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357B1 - 증기 발생기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357B1
KR100718357B1 KR1020037016063A KR20037016063A KR100718357B1 KR 100718357 B1 KR100718357 B1 KR 100718357B1 KR 1020037016063 A KR1020037016063 A KR 1020037016063A KR 20037016063 A KR20037016063 A KR 20037016063A KR 100718357 B1 KR100718357 B1 KR 100718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flow
zone
zones
flow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530A (ko
Inventor
요아힘 프랑케
루돌프 크랄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1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 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18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 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using the waste heat of gas-turbine plants outside the plants themselves, e.g. gas-turbine power heat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07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 F22B1/181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gas-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4Supply mains, e.g. rising mains, down-comers, in connection with water tubes
    • F22B37/143Panel shaped heating surfaces built up from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발생기(1,1′,1″)에 관한 것으로, 연속적인 가열 표면(8,10,12)이 거의 수평인 연료 가스 방향(X)에 가로질러 연로가스 채널6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연속적인 가열 표면은 유동 매질의 경로에 평행(W)하게 연결된 다수개의증기 발생기 파이프(22,50,60)를 포함하고, 동일한 연속적인 가열 표면(8,10,12)의 다른 증기 발생기 파이프(22,50,60)보다 더 큰 정도로 가열된 증기 발생기 파이프(22,50,60)가 다른 증기 발생기 파이프(22,50,60)보다 유동 매질(W)의 더 큰 재료처리량을 가지는 방식으로 고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열적인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경우라도 특히 높은 수준의 기계적인 안정성을 가진 저비용 증기 발생기를 생산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파이프(22,50,60)는 거의 수직이고 유동 매질(W)가 이를 통하여 하측으로 흐를 수 있는 각각의 하향 파이프 구역(34,52,62,64)과, 거의 수직이고 유동 매질(W)가 그를 통하여 상측으로 흐를 수 있고 유동 매질 측에서 하향 파이프의 하류에 연결된 각각의 상승 파이프 구역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거의 수평한 가열 가스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는 가열 가스 덕트내에 관류 가열면이 배치된 증기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관류 가열면은 유동 매질의 통과유동과 평행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증기 발생기 튜브를 포함하는데, 동일한 관류 가열면의 다른 증기 발생기 튜브와 비교할 때 더 많이 가열되는 증기 발생기 튜브에서 상기 다른 증기 발생기 튜브보다 유동 매질이 더 많이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가스- 및 증기- 터빈 장치에서, 가스 터빈으로부터 팽창한 작동 매질 또는 가열 가스에 내재한 열은 증기 터빈용 증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가스 터빈의 하류에는 물의 예열, 증기 생성 및 증기 과열을 위하여 여러개의 가열면이 수직으로 배열된 열 재생 증기 발생기가 연결되어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발생한다. 상기 가열면은 증기 터빈의 물/증기 순환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증기 순환계는 일반적으로 여러개, 예를 들어 세개의, 압력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압력 스테이지는 증발 가열면을 구비할 수 있다.
증기 발생기가 열 재생 증기 발생기로서 가열-가스 측에서 가스 터빈의 하류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개의 대안적인 형태, 즉 관류형(once-through) 증기 발생기 또는 순환형 증기 발생기와 같은 유형들이 고려될 수 있다. 관류형 증기 발생기에서는, 증발기 튜브로서 제공되는 증기 발생기 튜브를 가열함으로써 단일 경로에서 상기 증기 발생기 튜브에서의 유동 매질 증발이 일어난다. 이와 반대로, 자연순환 또는 강제순환 증기 발생기에서는, 순환하는 물이 증발기 튜브를 통과할 때에만 부분적으로 증발된다. 상기 과정에서 증발되지 않는 물은 증발과정 중 생성된 증기를 분리한 후, 부가적인 증발을 위해 동일한 증발 튜브로 다시 공급된다.
자연순환 또는 강제순환 증기 발생기에 비하여, 관류형 증기 발생기는 압력의 제한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래서, 생증기(live-steam) 압력은 물의 임계 압력(Pcri≒221bar)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액체와 유사한 매질과 증기와 유사한 매질의 사이에서 밀도차는 미미하다. 높은 생증기 압력은 열효율을 높게하여 화석 연소 발전소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적게 한다. 게다가, 관류형 증기 발생기는 순환 증기 발생기와 비교할 때 구조에 있어 단순하고, 따라서 낮은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가스- 및 증기- 터빈 장치의 열-재생 증기 발생기로서 관류 원리(once-through principle)에 따르도록 고안된 증기 발생기를 사용하면 구조가 단순한 가스- 및 증기- 터빈 장치의 전체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조 비용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필요한 유지 작업에 있어서 특별한 이점은, 구조적으로 수평인 형태의 가열 매질 또는 가열 가스, 즉 가스터빈에서 배출된 가스가 거의 수평으로 증기 발생기를 통하여 유동하는 열- 재생 증기 발생기에 의해서 제공된다. 그러나 구조적으로 수평인 형태의 관류형 증기 발생기에 있어서, 가열면의 증기 발생기 튜브는 그 위치에 따라 가열되는 정도가 크게 달라지기 쉽다. 특히 출력측에서 공통 콜렉터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튜브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들 이 서로 다르게 가열된 경우에, 서로 크게 다른 증기 파라미터를 갖는 증기 유동들이 결합할 수 있고, 이는 효율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손실을 가져오며, 특히 관련 가열면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증기 발생이 감소된다. 게다가, 특히 콜렉터 측으로 개방된 지역에 근접한 증기 발생기 튜브가 서로 다르게 가열될 경우에는, 증기 발생기 튜브 또는 콜렉터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수평인 형태의 관류형 증기 발생기의 그 자체로서 바람직하게 가스 터빈용 열-재생 증기 발생기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충분히 안정된 유동을 이루지 못하고 심각한 문제를 수반할 수 있다.
EP 0944 801 B1은 구조에 있어 수평 형태로 구성되는 증기 발생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관류형 증기 발생기의 상술한 이점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다. 상기의 공지된 증기 발생기는, 관류 가열면에서 동일한 관류 가열면의 다른 증기 발생기 튜브와 비교할 때 더 많이 가열되는 증기 발생기 튜브의 유동 매질이 상기 다른 증기 발생기 튜브와 비교할 때 더 높은 유량을 갖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지된 증기 발생기의 관류 가열면은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가 서로 다른 정도로 가열되더라도, 자연- 순환 증발 가열면의 유동 특성(자연 순환 특성)과 동일한 자체-안정화 거동을 나타내고, 이러한 거동을 통해, 외부에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더라도, 유동 매질 측에 평행하게 연결된 서로 다른 정도로 가열된 증기 발생기 튜브에서의 출구측 온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증기 발생기는, 구성의 관점에서 볼 때 비교적 복잡하고, 유동 매질의 물- 및/또는 증기-측 분배라는 점에 관하여는 특히 복잡하다. 게다가, 근접한 증발 튜브들의 사이에서 차등 팽창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는 허용될 수 없는 열적 응력을 발생시켜 튜브와 콜렉터에 손상을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한 형태의 증기 발생기를 특별히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하고, 특히 서로 다른 열적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기계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가 유동 매질 측에서 거의 수직으로 배열된 하강유로 구역(downcomer section)을 구비하고, 그 구역을 통하여 유동 매질이 하향으로 유동하고, 유동 매질 측에서 상기 하강유로 구역의 하류에 연결된 거의 수직으로 배열된 상승유로 구역(riser section)을 구비하고 그 구역을 통하여 상향으로 유동 매질이 유동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저렴한 조립 및 생산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증기 발생기를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에, 열적인 부하에 있어서 그 차이에 그다지 민감하지 않은 특별히 안정된 작동 양식을 위하여, 상기 공지된 증기 발생기에 적용된 구성 원리, 즉 관류 가열면에 적용되는 자연-순환 특성이 논리적으로 향상되거나 더 진보하여야 한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이러한 경우 관류 가열면은 비교적 낮은 중량-유동 밀도를 적용하기 위하여 비교적 낮은 마찰 압력 손실을 갖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의 통과유동 자연-순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각각의 경우마다 관류 가열면의 증기 발생기 튜브를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또는 평행 튜브들)로 분배하고, 제 1 세그먼트는 모두 하강유로 구역으로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발생하는 유동은 모두 하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와 상응하여, 제 2 세그먼트는 모두 상승유로 구역으로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발생하는 유동은 모두 상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세그먼트의 하강유로 구역에서, 측지 압력(geodetic pressure)의 분포, 즉 본질적으로 물기둥의 무게는, 의도한 통과유동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고, 유동 경로에 따라 변하는 압력의 플러스 분포(positive contribution), 즉 압력의 증가에 의해 후자를 촉진시킨다. 제 2 세그먼트 또는 상승유로 구역에서의 측지 압력의 분배는 의도되는 유동 방향에 반대로 작용하고, 따라서, 압력의 손실을 가져온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두 측지 압력의 분포는 수직하여 서로 중립을 이룰 수 있다; 제 1 세그먼트 또는 하강유로 압력에서의 통과유동-증진 측지 압력 분포가 제 2 세그먼트 또는 상승유로 구역에서의 통과유동-억제 측지 압력 분포를 초과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자연 순환 시스템에서, 유동-유지 또는 유동-증진 압력 분포는 전체적으로 고려된다.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에서의 하강유로 구역은 가열 가스 덕트에서 상기 가열 가스 방향에서 볼 때 그에 할당된 상승유로 구역의 하류에 적절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증기 발생기 튜브는 공간적으로 유동 매질 측에서 볼 때 제 1 세그먼트 또는 하강유로 구역이, 유동 매질 측에서 볼 때 제 2 세그먼트 또는 상승유로 구역 하류의 연관-가스 측에 배열되어 있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가열-가스 덕트 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열에서, 각각의 상승유로 구역은 그에 할당된 동일한 증기 발생기 튜브의 각각의 하강유로 구역보다 가열 증기에 의해서 비교적 집중적으로 가열되기 쉽다. 또한 상승유로 구역에서의 유동 매질의 상대적인 증기 비율은 하강유로 구역에서의 유동 매질의 상대적인 증기 비율을 현저하게 초과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각각의 튜브 길이에서 물/증기 기둥의 무게에 의해 발생하는 측지 압력 분포는, 그에 할당된 상승 유로 구역에서보다 하강유로 구역에서 현저하게 높다.
더 향상된 또는 대안적인 이로운 형상으로서, 하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의 하강유로 구역이 그에 할당된 상승유로 구역으로 오버플로 구역을 통하여 유동 매질 측으로 연결하면 한편으로는 관류-가열면은 단순한 구조로 구성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서로 다른 열적 부하동안 관류 가열면에 특히 낮은 기계적인 부하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에서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는 실질적으로, 한편으로는 상승유로 구역에 의해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강유로 구역에 의해서 다리가 제공되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굽힘부는 상기 상승유로 구역과 하강유로 구역을 연결하는 오버플로 구역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배열은 열적 부하가 변하는 동안의 팽창을 보정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하강유로 구역과 상기 상승유로 구역을 연결하는 오버플로 구역이 팽창 굽힘부로서 역할을 함으로써, 상승유로 구역 및/또는 하강유로 구역의 길이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변화를 쉽게 보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버플로 구역은 증기 발생기 튜브가 하강 유동 구역에 의해서 제공되는 제 1 증발기 위치의 밑부분에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상승 유로 구역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 2 증발기 위치의 밑부분으로 직접 연결된 후 다시 굽어져 형성된다.
오버플로 구역은 가열-가스 덕트의 내부에 배열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오버플로 구역은 또한 가열-가스 덕트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는데, 만일 배수 콜렉터가 오버플로 구역에 연결되어 관류 가열면이 배수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 특히 그러한다.
증기 발생기의 하강유로 구역에서의 유동-증진 압력 분포가 그에 할당된 상승 유로 구역에서의 유동-억제 압력 분포를 특별히 높은 정도로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강 유로 구역에서 상승유로 구역으로의 유동 매질의 총 유출량은 유동 매질의 입구측에서 하강유로 구역으로의 유입량을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는 하강 유로 구역에서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유동-증진 압력 분포가 단지 상승유로 구역에서 발생하는 유동-억제 압력 분포에 대하여만 제한되도록함으로써, 전체적인 압력이 균형을 갖도록 고안되었다.
이를 위해, 증기 발생기의 하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는 이를 통과하는 유동 매질의 높은 마찰 압력 손실에 대하여 충분하게 유용하도록 고안되었다. 이는, 예를 들어, 특히 개별적인 튜브 구역의 횡단면이, 적당한 치수를 가지므로서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각 경우마다, 분기의 형태로서, 하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가 또한 유동 매질 측에서 공통 하강유로 구역의 하류에 연결된 다수개의 상승유로 구역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동 매질의 통과 유동에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인 또는 더 유용한 형태로서, 각 경우에, 유동 매질 측에서 조절 장치가 하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의 하강유로 구역의 상측에서 연결되고, 특히 유동의 개별적인 비율이 각각의 하류유로 구역으로 공급되는 동안, 상기 조절 장치를 통하여 세팅된다.
증기 발생기 튜브는 튜브 열(row)을 형성하도록 가열-가스 덕트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 각각의 열은 가열-가스 방향에 수직으로 서로의 옆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증기 발생기 튜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증기 발생기 튜브는 가열-가스 방향에서 볼 때 마지막 열 또는 가장 적에 가열 되는 하강유로 구역의 튜브열이 가장 많이 가열된 튜브열을 형성하는 상승유로 즉, 가열- 가스 방향에서 볼 때 제 1 튜브 열에 할당되는 방법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다수개의 증기 발생기의 상승유로 및 하강유로 구역은 가열 가스 방향에서 볼 때 더 앞서 놓여진 상승유로 구역의 각각이 가열-가스 방향에서 볼 때 더 뒤로 놓여진 하강유로 구역의 각각에 할당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가열-가스 덕트 내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열을 통하여, 다수개의 U자형 증기 발생기 튜브는 일반적으로 거의 포개어진 배열 형태로 공간적으로 배치되고, 비교적 많이 가열되는 상승유로 구역은 비교적 적게 미리 가열된 하강유로 구역에 연결되고 상기 하강유로 구역으로부터 유동 매질이 공급된다.
측지 압력 분포는, 비교적 높은 정도로 가열된 상승유로 구역에서 특별히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이에 따라 할당된 하강유로 구역으로부터 특별하게 유동 매질의 추가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자동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각 경우에 하강유로 구역의 상측 통한 전체적인 유동이 증가한다. 이러한 경우 많이 가열된 튜브의 정확한 요구를 중족시키기 위하여 이에 할당된 하강유로 구역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추가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자연- 순환 특성이 특히 강화된다.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에서 유동-증진 측지 압력 분포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증기 발생기는 단지 하나의 하강유로 구역과 유동 매질 측에서 상기 하강유로 구역의 하류에 연결된 단지 하나의 상승유로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가열-가스 덕트를 통하여 흐르는 가열 가스의 온도 프로파일에 대하여 유동 매질 측에서 증기 발생기 튜브를 통하여 흐르는 유동 매질의 열 흡착성의 적응동안의 특별하게 높은 융통성은 서로 앞뒤로 연결된 다수개의 하강유로 및 상승유로 구역들을 포함하는 여러개의 증기 발생기 튜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유동 매질의 흐름의 방향에서 볼 때,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는 먼저, 제 1 하강유로 구역을 구비하는데, 이는 적합하게 회전한 후에, 바람직하게는 오버플로 구역을 통과하여, 유동 매질이 상향으로 통과하도록 고안된 제 1 상승유로 구역의 하류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승유로 구역의 하류에 연결된, 바람직하게는 이와 마찬가지로 가열-가스 덕트의 내에 배열된 오버플로 구역을 통하여 적합하게 회전한 후에, 유동 매질이 하향으로 통과하도록 고안된 제 2 하강유로 구역이 있다. 제 2 상승유로 구역은 이 때, 다시 제 2 하강유로 구역의 뒤에 연결된다. 더 나아가, 필요한 때에는, 다수개의 하강유로 및 상승유로 구역이 하류에서 교번적인 배열로 연결될 수 있다.
증기 발생기는 가스- 및 증기- 터빈 장치의 열- 재생 증기 발생기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증기발생기는 가열-가스측에서 가스 터빈의 하류에 연결되는 것이 유용하다. 이러한 순환계에서, 가열-가스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충적인 가열은 가스 터빈의 하류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유동 매질 측에서 상기 하강유로 구역의 하류에 연결된 상승유로 구역과 그를 통하여 하향으로 유동이 발생할 수 있는 그리고 상향으로 유동이 일어날 수 있는, 적어도 증기 발생기 튜브의 제 1 세그먼트에서, 하강유로 구역을 구비한 증기 발생기 튜브의 2-단계 또는 다 단계 구조에 의해서, 유동-증진 압력 분포가 그 안에 위치한 물 기둥의 측지 압력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사실에서 특히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동이 하향으로 일어나는 가열된 증발 시스템은 관류 증발기에서 사용하는 동안 정확하게 견딜수 없는 불완전한 유동을 유발한다. 그러나, 비교적 낮은 중량-유동 밀도를 가진 물이 공급되는 동안, 증기 발생기 튜브의 자연-순환 특성은 비교적 낮은 마찰 압력 손실에 기인하여 신뢰할 만한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연-순환 특성은, 증기 발생기 튜브가 다른 증기 발생기 튜브와 비교할 때 큰 정도로 가열된 때, 큰 정도로 가열된 증기 발생기 튜브에서 유동 매질의 비교적 더 큰 유량을 유도한다. 이러한 자연- 순환 특성은, 유동이 그를 통하여 하측으로 흐르는 세그먼트를 사용할 때 조차, 증기 발생기 튜브를 통하여 충분히 안정되고 신뢰할 정도로 흐르도록 한다.
게다가, 그러한 특성은 구조 및 조립에 있어서 그에 할당된 하강유로 구역의 하류에 직접 연결된 상승유로 구역에 의해서 그리고, 그 사이에 연결된 복잡한 콜렉터 또는 분배 시스템이 없이도 특별하게 낮은 비용으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증기 발생기 튜브는 특별하게 안정한 유동 형태를 가지고 결합에 있어 비교적 낮은 정도의 장치 복잡성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는 그 하류에 연결된 하강유로 및 상승유로 구역은 밑부분에서 각각의 경우에 자유 선 형 팽창이 허용되고, 가열-가스 덕트의 케이스 천장의 지역에서 매달리는 형태의 구조로 고정될 수 있다. 열적인 영향에 의해서 야기되는 그러한 선형적인 팽창은 하강유로 구역으로 각각의 상승유로 구역을 연결하는 오버플로 구역에 의해서 지금 보상되고, 열적인 영향에 의해서 아무런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데:
도 1, 2 및 3은 각각 종방향 구역에서의 수평 형태의 구조로서 단순화된 증기 발생기의 대표도를 나타낸다.
동일한 부분은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로서 제공된다.
도 1,2, 및 3에 따른 증기 발생기 (1, 1′, 1″)는 각각 가스 터빈(더 이상 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의 하류에 배출-가스측에 열-재생 증기 발생기처럼 배열된다. 증기 발생기 (1, 1′, 1″)는 각각의 경우에 가스 터빈으로부터 나온 배출 가스가 통과하는 가열-가스 덕트(6)를 형성하는 밀폐 벽(2)을 구비하고 있고, 화살표(4)에 의해 지시된 거의 수평인 가열- 가스 방향(X)으로 가열-가스 덕트(6)를 통하여 유동이 발생한다. 관류 원칙에 따라 구성된 다수개의 가열면은, 또한 관류 가열-지역(8, 10 및 12)으로 언급되고, 각각의 경우에 가열-가스 덕트(6)에서 각각 배열된다. 도 1, 2 및 3에 따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단지 하나의 관류 가열면(8, 10 또는 12)이 각각 도시되었지만, 그러나, 다수개의 관류 가열면이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유동 매질(W)은 각각의 경우에, 각각 관류 가열면(8, 10 및 12)으로부터 형성된 증발기 시스템에 수용될 수 있고, 이러한 유동 매질(W)은, 단일 경로동안, 각 각의 관류 가열면 (8, 10 또는 12)에서 증발되고, 관류 가열면(8, 10 또는 12)으로부터 나와, 각각 증기(D)로서 배출되고, 더 과열되도록 하기 위하여 과열기의 가열면으로 공급된다. 각각의 관류 가열면(8,10 및 12)으로부터 형성된 증발기 시스템은, 각각의 경우에 증기 터빈의 물/증기 순환계(더이상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각각의 증발기 시스템에 추가하여, 다수개의 다른 가열면(20)이, 각각의 경우에 도 1에서 3까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증기 터빈의 물/증기 순환계 안으로 연결된다. 가열면(20)은, 예를 들어, 과열기, 중간-압력 증발기, 저압력 증발기 및/또는 예열기일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증기 발생기(1)의 관류 가열면(8)은, 튜브 다발과 같이, 유동 매질(W)의 통과유동에 평행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증기 발생기 튜브(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다수개의 증기 발생기 튜브(22)는 각각의 경우에, 가열-가스 방향(X)에서 볼 때 나란히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이러한 방법으로 나란히 배열된 증기 발생기 튜브들(22) 중 단 하나만이 각 경우에 도시된다. 여기에서, 각 경우마다 유동 매질 측에서, 공통 분배기(26)가 이러한 방법으로 나란히 배열된 증기 발생기 튜브들(22)의 상류에 배열되고, 공통 배출 콜렉터(28)가 각 경우마다 상기 후자의 하류에 배열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분배기(26)는 차례로 주 분배기(30)으로 입구측에 연결되고, 배출 콜렉터(28)는 공통 주 콜렉터(32)로 출구측에 연결된다.
관류 가열면(8)은 비교적 낮은 질량-유동 밀도를 증기 발생기 튜브(22)에 공급하기 적합한 방법으로 구성되고, 상기 증기 발생기 튜브(22)는 자연-순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순환 특성의 경우에, 동일한 관류 가열면(8)의 다른 증기 발생기 튜브(22)와 비교하여 볼 때 많이 가열된 증기 발생기 튜브(22)는 다른 증기 발생기 튜브(22)와 비교하여 유동 매질(W)의 높은 유량을 가지고 있다. 특별하게 신뢰할만 한 방법으로 특별하게 단순한 고안 수단을 통해 이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관류 가열면(8)은 상기 유동 매질 측에서 연속되어 연결된 두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 1 세그먼트에서, 관류 가열면(8)의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는 각 경우마다 유동 매질(W)이 하류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거의 수직으로 배열된 하강유로 구역(34)를 구비한다. 제 2 세그먼트에서,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는 유동 매질 측에서 하강유로 구역(34)의 하류에 연결된, 상향으로 유동 매질(W)이 흐르는 거의 수직으로 배열된 상승유로 구역(36)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승유로 구역(36)은 오버플로 구역(38)을 통하여 그에 할당된 하강유로 구역(34)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버플로 구역은 가열-가스 덕트(6)에 위치하고 공간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가열-가스 덕트(6)에 배열된 관통 플레이트(40)을 통하여 가열-가스 덕트(6) 안에 배열되어 있다. 비록 이러한 관통 플레이트(40)가 가열-가스 덕트(6)에서 가열 가스를 위하여 이용가능한 유동의 단면에서의 지역적인 제약을 가져오지만, 도 1에서 상기 부품들은 축적에 맞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하며, 따라서 관통 플레이트(40)에 의한 가열 가스에 대한 유동 단면의 상대적인 제약은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버플로 구역은 또한 바깥으로, 특히 가열-가스 덕트(6)의 아래로 위치할 수도 있다. 이는 특히 설계 또는 작동상의 이유로 제공된 관류 가열 면(8)의 배수가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가열-가스 덕트(6)의 바깥에 위치한 오버플로 구역(38)의 경우에, 이러한 배수는 상기 오버플로 구역(38)에 연결된 배수 콜렉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배수 콜렉터는 하강유로 구역의 근처에 공간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래서 열적 팽창에 대하여 가열 튜브의 이동성은 장애없이 계속 유지된다.
도 1에서 볼 때, 관류 가열면(8)의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는 수직으로 U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U자 형상의 다리는 하강유로 구역(34)와 상승유로 구역(36)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 굽힘부는 오버플로 구역(38)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형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에서, 하강유로 구역(34) 지역-상승유로 구역(36) 지역에 반대하여-에서의 유동 매질(W)의 측지 압력 분포는, 유동을 증진시키는 압력분포를 생성하는 것이지, 유동억제 압력 분포를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말로 하면: 하강유로 구역(34)에 위치한 증발하지 않은 유동 매질(W)의 물기둥은 여전히 그를 저지하는 대신,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를 통하여 유동을 따라 "압력을 가한다". 결국, 증기 발생기 튜브(22)는, 전체적으로 고려할 때, 비교적 압력 손실이 적다.
거의 U자 형상의 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는 각각의 경우에 그 하강유로 구역(34)의 입구 지역에서 그리고 그 상승유로 구역(36)에서의 출구 지역에 가열-가스 덕트(6)의 천장에 매달린 구조의 방법으로 매달리거나 고정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의 오버플로 구역(38)에 의해 서로 연결된, 공간적으로 볼 때, 각각의 하강유로 구역(34)과 각각의 상승유로 구역(36)의 바닥 단부는 가열-가스 덕트(6)에서 공간적으로 직접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증기 발생기 튜브의 이러한 세그먼트의 선형적인 팽창은 손상될 위험이 없이 견디어질 수 있고, 각각의 오버플로 구역(38)은 팽창 굽힘부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증기 발생기 튜브(22)의 배열은 특별히 기계적으로 탄성적이고, 열적인 응력에 대하여, 발생하는 차등적인 압력에 덜 민감하다.
증기 발생기 튜브(22)를 높은 정도로 가열하는 것은, 특히 상승유로 구역(36)에 있어서, 이러한 경우에 먼저 증기 발생기 튜브(22)의 치수때문에, 높은 정도로 가열되는 증기 발생기 튜브(22)를 통한 유동 비울에서의 증가가 높은 정도로 이러한 가열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과정에서, 증발률에 있어서의 증가를 이끈다.
관류 가열면(8)의 다양한 튜브 열(24)의 증기 발생기 튜브(22)는 추가적으로 다른 것의 안에 하나가 포개어진 U자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증기 발생기 튜브(22)의 다수개의 상승유로 구역(36)과 하강유로 구역(34)는 가열 가스 덕트(6) 안에서 가열-가스 방향(X)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먼저 앞으로 놓인 상승유로 구역(36)이 가열-가스 방향(X)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뒤에 놓인 하강유로 구역(34)에 연결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서로에 대하여 관련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배열 방법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가열된 상승유로 구역(36)은 상대적으로 적게 가열된 하강유로 구역(34)과 연결된다. 또한 자기-보상 효과가 이러한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서 튜브 열(row)(24)의 사이에서 달성된다. 이는, 비교적 높은 정도록 가열되고 더 앞으로 놓여있는 상승유로 구역(36)에 있어서 정밀하게, 높은 정도로의 가열은 특별하게 증기의 생산을 증진시키고, 따라서 유동 매질(W)의 추가적 인 공급이 특별하게 높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 안으로 들어가는 유동 매질(W)안으로의 비교적 낮은 열의 유입 때문에, 상기 하강유로 구역(34)은 특별하게 높은 유동-증진 측지 압력 분포를 가지고 있고, 그래서, 정밀하게 그렇게 낮은 정도로 가열된 하강유로 구역(34)은 비교적 차가운 유동 매질(W)을 추가적으로 공급하기에 적합하다.
특별히 이러한 배열에서, 증기 발생기 튜브(22)의 상승유로 구역(36)이 더 많이 가열될수록, 상승유로 구역(36)은 비교적 더 멀리 배열되는데, 이에 따라 그에 할당된 하강유로 구역(34)에서의 유동증진 측지 압력 분포가 상승유로 구역(36)에서의 유동억제 측지 압력 분포를 초과하고, 추가적인 유동 매질(W)의 증가된 상대적인 상승유로 구역(36)의 공급은 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에 기인하여, 특별하게 증진된 상기 증기 발생기 튜브(22), 후자의 자연-순환 특성은, 특별한 정도로, 지역적으로 다른 가열에 비하여 자기-안정적인 거동을 가지고 있다: 큰 정도로 증기 발생기 튜브(22)의 열(row)을 가열하는 것은 이러한 경우에 증기 발생기 튜브(22)의 이러한 열 안으로 유동 매질(W)의 증가된 공급을 지역적으로 이끈다. 그래서, 이와 관련하여 증가된 냉각효과 때문에, 각각의 온도치의 적응은 자동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주 콜렉터(32)로의 생증기 유동은 특별하게 그 증기 파라미터에 대하여 특별하게 균질하고, 그를 통하여 흐르는 튜브 열(24)에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발생한다.
증기 발생기 (1,1′,1″)의 고안 위치 또는 의도된 작동 위치에 의존하여, 유동이 하측으로 발생하는 증발기 세그먼트에 의해 제공되는 유동-증진 측지 압력 분포는 하류에 연결된 제 2 증발기 세그먼트의 유동 억제 측지 압력 분포를 많이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높은 마찰 압력 손실에 대하여 제 1 증발기 세그먼트를 설계하는 것이 설계 포인트인 함수로서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도 1에 따라 스로틀 장치(42)가 각각의 경우에 주 분배기(30)와 각각의 경우에 그들에 할당된 분배기(26)의 사이에 증기 발생기(1)의 튜브 열의 상류에 연결된다. 상기 스로틀 장치(42)는 또한 특별하게 조절가능하게 또는 조정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도 2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증기 발생기 (1′)는 제 1 세그먼트에서 증기 발생기 튜브(50)가 각각의 경우에 이와 마찬가지로 하강유로 구역(52)를 가지는, 그러나 유동 매질 측에서, 각각의 경우에, 유동 매질(W)의 통과유동에 평행하게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상승유로 구역(54)이 연결된, 관류 가열면(10)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버플로 구역(56)은, 그들을 통하여 하강유로 구역(52)이 서로 그들에 할당된 다수개의 상승유로 구역(54)에 각각 연결되고, 다시 가열-가스 덕트(6)의 내부에 직접 연결되고, 관통 플레이트(58)에 설치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또한 그들은 가열-가스 덕트(6)의 외측에 놓일 수도 있다. 도 2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2)에서 유동 매질 측에 평행하게 연결된 상승유로 구역(54)은 각각의 하강유로 구역(52)의 하류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튜브는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평행하게 연결된 상승유로 구역(54)의 내부의 유동 매질(W)를 위한 유동의 자유 단면은 각각의 경우에 그들의 상류에 공동으로 연결된 하강유 로 구역(52)에서의 유동의 단면보다 두배가 크다. 대안적으로, 만일 필요하다면, 하강유로 구역(52)에서의 마찰 압력 손실의 그러한 제한은 또한 적절한 치수화에 의해, 특히 비교적 작은 지름을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3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증기 발생기(1″)는 비교적 마찰 압력 손실이 적도록 하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고안된 관류 가열면(12)을 구비하고, 따라서, 특히 비교적 적은 질량-유동 밀도를 가진 유체의 자연-순환 특성을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열 흡수성의 관점에서, 특히 증기 발생기( 1″)의 관류 가열면(12)은 가열 가스 덕트(6)를 통하여 흐르는 가열가스의 온도 프로파일에 적용된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경우 관류 가열면(12)를 형성하는 증기 발생기 튜브(60) 각각은 유동 매질 측에서 서로 앞뒤로 교번적으로 연결된 다수개-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하강유로 구역(62, 64) 및 상승유로 구역(66, 6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동 매질(W)의 유동 방향에서 보여지는 제 1 하강유로 구역(62)은 각각의 경우에 오버플로 구역(70)을 통하여 그 하류에 연결된 제 1 상승유로 구역(66)으로 연결된다. 상기의 상승 유로 구역(66)은 차례로 오버플로 구역(72)을 통하여 그 하류에 연결된 제 2 하강유로 구역(64)으로 출구측에서 연결된다. 제 2 하강유로 구역(64)은 오버플로 구역(74)를 통하여 제 2 상승유로 구역(66)에 연결된다. 오버플로 구역(70, 72 및 74)은 다시 가열-가스 덕트(6)의 내부에 배치되고, 각각의 경우에 각각 관통 플레이트(76, 78 또는 80)를 통하여 가열-가스 덕트(6)의 밑부분 및 천장에 고정된다.

Claims (9)

  1. 가열 가스가 거의 수평 유동 방향(X)으로 발생하는 가열-가스 덕트(6)내에 유동 매질(W)의 통과유동에 평행하게 연결된 다수의 증기 발생기 튜브(22, 50, 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관류 가열면(8, 10, 12)이 배열되어 있는 증기 발생기(1, 1′, 1″)로서, 동일한 관류 가열면(8, 10, 12)의 다른 증기 발생기 튜브(22, 50, 60)와 비교할 때 더 많이 가열되는 증기 발생기 튜브(22, 50, 60)가 상기 다른 증기 발생기 튜브(22, 50, 60)와 비교하여 더 높은 유동 매질(W) 유량을 갖도록 구성된 증기 발생기에 있어서,
    하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 50, 60)는 각 경우마다 유동 매질 측에서 유동 매질(W)이 하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거의 수직으로 배열된 하강유로 구역(34, 52, 62, 64)과 유동 매질(W)이 상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하강유로 구역(34, 52, 62, 64)의 하류에 연결되고 거의 수직으로 배열된 상승유로 구역(36, 54, 66, 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가스 덕트(6)의 가열-가스 방향(X)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 50, 60)의 상기 하강유로 구역(34, 52, 62, 64)이 그에 할당된 상승유로 구역(36, 54, 66, 68)의 하류에 배열된,
    증기 발생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동 매질 측에서 상기 하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 50, 60)의 하강유로 구역(34, 52, 62, 64)은 오버플로 구역(38, 70, 72, 74)를 통하여 그에 할당된 상승유로 구역(36, 54, 66, 68)으로 연결된,
    증기 발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오버플로 구역(38, 70, 72, 74)이 가열-가스 덕트(6) 안에 배열된,
    증기 발생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 50, 60)가 분기된 형태로 형성되고, 유동 매질 측에서 공통 하강유로 구역(34, 52, 62, 64)의 하류에 연결된 다수개의 상승유로 구역(36, 54, 66, 68)을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유동 매질(W)의 통과 유동에 팽행하게 서로 연결되는,
    증기 발생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증기 발생기 튜브(22,50,60)의 상승유로 구역(36, 54, 66, 68)과 하강유로 구역(34, 52, 62, 64)은 가열- 가스 덕트(6)에서 가열 가스 방향(X)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더 앞에 놓인 상승유로 구역(36,54,66,68)이 가열-가스 방향(X)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더 뒤에 놓인 하강유로 구역(34,52,62,64)에 할당되는 방법으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한,
    증기 발생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증기 발생기 튜브(22, 50, 60)는 각각의 경우에 유동 매질 측에서 교번적으로 서로 앞뒤로 연결된 다수개의 하강유로 구역(34, 52, 62, 64) 및 상승유로 구역(36, 54, 66, 68)을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유동 매질 측에서 연결 라인을 통해 주 분배기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각각의 증기 발생기 튜브(22, 50, 60)의 하강유로 구역(34, 52, 62, 64)의 상류에 스로틀 장치(42)가 연결된,
    증기 발생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매질 측 상류에 가스터빈이 연결된,
    증기 발생기.
KR1020037016063A 2001-06-08 2002-05-27 증기 발생기 KR100718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27830.6 2001-06-08
DE10127830A DE10127830B4 (de) 2001-06-08 2001-06-08 Dampferzeuger
PCT/DE2002/001936 WO2002101292A2 (de) 2001-06-08 2002-05-27 Dampferzeu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530A KR20040011530A (ko) 2004-02-05
KR100718357B1 true KR100718357B1 (ko) 2007-05-14

Family

ID=768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063A KR100718357B1 (ko) 2001-06-08 2002-05-27 증기 발생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68807B2 (ko)
EP (1) EP1393001A2 (ko)
JP (1) JP4443216B2 (ko)
KR (1) KR100718357B1 (ko)
CN (1) CN1289853C (ko)
CA (1) CA2449652C (ko)
CZ (1) CZ20033530A3 (ko)
DE (1) DE10127830B4 (ko)
PL (1) PL199124B1 (ko)
RU (1) RU2004100240A (ko)
SK (1) SK287649B6 (ko)
WO (1) WO200210129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9633B2 (en) * 2002-02-07 2011-09-13 Micro Beef Technologies, Ltd. Livestock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EP1443268A1 (de) * 2003-01-31 2004-08-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mpferzeuger
EP1512906A1 (de) * 2003-09-03 2005-03-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in liegender Bauweis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Durchlaufdampferzeugers
EP1512905A1 (de) * 2003-09-03 2005-03-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s Durchlaufdampferzeugers
FR2872886B1 (fr) * 2004-07-09 2006-09-22 Total Sa Procede et dispositif de generation de vapeur d'eau adapte a l'oxy-combustion
US6957630B1 (en) 2005-03-31 2005-10-25 Alstom Technology Ltd Flexible assembly of once-through evaporation for horizontal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AU2006272450B2 (en) * 2005-07-19 2010-09-02 Chaozhou Three-Circle (Group) Co., Ltd. Steam generator
CN101310146B (zh) * 2005-07-19 2010-08-18 塞拉米克燃料电池有限公司 蒸汽发生器
EP2255076B1 (de) 2008-02-26 2015-10-07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dampferzeugers und regelschaltung für einen dampferzeuger
EP2194320A1 (de) * 2008-06-12 2010-06-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sowie Zwangdurchlaufdampferzeuger
PT2161525T (pt) * 2008-09-08 2016-07-26 Balcke-Dürr GmbH Permutador de calor de construção modular
EP2180250A1 (de) * 2008-09-09 2010-04-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DE102009012320A1 (de) * 2009-03-09 2010-09-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verdampfer
DE102009012321A1 (de) * 2009-03-09 2010-09-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verdampfer
DE102009012322B4 (de) * 2009-03-09 2017-05-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verdampfer
DE102010038883C5 (de) * 2010-08-04 2021-05-20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Zwangdurchlaufdampferzeuger
MX362656B (es) 2012-01-17 2019-01-30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Montaje de tubos y deflectores en un evaporador horizontal directo.
MX358076B (es) 2012-01-17 2018-08-03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Dispositivos para control de flujo y metodos para un evaporador horizontal de paso directo.
DE102012218542B4 (de) * 2012-10-11 2016-07-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flexiblen Betrieb einer Kraftwerksanlage
EP2843304A1 (en) * 2013-08-29 2015-03-04 Casale SA A shell-and-tube apparatus for heat recovery from a hot process stream
US9739476B2 (en) * 2013-11-21 2017-08-22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Evaporato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E102014206043B4 (de) * 2014-03-31 2021-08-12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ystems für einen thermodynamischen Kreisprozess mit einem mehrflutigen Verdampfer, Steuereinrichtung für ein System, System für einen thermodynamischen Kreisprozess mit einem mehrflutigen Verdampfer, und Anordn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eines Systems
AU2019352659A1 (en) 2018-10-01 2021-05-06 Header-coil Company A/S Heat exchanger, such as for a solar power pla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702A (ja) * 1990-01-29 1991-09-30 Toshiba Corp 複圧式排熱回収熱交換器
US6019070A (en) * 1998-12-03 2000-02-01 Duffy; Thomas E. Circuit assembly for once-through steam generators
US6189491B1 (en) * 1996-12-12 2001-02-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am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553A (en) * 1897-09-07 Half to francis j
DE425717C (de) 1924-01-31 1926-02-24 Hugo Dornseif Legenest fuer Huehner u. dgl.
US2699758A (en) * 1946-02-02 1955-01-18 Svenska Maskinverken Ab Method of preheating combustion supporting air for steam generating plants
DE1176155B (de) * 1959-02-28 1964-08-20 Buckau Wolf Maschf R Steilrohrkessel mit oberem, gekuehltem Rueckwandvorsprung
FR2443643A1 (fr) * 1978-12-06 1980-07-04 Creusot Loire Appareil de chauffe fournissant de la vapeur d'eau et du gaz chaud
US4357907A (en) * 1980-10-27 1982-11-09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Fluidized bed combustor with improved indirect heat exchanger units
JPS61186702A (ja) * 1985-02-14 1986-08-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ガスボイラ
US4685426A (en) * 1986-05-05 1987-08-1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Modular exhaust gas steam generator with common boiler casing
JPH0718525B2 (ja) * 1987-05-06 1995-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排ガスボイラ
EP0425717B1 (de) * 1989-10-30 1995-05-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BE1005793A3 (fr) * 1992-05-08 1994-02-01 Cockerill Mech Ind Sa Chaudiere de recuperation de chaleur a circulation induite.
DE19651936C2 (de) * 1996-12-14 2000-08-31 Nem Bv Durchlaufdampferzeuger mit einem Gaszug zum Anschließen an eine Heißgas abgebende Vorrichtung
DE19700350A1 (de) * 1997-01-08 1998-07-16 Steinmueller Gmbh L & C Durchlaufdampferzeuger mit einem Gaszug zum Anschließen an eine Heißgas abgebende Vorrichtung
US6092490A (en) * 1998-04-03 2000-07-25 Combustion Engineering, Inc.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US6588379B2 (en) * 2001-08-06 2003-07-08 Bwx Technologies, Inc. Multi-stream energy source steam generator system
US6557500B1 (en) * 2001-12-05 2003-05-06 Nooter/Eriksen, Inc. Evaporator and evaporative process for generating saturated ste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702A (ja) * 1990-01-29 1991-09-30 Toshiba Corp 複圧式排熱回収熱交換器
US6189491B1 (en) * 1996-12-12 2001-02-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am generator
US6019070A (en) * 1998-12-03 2000-02-01 Duffy; Thomas E. Circuit assembly for once-through steam gene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27830B4 (de) 2007-01-11
WO2002101292A3 (de) 2003-10-02
PL199124B1 (pl) 2008-08-29
CN1289853C (zh) 2006-12-13
US20040149239A1 (en) 2004-08-05
RU2004100240A (ru) 2005-05-27
WO2002101292A2 (de) 2002-12-19
JP4443216B2 (ja) 2010-03-31
CN1526059A (zh) 2004-09-01
SK287649B6 (sk) 2011-05-06
PL367197A1 (en) 2005-02-21
KR20040011530A (ko) 2004-02-05
US6868807B2 (en) 2005-03-22
SK16062003A3 (sk) 2005-02-04
CA2449652A1 (en) 2002-12-19
DE10127830A1 (de) 2002-12-12
CA2449652C (en) 2007-12-11
JP2004529310A (ja) 2004-09-24
CZ20033530A3 (en) 2004-04-14
EP1393001A2 (de) 200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357B1 (ko) 증기 발생기
JP4549868B2 (ja) 廃熱ボイラ
JP4833278B2 (ja) ボイラ
EP3204691B1 (en) Once-through vertical tubed supercritical evaporator coil for an hrsg
JP4781369B2 (ja) 貫流ボイラ
AU700309B2 (en) Boiler
JP2012519830A (ja) 貫流蒸発器
KR101663850B1 (ko) 연속 흐름식 증발기
CA2537464C (en) Continuous-flow steam gener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continuous-flow steam generator
RU2351844C2 (ru) Прямоточный парогенератор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типа конструкции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прямоточного парогенератора
Berezinets et al.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s of binary combined-cycle units
JPH1194204A (ja) ボイラ
JP2873045B2 (ja) 排熱回収加熱装置
JPH11287402A (ja) 排熱回収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