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116B1 -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116B1
KR101149116B1 KR1020050095546A KR20050095546A KR101149116B1 KR 101149116 B1 KR101149116 B1 KR 101149116B1 KR 1020050095546 A KR1020050095546 A KR 1020050095546A KR 20050095546 A KR20050095546 A KR 20050095546A KR 101149116 B1 KR101149116 B1 KR 10114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peed dial
key
keys
numb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156A (ko
Inventor
채희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11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을 위해 키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숫자키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일 경우에는 기 저장된 단축 다이얼 번호들 중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에 따른 번호들에 해당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단축 다이얼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키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들 중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에 따른 번호들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입력된 숫자키의 개수가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번호들의 개수 이하일 경우에도 해당 입력된 숫자키들의 번호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단축 다이얼 번호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단축 다이얼 번호, 전화번호 정보

Description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화번호 정보가 검색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동작 과정 중 검색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는 과정의 상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동작 과정 중, 소정의 키에 의한 단축 다이얼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의 상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소정의 키에 의한 단축 다이얼 번호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가 검색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
본 발명은 단축 다이얼 기능을 가진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신 단말기라 함은, 일반적인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그리고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Phone)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뿐 아니라 일반적인 유선 전화기등과 같이 전화통화가 가능한 모든 유무선 통신 기기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등장하는 통신 단말기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둘 수 있는 전화번호부 기능 및 단축 다이얼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단축 다이얼 기능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특정 번호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후에 사용자가가 상기 특정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특정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또한 이 뿐만 아니라 현재 등장하는 통신 단말기들은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의 일부만 입력된다고 할지라도, 상기 일부 입력된 번호들을 포함하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전화번호 검색 기능도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전화번호 검색 기능의 경우, 사용자가 처음 입력하는 번호부터 수행된다면, 상기 통신 단말기가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양이 과도하게 많아지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번호 '0'으로 시작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한다면 통신 단말기는 '0'으로 시작하는 전화번호가 모두 검색된다. 따라서 상기 전화번호 검색 번호의 경우 일정 개수(현재 일반적으로 4개) 이상의 번호들이 입력된 후에야 상기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일정 개수 이하의 번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축 다이얼 기능의 경우, 비록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들 모두를 암기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을 암기하고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단축 다이얼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찾기 위해서 상기 전화번호부를 통해 검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상기 단축 다이얼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일정 개수 이하의 번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도 특정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의 개수가 일정 개수 이하일 때, 현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번호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단축 다이얼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는 전화번호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전화번호 정보들 중 단축 다이얼 기능이 적용된 전화번호 정보들과 각각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들이 저장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 저장부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입력된 키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입력된 키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키들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가 있는지를 체크하는 키 입력 체크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까지 입력된 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지를 체크하는 개수 체크 과정과,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들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을 위해 키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숫자키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일 경우에는 기 저장된 단축 다이얼 번호들 중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숫자키에 따른 번호들에 해당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단축 다이얼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 정보에 따라 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키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들 중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숫자키에 따른 번호들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전화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 정보에 따라 통화를 연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부(102), 키 입력부(104), 표시부(106), 베이스밴드 처리부(108), 코덱(CODEC: Coder-Decoder)(112)이 제어부(1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104)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106)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 성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키(이하 숫자키라고 가정한다)가 입력되면, 현재 입력된 숫자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이하인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따른 번호를 포함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할 것인지,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만약 현재 입력된 숫자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기 저장된 단축 다이얼 번호들 중에서 현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들을 포함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는 만약 현재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들 중 가장 첫 번째 번호가 단축 다이얼 번호로 사용되지 않는 번호일 경우라면, 상기 현재 입려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가 단축 다이얼 번호로 사용되지 않는 것임이 분명하므로 단축 다이얼 번호 검색을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들을 포함하는 단축 다이얼 번호가 검색되었을 경우, 상기 단축 다이얼 정보와, 해당 단축 다이얼 정보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표시부(106)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현재 입력된 숫자키, 즉 마지막으로 입력된 숫자키의 키 입력 시간을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키 입력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현재 출력된 전화번호 번호를 입력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현재 출력된 전화번호 정보에 따라 통화를 연결한다.
한편, 만약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할 경 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들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정보들을, 상술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 정보들을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출력된 전화번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통화키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정보에 따라 통화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102)는, 상기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는 전화번호 정보 저장부(116)와, 상기 전화번호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들 중 단축 다이얼이 설정된 전화번호 정보들과 각각 대응되게 설정된 단축 다이얼 번호들이 저장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 저장부(118)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모리부(1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1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RF부(110)는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는 제어 부(100)와 RF부(1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110)에 인가하며, RF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코덱(112)은 증폭부(114)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114)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11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전원이 온 되면 20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숫자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숫자키를 입력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20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202단계에서 기 설정된 개수라는 것은, 상술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번호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예를 들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번호들의 수가 4 개라고 가정하는 경우, 상기 202단계의 기 설정된 개수는 상기 전화번호 검색 기능과의 충돌을 막기 위해 3개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3자리까지의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1~999번까지의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02단계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가 기 설정된 개수이하인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가 있는지를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 저장부(118)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만약 현재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들 중 가장 첫 번째 번호가 단축 다이얼로 사용되지 않는 번호일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현재 입력된 숫자키의 개수가 비록 기 설정된 개수 이하라고 할지라도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가 단축 다이얼 번호가 아님을 인식하고 더 이상 단축 다이얼 번호 검색을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부(100)의 동작을 하기 도 4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204단계에서 현재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가 검색된 경우, 제어부(100)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206단계에서 현재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가 없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다시 20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보터의 숫자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2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숫자키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220단계로 진행하여 종료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고, 만약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다시 200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206단계에서 상기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가 있는 것으로 체크되면, 제어부(100)는 208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단축 다이얼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전화번호 정보 저장부(116)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전화번호 정보를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206단계에서 만약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 번호의 탐색을 위해 기 설정된 소정의 키, 즉 예를 들어 방향키등을 입력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소정의 키 입력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변경한다. 그리고 해당 소정의 키 입력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가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 저장부(118)에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소정의 키 입력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와, 그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어부(100)가 상기 소정의 키 입력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고, 그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하기 5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208단계에서 현재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와 그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가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어부(100)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입력된, 즉, 마지막으로 입력된 숫자키의 키 입력 시간을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현재 입력된 숫자키의 키 입력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일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선택된 전화번호 정보에 따라 통화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현재 입력된 키의 키 입력 시간을 체크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 번호를 이용한 통화와 직접 입력된 전화번호 정 보를 이용한 통화와 구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의 마지막 번호에 대응하는 숫자키를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었는가 아니면 통화키가 입력되었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즉, 마지막 번호에 대응하는 숫자키를 일정 시간 이상 입력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입력된 숫자키를 단축 다이얼 번호로 인식하고, 통화키가 입력되는 경우 현재 입력된 숫자키를 일반 전화번호 정보로 인식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이 물론이다.
그러나 만약 상기 210단계의 키 입력 시간 체크 결과, 상기 현재 입력된 키의 키 입력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일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다시 200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200단계에서 사용자가 또다시 숫자키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되는 숫자키의 개수는 증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202단계에서 상기 증가된 숫자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기 전까지 상기 200단계에서 210단계에 이르는 과정은 반복된다.
한편 상기 202단계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숫자키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에 대응되는 번호들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216단계로 진행하여 검색된 전화번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검색된 전화번호가 없을 경우 다시 200단계로 진행한다. 즉, 만약 검색된 전화번호가 없을 경우에는 현재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들만을 상기 표시부(106)에 출력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216단계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에 대응되는 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정보가 있을 경우, 제어부(100)는 218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전화번호 정보들이 있음을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22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전화번호 정보들 중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22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통화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222단계에서 사용자가 통화키를 입력하는 경우 21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선택된 전화번호 정보에 따라 통화를 연결한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화번호 정보가 검색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202단계의 기 설정된 개수는 3개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도 3의 (a)는 1개의 숫자키 만이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의 (b)는 2개의 숫자키가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c)는 3개의 숫자키가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의 (c)는 4개의 숫자키가 입력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의 (a), (b), (c)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의 숫자키가 입력될 경우, 현재까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숫자키 번호들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여 표시한다. 그러나 만약 사용자가 키를 입력함에 따라 숫자키의 개수가 점차로 증가하고, 마침내 입력된 숫자키의 개수가 상기 202단계의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 번호들을 더 이상 단축 다이얼 정보라고 인식하지 않고, 전화번호 정보중 일부라고 인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의 숫자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번호들을 단축 다이얼 번호로서 인식하고,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숫자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번호들을 전화번호 정보로 인식하여 검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전화번호 검색 기능 뿐 아니라 단축 다이얼 번호들의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동작 과정 중 검색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는 과정의 상세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상기 202단계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일 경우 400단계로 진행하여, 단축 다이얼 번호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기 설정된 번호를 체크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는 1번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기 설정된 번호는 예를 들어'0'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4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들 중 첫 번째 번호가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기 설정된 번호인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402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들 중 첫 번째 번호가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기 설정된 번호가 아니라면 제어부(100)는 4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까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숫자키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한다. 그리고 도 2의 206단계로 진행하여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402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들 중 첫 번째 번호가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기 설정된 번호인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지 않고 다시 202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기 설정된 번호가 '0'이라고 가정할 경우, 사용자가 만약 '0'번 숫자키를 가장 처음에 입력하였다면, 상기 제어부(100)는 현재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는, 만약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들 중 첫 번째 번호가, 단축 다이얼 번호에 사용되지 않는 번호일 경우라면, 현재 입력된 숫자키들이 단축 다이얼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인식하고, 더 이상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도 2의 설명에서, 상기 제어부(100)가 전화번호 정보 탐색을 위해 기 설정된 소정의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소정의 키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을 상술한 바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술한 동작을 하기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동작 과정 중,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소정의 키에 따라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정의 키에 의한 단축 다이얼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도 2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들에 따른 번호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가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50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도 6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현재까지 입력된 단축 다이얼 번호와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5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화번호 정보 탐색을 위해 기 설정된 소정의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키는 상기 현재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하나씩 증가시키거나 또는 하나씩 감소시키기 위한 키이다. 즉,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키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현재 입력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키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현재 입력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증가 또는 감소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고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도 6의 (b)와 (c)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 6의 (b)는 상기 도 6의 (a)의 상태에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증가시키도록 기 설정된 키를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소정의 키 입력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을 보이고 있다. 즉, 도 6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에 따라 현재 입력된 단축 다이얼 번호가 15번이라고 할 때, 제어부(100)는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한 소정의 키가 입력한다면,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결과인 단축 다이얼 번호 16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여 도 6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감소시키도록 기 설정된 키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소정의 키 입력에 따라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른 결과인 단축 다이얼 번호 14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여 도 6의 (c)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현재 입력된 단축 다이얼 번호가 틀렸을 경우, 상기 현재 입력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면서 원하는 상대방의 단축 다이얼 번호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기 위한 소정의 키들은, #키, *키 또는 좌우 방향을 가리키는 방향키들 또는 상하 방향을 가리키는 방향키들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정의 키 들중 어느 하나는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증가시키는 키이고, 어느 하나는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감소시키기 위한 키이다.
그리고 이 502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 (100)는 도 2의 21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의 키 입력 시간을 체크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502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된 소정의 키에 값이 증가되거나 감소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5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504단계에서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506단계에서 상기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가 없을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다시 5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506단계의 체크 결과 상기 소정의 키 입력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가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5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소정의 키 입력에 따라 값이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소정의 키 입력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인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소정의 키 입력 시간이 일정 시간인지를 체크하는 이유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단축 다이얼 번호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를 연결할 것인지를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현재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긴급 전화와의 충돌을 막기 위한 것이다. 즉, 예를 들어 현재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가 '114'인 경우, 일반적인 교환 전화 번호인 '114'와 같기 때문에 통화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통화를 연결할 수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키를 이용하여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변경한 경우, 사용자는 이미 단축 다이얼 번호의 키 입력을 종료한 상태이기 때문에 단축 다이얼 번호의 마지막 번호의 키 입력을 일정 시간 이상 하는 것으로도 통화를 연결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현재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긴급 전화와의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된 시간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소정의 키로 인해 단축 다이얼 번호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에 다른 전화번호 정보로 통화를 하기위한 특정 키를 설정하고, 상기 특정 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510단계는 상기한 방법들 중에서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된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510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된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일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도 6의 (c)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도 2의 21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선택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로 통화를 연결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소정의 키 입력 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일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다시 5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소정의 키들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502단계에서 508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입력된 숫자키의 개수가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번호들의 개수 이하일 경우에도 해당 입력된 숫자키들의 번호 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 뿐만 아니라 상기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를 중심으로 사용자 원하는 전화번호 정보의 단축 다이얼 번호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입력된 숫자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일 경우, 마지막으로 입력된 키의 키 입력 시간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개수 이하로 입력된 숫자키들의 번호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보였으나,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 통화 방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키의 입력에 의해 변경된 값에 따른 단축 다이얼 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소정의 키 입력 시간을 체크하는 것을 보였으나, 이 역시 상기 소정의 키 입력시에 선택된 전화번호 정보로 통화를 하기 위한 또 다른 통화키를 구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을 위해 키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숫자키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일 경우에는 기 저장된 단축 다이얼 번호들 중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에 따른 번호들에 해당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단축 다이얼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키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들 중에서 현재까지 입력된 숫자키에 따른 번호들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입력된 숫자키의 개수가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번호들의 개수 이하일 경우에도 해당 입력된 숫자키들의 번호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단축 다이얼 번호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5)

  1. 단축 다이얼 기능 및 전화번호 검색 기능이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는 전화번호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전화번호 정보들 중 단축 다이얼 기능이 적용된 전화번호 정보들과 각각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들이 저장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 저장부를 포함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입력된 키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입력된 키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키들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상기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번호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키들이 상기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들 중 가장 처음에 입력된 키가 상기 단축 다이얼 기능에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기 설정된 번호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된 키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키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가 검색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변경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소정의 키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소정의 키에 따라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들은,
    상기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키와 상기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들은,
    '*'키와 '#'키, 또는 좌 방향키와 우 방향키 또는 하 방향키와 상 방향키임 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키들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소정의 키 입력 시간을 체크하고, 체크된 키 입력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소정의 키 입력에 따라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8. 단축 다이얼 기능 및 전화번호 검색 기능이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가 있는지를 체크하는 키 입력 체크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까지 입력된 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지를 체크하는 개수 체크 과정과,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고,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들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키들 중 처음 입력된 키가 상기 단축 다이얼 기능에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기 설정된 번호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키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키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현재까지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키들에 대응되는 단축 다이얼 번호를 검색하는 단축 다이얼 번호 검색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변경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소정의 키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소정의 키 입력 체크 단계와,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소정의 키에 따라 상기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변경하는 단축 다이얼 번호값 변경 단계와,
    상기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된 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소정의 키가 입력된 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통화 연결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들은,
    상기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키와 상기 검색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 설정된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들은,
    '*'키와 '#'키, 또는 좌 방향키와 우 방향키 또는 하 방향키와 상 방향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키 입력에 따라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단축 다이얼 번호의 값에 따른 전화번호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통화 연결키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 정보로 통화를 연결하는 통화 연결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상기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번호들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 정보 검색 방법.
KR1020050095546A 2005-10-11 2005-10-11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14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546A KR101149116B1 (ko) 2005-10-11 2005-10-11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546A KR101149116B1 (ko) 2005-10-11 2005-10-11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156A KR20070040156A (ko) 2007-04-16
KR101149116B1 true KR101149116B1 (ko) 2012-05-25

Family

ID=3817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546A KR101149116B1 (ko) 2005-10-11 2005-10-11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952B1 (ko) * 2016-02-02 2024-03-25 안범주 전화 번호 패턴에 기초한 통화 기록 분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87A (ko) * 1997-02-26 1998-10-26 구자홍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검색방법
KR19980078301A (ko) * 1997-04-28 1998-11-16 윤종용 통신단말장치의 단축 다이얼방법
KR19990031009A (ko) * 1997-10-08 1999-05-06 윤종용 전화기에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KR20020086979A (ko) * 2001-05-12 200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억세스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87A (ko) * 1997-02-26 1998-10-26 구자홍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검색방법
KR19980078301A (ko) * 1997-04-28 1998-11-16 윤종용 통신단말장치의 단축 다이얼방법
KR19990031009A (ko) * 1997-10-08 1999-05-06 윤종용 전화기에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KR20020086979A (ko) * 2001-05-12 200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억세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156A (ko)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331354A (ja) 通信端末機のダイヤル方法
KR1007133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번호를 이용한 콜 발신 방법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51533B1 (ko)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49116B1 (ko)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07249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폰 북 데이터 저장 방법
KR100353716B1 (ko)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TW57842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numbers
KR100677468B1 (ko) 블루투스 헤드셋의 다이얼링 방법 및 장치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654916B1 (ko) 전화 번호 검색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058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선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247041B1 (ko) 전화번호의 특정 자릿수 탐색에 의한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1003934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을 통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6919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KR2007003475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200400267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101085731B1 (ko) 원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를 액세스 할 수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134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20010058798A (ko) 폰북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전화번호 등록 및 검색방법
KR101099482B1 (ko) 기록 매체에 연속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0600753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위한 방법
KR2005010004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9990060315A (ko) 전화번호 음성 입력에 의한 음성다이얼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