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996B1 - 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996B1
KR100717996B1 KR1020040104176A KR20040104176A KR100717996B1 KR 100717996 B1 KR100717996 B1 KR 100717996B1 KR 1020040104176 A KR1020040104176 A KR 1020040104176A KR 20040104176 A KR20040104176 A KR 20040104176A KR 100717996 B1 KR100717996 B1 KR 100717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yza
rice
extract
water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770A (ko
Inventor
우성식
김동선
도선길
이영철
오미선
허영문
성희선
남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젠
Priority to KR102004010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9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 개선 효과 또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벼 추출물은 엘라스타제(elast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서, 혈관의 탄력성을 유지, 혈액의 손실 방지, 혈류량 조절 및 혈관 압력을 조절하므로 혈관 보호 및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을 위한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NO(nitric oxide)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염증활성을 나타내어 혈관내벽의 상처를 치유하는 등의 염증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여러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벼, 엘라스타제 억제, 혈관보호, 염증성 질환, 혈액순환, 의약품

Description

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oryza plant}
본 발명은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액순환이란 혈액이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현상을 말하며, 혈액이 혈관 속으로만 흐르는 폐쇄혈관계와 모세혈관이 없어 혈액이 조직 속을 흘러 체강액과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은 개발혈관계로 나뉘는데, 사람은 폐쇄혈관계에 속한다. 사람은 폐쇄 혈관계이므로 혈액 중 일부인 혈장(림프)만 혈관 밖으로 나가 물질 교환을 하는데 혈액순환의 원동력은 심장의 수축운동에 있으며, 순환하는 혈액은 가스교환(호흡)에 의한 산소나 이산화탄소 외에, 영양ㆍ노폐물 등을 운반하는 일을 담당한다.
혈액순환 장애란 우리 온몸의 구석구석에 뻗어 있는 혈관이 탄력을 잃고 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집착되어 혈관 내강이 좁아져 혈액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혈액순환 장애는 손발 차고 저림, 뒷목 당김, 어깨 결림, 기억력 감퇴, 무기력, 집중력 약화, 현기증 및 만성 피로 증상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이 많게 된다.
혈액순환장애로 인하여 유발되는 질환에는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고지혈증, 심근경색, 혈전증, 허혈증, 정맥부전, 협심증등이 포함된다(FASEB J., 13(10), pp1121-1136, 1999; J Extra Corpor Technol., 33(3), pp167-174, 2001; Arch Pharm Res., 25(2), p170,2002; Mol Med., 1(3), pp254-266, 1995; Arch Pharm Res., 26(4), p301, 2003; Eur J Pharmacol., 461(1), pp49-52, 2003; Circulation, 102(19 Suppl 3):III, pp289-295, 2000; FASEB J., 14(5), pp805-814, 2000; Circ Res., 84(10), pp1223-1233, 1999; Cardiovasc Surg., 4(4), pp515-519, 1996; Eur Respir J., 13(1), pp190-6, 1999; Atherosclerosis., 131(1), pp73-78, 1997; Circulation., 107(22), pp2829-2836, 2003; J Vasc Interv Radiol., 12(10), pp1203, 2001; Nat Med., 6(6), pp698-702, 2000; J Trauma., 35(1), pp1101, 1993).
염증이란 외부 세균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膿瘍)의 병리적 상태를 뜻하며, 염증반응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으로 인한 손상을 수복 재생하기 위한 생체 방어 반응과정으로,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과 같은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질환의 주요 병리현상(과민성 질환, 만성염증)이 되며, 수혈, 약물투여, 장기이식 등 치료과정에서도 장해요인이 된다.
이러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염증성 인자인 NO(Nitric Oxide)는 NO 합성효소 (Nitric Oxide Synthase, NOS)에 의해 L-알지닌(L-arginine)으로부터 중간 대사물인 히드록시알지닌(hydroxyarginine)을 거쳐 NO와 시트룰린(citrulline)이 만들어진다. NO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닌 것으로 매우 작은 분자량을 갖고 있는 물질로써 생체 내에서 혈관계에 작용하여 혈관확장, 혈소판 부착 및 응집, 신경전달, 소화기관 운동 등에 관여하는 매개물질이며, 여러 가지 대사 조절 작용 및 생리 작용(신경전달, 혈액응고, 혈압조절, 암세포에 대한 면역 등)을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염증세포 뿐만 아니라 비 면역세포에서도 생성되어 미생물 감염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NO는 대기 상태에서 가스의 형태로 존재하며, 자유 라디칼 구조이기 때문에 매우 유독할 뿐만 아니라 반감기가 6 내지 10초로 매우 불안정하여, 안정화된 최종 산물인 NO3(nitrate) 및 NO2(nitrite)로 신속히 변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nyder, S. H. et al., Scientific American, May, pp28-35, 1992).
한편, NO 생성에 관여하는 NOS는 칼슘(Ca2+)이나 칼모듈린(camodulin) 의존성 여부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즉, cNOS(constitutive nitric oxide synthase; eNOS, nNOS) 및 iNOS(inducible NOS)로 분류되는데, cNOS는 칼슘이나 칼모듈린 의존성이고 주로 뇌, 상피세포, 호중구, 위장 점막 세포에 존재하며, iNOS는 칼슘이나 칼모듈린 비의존성으로 iNOS는 대식세포, 간세포, 암세포 등에 존재하며, IL-1β(interlukin-1β), IFN-γ(interferon-γ),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류(cytokines)와 내독소인 세균성 LPS(lipopolysaccharide) 등에 의해 유도된다(Dinerman, J. L. et al., Circ. Res., 73, pp217-222, 1993). 이러한 자극에 의하여 COX-2(cyclooxygenase-2)도 함께 활성화되어 염증매개물질인 PGs(prostaglandines)가 생성되기 때문에 iNOS 발현과 COX-2의 발현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생성된 NO는 COX-2 발현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Robert C. et al., J. Immunol., 165, pp1582-1587, 2000; Daniela 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 pp7240-7244, 1993). 또한, 혈관 내피세포에 존재하는 eNOS는 혈관확장 및 혈류량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에는 동맥경화 외에 위염, 대장염, 관절염, 신장염, 간염, 알러지, 천식, 기관지염(FASEB J., 13(10), pp1121-1136, 1999; J Extra Corpor Technol., 33(3), pp167-174, 2001; Gobert A. P. et al., J. Immunol., 168(12), pp6002-6006, 2002; Dijkstra G. et al., Scand. J. Gastroenterol., 37(5), pp546-554, 2002; Eur J Pharmacol. 2003 Mar 28;465(1-2):183, Sakac V. and Sakac M., Med. Pregl., 53, pp463-474, 2000; Albrecht E. W. et al., Am. J. Transplant, 29(5), pp448-453, 2002; Ramachandran A. et al., Free Radical Biol. Med., 33(11), pp1465-1474, 2002; Sartor L. et al., Biochemical Pharmacol., 64, pp229-237, 2002; Sadowska-Krowicka H. et al., Proc. Soc. Exp. biol. Med., 217(3), pp351-357, 1998, Lo A-H. et al., Carcinogenesis, 23(6), pp983-991, 2002) 등이 포함된다.
엘라스틴(Elastin)은 콜라겐과 같이 피부의 결합조직에 존재하는 섬유상태의 경질 단백질로서, 거의 모든 결체조직(혈관벽, 인대, 피부)에 분포하며 교원섬유를 용수철처럼 지탱해 준다. 이들은 보통 마른 인대 무게의 70 내지 80%, 대동맥과 같은 대혈관과 폐의 30 내지 60%, 그리고 피부의 2 내지 5%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엘라스틴은 엘라스타제(Elastase) 또는 엘라스타제형의 프로테아제라고 불리워지는 특정의 프로테아제(protease)에 의해서만 공격받을 수 있다. 이들 효소에는 췌장 엘라스타제 및 세포 엘라스타제, 예를 들면 대식세포, 결합조직 형성세포 및 동맥내 평활근의 세포에서 발견되는 엘라스타제; 백혈구 엘라스타제; 및 혈소판 엘라스타제가 포함된다. 생체내에서 엘라스타제는 내인성 인히비터 단백질(endogenous inhibitor protein)인 α1-프로테아제 저해제(α1-protease inhibitor), α2-마크로글로불린(α2-microglobulin), 분비성 백혈구 프로테아제 저해제 등에 의해서 그의 작용이 저해되면서 생체의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염증부에서의 엘라스타제의 과잉방출이나 저해제 농도의 저하에 의해 엘라스타제와 내인성 인히비터의 발란스가 손상되면 엘라스타제 작용의 제어가 유지될 수 없고 결과, 신체에 있는 결합 조직의 노화뿐만 아니라 동맥 경화증, 기종(氣腫), 관절염 및 당뇨병과 같은 질환을 야기한다.
엘라스타제 관련 질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급성호흡장애증후군(ARDS), 류마티즘 관절염,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폐기종, 및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과 낭종성 섬유증과 같이 기도 분비 증가 및 비정상 상태에 의해서 특징 지워지는 기도 염증성 질병을 포함하여 기타 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의 원인과 관련되어 왔다. 또한, 혈관 질병의 원인과 관련이 있고, 예를 들면 심근 허혈과 관련된 재관류 손상 뿐만 아니라; 급성 비-림프계 백혈병과 관련된 출혈을 포함하거나 관계가 있는 호중구 연관 상태(및 이들의 치료)에도 관여하고 있으며; 재구조 혈관 수술, 혈전 용해 및 혈관 성형술과 같은 손상된 재관류 상태 뿐만 아니라; 협심증 및 골굴절과 같은 관상 동맥 질병; 일시적인 허혈 침습 및 발작과 같은 뇌혈관 허혈; 간헐성 파행 및 위험한 사지 허혈과 같은 말초 폐쇄성 혈관 질병; 정맥 고혈압, 정맥류성 정맥 및 정맥 궤양과 같은 정맥 부전과 연관된 상태에 관여하고 있다(Eur J Pharmacol., 461(1), pp49-52, 2003; Circulation, 102(19 Suppl 3):III, pp289-295, 2000; FASEB J., 14(5), pp805-814, 2000; Circ Res., 84(10), pp1223-1233, 1999; Cardiovasc Surg., 4(4), pp515-519, 1996; Eur Respir J., 13(1), pp190-6, 1999; Atherosclerosis., 131(1), pp73-78, 1997; Circulation., 107(22), pp2829-2836, 2003; J Vasc Interv Radiol., 12(10), pp1203, 2001; Nat Med., 6(6), pp698-702, 2000; J Trauma., 35(1), pp1101, 1993).
벼(Oryza sativa L.)는 일년생 초본으로, 벼의 종류는 많으나 미입(米粒)의 점성에 따라 벼, 밭벼, 찰벼 등의 종류로 구별된다. 벼에는 약75%의 전분, 8% 전후의 회백질, 0.5~1%의 지방이 함유되어 있다. 이외에 소량의 비타민 B류를 함유하는데 비타민의 함량은 벼의 종류와 재배지에 따라서 다르다. 지방부분에는 에스테르 형 콜레스테롤과 유리 콜레스테롤, 브라시카스테롤(brassica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시토스테롤(sitosterol),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 디클리세라이드(diglyceride),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인지질, 유리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다. 이의 약리효과로는 보중익기(補中益氣), 제번갈(除煩渴), 지사리(止瀉痢)의 효능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벼 추출물이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NO 생성을 억제하여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 개선 효과 또는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어떠한 개시나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벼 추출물의 항염증 및 혈액순환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엘라스타제에 대한 활성억제 여부 및 NO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본 결과, 벼 추출물의 탁월한 효능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은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고지혈증, 심근경색, 혈전증, 허혈증, 정맥부전, 협심증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염증 및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위염, 대장염, 관절염, 신장염, 간염, 천식, 알러지, 기관지염 등이 포함된다.
상기 벼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탄소수가 1내지 4인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70% 에탄올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벼는 주안벼(Oryza sativa cv. Juanbyeo), 일품벼(Oryza sativa cv. Ilpumbyeo), 적진주(Oryza sativa cv. Jugjinjubyeo), 흑진주(Oryza sativa cv. Heugjinjubyeo), 동진벼 1호(Oryza sativa cv. Dongjinjubyeo-1ho)를 포함하는 재배벼(Oryza sativa)와 야생벼인 오리자 콜리나(Oryza collina), 오리자 알타(Oryza alta), 오리자 오스트라리엔시스(Oryza australiensis), 오리자 미누타(Oryza minuta), 오리자 오피시날리스(Oryza officinalis), 오리자 브라치안타(Oryza brachyantha) 및 오리자 브라티(Oryza brathii)를 포함하는 벼 속(Oryza)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벼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벼, 바람직하게는 주안벼, 일품벼, 적진주, 흑진주, 동진벼 1호, 및 야생벼들을 적절히 세절하고 세척하여 건조한 벼 건조중량의 약 1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5배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3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또는 물, 70%의 에탄올에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의 추출 온도에서 약 0.5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3회 반복하여 수득한 후, 감압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다음, 추출된 잔사를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벼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벼 추출물은 전초, 현미, 왕겨, 잎, 볏짚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벼는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벼 추출물의 혈액순환개선제 및 항염증제로서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벼 추출물이 엘라스타제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여 본 결과, 벼 추출물의 농도의존적으로 엘라스타제가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NO 생성이 본 발명의 벼 추출물에 의해 저해되는 지를 실험하여 본 결과 벼 추출물의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함으로서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벼의 물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벼는 분양 받아 깨끗한 물로 수세한 후 10일간 그늘에서 자연 건조하여 추출용 시료를 사용하였다.
건조 후 작은 조각으로 만든 각각의 벼 10 g을 200 ㎖의 물 또는 70% 에탄올에 넣고 80℃에서 7시간 동안 1회 추출한 후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감압 여과한 다음, 각각의 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표 1참조)
번호 학명 한글명 추출방법 수득량(g)
1 Oryza sativa cv. Juanbyeo 주안벼 1.82
70%에탄올 1.32
2 Oryza sativa cv. llpumbyeo 일품벼 1.91
70%에탄올 1.42
3 Oryza sativa cv. Jugjinjubyeo 적진주 1.78
70%에탄올 1.35
4 Oryza sativa cv. Heugjinjubyoe 흑진주 2.12
70%에탄올 1.52
5 Oryza sativa cv. Dongjinbyeo-1ho 동진벼 1호 1.98
70%에탄올 1.42
6 Oryza collina 야생벼 2.15
70%에탄올 1.67
7 Oryza alta 2.1
70%에탄올 1.38
8 Oryza australiensis 2.29
70%에탄올 1.64
9 Oryza minuta 2.17
70%에탄올 1.67
10 Oryza officinalis 2.1
70%에탄올 1.61
11 Oryza brachyantha 1.87
70%에탄올 1.43
12 Oryza barthii 1.84
70%에탄올 1.41
실험예 1. 벼 추출물의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각각의 벼 추출물들이 혈관 탄력성과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타제(elastase)에 대한 활성 억제능을 알아보기 위해 벼 추출물을 각각 200 ㎍/㎖, 600 ㎍/㎖의 농도로 96 웰 평판에 50 ㎕씩 첨가한 후, 엘라스타제(Molecula probes)를 0.15 U/㎖로 96 웰에 첨가하고, 엘라스틴(elastin)을 50 ㎍/㎖로 첨가한 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리더(reader)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하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흑진주 70% 에탄올 추출물을 600㎍/㎖를 투여하였 때 62.6%의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나타태어 가장 탁월한 효과를 보였으며, 야생벼 중에서는 오리자 오스트라리엔시스의 70% 에탄올 추출물이 62.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야생벼들 중에서는 가장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벼 물추출물 200㎍/㎖ 및 600㎍/㎖를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평균 20.12% 및 44.40%, 벼 70%에탄올 추출물 200㎍/㎖ 및 600㎍/㎖를 투여하였을 경우에는 평균 24.02% 및 50.21%의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저해하여 벼 물추출물 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이 그 효과가 더 탁월하며 이는 농도 의존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명 한글명 추출방법 효소저해활성(%)
200 ug/ml 600 ug/ml
Oryza sativa cv. Juanbyeo 주안벼 11.2 42.1
70%에탄올 15.4 57
Oryza sativa cv. llpumbyeo 일품벼 13.3 47.5
70%에탄올 12.4 49.3
Oryza sativa cv. Jugjinjubyeo 적진주 14.8 47.9
70%에탄올 14.3 52.3
Oryza sativa cv. Heugjinjubyoe 흑진주 28.4 41.5
70%에탄올 39.8 62.6
Oryza sativa cv. Dongjinbyeo-1ho 동진벼 1호 22.4 48.2
70%에탄올 36.9 59.2
Oryza collina 야생벼 8.8 23.5
70%에탄올 10.4 27
Oryza alta 21 39.4
70%에탄올 23.1 42.5
Oryza australiensis 22.8 56.4
70%에탄올 25.4 62.1
Oryza minuta 21.1 28.6
70%에탄올 19.8 23.9
Oryza officinalis 22.6 54.1
70%에탄올 27 58.2
Oryza brachyantha 27.3 42.1
70%에탄올 29.4 38.1
Oryza barthii 32 59.5
70%에탄올 34.9 58.7
실험예 2. 벼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벼 추출물들이 NO 생성을 저해하는지 실험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주를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1×106세포/㎖가 되도록 96웰 플레이트에 200㎕씩 분주하여 3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새로운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교환하여 1㎍/㎖농도의 LPS와 시료군을 각각 3웰씩 처리하였다. 이를 37℃, 5% CO2 배양기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세포배양 상등액 100㎕를 취하고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0.1% N-(1-naphtyl)ethylenediamine. 2HCl, 1% sulfanilamide in 5% conc. H3PO4 in H2O) 100㎕씩을 가하여 1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이를 엘리사 리더(ELISA reader, Power wave-XS, Bio-Tek, USA)를 사용하여 5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하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진벼 1호의 70% 100에탄올 추출물 100㎍/㎖을 투여하였을 때 95%의 NO 생성 저해률을 보여 가장 탁월한 효과를 나태내고, 야생벼 중에서는 오리자 알타 70% 에탄올 추출물 100㎍/㎖을 투여시에 90%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벼 물추출물 50㎍/㎖ 및 100㎍/㎖을 투여하였을 때 평균 29.33% 및 53.75%의 NO 생성 저해율을 보이며, 벼 70% 에탄올 추출물 50㎍/㎖ 및 100㎍/㎖을 투여하였을 때 평균 32.92% 및 63.08%의 NO 생성 저해율을 보여 벼 물추출물 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에 훨씬 탁월한 NO 생성 저해율을 보임을 알 수 있고, 또한 벼 추출물의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명 한글명 추출방법 NO 형성저해활성(%)
50 ㎍/㎖ 100 ㎍/㎖
Oryza sativa cv. Juanbyeo 주안벼 44 88
70% 에탄올 40 80
Oryza sativa cv. llpumbyeo 일품벼 18 35
70% 에탄올 20 44
Oryza sativa cv. Jugjinjubyeo 적진주 31 72
70% 에탄올 34 83
Oryza sativa cv. Heugjinjubyoe 흑진주 31 38
70% 에탄올 28 35
Oryza sativa cv. Dongjinbyeo-1ho 동진벼 1호 35 76
70% 에탄올 49 95
Oryza collina 야생벼 32 42
70% 에탄올 36 68
Oryza alta 37 76
70% 에탄올 42 90
Oryza australiensis 15 41
70% 에탄올 25 57
Oryza minuta 20 28
70% 에탄올 26 34
Oryza officinalis 31 43
70% 에탄올 33 42
Oryza brachyantha 26 48
70% 에탄올 31 65
Oryza barthii 32 58
70% 에탄올 31 64
실험예 3. 독성 실험
본원에서 제조된 추출물들의 독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25± 5g의 ICR계 마우스(중앙실험동물)와 235± 10g의 특정병원부재(SPF) 스프라그-도올리(Sprague Dawley, 중앙실험동물) 래트를 각각 3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추출물을 각각 20mg/㎏, 10mg/㎏, 1m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3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고,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주안벼 추출물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일품벼 추출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적진주 추출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흑진주 추출물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동진벼 1호 추출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벼 추출물은 혈관탄력성과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서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개선 효과가 있으며, 또한 NO 생성을 저해함으로서 항염증 활성을 가지므로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의약품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보호 및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벼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가 1내지 4인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벼는 주안벼(Oryza sativa cv. Juanbyeo), 일품벼(Oryza sativa cv. Ilpumbyeo), 적진주(Oryza sativa cv. Jugjinjubyeo), 흑진주(Oryza sativa cv. Heugjinjubyeo), 동진벼 1호(Oryza sativa cv. Dongjinjubyeo-1ho)를 포함하는 재배벼(Oryza sativa)와 야생벼인 오리자 콜리나(Oryza collina), 오리자 알타(Oryza alta), 오리자 오스트라리엔시스(Oryza australiensis), 오리자 미누타(Oryza minuta), 오리자 오피시날리스(Oryza officinalis), 오리자 브라치안타(Oryza brachyantha) 및 오리자 브라티(Oryza brathii)를 포함하는 벼 속(Oryz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KR1020040104176A 2004-12-10 2004-12-10 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071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176A KR100717996B1 (ko) 2004-12-10 2004-12-10 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176A KR100717996B1 (ko) 2004-12-10 2004-12-10 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770A KR20060065770A (ko) 2006-06-14
KR100717996B1 true KR100717996B1 (ko) 2007-05-14

Family

ID=3716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176A KR100717996B1 (ko) 2004-12-10 2004-12-10 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44B1 (ko) * 2008-09-19 2010-03-15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왕겨탄 미세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47643B1 (ko) * 2008-09-19 2010-03-15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왕겨초 증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11302B1 (ko) * 2010-12-17 2014-07-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벼 지상부 추출물, 벼 지상부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리그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83373B1 (ko) * 2011-12-29 2014-04-14 대한민국 벼 지상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리그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박테리아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WO2013162126A1 (en) * 2012-04-24 2013-10-31 Dasan M&F, Inc.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the intestine comprising glutinous rice water-extrac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9658A (ja) * 1993-11-26 1995-06-13 Soken Kk 米からの高血圧予防治療剤
JPH0892113A (ja) * 1994-09-26 1996-04-09 Soken Kk 米からの抗炎症剤
JP2003009810A (ja) * 2001-06-29 2003-01-14 Fancl Corp 高脂血及び高血圧予防又は治療用食品
JP2004091461A (ja) * 2002-09-02 2004-03-25 Oriza Yuka Kk エラスターゼ阻害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9658A (ja) * 1993-11-26 1995-06-13 Soken Kk 米からの高血圧予防治療剤
JPH0892113A (ja) * 1994-09-26 1996-04-09 Soken Kk 米からの抗炎症剤
JP2003009810A (ja) * 2001-06-29 2003-01-14 Fancl Corp 高脂血及び高血圧予防又は治療用食品
JP2004091461A (ja) * 2002-09-02 2004-03-25 Oriza Yuka Kk エラスターゼ阻害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 J. Nitr. 90(1), 13-20 (2003)
J. Agric. Food Chem. 51(18), 5271-7 (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770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440B2 (ja) リグナン系化合物の炎症性疾患の治療又は予防のための使用
Van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 of Inonotus obliquus, Polygala senega L., and Viburnum trilobum in a cell screening assay
AU2004235702B2 (en) Composition comprising bamboo extract and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showing treating and preventing activity for inflammatory and blood circulation disease
KR101182582B1 (ko) 활성성분이 증대된 금은화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202913B1 (ko) 식물 추출물 및 그의 치료 용도
KR100964906B1 (ko) 리카린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약학적 조성물
KR20100080164A (ko)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8729B1 (ko) 유데스만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17996B1 (ko) 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NZ554762A (en) Method of treating inflammation disorders using extracts of passion fruit
KR101624640B1 (ko) 진세노사이드 f5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WO2006090206A1 (en) Improved extracts of psidium guajava l., methods for its obtaining and use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KR101881653B1 (ko) 혈행 개선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 개선 조성물
KR102076176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금은화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91165B1 (ko) 무 뿌리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82962B1 (ko) 백혈병 치료용 조성물 및 몰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80007088A (ko) 울다비오시드 a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3980952B2 (ja) 植物抽出エキスを含有する腸溶性の脂肪吸収抑制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
JP2006028128A (ja) 血栓症改善剤
KR20120060053A (ko) 프로폴리스와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함유 소염 진통제 조성물
KR102291073B1 (ko) 범꼬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및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1454336B1 (ko) 관절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052067B1 (ko) 산채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352148B1 (ko) 베타-시토스테롤을 포함하는 혈관형성 촉진 및 관절염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