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093B1 -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093B1
KR100714093B1 KR1020050079777A KR20050079777A KR100714093B1 KR 100714093 B1 KR100714093 B1 KR 100714093B1 KR 1020050079777 A KR1020050079777 A KR 1020050079777A KR 20050079777 A KR20050079777 A KR 20050079777A KR 100714093 B1 KR100714093 B1 KR 100714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rate
exercise
user
sound sourc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관
황진상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093B1/ko
Priority to US11/375,037 priority patent/US786714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63B2230/06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heartbeat rate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Ergometer with feedback to load or with feedback comparis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심박수 및 운동속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적합한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서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상기 기준 심박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양 심박수 간 심박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심박수 차이 및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를 기초로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따른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운동 종류, 운동 강도, 또는 운동 시간에 적합한 심박수 및 운동속도에 적합한 음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의 재미 및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심박수, 운동속도, 음원, 운동 회복 계수

Description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MANAGING EXERCISE STATE OF USER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상태 관리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운동속도에 대응하는 음원 저장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측정된 심박수 및 운동속도를 이용하여 운동 상태를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운동 상태 관리 장치 110: 측정부
111: PPG 센서 112: 가속도 센서
120: 음원 재생부 130: 메모리
140: 제어부 150: 알람부
160: 통신부 170: 입력부
18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서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심박수 및 운동속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적합한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파악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현재 운동중인 사용자의 심박수를 체크하여 운동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심박수(Heart Rate)은 심장이 1분간에 박동하는 수를 나타내며, 그 단위로 BPM(Bit Per Minute)가 사용된다. 심박수는 운동을 하거나 정신적인 흥분이나 발열이 있는 경우 그 수치가 증가하고, 휴식을 취하거나 정신적으로 안정 상태 또는 수면 상태에서 그 수치가 감소하는 특성을 가진다.
종래 운동 상태를 파악하여 피드백하는 방법은 대표적인 예로 국내 공개특허 제2005-0024123호가 있다. 종래 피드백 방법은 심박수와 유사한 비트의 리듬에서부터 점차 빠른(느린)비트의 리듬까지 복수개의 음악 파일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심박수에 따라서 소정 비트의 리듬을 갖는 음악 파일을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 피드백 방법은 단순히 사용자의 심박수에만 의존하는 피드백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속도가 고려되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상태에 따라 운동 속도의 보조를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음악 파일 재생 장치 그 대표적인 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04-0027017호가 있다. 종래 음악 파일 재생 장치는 신체의 움직임을 반복적인 진동을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박자를 갖는 오디오 파일을 검색하여 가장 유사한 박자를 갖는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한다. 이와 같이, 종래 음악 파일 재생 장치는 단순히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과 동일한 빠르기의 음악 파일만을 재생해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 속도에 따른 음원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운동속도를 측정하여 그에 적합한 운동 정보를 알려주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심박수 및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운동모드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을 알려주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서 측정된 심박수 및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음원을 재생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설정된 기준 심박수보다 빠른 경우 운동속도를 느리게 하기 위한 음원을 재생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설정된 기준 심박수보다 느린 경우 운동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음원을 재생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서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상기 기준 심박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양 심박수 간 심박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심박수 차이 및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를 기초로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따른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는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심박수 및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 및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상기 기준 심박수를 비교한 결과 양 심박수 간 심박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심박수 차이 및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를 기초로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재생되도록 상기 음원 재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상태 관리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 는 도면으로서, 운동 상태 관리 장치(100)는 측정부(110), 음원 재생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알람부(150), 통신부(160), 입력부(170), 및 디스플레이부(18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측정부(11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속도를 측정한다. 상기 생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상기 생체 신호는 그 대표적인 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측정부(110)는 PPG(Photoplethysmogram) 센서(111) 및 가속도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부착된 PPG 센서(111)를 통해 심박 등과 같은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안정 상태 또는 운동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1분간 심박수를 측정한다. 측정부(110)는 15초간 심박수를 측정한 경우 상기 15초간 측정한 심박수값에 4를 곱하거나 또는 20초간 심박수를 측정한 경우 상기 20초간 측정한 심박수값에 3을 곱하여 1분간 심박수를 계산할 수도 있다. 측정부(110)는 가속도 센서(112)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음원 재생부(120)는 음원을 재생한다. 음원 재생부(120)는 내부 음원 저장 수단에 저장된 음원,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원 또는 통신부(160)를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음원 재생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원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고려한 빠르기에 대응하는 음원을 선택하여 재생한다.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설정된 기준 심박수보다 빠른 경우, 음원 재생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낮출 수 있는 운동속도에 대응하는 빠르기의 음원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상기 설정된 기준 심박수보다 느린 경우, 음원 재생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높일 수 있는 운동속도에 대응하는 빠르기의 음원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음원 재생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빠르기에 따라 자신의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음원 재생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이 예를 들어, 빠른 댄스곡인 경우 자신의 현재 운동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빠른 댄스곡에 맞추어 운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음원 재생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이 예를 들어, 느린 발라드곡인 경우 자신의 현재 운동속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느린 발라드곡에 맞추어 운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음원 재생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 사용자의 운동속도에 적합한 빠르기로 조정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상기 설정된 기준 심박수보다 빠른 경우, 음원 재생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낮추기 위해 음원의 재생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상기 설정된 기준 심박수보다 느린 경우, 음원 재생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높이기 위해 음원의 재생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음원 재생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재생속도에 맞추어 자신의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음원 재생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재생속도가 정상속도보다 빠른 경우 자신의 운동속도를 빠르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빠른 재생속도에 따라 자신의 운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음원 재생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재생속도가 정상속도보다 느린 경우 자신의 운동속도를 느리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느린 재생속도에 따라 자신의 운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메모리(130)는 운동속도에 대응하는 음원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30)는 운동 회복 계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준 심박수를 설정한다. 상기 기준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강도, 운동 종류, 또는 운동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와 상기 설정된 기준 심박수를 비교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심박수의 비교 결과 양 심박수 간 심박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심박수 차이 및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를 기초로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상기 기준 심박수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에 비해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더 빠른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늦추기 위해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보다 낮은 운동속도로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에 비해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더 빠른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가 예를 들어, 분당 100보일 때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느리게 위해 분당 90보로 낮춘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상기 기준 심박수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에 비해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더 느린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보다 빠른 운동속도로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에 비해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더 느린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가 예를 들어, 분당 50보일 때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빠르게 위해 분당 60보로 높인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재생되도록 음원 재생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원 중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원이 재생되도록 음원 재생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음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원에 대한 재생속도를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대응하게 조정하도록 음원 재생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60)를 통해 전송된 음원을 메모리(130)에 저장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60)를 통해 전송되는 음원이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대응하는 재생속도로 재생되도록 음원 재생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가 운동 수행중인 상태에서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 박수가 불규칙적으로 변화거나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급속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심박수 이상을 알리는 알람이 제공되도록 알람부(150)를 제어한다.
알람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 알람, 청각적 알람, 또는 전기적 알람을 제공한다. 알람부(150)는 제어부(140)에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을 판단한 경우, 상기 심박수 이상에 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알람부(150)는 그래픽 등을 통해 문자 메시지, 아이콘 등 다양한 시각적 경고 메시지를 상기 시각적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알람부(150)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을 알리는 경고음 또는 경고 음성 메시지를 상기 청각적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알람부(150)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을 알리기 위한 알람 수단을 전기적으로 온(on)시킴으로써 상기 전기적 알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알람부(150)에서 제공되는 시각적 알람, 청각적 알람, 또는 전기적 알람을 통해 자신의 심박수에 이상이 있음을 파악하고, 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음원 제공 장치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원을 수신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음원의 재생 속도가 조정되도록 음원 재생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7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운동 정보 또는 운동 자가 평가 정보를 입력 받는다. 상기 운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운동 시간, 운동 종류, 또는 운동 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자가 평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운동에 대한 평가로 예를 들어, 매우 힘들다, 힘들다, 편안하다 등과 같이 운동의 난이도에 대한 소정의 평가 점수로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나이 정보를 이용하고, 수학식 1에 따라 최대 심박수를 계산할 수 있다.
최대 심박수 = 220 - 나이
제어부(140)는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나이가 예를 들어, 40인 경우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최대 심박수를 "180"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계산된 최대 심박수를 이용하여 목표 심박수를 산출할 수 있다.
목표 심박수 = 최대 심박수*퍼센트
제어부(140)는 수학식 2와 같이 상기 목표 심박수를 상기 최대 심박수 대비 일정 퍼센트 비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최대 심박수가 "180"이고, 상기 퍼센트가 "60"인 경우 "108"로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된 운동 정보 및 상기 산출된 최대 심박수 및 상기 목표 심박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심박수를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회복 계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목표 심박수에 따른 지속 운동이 종료될 때 측정된 제1 심박수와 상기 지속 운동이 종료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 측정된 제2 심박수를 이용하여 상기 운동 회복 계수를 계산한다. 상기 운동 회복 계수는 상기 제1 심박수와 상기 제2 심박수의 차이로 그 값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회복 계수가 예를 들어 "42"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의 운동 능력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운동 평가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경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운동속도에 대응하는 음원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메모리 또는 음원 재생부의 내부에 음원 저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 또는 상기 음원 저장 수단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운동속도에 대응하는 음원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11)에서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한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부착된 PPG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PPG 센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귓볼에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심박수를 일정 시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PPG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1분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PPG 센서를 통해 15초 또는 20초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한 후 상기 측정된 심박수에 소정의 값을 곱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1분간의 심박수를 계산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15초간의 심박수를 측정한 경우 상기 15초간의 심박수에 4를 곱하여 1분간의 심박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20초간의 심박수를 측정한 경우 상기 20초간의 심박수에 3을 곱하여 1분간의 심박수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312)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안정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운동하기 전에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일정하면,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가 안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안정 상태의 사용자의 심박수가 예를 들어, 7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계(313)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나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나이를 이용하여 최대 심박수를 계산한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가 "40"인 경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인 "180"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가 자신의 최대 심박수를 알고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최대 심박수를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단계(314)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최대 심박수를 이용하여 목표 심박수를 계산한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최대 심박수 대비 일정 퍼센트인지를 나타내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심박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최대 심박수가 예를 들어, "180"이고, 상기 최대 심박수 대비 "60퍼센트"인 경우 상기 목표 심박수를 "108"로 계산할 수 있다.
단계(315)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할 운동에 대한 운동 정보로 상기 운동 강도, 운동 종류, 또는 운동 시간을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운동 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운동 강도는 사용자가 수행할 운동의 세기를 상, 중, 하 또는 이보다 더 세분화된 단계로 나뉘어질 수 있다. 상기 운동 종류는 빨리 걷기, 조깅 등과 같이 사용자의 수행할 운동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운동 시간은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할 시간 정보이다.
단계(316)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심박수, 상기 계산된 심박수, 및 상기 설정된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 심박수를 설정한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1시간의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운동 준비 단계 인 15분 동안의 운동 준비 기준 심박수를 "70~108"로 설정하고, 운동 지속 단계인 30분 동안의 운동 지속 기준 심박수를 "108"로 설정하고, 운동 회복 단계인 15분 동안의 운동 회복 기준 심박수를 "108~7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운동 정보에 따라 상기 안정 심박수 및 상기 목표 심박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운동 준비 기준 심박수 또는 상기 운동 회복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고, 상기 목표 심박수를 상기 운동 지속 기준 심박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측정된 심박수 및 운동속도를 이용하여 운동 상태를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1)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운동중인 사용자의 심박수 및 운동속도를 측정한다. 상기 사용자는 귓볼에 PPG 센서를 부착하고, 음원 리시버(Receiver)를 부착한 상태로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PPG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심박수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도 있다.
단계(412)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심박수 및 상기 운동속도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설정된 기준 심박수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양 심박수 간 심박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인 경우, 단계(413)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심박수 차이 및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를 기초로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따른 음원을 재생한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빠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낮추기 위한 제1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빠른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측정된 운동속도가 분당 100보일 때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분당 90보로 설정하는 상기 제1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느린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높이기 위한 제2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느린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측정된 운동속도가 분당 50보일 때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분당 60보로 설정하기 위한 상기 제2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운동속도에 대응하는 음원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유지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으로부터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추출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단계(413)에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인 경우 그에 따른 경고음을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은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불규칙한 변화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가 급속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을 알리는 경고 메시 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414)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심박수 또는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된 경우, 단계(415)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수분간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한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될 때 제1 심박수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 제2 심박수를 측정한다. 상기 제1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된 시점에서 측정되고, 상기 제2 심박수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된 후 2분이 경과된 시점에서 측정될 수 있다.
단계(416)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심박수와 상기 제2 심박수를 비교한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심박수와 상기 제2 심박수를 비교하여 그 차이 값을 운동 회복 계수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산출된 운동 회복 계수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417)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계산된 운동 회복 계수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계산된 운동 회복 계수 및 상기 사용자의 이전 운동 시 저장된 운동 회복 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운동 경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기 운동 회복 계수는 상기 제1 심박수와 상기 제2 심박수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회복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단계(418)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운동 자가 평가 정보를 입력 받는다. 상기 운동 자가 평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운동에 대한 평가 정보로 예를 들어, 매우 힘들다, 힘들다, 편안하다 등과 같이 운동의 난이도에 대한 소정의 평가 점수로 나타낼 수 있다.
단계(419)에서 상기 운동 상태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경향 정보 및 상기 운동 자가 평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상태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운동 종류, 운동 강도, 또는 운동 시간에 적합한 심박수 및 운동속도에 적합한 음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의 재미 및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운동 프로그램 및 운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운동 속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운동 모드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서 사용자가 유산소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흥미 및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표 심박수를 설정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속도와 유사한 빠르기의 음원을 배경 음악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배경 음악의 속도에 따라 자신의 운동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서의 운동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운동속도에 대응하는 음원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유지하는 단계;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상기 기준 심박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양 심박수 간 심박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심박수 차이 및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를 기초로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으로부터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추출하여 재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될 때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1 심박수와 상기 운동이 종료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2 심박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회복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사용자의 운동 회복 계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사용자의 운동 회복 계수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된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빠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낮추기 위한 제1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 결과 심박수가 상기 기준 심박수보다 느린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높이기 위한 제2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안정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최대 심박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최대 심박수를 기초로 하여 목표 심박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운동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안정 심박수, 상기 목표 심박수, 및 상기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정보는 운동 강도, 운동 종류, 또는 운동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심박수, 상기 목표 심박수, 및 상기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운동 정보에 따라 상기 안정 심박수 및 상기 목표 심박수를 기초로 하여 운동 준비 기준 심박수 또는 운동 회복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고, 상기 목표 심 박수를 운동 지속 기준 심박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심박수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측정된 심박수 이상인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심박수 및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를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PPG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측정하는 상기 단계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운동 회복 계수 및 상기 사용자의 이전 운동 시 저장된 운동 회복 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운동 회복 계수 경향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운동 평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경향 정보 및 상기 입력된 운동 평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방법.
  13. 제1항 내지 제8항, 제1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운동 상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심박수 및 사용자의 운동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
    사용자의 운동 상태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 회복 계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심박수와 상기 기준 심박수를 비교한 결과 양 심박수 간 심박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심박수 차이 및 상기 측정된 운동속도를 기초로 보정 운동속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재생되도록 상기 음원 재생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운동이 종료된 시점에서 측정된 제1 심박수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종료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측정된 제2 심박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운동 회복 계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운동 회복 계수 데이터 및 상기 운동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PPG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원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 운동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음원의 재생속도가 조정되도록 상기 음원 재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시각적 알람, 청각적 알람, 또는 전기적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심박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이상인 경우 상기 심박수 이상에 대응하는 알람이 제공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장치.
  18. 삭제
  19.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운동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운동 정보, 산출된 최대 심박수 및 목표 심박수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심박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상태 관리 장치.
KR1020050079777A 2005-08-30 2005-08-30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71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777A KR100714093B1 (ko) 2005-08-30 2005-08-30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11/375,037 US7867142B2 (en) 2005-08-30 2006-03-15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xercise state of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777A KR100714093B1 (ko) 2005-08-30 2005-08-30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093B1 true KR100714093B1 (ko) 2007-05-02

Family

ID=3780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777A KR100714093B1 (ko) 2005-08-30 2005-08-30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67142B2 (ko)
KR (1) KR1007140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778A (ko) * 2014-10-16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17111564A1 (ko) * 2015-12-24 2017-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개인화된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KR20210050969A (ko) * 2019-10-29 2021-05-10 서준석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WO2023085558A1 (ko) * 2021-11-14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체온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방법,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30818A (en) 1999-07-06 2005-07-25 Intercure Ltd Interventive-diagnostic device
AU2003249549A1 (en) 2002-08-09 2004-02-25 Intercure Ltd. Generalized metronome for modification of biorhythmic activity
US8672852B2 (en) 2002-12-13 2014-03-18 Intercur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eneficial modification of biorhythmic activity
EP1804649A4 (en) 2004-07-23 2009-01-28 Intercur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BREATHING MODEL USING A CONTACTLESS MICROPHONE
US20070260483A1 (en) * 2006-05-08 2007-11-08 Marja-Leena Nurmel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20080051261A1 (en) * 2006-08-25 2008-02-28 Lewis Charles A Exercise protocols for treadmills and bicycle ergometers for exercise, diagnostics and rehabilitation
US7771320B2 (en) 2006-09-07 2010-08-10 Nike, Inc. Athletic performance sensing and/or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JP4872597B2 (ja) * 2006-10-27 2012-02-0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運動支援装置
US7717826B2 (en) * 2007-03-21 2010-05-18 Ut-Battelle, Llc Electrical signature analysis to quantify human and animal performance on fitness and therapy equipment such as a treadmill
US7833135B2 (en) * 2007-06-27 2010-11-16 Scott B. Radow Stationary exercise equipment
US8360904B2 (en) 2007-08-17 2013-01-29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with sport ball, and applications thereof
US8221290B2 (en) 2007-08-17 2012-07-17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with electronic gaming features, and applications thereof
US8702430B2 (en) 2007-08-17 2014-04-22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JP4521040B2 (ja) * 2008-02-28 2010-08-11 株式会社シマノ 消費カロリ測定装置及び消費カロリ測定方法
US7872188B2 (en) * 2009-03-20 2011-01-18 Mariann Martin Willis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exercise trainer
US9339691B2 (en) 2012-01-05 2016-05-17 Icon Health & Fitnes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ercise device
US9254409B2 (en) 2013-03-14 2016-02-09 Icon Health & Fitness, Inc. Strength training apparatus with flywheel and related methods
EP3974036A1 (en) 2013-12-26 2022-03-30 iFIT Inc. Magnetic resistance mechanism in a cable machine
US10433612B2 (en) 2014-03-10 2019-10-08 Icon Health & Fitness, Inc. Pressure sensor to quantify work
WO2015191445A1 (en) 2014-06-09 2015-12-17 Icon Health & Fitness, Inc. Cable system incorporated into a treadmill
WO2015195965A1 (en) 2014-06-20 2015-12-23 Icon Health & Fitness, Inc. Post workout massage device
CN104133551B (zh) * 2014-07-15 2018-05-1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根据心率值改变歌曲的音乐风格的方法和移动终端
US9848825B2 (en) 2014-09-29 2017-1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sensing band
US20160089033A1 (en) * 2014-09-29 2016-03-31 Microsoft Corporation Determining timing and context for cardiovascular measurements
US10694960B2 (en) 2014-09-29 2020-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pulse pressure wave sensing device
US10391361B2 (en) 2015-02-27 2019-08-27 Icon Health & Fitness, Inc. Simulating real-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US11116397B2 (en) 2015-07-14 2021-09-14 Welch Ally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nsors
US10368810B2 (en) 2015-07-14 2019-08-06 Welch Ally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functional capacity of an individual
US20170112388A1 (en) * 2015-10-22 2017-04-27 Welch Ally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iological measurements
US10617350B2 (en) 2015-09-14 2020-04-14 Welch Ally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biological condition
CN105204633A (zh) * 2015-09-15 2015-12-30 陆俊 一种移动终端音乐播放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9801587B2 (en) 2015-10-19 2017-10-31 Garmin Switzerland Gmbh Heart rate monitor with time varying linear filtering
US10964421B2 (en) 2015-10-22 2021-03-30 Welch Ally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substance to an individual
US10918340B2 (en) 2015-10-22 2021-02-16 Welch Ally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biological condition
WO2017128376A1 (zh) * 2016-01-30 2017-08-03 李强生 一种根据心率信息匹配提示的方法及健身安全保障设备
US10272317B2 (en) 2016-03-18 2019-04-30 Icon Health & Fitness, Inc. Lighted pace feature in a treadmill
US10625137B2 (en) 2016-03-18 2020-04-21 Icon Health & Fitness, Inc. Coordinated displays in an exercise device
US10493349B2 (en) 2016-03-18 2019-12-03 Icon Health & Fitness, Inc. Display on exercise device
US10671705B2 (en) 2016-09-28 2020-06-02 Icon Health & Fitness, Inc. Customizing recipe recommendations
US11364419B2 (en) 2019-02-21 2022-06-21 Scott B. Radow Exercise equipment with music synchronization
CN111530035A (zh) * 2020-04-23 2020-08-14 王翰杰 跑步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513A (ko) * 2001-07-05 2003-01-15 주식회사 유비케어 운동량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30070185A (ko) * 2002-02-21 2003-08-29 주식회사 세우시스템 운동기구 제어시스템 및 운동기구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1632A (en) * 1989-12-22 1991-03-19 Hall Tipping Justin Video game difficulty level adjuster dependent upon player's aerobic activity level during exercise
JPH0381999A (ja) 1989-08-24 1991-04-08 Shimadzu Corp X線連続撮影装置
US6033344A (en) * 1994-02-04 2000-03-07 True Fitness Technology, Inc. Fitness apparatus with heart r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GB9521453D0 (en) 1995-10-19 1995-12-20 Healthcare Technology Ltd Heart rate monitor
US6059692A (en) * 1996-12-13 2000-05-09 Hickman; Paul L. Apparatus for remote interactive exercise and health equipment
JPH1063265A (ja) 1996-08-16 1998-03-06 Casio Comput Co Ltd 自動演奏装置
US7056265B1 (en) * 1997-04-28 2006-06-06 Shea Michael J Exercise system
KR20020054263A (ko) 2000-12-27 2002-07-06 차태욱 헬스용 기기의 운동량 체크 장치 및 체크 방법
KR20020066418A (ko) 2001-02-10 2002-08-17 이종균 운동중 신체컨디션 알림장치
KR100397779B1 (ko) 2001-02-16 2003-09-13 주식회사 현원 라디오 수신 및 디지털 음악 재생 기능을 갖는 맥박 분석장치
US6808473B2 (en) * 2001-04-19 2004-10-26 Omron Corporation Exercise promotion device, and exercise promotion method employing the same
KR100500424B1 (ko) 2002-09-27 2005-07-12 정태후 자동 선곡이 가능한 지능형 음악 재생 장치
KR100601932B1 (ko) 2003-09-04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훈련제어방법 및 장치
JP2005156641A (ja) * 2003-11-20 2005-06-16 Sony Corp 再生態様制御装置及び再生態様制御方法
JP4770313B2 (ja) * 2005-07-27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の生成装置
JP2007075172A (ja) * 2005-09-12 2007-03-29 Sony Corp 音出力制御装置、音出力制御方法および音出力制御プログラム
ATE434250T1 (de) * 2006-01-20 2009-07-15 Yamaha Corp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wiedergabe von musik und vorrichtung zur wiedergabe von musik
US7956274B2 (en) * 2007-03-28 2011-06-07 Yamaha Corporation Performan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513A (ko) * 2001-07-05 2003-01-15 주식회사 유비케어 운동량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30070185A (ko) * 2002-02-21 2003-08-29 주식회사 세우시스템 운동기구 제어시스템 및 운동기구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04513 *
1020030070185 *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778A (ko) * 2014-10-16 201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347247B1 (ko) * 2014-10-16 202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04941A (ko) * 2014-10-16 2022-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11250940B2 (en) 2014-10-16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feedback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481614B1 (ko) 2014-10-16 2022-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11894122B2 (en) 2014-10-16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ercise feedback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7111564A1 (ko) * 2015-12-24 2017-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개인화된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US11185739B2 (en) 2015-12-24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sed exercise guide therefor
KR20210050969A (ko) * 2019-10-29 2021-05-10 서준석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KR102297958B1 (ko) 2019-10-29 2021-09-03 서준석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WO2023085558A1 (ko) * 2021-11-14 2023-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체온 센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방법,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67142B2 (en) 2011-01-11
US20070049461A1 (en)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093B1 (ko)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1146503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human perceptual signal
CN1932973B (zh) 声音输出控制设备及声音输出控制方法
JP4067372B2 (ja) 運動補助装置
Oliver et al. MPTrain: a mobile, music and physiology-based personal trainer
JP4444767B2 (ja) 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を利用した訓練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807736B1 (ko) 음악과 연동하여 운동페이스를 지시하는 운동 보조 장치 및그 방법
US8768489B2 (en) Detecting and using heart rate training zone
JP4410234B2 (ja) 生理的コヒーレンスおよび自律神経バランスを促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079058B2 (en) Motion coordination operation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motion coordination reproduction system
FI117885B (fi) Sykeinformaation koodaaminen
van der Zwaag et al. Directing physiology and mood through music: Validation of an affective music player
JP2004090724A (ja) 移動体用再生制御システム、移動体用再生制御方法並びに移動体用再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DE19955720A1 (de) Trainingsgerät
JP2008538295A (ja) 体力トレーニング用音楽ペースメーカー
WO2010063884A1 (en) Physical exercise control
US20090158920A1 (en) Sound producing device which uses physiological information
EP1923103B1 (en) Generation of exercise instruction information
JP2000051390A (ja) トレーニング管理システム
JP2011137917A (ja) 脳波の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により制御される脳トレーニング装置
JP2007328568A (ja) 歩数計、携帯情報端末、歩数計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065382A (ja) 運動支援装置及び運動支援用プログラム
JP2010259456A (ja) 放音制御装置
KR100779071B1 (ko) 뇌파를 이용한 집중력 향상 및 유지 장치, 그 방법
JP2012022242A (ja) 楽音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