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547B1 -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547B1
KR100716547B1 KR1020050128577A KR20050128577A KR100716547B1 KR 100716547 B1 KR100716547 B1 KR 100716547B1 KR 1020050128577 A KR1020050128577 A KR 1020050128577A KR 20050128577 A KR20050128577 A KR 20050128577A KR 100716547 B1 KR100716547 B1 KR 100716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vertical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direct electrop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이 개시된다. 일단부가 이동바와 결합되는 도금용 지그를 구비한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홀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돌기와 나사 결합하여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유동을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와,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바와,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중 일측의 수직 프레임과 타측 수직프레임에 대응되는 고정바에 결합되는 통전 부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은 인쇄회로기판 전체를 균일하게 도금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다.
도금용 지그, 수직 프레임, 고정바, 수평 프레임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FIXING FRAME OF PCB}
도 1은 동도금이 일어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프레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 부재가 부착된 고정바의 저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지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지그와 이동바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금용 지그 2a, 2b: 수직 프레임
4a, 4b: 통전 부재 5a, 5b: 결합 돌기
6: 가이드 홀 7a: 가이드 돌기
8a, 8b: 고정바 11: 연결부
본 발명은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은 전자 부품들을 배치하여 하나의 보드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절연보드의 양면 또는 일면에 동선으로 배선한 후 절연재로 코팅한 것을 칭하는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배선회로 면의 수에 따라 단면기판, 양면기판, 다층기판 등으로 분류되며 층수가 많을수록 부품의 실장력이 우수하고, 고정밀 제품에 사용된다.
인쇄회로기판 중 특히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의 경우는 30μm 정도의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필름에 동박을 접착한 기판이다. 이러한 플렉시블 기판은 카메라의 내부 회로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층 기판을 구성하거나 일반 기판을 조합하여 고정밀 전자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플렉시블 기판 뿐 아니라 일반 인쇄회로기판도 그 두께가 얇아 지는 추세이다.
한편, 인쇄회로기판 공정 중에는 도금공정이 있다. 도금공정은 드릴로 가공된 홀을 구리로 도금하는 동도금 공정과 형성된 회로 표면을 금이나 은으로 도금하 는 표면처리 공정이 있다.
상기 공정 중 동도금 공정은 화학동도금과 전기동도금으로 크게 나뉜다. 도 1은 동도금이 일어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전기동도금은 화학동도금 후 가능하게 된다. 전기동도금은 외부에서 직류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극에서 금속이온이 전자를 얻어 금속으로 석출되고 (+)극에서는 금속이 전자를 빼앗겨 금속이온으로 녹아 나게 된다. 여기서 금속이온은 구리이온이 되는 것이다.
(+)극은 산화반응이 일어나는 곳으로 티타늄 바스켓에 동볼(Copper Ball)을 담아서 사용하는 경우와 근래에는 티타늄 메쉬에 산화이리듐막을 도포하여 물 전기분해반응 또는 타금속의 산화반응으로 대체하는 두가지 경우가 사용되기도 한다. 전자를 전해 양극(Soluble Anode)라 부르며, 후자를 비전해 양극(Insoluble Anode)라 부른다. 전해 양극(Soluble Anode)는 인이 함유된 동(銅)볼을 사용하여, 표면에 검정필름(Black Film)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고른 전류공급 및 동이온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검정필름은 동볼에 부착되어서는 긍정적 효과를 부여하나 떨어져 나와서는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기 힘들다.
(-)극에서는 구리가 석출되는데, 이때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고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인쇄회로기판에 도금을 하기 위해서는 기판의 테두리에 구멍을 뚫고 나사를 사용하여 치구와 연결하는 방식이었으나, 인쇄회로기판이 박판일 경우 도금액 속에서 기판을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공기교반을 하는 도중 도금액의 저항으로 얇은 기판이 찢어지는 문 제점이 있었다. 또한 박판은 쉽게 휘고 찌그러지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프레임에 탈착시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프레임에 팽팽하게 고정시키기가 힘들어 균일한 두께의 도금막을 얻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전체를 균일하게 도금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의 분리가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부가 이동바와 결합되는 도금용 지그를 구비한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홀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돌기와 나사 결합하여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유동을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와,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바와,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중 일측의 수직 프레임과 타측 수직프레임에 대응되는 고정바에 결합되는 통전 부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이 제공된다.
고정바와 수직 프레임의 결합은 일측에 형성된 결합 돌기와 타측에 형성된 결합 홀과 결합 돌기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고정바 와 수직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의 표면은 절연재로 코팅되되, 이동바와 도금용 지그의 접촉부분, 통전 부재, 결합 돌기와 결합 홀이 접촉하는 부분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분은 인쇄회로기판에 도금을 위한 전류가 통전되는 부분이다.
절연재는 테프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프론은 코팅재료로서 인쇄회로기판을 압착하는 효과도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의 평면도이며, 도 3은 가이드 돌기 및 결합 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4는 통전 부재가 부착된 고정바의 저면도이다.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금용 지그(1), 수직 프레임(2a, 2b), 수평 프레임(3), 통전 부재(4a, 4b), 결합 돌기(5a, 5b), 결합 홀(12a, 12b), 가이드 홀(6), 가이드 돌기(7a), 결합 부재(7b), 고정바(8a, 8b), 연결부(11)가 도시되어 있 다.
도 2의 수직 프레임(2a, 2b)과 수평 프레임(3)은 통전이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며, 수평 프레임(3)과 수직 프레임(2a, 2b)이 결합되는 부분의 일측은 유동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수평 프레임(3)과 수직 프레임(2a, 2b)은 제조시 일체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1)는 수평 프레임(3)의 가이드 홀(6)과 수직 프레임(2b)의 가이드 돌기(7a)로 구성되어있다. 수직 프레임(2b)과 수평 프레임(3)이 결합 후 유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러나 수직 프레임과(2b)과 수평 프레임(3)은 가이드 돌기(7a)와 결합 부재(7b)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7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 부재(7b)에도 이와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수직 프레임(2a, 2b)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 돌기(5a, 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고정바(8a, 8b)에는 결합 홀(12a, 12b)이 형성되어 있어 짝을 이루며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결합 돌기(5a, 5b)와 결합 홀(12a, 12b)은 삽구이음을 위한 구조로서 형성 위치는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결합 돌기(5a, 5b)는 고정 부재(13a, 13b)와 나사 결합을 한다. 결합 방식은 상기 가이드 돌기(7a)와 결합 부재(7b)와 동일한 방식이다. 이는 수직 프레임(2a, 2b)과 고정바(8a, 8b)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일한 목적이라면 클립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가 결합하는 수직 프레임(2a)의 측면에는 통전 부재(4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프레임(2a)에 대응되는 다른 수직 프레임(2b)에는 통전 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고,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대응되는 고정바(8b)의 저면에 통전 부재(4b)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전 부재(4a, 4b)를 부착하는 이유는 인쇄회로기판 양면을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함이다. 즉 통전 부재(4a, 4b)를 부착한 면은 인쇄회로기판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인쇄회로기판 전체를 통전시키기 위하여 통전 부재(4a, 4b)를 엊갈리게 배치하였다.
상기 통전 부재(4a, 4b)는 금속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지그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금용 지그와 이동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과 도 6을 참조하면, 도금용 지그(1), 접촉부(41), 수직 프레임(2a), 이동바(31)가 도시되어 있다.
도금용 지그(1)는 수직 프레임(2a)의 상단에 쌍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도금용 지그(1)는 탄성력 있는 금속판을 여러 번 절곡한 형태로 접촉부(41)에서 이동바(31)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이동바(31)는 전류가 흐르는 부분으로 접촉부(41)를 통하여 수직 프레임(2a)으로 통전시킨다. 접촉부(41)는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바(31)와의 결합력을 유지한다. 접촉부(41)의 탄성력은 절곡에 의하여 발생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수직 프레임(2a, 2b)의 말단을 절곡하여, 한 번에 도금용 지그(1)를 만드는 것이다. 절곡의 형태는 접촉부(41)를 형성함으로써 이동바(31)와 결 합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도금용 지그(1)의 형태는 이동바(31)와 안정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금용 지그(1), 수직 프레임(2a,2b), 결합 돌기(5a,5b), 가이드 홀(6), 가이드 돌기(7a), 결합 부재(7b), 고정바(8a, 8b), 고정 부재(13a, 13b), 인쇄회로기판(4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인쇄회로기판(40)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기술하면, 먼저 인쇄회로기판(40)의 가장자리를 수직 프레임(2a, 2b)위에 올려둔 상태에서 수직 프레임(2a, 2b)에 대응되는 고정바(8a, 8b)를 결합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고정바(8a,8b)의 결합 홀(12a, 12b)과 수직 프레임(2b)의 결합 돌기(5a, 5b)를 대응시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바(8a, 8b)와 수직 프레임 (2a, 2b) 사이에 개재된 인쇄회로기판(4a)을 고정하가 위하여 고정 부재(13a, 13b)를 사용한다.
이후 유동이 가능한 수직 프레임(2b)를 최대한 외부로 당겨 인쇄회로기판(40)이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한다.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수평 프레임(3)에도 결합 부재(7b)를 사용하여 조인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의 구성요소 중에서 전류를 통전시 키기 위한 최소한의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절연재로 피복한다. 이를 도 2, 도 5 ,도6 및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
절연재로 피복하는 이유는 금속성의 구성요소에 구리가 도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피복되지 않는 부분을 살펴보면, 도금용 지그의 접촉부(41), 통전 부재(4a, 4b), 결합 돌기(5a, 5b)와 결합 홀(12a, 12b)의 접촉부분이다.
상기 절연재로는 테프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프론은 인쇄회로기판(40)과 결합시 밀착력을 높여주는 역할도 동시에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프레임과 고정바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고 팽팽히 잡아 당김으로써 인쇄회로기판 전체를 균일하게 도금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의 분리가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고정 프레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일단부가 이동바와 결합되는 도금용 지그를 구비한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과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홀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에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유동을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바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중 일측의 수직 프레임과 타측 수직프레임에 대응되는 고정바에 결합되는 통전 부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결합은 상기 고정바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 돌기와 타측에 형성된 결합 홀과 상기 결합돌기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는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의 표면은 절연재로 코팅되되, 상기 이동바와 도금용 지그의 접촉부분, 상기 통전 부재,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 홀의 접촉부분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는 테프론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KR1020050128577A 2005-12-23 2005-12-23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KR100716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577A KR100716547B1 (ko) 2005-12-23 2005-12-23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577A KR100716547B1 (ko) 2005-12-23 2005-12-23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547B1 true KR100716547B1 (ko) 2007-05-09

Family

ID=3827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577A KR100716547B1 (ko) 2005-12-23 2005-12-23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5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277B1 (ko) * 2010-12-14 2011-05-31 주식회사 티케이씨 반도체회로 패턴이 형성된 극박형 기판을 위한 비접촉식 도금장치
KR20210123591A (ko) * 2020-04-03 2021-10-14 (주)포인텍 양산형 고품질 도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620A (ko) * 2004-03-02 2005-09-07 주식회사 티케이씨 도금장치의 초박판형 기판 행거 랙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620A (ko) * 2004-03-02 2005-09-07 주식회사 티케이씨 도금장치의 초박판형 기판 행거 랙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277B1 (ko) * 2010-12-14 2011-05-31 주식회사 티케이씨 반도체회로 패턴이 형성된 극박형 기판을 위한 비접촉식 도금장치
KR20210123591A (ko) * 2020-04-03 2021-10-14 (주)포인텍 양산형 고품질 도금 장치
KR102410794B1 (ko) 2020-04-03 2022-06-20 (주)포인텍 양산형 고품질 도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78774A (ja) 両面配線基板の製造方法、両面配線基板、およびそのベース基板
US20080171138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Printed Wiring Board
WO2008050448A1 (fr) Structure de connexion électrique
US7285727B2 (en) Flexible wiring boards for double-side connection
KR100716547B1 (ko) 인쇄회로기판의 고정 프레임
JP3442403B2 (ja) 電気絶縁性支持体上に金属導体路パターンを形成させる方法
JP2001234397A (ja) 電気メッキ用冶具
JP2015517213A (ja) 印刷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02895A (ja) 板金配線の実装構造
JP2006100301A (ja) 配線回路基板装置および接続構造
JPS63114299A (ja) プリント配線板
JP4549807B2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電子装置
JP4443649B2 (ja) 電気めっきパターン
KR200406388Y1 (ko) 도금용 랙 어셈블리
KR100525558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연성회로기판
JPH0412702Y2 (ko)
JP3348092B2 (ja) 無電解めっき用治具
JP2008294150A (ja) 配線板
JP5061805B2 (ja) Cof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882857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板
KR20050106966A (ko) 연성회로기판 제작 방법
JPH10233563A (ja) 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72048B1 (ko) 전해도금용 캐소드 콘택트 롤 및 이를 이용한연성회로기판의 동도금방법
JP2008294143A (ja) 部品内蔵多層配線板
CN114286535A (zh) 一种具有电金的分层式刚挠结合板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