문에, 나사 고정하거나 서로 걸어맞추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판에 대해서 부착하는 것이 아니고, 유리판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프레임부에 대해서 나사 고정에 의해서 부착하거나, 이 프레임부에 대해서 걸어맞춤에 의해서 부착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부재를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하측을 향하는 부착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부착편에 대해서 상기 케이스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부에 부착편을 형성하고, 이 부착편에 케이스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케이스부재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프레임편에는 대향하는 다른 프레임편을 향해서 연장되는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에 대해서 상기 케이스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착부에 의해서 케이스부재를 유리판의 하면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으며, 케이스부재를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케이스부재를 상기 부착부에 대해서 부착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부재는 개구부에 의해서 에워싸인 상태로 부착된다. 따라서, 케이스부재를 보다 정밀도 좋게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강고한 부착을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개구부의 주연부에서 하측을 향하는 부착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부착편에 대해서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착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주연부에 부착편을 형성하고, 이 부착편에 케이스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케이스부재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되는 프레임부로 구성된 상판에 의해서 열원을 수용하는 조리기 본체의 상면이 덮여져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판의 하면측에서 당해 유리판을 통해서 유리판 상면측에서의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중 적어도 일측이 수용된 케이스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편이 상기 유리판과 상기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재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부재가 구비하는 걸림편을 유리판과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끼워서 지지시킴으로써 케이스부재를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걸림편을 끼워서 지지시킨다는 간이한 구성이기 때문에, 케이스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가열조리기를 가스곤로에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기 본체로서의 본체 케이스(11)는 상면을 개구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의 외주연에는 플랜지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의 상면 개구부(11b)는 상판(12)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상판(12)은 내열성의 유리판(13)과 이 유리판(13)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되어 당해 유리판(13)을 지지하는 금속제의 프레임부(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판(13)에는 1쌍의 버너용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14)는 전후좌우 4개의 프레임편(14a∼14d)이 각 코너부에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리판(13)은 투광성이지만 착색(암색)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케이스(11) 내를 시인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유리판(13)으로서는 결정화 유리, 예를 들면, 독일의 쇼트주식회사의 세란유리('세란'은 쇼트일본주식회사의 등록상표)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1)가 주방의 조리대(15)에 형성된 부착구멍(15a)에 끼워진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11)의 플랜지부(11a)가 조리대(15)의 상면에 지지되는 이른바 드롭 인 타입의 가스곤로로 되어 있다. 또한, 상판(12)은 프레임부(14)에 의해서 조리대(15)에 얹어 놓여져 있다.
프레임부(14)를 구성하는 프레임편(14a∼ 14d)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유리판(13)의 둘레 가장자리의 하면을 받치는 수평부(14s)와, 이 수평부(14s)의 외측 가장자리에 세워 형성되며 유리판(13)의 측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수직부(14t)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방 프레임편(14a)은 수직부(14t)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만곡부(14g)를 구비하고, 후방 프레임편(14c)은 만곡부(14g)를 구비함과 아울러 후드(14f)를 구비하고, 좌우 프레임편(14b,14d)은 수 평부(14s)에서 조리대(15)까지 하측으로 수하되는 다리부(14k)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11) 내에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용 개구부(13a)와 대향하도록 열원으로서의 1쌍의 가스버너(16a,16b)가 가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버너(16a,16b)는 환형상의 불꽃구멍(16c)이 내측을 향하는 내염식 버너로 되어 있다. 또, 버너용 개구부(13a)에는 삼발이(17)가 부착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의 저면에는 가스공급구(18)가 배치되어 있고, 이 가스공급구(18)가 가스배관(19)을 통해서 양 가스버너(16a,16b)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배관(19)의 도중에는 양 가스버너(16a,16b)로 가스를 공급ㆍ차단하기 위한 메인 개폐밸브(20)가 접속되어 있다. 또, 가스배관(19)의 도중에는 각 가스버너(16a,16b)로 가스를 공급ㆍ차단함과 동시에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1쌍의 가스량 조절밸브(21a,21b)가 접속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의 내의 바닥부에 있어서, 양 가스버너(16a,16b) 사이의 전단측의 위치에는 제어박스(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박스(22) 내에는, 양 가스버너(16a,16b)의 점화나 화력조절 등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메인 개폐밸브(20)나 가스량 조절밸브(21a,21b) 등을 제어하는 제어기판 등이 수용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1)의 내의 바닥부에 있어서, 제어박스(22)의 양측 위치에는 1쌍의 점화기(23a,23b)가 설치되고, 이들 점화기(23a,23b)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급전선을 통해서 전극(24a,24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극(24a,24b)에 있어서의 고전압에 의한 방전에 의해서 각 가스버너(16a,16b)를 점화시킨다.
유리판(13)의 상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25A∼25G)를 나타 내는 표시가 인쇄 혹은 착색에 의해서 양 가스버너(16a,16b)의 중간 전방에 부설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1쌍의 표시부(26A∼26D)가 상기 조작부(25A∼25G)와 마찬가지로 인쇄 혹은 착색에 의해서 부설되어 있다.
조작부(25A∼25G) 및 표시부(26A∼26D)에 대응하는 유리판(13)의 하면에는, 도 6∼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기판(31)이 케이스부재(30)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조작기판(31)은 케이스부재(30)의 보스부(31a)에 나사(31b)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부재(30)는 조작기판(31)에 설치된 검출수단으로서의 비접점형 스위치(32A∼32G) 및 표시수단으로서의 표시램프(33A∼33C)와 대응하는 부위에 개구부(30a) 및 개구부(30b)가 형성된 상면판(30c)을 구비한 바닥부가 없는 상자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25A∼25G)를 조작자가 선택적으로 접촉 조작하였을 때, 이것에 대응하는 스위치(32A∼32G)에 있어서, 발광소자(34a)로부터의 적외선이 손가락에 반사되고, 이것이 수광소자(34b)에 의해서 감지됨으로써 조작자에 의한 조작상태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조작자는 1쌍의 표시부(26A∼26D) 사이에 있어서의 화력표시램프(33B,33C)의 점등표시위치에 의거하여 화력의 조절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32A∼32G)는, 조작기판(31)의 상면의 전단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각각 조작부(25A∼25G)에 대응하여 가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되어 있다. 즉, 조작기판(31)의 전단측 가장자리의 중앙에는 전원 스위치(32A)가 배치되어 있고, 이 전원 스위치(32A)의 양 측방에는 각 가스버너(16a,16b)의 점화 및 소화를 실행하기 위한 1쌍의 점화ㆍ소화 스위치(32B,32C)가 배치되어 있다. 각 점화ㆍ소화 스 위치(32B,32C)의 양측에는 각 가스버너(16a,16b)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각 1쌍의 화력 업 스위치(32D,32E) 및 화력 다운 스위치(32F,32G)가 배치되어 있다.
각 스위치(32A∼32G)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소자(34a)와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소자(34b)를 가지는 광센서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판(3)의 유리판(13)에는 발광소자(34a)나 표시램프(33A∼33C) 등으로부터의 광이 당해 유리판(13)의 하면에서 난반사되지 않도록 평활막(도시생략)이 입혀져 있다. 또, 상기한 구성 대신에, 각 스위치(32A∼32G)로서는 상판(12)의 상면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서 동작하는 정전용량형 스위치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 정전용량형 스위치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판(12)의 스위치와 대응하는 부분을 특정색으로 착색하거나 투명하게 할 필요는 없다.
각 스위치(32A∼32G)에 대응하도록, 조작기판(31) 상에는 LED 등으로 된 복수의 표시램프(33A∼33C)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전원 스위치(32A)의 후측 근방에는 전원의 투입상태를 점등 표시하기 위한 전원 표시램프(33A)가 배치되어 있다. 가스버너(16a,16b)용의 점화ㆍ소화 스위치(32B,32C), 화력 업 스위치(32D,32E) 및 화력 다운 스위치(32F,32G)의 후측 근방에는 화력의 조절상태(강약상태)를 점등 표시하기 위한 5개의 화력 표시램프(33B,33C)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화력 표시램프(33B,33C)는 1개의 점등에 의한 최약상태에서 5개의 점등에 의한 최강상태까지의 5단계의 화력조절상태를 표시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는 대향하는 후방 프레임편(14c)을 향해서 그 전체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연장된 부분에 케이스부재(30)와 거의 같은 크기의 개구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를 부착부로 하고 있다. 상기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에는 하측을 향하는 2개의 부착편(42)이 상기 개구부(41)를 사이에 두고서 전방 프레임편(14a)의 길이방향(좌우방향)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재(30)는 상기 부착편(42)에 대해서 부착됨으로써, 상기 개구부(41) 내에 있어서 조작부(25A∼25G)나 표시부(26A∼26D)에 대응하는 유리판(13)의 하면에 배치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30)는 측벽(35)을 가지는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벽(35) 중에서 부착편(42)과 대향하는 측벽(35)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돌조(3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착편(42)에는 케이스부재(30)의 돌조(36)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할 때, 개구부(41) 내에 케이스부재(30)를 수용한다. 이것에 의해서, 케이스부재(30)는 유리판(13)의 하면에 있어서의 조작부(25A∼25G) 및 표시부(26A∼26D)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또, 케이스부재(30)가 개구부(41) 내에 수용되면, 돌조(36)가 상기 부착편(42)의 구멍(43)에 끼워짐에 의해서 돌조(36)와 구멍(43)이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케이스부재(30)는 수평부(14s)의 개구부(41) 내에서 고정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프레임부(14)를 구성하는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를 연장시켜서 부착부로 하고, 이 수평부(14s)에 개구부(41)를 형성함과 아울러, 개구부(41) 의 주연부에 부착편(42)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개구부(41) 내에서 케이스부재(30)를 부착편(42)에 대해서 부착하였다. 따라서, 케이스부재(30)를 접착제 등으로 유리판(13)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서, 케이스부재(30)를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2〉 개구부(41)의 주연부에 부착편(42)을 형성하고, 이 부착편(42)에 대해서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하였다. 따라서, 부착편(42)을 형성하지 않고 개구부(41)의 주연부에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서, 케이스부재(30)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3〉 돌조(36)와 이 돌조(36)가 걸어맞춰지는 구멍(43)에 의해서 케이스부재(30)를 부착편(42)에 대해서 부착하였다. 케이스부재(30)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유지ㆍ보수 등을 할 때에 케이스부재(30)를 분리하거나 재부착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성가신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돌조(36)와 구멍(43)을 이용하면, 유지ㆍ보수 등을 할 때에 양자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해제에 의해서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재부착할 수 있어,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작업성이 우수하다.
(4) 부착편(42)을 전방 프레임편(14a)의 길이방향(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형성하였다. 따라서, 연장된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도 된다.
◎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부재(30)의 측벽(35)에 형성된 돌조(36)와 부착편(42)에 형성된 구멍(43)을 걸어맞춤에 의해서 케이스부재(30)를 부착편(42) 에 부착하였으나, 다른 부착구조를 이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편(42)에 대해서 케이스부재(30)의 측벽(35)을 나사(50)에 의해서 나사 고정하여 부착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나사(50)에 의해서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한 실시형태에 비해서 더 강고하게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할 수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30)의 측벽(35) 및 부착편(42)의 하단을 잘라 냄에 의해서 절결부(51)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51)에 접착제(52)를 채워서 양자를 고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30)에 측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편 (53)을 형성하고, 이 걸림편(53)이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에 형성된 단차부(54)와 유리판(13)과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됨에 의해서 케이스부재(30)가 부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케이스부재(30)의 부착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41)의 주연부에 부착편(42)을 형성하고, 이 부착편(42)에 대해서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하였으나, 부착편(42)을 형성하지 않고, 개구부(41)의 주연부에 대해서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30)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부착편 (55)을 형성하고, 이 부착편(55)을 통해서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에 대해서 나사(50)에 의해서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한다. 또,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부(14)에 대해서 케이스부재(30)를 브래킷(56)을 사용하여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브래킷(56)과 프레임부(14) 및 케이스부재(30)를 나 사(50) 등에 의해서 고정함으로써, 케이스부재(30)를 프레임부(14)에 대해서 부착한다.
◎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 전체를 연장하여 부착부로 하고, 이 수평부(14s)의 개구부(41) 내에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함으로써, 케이스부재(30)를 에워싼 상태로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에 케이스부재(30)의 길이만큼의 간격을 두고서 2개의 돌출편 형상의 부착부(57)를 형성하고, 이 부착부(57)에 의해서 케이스부재(30)를 2측방에서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 부착에 있어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30)에 측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편(58)을 2개 형성하고, 이 걸림편(58)을 부착부(57)와 유리판(13)과의 사이에 끼워서 지지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나사 고정 등에 의해서 부착하여도 된다.
◎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를 연장시키지 않고, 즉 부착부를 형성하지 않고, 단지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에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에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착편(42)을 형성하고, 이 부착편(42)에 대해서, 예를 들면 나사에 의해서 부착한다. 또, 부착편(42)이 없는 상태로 부착하여도 된다.
◎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의 일부 내측 가장자리에서 부착부(57)를 연장하여 형성하고, 이 부착부(57)에 대해서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스곤로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조작부(25A∼25G) 및 표시부(26A∼26D)에 대응하여 유리판(13)의 하면에 케이스부재(30)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즉, 프레임부(14)에서 떨어진 위치에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케이스부재(30)가 부착되는 위치까지 부착부(57)를 연장하면 되기 때문에, 프레임부(14)에서 떨어진 위치에도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케이스부재(30)의 일측만이 부착부(57)에 대해서 부착되기 때문에, 더 강고하게 부착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케이스부재(30)에 부착편(59)을 형성하고, 이 부착편(59)을 접착제(52)에 의해서 유리판(13)에 대해서 보조적으로 고정하여도 된다.
◎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부(14)를 구성하는 전방 프레임편(14a)의 수평부(14s)만을 연장 형성하여 부착부로 하였으나,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전방 프레임편(14) 및 후방 프레임편(14c)의 수평부(14s)끼리를 연결하는 부착부(57)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 부착부(57)에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개구부(41)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41) 내에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한다.
◎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부착편(42)을 전방 프레임편(14a)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좌우방향)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였으나, 부착편(42)은 개구부(41)의 좌우 폭만큼 형성되어도 된다. 또, 부착편(42)은 개구부(41)의 좌우 폭의 일부분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어느 것이든 상기 부착편(42)에 대해서 케이스부재(30)를 강고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41)를 사이에 두고서, 즉 개구부(41)의 2측방에 부착편(42)을 형성하고, 이들 부착편(42)에 케이스부재(30)를 부착하였으나, 개구부(41)의 3측방 이상에 부착편(42)을 형성하고, 이들 부착편(42)에 케이스 부재(30)를 부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케이스부재(30)를 보다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 가열조리기는 가스곤로와 같은 가스식의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자식 조리기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이하에 기재한다.
〈1〉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부착부에 대해서 적어도 2측방에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열조리기.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유리판에 대해서 부착하는 것이 아니고, 유리판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프레임부에 대해서 나사 고정에 의해서 부착하거나 걸어맞춤에 의해서 부착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케이스부재를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부에 부착편을 형성하고, 이 부착편에 케이스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케이스부재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착부에 의해서 케이스부재를 유리판의 하면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으며, 케이스부재를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부재는 개구부에 의해서 에워싸인 상태로 부착된다. 따라서, 케이스부재를 보다 정밀도 좋게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강고한 부착을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착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주연부에 부착편을 형성하고, 이 부착편에 케이스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케이스부재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부재가 구비하는 걸림편을 유리판과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끼워서 지지시킴으로써 케이스부재를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걸림편을 끼워서 지지시킨다는 간이한 구성이기 때문에, 케이스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Claims (6)

  1.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되는 프레임부로 구성되며, 열원을 수용하는 조리기 본체의 상면을 덮는 상판과; 상기 유리판의 하면측에서 당해 유리판을 통해서 유리판 상면측에서의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중 적어도 일측이 수용된 케이스부재;를 구비한 가열조리기로서,
    상기 케이스부재를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하측을 향하는 부착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부착편에 대해서 상기 케이스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프레임편에는, 대향하는 다른 프레임편을 향해서 연장되는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에 대해서 상기 케이스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케이스부재를 상기 부착부에 대해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개구부의 주연부에서 하측을 향하는 부착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부착편에 대해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6.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되는 프레임부로 구성되며, 열원을 수용하는 조리기 본체의 상면을 덮는 상판과; 상기 유리판의 하면측에서 당해 유리판을 통해서 유리판 상면측에서의 조작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중 적어도 일측이 수용된 케이스부재;를 구비한 가열조리기로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걸림편이 상기 유리판과 상기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KR1020040055195A 2003-08-01 2004-07-15 가열조리기 KR100555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85413 2003-08-01
JP2003285413A JP2005055043A (ja) 2003-08-01 2003-08-01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004A KR20050016004A (ko) 2005-02-21
KR100555439B1 true KR100555439B1 (ko) 2006-02-24

Family

ID=3436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195A KR100555439B1 (ko) 2003-08-01 2004-07-15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5055043A (ko)
KR (1) KR100555439B1 (ko)
CN (1) CN1278079C (ko)
HK (1) HK1070413A1 (ko)
TW (1) TWI2358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535B1 (ko) * 2006-12-06 2008-06-23 중앙아이엔티 주식회사 액체연료용 버너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2674A (ja) * 2005-05-19 2006-11-30 Rinnai Corp コンロ
CN102684665B (zh) 2011-03-15 2016-03-0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容式开关模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535B1 (ko) * 2006-12-06 2008-06-23 중앙아이엔티 주식회사 액체연료용 버너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004A (ko) 2005-02-21
CN1580649A (zh) 2005-02-16
TWI235813B (en) 2005-07-11
JP2005055043A (ja) 2005-03-03
TW200508548A (en) 2005-03-01
HK1070413A1 (en) 2005-06-17
CN1278079C (zh)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61128A1 (en) Oven door lighting
US8667958B2 (en) Burner illumination in an appliance
US6501053B2 (en) Control system for an appliance cooktop
US20090159589A1 (en) Household Appliance, Preferably Cooking Hob
KR100555439B1 (ko) 가열조리기
EP2752623B1 (en) Cooking hob with illumination
KR100718797B1 (ko) 가스 곤로
KR20040108329A (ko) 곤로
JP3663139B2 (ja) 加熱容器
EP2069689A1 (en) A safety device for a gas-cooking appliance
JP2007139310A (ja) ガスコンロ
JP4006372B2 (ja) 加熱調理器
JP4045217B2 (ja) 加熱調理器
KR100591834B1 (ko) 곤로 및 곤로에 있어서의 광학부품의 지지부재의 조립방법
KR100718798B1 (ko) 곤로
JP4083643B2 (ja) 加熱調理器
JP4083644B2 (ja) ガスコンロ
KR102448086B1 (ko) 탈착식 컨트롤러가 구비된 전기 레인지
KR100591835B1 (ko) 가스곤로
EP3040624B1 (en) A cooking device having an illumination element
KR100756741B1 (ko) 전자렌지 제어부의 조명장치
KR200232521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쿡탑램프 설치구조
JP2009245753A (ja) 誘導加熱調理器
GB2299160A (en) Ignition device for a gas pilot light
JP2007127365A (ja) ガス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