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314B1 -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314B1
KR100715314B1 KR1020050122410A KR20050122410A KR100715314B1 KR 100715314 B1 KR100715314 B1 KR 100715314B1 KR 1020050122410 A KR1020050122410 A KR 1020050122410A KR 20050122410 A KR20050122410 A KR 20050122410A KR 100715314 B1 KR100715314 B1 KR 10071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se code
key
input
shortcu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2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5/00Apparatus or local circuit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ot-and-dash codes, e.g. Morse code
    • H04L15/04Apparatus or circuits at the transmitting end
    • H04L15/06Apparatus or circuits at the transmitting end with a restricted number of keys, e.g. separate key for each type of cod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제어방법에 있어서, 특히 모스부호를 단축키로 사용하여 키패드 상에 표시된 숫자 키 또는 특수키들의 사용상 한계를 벗어나며 다양한 형태의 기능과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 입력에 대해 모스부호 처리를 위한 선택모드를 설정을 하는 과정과, 키 입력으로부터 일정 갯수의 도트(Dot)(·)와 데시(Dash)(―)로 구성된 모스부호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기능과 명령어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모스부호에 대한 단축키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트(Dot)(·)와 데시(Dash)(―)의 모스부호의 입력이 있으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정해지지 어느 하나의 키만으로도 짧게 또는 길게 눌려 모스부호를 발생 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숫자 키 외에 더 많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함과 확장성이 높아진다.
모스부호, 키 확장성, 단축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 of Shortening Key Using Morse Code in Mobile Phone }
도 1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외형도이고, (다)는 (가)에 의한 무선 헤드셋의 외형도
도 2는 도 (가),(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모스부호 사용을 위한 설정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모스부호의 입력에 따른 기능 수행 흐름도
도 5는 도 3의 모스부호발생을 위한 구체적인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단축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키 사용을 위한 키패드 상에 표시된 숫자 키(0~9)나 특수키(#, *)의 한계를 벗어나 모스부호(Morse Code)를 사용한 단축키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기능과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축 기능이란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로 다이얼링을 하나의 길게 눌려지는 키에 의해 수행하는 단축키와 둘째로 복잡한 여러 키입력 단계를 거쳐야 수행되었던 기능을 하나의 키의 입력으로부터 수행시켜 단순화시키는 단축 기능이 있다. 상기 단축 다이얼 기능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단축 다이얼로 등록하여 두고, 상기 단축 다이얼 기능을 사용할 경우 어느 하나의 숫자 버튼을 길게 누르면 표시 창을 통해 표시되며, 그 번호를 확인하고 전송(SEND)키를 누름으로 자동 다이얼 기능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축번호를 또 기억을 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단축 다이얼을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이 공개특허 제1999-4049호에 개시하고 있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는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어떤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시 여러 단계의 해당 다른 버튼을 눌려야 이용 할수 있다. 즉, 하나의 버튼입력으로 부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은 없으며, 국내 공개 특허 10-2005-0014081호의 개시와 같이 특정 버튼을 정하여 두고, 정해진 버튼의 입력된 횟수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1999-4049호의 음성에 의한 단축 키 기능은 소리를 인식하는 것으로 주변 환경등에 영향을 많이 받아 인식률이 떨어져 실용단계에서 한계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05-0014081호에 의한 특정키를 지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소정의 키를 미리 지정하여 두고, 이를 꼭 기억을 해야 사용이 가능하므로 지정된 키의 암기에 주의를 요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근래에 출시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부가 기능이 더욱 늘어나 이 기능의 활용을 위한 키의 역할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확장성과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어느 하 나의 버튼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은 더욱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정된 입력 버튼으로부터 모스부호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기능을 선택할시 모스부호를 이용하되, 지정된 키를 사용하지 않는 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일반인 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인도 편리하게 단축키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선택에 있어 보편 간단하면서 나만의 버튼을 만들어 다양한 기능과 빠른 실행이 가능한 단축키 실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트(Dot)(·)와 데시(Dash)(―)의 모스부호의 입력을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설정과정과, 상기 설정된 모드로부터 모스부호를 발생하는 설정용 모스부호입력과정과, 상기 입력된 모스부호를 사용하여 단축키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과정과, 상기 모스부호에 의한 단축키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 또는 롱 키에 의한 설정으로부터 모스부호 입력을 하는 실행용 모스부호입력단계와, 상기 실행용 모스부호입력단계에서 입력한 값이 설정용 모스부호의 입력 값과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일치되는 모스부호가 있을시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정 또는 실행용 모스 입력단계에서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에 의해 설정하는 단계와, 지정되지 않은 여러 키 중 하나를 길게 눌려서(Long key) 설정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은 설정단계에서 단축을 위한 설정용 또는 실행용 모스부호 입력단계에서 모스부호 사용 선택 키 또는 롱 키에 의한 모스부호 입력 모드 인지를 결정이 된다. 상기 결정이 된 후 어느 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짧게 또는 길게 눌려 기능 설정용으로 도트(Dot)(·)와 데시(Dash)(―)의 모스부호가 발생 된다. 상기 모스부호의 도트(Dot)(·)와 데시(Dash)(―)를 입력함에 있어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의 어느 정해진 키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키를 사용하여도 된다. 따라서 도트(Dot)(·)와 데시(Dash)(―)의 모스부호가 입력되면, 모스부호를 사용하여 단축키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 설정을 한다. 상기 모스부호에 의한 단축키 기능 설정과정에 있어 모스부호와 중복된 기능설정이 되어 있으면 재입력으로 하게 된다. 상기 모스부호에 의한 단축키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모스부호가 입력 되기 전 모스부호로 사용 선택키 또는 롱 키에 의한 설정이 있게 된다. 설정이 된 후 단축키 실행용 모스부호의 입력이 있으면 기 설정된 모스부호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있으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도트(Dot)(·)와 데시(Dash)(―)의 모스부호는 단점(dot)과 장점(dash : 단점 3배의 길이)과의 조합으로 문자나 기호를 나타내는 전신부호(electric telegraphy)이다. 모스부호는 1832년 미국의 Samuel F. B. Morse에 의해 전신용으로 발명되었고, 현재에도 선박 등에서 간이 무선전신용이나 잠수함의 케이블 시스템 등에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무선 헤드셋의 외형도로서,
(가)는 이동통신단말기 중 블루투스 폰에 해당하는 것이며, (다)는 (가)와의 연결되는 무선 헤드셋의 외형도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의 키입력부(227)(도 2에 도시)의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101) 또는 무선 헤드셋의 모스부호로 단축키의 이용을 위해 사용 선택키(111)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다. (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외형도로서, 키 입력부(227)(도 2에 도시)에서 어떤 키(110)의 입력이 있더라도 일정시간 길게 눌려진 단축키를 위한 롱 키의 입력이 있으면 모스부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기능이 선택된다. (가),(다)에서도 필요시 설정에 따라 (나)의 경우와 같이 롱키에 의해서도 단축용 모스부호를 발생 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블록도로서,
도 2의 구성 중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설명에서 생략을 한다. 키입력부(227)는 단축을 위한 모스부호의 입력을 위한 모드설정과 키를 길게 또는 짧게 눌려 도트(Dot)(·)와 데시(Dash)(――)의 모스부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210)는 키입력부(227)로 부터 단축을 위한 모스부호의 설정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도 6의 테이블과 같이 메모리(230)에 기능에 따라 저장을 하도록 제어를 하고, 키입력으로 부터 단축용 모스부호의 입력이 있으면 도 6의 테이블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모스부호가 있으면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를 한다. 즉, 메모리(230)는 제어부(210)에서 처리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단축용 모스부호에 따라 기능설정을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229)는 제어부(210)와 연결되어 도 1(다)의 무선 헤드셋(231)과의 무선으로 통화 및 제어를 하고, 단축용 모스부호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구성되어 있으며, 모스부호를 처리하기 위한 설정이 되어 있고 무선 헤드셋(231)의 모스 선택키(111)의 입력에 따라 단축용 모스부호를 받으면 제어부(210)는 키입력부(227)의 모스부호의 입력에 따라 수행했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해당 기능이 실행된다.
우선, 모스 부호를 단축키로 사용하여 이용하고자 함은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230) 또는 제어부(210)의 소정의 저장 영역에 도 6의 예와 같이 기능별로 모스부호의 설정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키입력부(227)로부터 모스부호에 대한 키입력이 있으면 해당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모스부호에 대한 도 6의 도시와 같은 단축키의 설정은 도 3의 흐름도에 따라 실시된다. 도 3의 (301)과정에서 키입력부(227)를 통해 키입력을 확인한다. 여기서의 키입력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도 1(가)의 단축용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101) 또는 헤드 셋에서 도 1(다)의 단축용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111)의 입력을 확인하게 된다. 즉, 도 1(가)의 단축용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101)의 입력이 키입 력부(227)에서 있거나 또는 무선 헤드셋(231)에서 있으면 제어부(210)는 (303)과정에서 확인을 한다. (303)과정에서 단축용 모스부호 사용에 대한 선택키의 입력이 아니면 (313)과정에서 (301)과정에서 입력한 키가 일정 시간 길게 눌려져 모스부호 사용을 위한 모드를 인식하게 되는 롱(Long)키 인가를 확인한다. (303)과정에서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일 경우 (305)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키 또는 어떤 키를 사용하더라도 도트(Dot)(·)와 데시(Dash)(―)의 모스부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101)의 입력이 있고 키입력부(227)의 키패드의 어떤 키를 사용하여 짧게 눌려 도트(Dot)(·)를 생성하고, 길게 눌려 데시(Dash)(―)를 발생하여 모스부호를 입력한다. 도 3의 (305)과정의 모스부호의 구체적인 입력방법은 도 5의 개시와 같이 이루어진다.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축 기능의 실시를 위해 도트(Dot)(·)와 데시(Dash)(―)로 구성된 모스부호는 도 6의 개시와 같이 갯수가 한개 또는 그이상이 사용 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단축키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한개 또는 그이상의 도트(Dot)(·)와 데시(Dash)(―)를 사용하여 단축 실시용 모스부호를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5의 (501)과정에서 초기설정을 한다. 입력받은 도트(Dot)(·)와 데시(Dash)(―)의 수를 n라 정할 때 초기 값은 "1"이고, 모스부호로 설정하기 위한 도트(Dot)(·)와 데시(Dash)(―)의 전체 수를 K라 정한다. 키가 (503)과정의 눌려진 키프레스(Key Press)와 (505)과정의 키 릴리즈(Key Relase)시간을 (507)과정에서 체크하여 일정시간(t)(예를 들어; 1sec)의 범위의 이내에 있으면 (509)과정에서 도트(Dot)(·)로 정하여 입력하고, 일정시간(t)(예를 들어;1sec)의 범위를 벗어나면 (511)과정에서 데시(Dash)(―)로 정하여 입력한다. (512)과정에서 (509),(511)과정에서 입력한 도트(Dot)(·)와 데시(Dash)(―)를 카운트한다. 상기 카운트 한 도트(Dot)(·)와 데시(Dash)(――)의 개수가 지정한 숫자(K;정수)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다시 도트(Dot)(·) 또는 데시(Dash)(――)를 (503)에서 (511)과정을 거쳐 입력한다. 상기 다시 입력한 모스부호는 (512)과정에서 카운트하여 지정한 개수(k)에 도달하면 (517)과정에서 입력된 도트(Dot)(·)와 데시(Dash)(―)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하나의 모스부호로 저장한다. 도 6의 개시와 같이 모스부호의 전체 도트(Dot)(·)와 데시(Dash)(―)의 개수가 2, 3, 4, 5. . ..에 따라 저장한 개수(K)의 값만 변경시키면 되므로 더욱 다양한 단축키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도트(Dot)(·)와 데시(Dash)(―)의 입력은 도 6의 예와 같이 키를 짧게 두 번 눌리고, 길게 한번 눌려"·,·,―"를 발생하면 숫자 "0" 에 해당하는 것이며, 키를 짧게 한 번 눌리고, 길게 두번 눌려"·,―,―"를 발생하면 숫자 "1"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기 도 5의 예와 같은 입력 방법으로 모스부호가 발생되면 (307)과정에서 단축기능에 대해 설정을 한다. 또 한 예로 도 6의 예와 같이 키를 짧게 한번 눌리고, 길게 한번 눌리고, 또 한번 짧게 눌려"·,―,"·를 발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 기능 중 MP3 재생모드에 해당하는 것이며, 키를 짧게 세번 눌려"·,·,·"를 발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 기능 중 카메라 촬영모드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모스부호발생시켜 (307)과정에서 단축기능을 위한 설정을 한다. (309)과정은 (307)과정의 설정으로부터 중복된 설정항목이 있는 가를 확인한다. 중복되어 설정되는 모스부호의 입력이 있으면 (311)과정에서 재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309)과정에서 중복되어 설정되는 모스부호의 입력이 없으면 (321)과정에서 추가로 더 이상의 입력이 없는가를 확인하고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1의 (나)와 같이 키입력부(227)의 키패드의 지정되지 않은 어떤 키를 사용하더라도 할 수 있는 것으로 처음 데시(――)처럼 롱키로 길게 눌려 모스부호 사용에 대한 설정과 실행을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의 (가),(다)의 예와 같이 단축용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100,111)에 의한 입력이 아니고, 처음 롱 타임으로 길게 눌려 모스부호를 입력하여 단축을 위한 설정을 하거나 설정된 모스부호에 따라 단축을 실행 할 경우가 된다. 따라서 도 1의 (나)의 예와 같이 키패드를 통해 정해지지 않은 어느 하나의 키가 길게 눌려 지는 롱(―)키의 입력이 있고 (303)과정에서 선택키의 사용이 아니면 (313)과정에서 롱(―)키의 입력만 확인이 된다. 이의 키가 모스부호 사용에 대한 롱 키인지를 확인을 하여 아니면 모스부호가 아닌 다른 기능을 처리한다. 그러나 처음 입력된 롱(―)키가 모스부호입력으로 부터 설정을 위한 모드에 해당하는 것이면 (319)과정에서 도 6의 예와 같이 롱(―)키 모드에서 모스부호설정을 위한 입력을 받게 된다.(319)과정의 입력도 도 5에 의한 같은 방법으로 단축용 모스부호를 발생하고 (307)과정에서 입력된 모스부호별로 도 6의 예와 같이 단축키의 해당 기능을 설정한다. (309),(321)과정을 거치면서 중복되거나 더 이상의 모스부호에 대한 단축키의 설정이 없는 지를 확인하여 없으면 설정을 완료한다. 따라서 도 6의 예와 같은 테이블이 도 3과 도 5의 처리과정을 거치면서 키입력부(227)의 키 입력에 따라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239) 또는 제어부(210)에 모스부호로 이용 할 단축키의 설정이 완 료된다.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6의 예와 같은 단축키를 위한 모스부호가 설정이 완료되어 있고, 모스부호에 의한 단축 키의 사용을 위해 도 1의 (가),(다)의 예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 키입력부(227)의 선택키(100) 또는 헤드셋의 선택키(111)를 통해 (401)과정에서 단축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를 제어부(210)는 (403)과정에서 확인을 한다. 또다른 모드는 (401)과정에서 모스 사용을 위한 선택키의 입력이 아니고 도 1의 (나)의 예와 같이 키패드에서 지정되지 않은 어느 키(110)라도 길게 눌려지는 입력이 있을시 롱키에 의한 모스부호에 의한 단축키인지를 (405)과정에서 확인을 한다. (405)과정에서 입력된 롱키가 모스부호 사용을 위한 키 인지를 (415)과정에서 확인을 하여 아니면 (419)과정에서 모스부호가 아닌 다른 단축기능 또는 타 기능 처리를 하게 된다.그러나 (403) 또는 (415)과정에서 단축을 위한 모스부호를 위한 사용모드이면 (407)과정에서 계속되는 키입력부(227)의 키 입력으로 부터 단축 기능 실시를 위한 도트(Dot)(·)와 데시(Dash)(―)의 모스부호를 받아들인다. 도 6의 테이블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하게 일치되는 단축기능을 위한 모스부호가 있는지를 (409)과정에서 확인한다. 상기 (409)과정에서 일치되는 단축 기능 실시용 모스부호가 있으면 (411)과정에서 해당 기능을 실시하고, 없으면 (413)과정에서 에러를 메세징하며 다시 다른 모스부호를 입력한다.
도 1의 (다)의 무선 헤드셋의 단축용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111)에 의한 단축모스부호의 제어부(210)의 제어도 도 2의 무선송수신부(229)는 무선 헤드셋(231)과의 송수신 신호에 위한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키입력부(227)에서 단축기능을 위한 키의 수에서 한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키(100,111)의 선택모드에 따라 길고, 짧은 모스부호 신호음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의 명령을 수행하게 되며, 특히 하나의 버튼으로부터 입력이 가능하므로 확장성을 높이고 편리하며, 시각장애인도 정해지지 않은 하나의 키만 사용하면 되므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정된 입력 버튼으로부터 모스부호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단축키 기능을 선택할시 모스부호를 이용하되, 지정된 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일반인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인도 편리하게 단축키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보편하고 간단하면서 나만의 버튼을 만들어 다양한 기능과 빠른 실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한번의 키 조작과 상기 키의 조작시간을 이용한 모스부호로 구성된 단축키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단축키에 대응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입력된 키 조작과 조작시간으로 구성된 모스부호와 동일한 모스부호가 설정되어 있으면, 설정된 상기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조작시간은,
    설정된 조작시간 이하인 도트(·)와 설정된 조작시간 이상인 데시(―)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모스부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부호의 입력은 특정 키를 반복하여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부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스부호를 구성하는 키 조작 횟수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키 조작 횟수가 설정된 상기 키 조작 횟수와 동일하면, 상기 입력된 키 조작 횟수 및 조작된 상기 키의 조작 시간으로 구성된 모스부호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모스부호의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 제어방법.
  6.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 키 설정에 있어서,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 또는 롱 키를 사용하여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과정에서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 또는 롱 키의 입력에 따라 모스부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한 모스부호에 단축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기능 설정시 중복설정 되어 있는 모스부호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복 설정되어 있는 모스부호가 없으면 추가로 설정될 모스부호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스부호의 발생은,
    키 프레스와 키 릴리즈 사이의 시간간격(t)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키 프레스와 키 릴리즈 사이의 시간간격(t)에 따라 도트(·)와 데시(―)를 구분하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도트(·)와 데시(―)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하나의 모스부호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 제어방법.
  8.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 키 실행에 있어서,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 또는 롱 키를 사용하여 입력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모드 확인과정에서 모스부호 사용 선택키 또는 롱 키의 입력에 따라 모스부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모스부호와 단축기능을 위해 설정된 모스부호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모스부호 일치 여부 확인과정에서 일치되는 모스부호가 있을 시 해당 단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 제어방법.
KR1020050122410A 2005-12-13 2005-12-13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제어방법 KR10071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410A KR100715314B1 (ko) 2005-12-13 2005-12-13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410A KR100715314B1 (ko) 2005-12-13 2005-12-13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314B1 true KR100715314B1 (ko) 2007-05-08

Family

ID=3826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410A KR100715314B1 (ko) 2005-12-13 2005-12-13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3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5965A1 (ko) * 2011-09-07 2013-03-14 Chun Dukkyu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매크로 실행방법
KR20180097809A (ko) * 2017-02-23 2018-09-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용 이동식 장치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N108683809A (zh) * 2018-05-09 2018-10-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屏幕锁定方法、装置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766A (ko) * 2001-09-07 2003-03-1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40051855A (ko) * 2002-12-13 2004-06-1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KR20040079198A (ko) * 2003-03-06 2004-09-14 주식회사 리얼텍컴 수신측 통신단말에 발신자의 화상 식별정보를 표시하는방법 및 시스템
US20040198471A1 (en) 2002-04-25 2004-10-07 Douglas Deeds Terminal output gen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nemonic co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766A (ko) * 2001-09-07 2003-03-1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US20040198471A1 (en) 2002-04-25 2004-10-07 Douglas Deeds Terminal output gen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nemonic code
KR20040051855A (ko) * 2002-12-13 2004-06-1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KR20040079198A (ko) * 2003-03-06 2004-09-14 주식회사 리얼텍컴 수신측 통신단말에 발신자의 화상 식별정보를 표시하는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5965A1 (ko) * 2011-09-07 2013-03-14 Chun Dukkyu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매크로 실행방법
KR20180097809A (ko) * 2017-02-23 2018-09-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용 이동식 장치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1975335B1 (ko) * 2017-02-23 2019-05-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용 이동식 장치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N108683809A (zh) * 2018-05-09 2018-10-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屏幕锁定方法、装置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145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電子機器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電子機器の動作方法
US20030114202A1 (en) Hands-free telephone system for a vehicle
CN101116356B (zh) 用于通过远程单元来控制通信装置的功能的方法和设备
WO2011137870A2 (zh) 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系统和移动终端
CN101272418A (zh) 一种远程控制通信终端的方法和通信终端
US20070009123A1 (en) Remote control unit for a hearing aid
US8566592B2 (en) Authenticating method for short-distance radio devices and a short-distance radio device
CN101082889A (zh) 一种通过手机控制电脑的方法
KR100715314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모스부호를 이용한 단축키제어방법
JP2005286827A (ja) ハンズフリー装置
JP2003205730A (ja) 車両補助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514289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機能拡張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
KR101580316B1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KR20020051696A (ko) 외장형 키보드 단말기의 매크로 설정 방법
KR20090044651A (ko) 카 오디오 기기에서의 차량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US66220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numbers
KR1006642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방법
KR100677468B1 (ko) 블루투스 헤드셋의 다이얼링 방법 및 장치
JP5018246B2 (ja) 無線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92753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240058B1 (ko) 특수서비스 메뉴 실행 기능을 갖는 전화단말기 및 그 실행 방법
KR101149116B1 (ko)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JP3021463U (ja) 無線通信機
KR101005686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원격제어방법
KR19980086073A (ko) 무선 전화기 기능의 티브이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