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302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302A
KR20060075302A KR1020040114074A KR20040114074A KR20060075302A KR 20060075302 A KR20060075302 A KR 20060075302A KR 1020040114074 A KR1020040114074 A KR 1020040114074A KR 20040114074 A KR20040114074 A KR 20040114074A KR 20060075302 A KR20060075302 A KR 2006007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ser
key
shortcut key
additional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5302A/ko
Publication of KR2006007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특정 단축키와 통화키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것인지, 아니면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경우 입력된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전화번호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추가로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 완료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전화번호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번호가 추가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일한 번호 배열이 있는 전화번호들의 경우에, 사용자가 일일이 모든 번호를 각기 다른 단축키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단축키를 이용하여 쉽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단축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INPUTTING ADDITIONAL NUMBER IN A HOT KEY OF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입력된 단축키에 추가 번호를 입력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고 있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 번호가 입력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키의 입력에 관한 것이다.
현재 등장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다수 저장할 수 있는 전화번호 저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를 별다른 수첩이나 메모지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얼마든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 기술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전화번호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들 중에서 원하는 전화번호 정보를 찾기 어려워지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로 쉽게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그 중 한 가지 방법이 바로 단축키를 이용한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단축키라는 것은 키보드에서 명령을 입력할 필요가 있을 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간단히 호출하는 키를 말하는 것으로, 핫 키(hot-key)라고도 한다. 이러한 단축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선 특정 전화번호를 호출하는 기능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어떤 단축키를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그 단축키에 대응되는 특정 전화번호가 호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서 일일이 찾는 수고 또는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하나하나 입력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단축키 전화번호 입력 방식은, 단축키에 의해 특정 전화번호가 호출될 경우 호출된 전화번호로 바로 통화가 요청된다. 따라서 단축키 사용 시에 할당된 그 번호만 사용 가능하므로 구내전화와 같이 동일한 번호 배열이 있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각각의 모든 번호들을 다른 단축키로 입력하여야 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모든 번호에 따른 단축키에 대해 인식하고 있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번호 배열이 있는 전화번호들의 경우에, 사용자가 일일이 모든 번호를 각기 다른 단축키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단축키를 이용하여 쉽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가 단축키를 입력하였는지를 체크하는 단축키 입력 체크 단계와, 상기 단축키 입력 체크 결과 상기 사용자가 단축키를 입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것인지, 상기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번호로 통화를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번호 입력 판단 단계와, 상기 추가번호 입력 체크 결과 상기 사용자가 추가번호 입력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번호를 상기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번호에 추가하는 추가번호 입력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하는 추가번호 입력 완료 검출 단계와, 상기 추가번호 입력 완료가 검출된 경우, 상기 호출된 번호에 상기 추가번호 입력 단계에서 추가된 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는 통화 요청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단축키와 통화키를 입력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것인지, 아니면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추가로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 완료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전화번호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번호가 추가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도록 한다.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부(102), 키 입력부(104), 표시부(106), 베이스밴드 처리부(108), 코덱(CODEC: Coder-Decoder)(112)이 제어부(1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104)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106)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4)의 특정 키를 입력하고 통화키를 입력한 경우, 상기 키가 단축키인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만약 단축키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따른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할 것인지, 아 니면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설정된 전화번호로 통화 요청, 또는 추가 번호 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뉴창 디스플레이 대신에 특정 키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상기 단축키를 입력하고, 지정된 특정 키를 입력할 경우 추가적인 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특정 키 대신에 통화키가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단축키에 따른 전화번호로 통화가 요청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추가 번호 입력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완료키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에 따른 번호를 상기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전화번호에 추가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완료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전화번호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번호가 추가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1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이 메모리부(102)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부와,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단축키가 저장 된 단축키 저장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1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RF(110)는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는 제어부(100)와 RF(1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110)에 인가하며, RF(1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코덱(112)은 증폭부(114)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114)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11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번호에 추가 번호를 입력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에 의해 단축키가 입력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20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따른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할 것인지 또는 다른 번호를 더 추가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단축키 확장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2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설정된 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는 214단계 또는 입력된 단축키에 설정된 번호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는 204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200단계와 202단계는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중 상술한 바와 같이 추가 번호 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를 든 것이다. 따라서 이 200단계와 202단계는 상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확인하는 대신에,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상기 특정 키가 입력되었는지, 아니면 통화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만약 사용자가 특정 키를 입력하였다면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204단계로 진행하고, 만약 사용자가 통화키를 입력하였다면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설정된 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는 214단계로 진행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200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메뉴 중에서 만약 사용자가 ' 1. 진행 '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축키에 설정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200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메뉴 중에서 만약 사용자가 ' 2. 번호 추가 '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설정된 특정 전화번호를 호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추가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206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추가 번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2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6단계에서 입력된 번호를 상기 204단계에서 입력된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번호에 추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입력 완료키라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04)에 구비된 키 들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상기 통화키가 이 입력 완료키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210단계에서 만약 입력 완료키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는 다시 상기 2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추가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206단계에서 210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반복하고 다시 2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210단계에서 입력 완료키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키에 따른 번호가 추가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우에 사용자는 특정 전화번호의 일부분만을 단축키로 저장하여두고, 나머지 부분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함으로써 동일한 번호를 가지는 다수의 전화번호들을 일일이 단축키로 저장하여 두지 않고서도,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쉽게 통화를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만약 구내전화가 ' 031-7777 ' 로 시작하는 경우, 상기 ' 0317777 ' 이라는 번호를 단축키로 미리 설정하여 둔 후, 상기 번호에 해당하는 단 축키를 입력하고, 나머지 전화번호를 추가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구내전화를 사용하는 특정 상대방에게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 번호가 입력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3의 (a)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키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9번 키를 입력하고 통화키를 입력한다면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단축키를 이용한 통화를 시도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한 도 2의 20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의해 호출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할 것인지 아니면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의 (b)는 이러한 메뉴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만약 상기 도 3의 (b)에서 만약 사용자가 ' 아니오 '를 선택한다면 제어부(100)는 도 2의 2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입력된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도 3의 (b)에서 만약 사용자가 ' 예 '를 선택한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도 2의 204단계에서 212단계의 과정으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번호를 상기 도 3의 (a)에서 입력된 특정 단축키에 의해 호출되는 번호에 추가한다. 도 3의 (c)는 이러한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으로서, 입력된 단축키 ' 9 '에 사용자로부터 추가적으로 입력된 번호 ' 0012 ' 가 입력된 예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도 3의 (c)에서는 단축키 ' 9 ' 에 설정된 번호인 ' 0317777 '에 추가적으로 입력된 번호 ' 0012 '가 추가된 전화번호인 ' 031-7777-0012 '가 입력된 전 화번호가 최종적으로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의 일부, 즉 동일한 국번 또는 동일한 번호를 단축키로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축키에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일한 번호를 매번 입력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구내전화 또는 해외 전화 시에 동일한 번호를 매번 입력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미국 보스턴 지역에 전화를 해야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만약 사용자가 미국 보스턴 지역의 지역번호인 ' 1-617 '을 단축키로 설정하여 놓았다면, 사용자는 상기 ' 1-617 ' 이 설정된 단축키를 입력하고, 그 이후의 번호를 추가함으로써 동일한 전화번호들을 매번 다시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 번호가 기 설정되어 있는 단축키를 1회 입력하고 추가 번호 입력을 선택하여 다른 번호를 추가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러한 단축키를 2회이상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한 미국 보스턴 지역에 특정 구내전화를 사용하는 상대방에게 전화하기를 원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미국 보스턴 지역의 지역번호인 ' 1-617 '을 단축키로 설정하고,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구내전화의 일부 번호를 단축키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미국 보스턴 지역의 지역 번호가 설정된 단축키가 ' 1 ' 번 키라고 가정하고, 상기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구내전화의 일부 번호가 설정된 단축키가 ' 2 ' 번 키라고 가정하 기로 한다면, 사용자는 단축키 ' 1 ' 키를 입력한 후, 다시 단축키 ' 2 ' 를 입력함으로써 상기한 미국 보스턴 지역의 특정 구내전화의 번호 일부를 입력하고, 나머지 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추가적인 번호와 단축키와의 구별을 할 수 있도록, 단축키임을 알리는 키 또는 상기 도 2의 202단계에서 보이고 있는 메뉴에 상기 단축키를 추가할 수 있는 메뉴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의 일부, 즉 동일한 국번 또는 동일한 번호를 단축키로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축키에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일한 번호 배열이 있는 전화번호들의 경우에, 사용자가 일일이 모든 번호를 각기 다른 단축키로 설정하지 않더라도 단축키를 이용하여 쉽게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축키를 입력하였는지를 체크하는 단축키 입력 체크 단계와,
    상기 단축키 입력 체크 결과 상기 사용자가 단축키를 입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것인지, 상기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번호로 통화를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번호 입력 판단 단계와,
    상기 추가번호 입력 체크 결과 상기 사용자가 추가번호 입력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번호를 상기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번호에 추가하는 추가번호 입력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하는 추가번호 입력 완료 검출 단계와,
    상기 추가번호 입력 완료가 검출된 경우, 상기 호출된 번호에 상기 추가번호 입력 단계에서 추가된 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요청하는 통화 요청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번호 입력 판단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된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번호로 통화 요청, 또는 추가적인 번호의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번호 입력 판단 단계는,
    기 설정된 특정 키가 입력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의 입력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번호 입력 완료 검출 단계는,
    기 설정된 특정 키가 입력될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추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번호 입력 판단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할 것인지, 상기 단축키에 의해 호출된 번호로 통화를 요청할 것인지, 또는 상기 사용자가 추가적인 단축키를 입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번호 입력 단계는,
    상기 추가번호 입력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추가적인 단축키 입력을 선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단축키에 따른 번호를, 상기 호출된 번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KR1020040114074A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위한 방법 KR20060075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074A KR20060075302A (ko)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074A KR20060075302A (ko)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위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302A true KR20060075302A (ko) 2006-07-04

Family

ID=3716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074A KR20060075302A (ko) 2004-12-28 2004-12-2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53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62B1 (ko) * 2006-08-01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간편 전화번호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62B1 (ko) * 2006-08-01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간편 전화번호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3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번호를 이용한 콜 발신 방법
US20080020741A1 (en) Speed dial sett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nterfa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609391B1 (ko) 휴대단말기의 통신 수행 방법
KR100651533B1 (ko)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40015353A1 (en) Voice recognition key input wireless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07999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KR200600753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에 추가적인 번호를 입력하기위한 방법
JP2003099180A (ja) キー入力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KR100654916B1 (ko) 전화 번호 검색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149116B1 (ko)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06058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선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527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록 장치 및 방법
KR101085731B1 (ko) 원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를 액세스 할 수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
JP4794474B2 (ja) 携帯電話機
KR10060609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07352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수의 통화기록정보들 및 전화번호정보들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6090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정보 표시 방법
KR100735267B1 (ko) 입력장치의 키배열 방법
KR100712845B1 (ko) 진동감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발신방법
KR100557114B1 (ko) 전화번호 메모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메모방법
KR100506282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편집방법
KR100247041B1 (ko) 전화번호의 특정 자릿수 탐색에 의한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1006440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체키 운용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20020055880A (ko) 이동단말에서의 영숫자 입력방법
KR20060047120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키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