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969A -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969A
KR20210050969A KR1020190135623A KR20190135623A KR20210050969A KR 20210050969 A KR20210050969 A KR 20210050969A KR 1020190135623 A KR1020190135623 A KR 1020190135623A KR 20190135623 A KR20190135623 A KR 20190135623A KR 20210050969 A KR20210050969 A KR 20210050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core
information
unit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7958B1 (ko
Inventor
서준석
Original Assignee
서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준석 filed Critical 서준석
Priority to KR1020190135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9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6Means for conducting or scheduling competition, league, tournaments or rank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은 조정기 및 계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정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사용자로부터 스코어 조정을 위한 버튼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계수장치로 스코어 조정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계수장치는 기기의 양면에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기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의 종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종목에 대응하여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며, 계수 동작이 완료된 스코어 현황을 기기의 양면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Score automatic counting system}
본 발명은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배드민턴, 테니스, 탁구 등의 스코어 정산이 요구되는 스포츠 경기에서 별도의 심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간편한 방식으로 스코어 현황을 업데이트 및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코어 보드는 각종 운동경기 진행 시 점수를 나타낼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스코어 보드는 통상적으로 별도의 심판에 의해 관리되며, 심판이 없는 일반적인 비공식 경기에서는, 경기에 참여하는 플레이어들이 직접 경기 중간중간 스코어 현황을 업데이트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이 플레이어가 직접 스코어를 관리하게 되는 경우, 경기에 대한 집중도가 낮아지고, 제대로 된 스코어 확인이 어렵게 되는 문제 또한 발생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심판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스코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운동 경기에서 스코어를 관리하는 별도의 심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스코어를 관리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은 조정기 및 계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정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사용자로부터 스코어 조정을 위한 버튼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계수장치로 스코어 조정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계수장치는 기기의 양면에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기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의 종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종목에 대응하여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며, 계수 동작이 완료된 스코어 현황을 기기의 양면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심판이 없더라도 간편한 방식으로 스코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에 따라 플레이어가 경기 중 스코어 산정을 위해 자리를 이탈하지 않아도 되며 경기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은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수장치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기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코어 산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훈련 지원부 263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10은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정기 100, 계수장치 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정기 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플레이어의 수에 비례한 개수(예, 제 1조정기 101, 제 2조정기 102 등)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10은 상기 조정기 100 및 계수장치 2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 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정기 100는 플레이어가 상기 계수 장치 200로 점수를 입력하도록 리모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정기 100는 플레이어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 워치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기 10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계수 장치 200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조정기 100는 서버 3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동작(예, 와이파이, LTE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계수장치 200는 사용자(플레이어)로부터 종목, 플레이어 인원 등의 경기 정보를 입력 받고, 스코어 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계수장치 200는 상기 경기 정보를 사용자가 조정기 100로부터 전송 받거나, 사용자의 직접 입력(버튼 입력, 터치 입력 등)을 통해 경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계수장치 200는 입력 받은 경기 정보를 기반으로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수장치 200는 선택된 경기의 종목이 듀스 규칙이 있는 종목인지 여부에 따라, 듀스 여부를 고려하여 경기 지속 및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정기 100 및 계수장치 200는 모두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서버 300에 의해 동작이 지원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별 랭킹, 경기 횟수 등의 정보를 비교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1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정기 100는 스마트 워치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목걸이, 스마트 안경, 또는 배지(badge)와 같이 옷에 부착되는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정기 100는 표시부 1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화면 표시부 130가 조정기 100 전면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화면 표시부 13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기 스코어 현황, 스코어 조정을 위해 입력되는 버튼(이하, 스코어 조정 버튼)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조정기 100는 스코어 조정 동작 외에도 경기 종료, 경기 종목 변경, 재시작 등과 관련된 정보를 계수장치 200에 전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수장치 200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수장치 200는 네트와 나란하도록 거치되거나, 네트에 거치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계수장치 200는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하여 네트를 중심으로 양쪽에 존재하는 플레이어들이 모두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수장치 200는 양면에 모두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써, 네트와 나란하도록 설치되더라도 네트 양 끝에 있는 플레이어들이 모두 계수장치 200의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계수 장치 200는 일 단면에만 표시부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네트와 수직하도록 설치되어 양측 플레이어들에게 모두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기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정기 100는 동작 센싱부 110, 정보 입력부 120, 화면 표시부 130 및 신체 상황 판단부 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정기 100는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정기 100는 가속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센서,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센싱부 110는 상기 조정기 100에 포함된 센서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경기 관련 동작을 센싱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상기 동작 센싱부 110는 배드민턴 스매싱 동작의 수행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센싱부 110는 동작 상태뿐 아니라 비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예컨대, 기준치 이상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를 비동작 상태로 판단하고, 볼을 주고받는 동작인 랠리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입력부 12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스코어 변경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입력부 120는 해당 회차에 승리한 플레이어나 팀에 대한 정보, 득점 수치 등의 스코어 조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입력부 12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스코어 조정 정보를 스코어 계수 시 반영하기 위해 계수장치 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수장치 2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스코어 조정 정보를 반영한 스코어 현황을 표시할 수 있게 되며,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스코어 조정이 반영된 스코어 현황은 조정기 100 측에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입력부 120는 동작 센싱부 110에 의해 감지된 동작 정보에 대응하여 랠리 종료 여부를 파악하고, 랠리 종료 시 사용자에게 스코어 조정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입력부 120는 배드민턴 경기에서, 사용자의 팔이 기준 시간 이상 정지상태임을 감지한 경우, 랠리 종료됨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여 스코어 조정 정보 입력(예, 승리한 플레이어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화면 표시부 130는 스코어 현황, 진행중인 경기 종목, 스코어 조정 버튼(스코어 조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화면 표시부 130는 센서의 감지 기능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예, 경기 진행 시간 기준치 초과 알림, 목표 운동시간 달성 알림 등), 서버 300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예, 타 플레이어 매칭 정보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상황 판단부 140는 조정기 100에 구비된 센서가 감지한 체온, 맥박 등의 신체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신체 상황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체 상황 판단부 140는 동작 정보 및 신체 정보의 변화량 등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칼로리 소모량 등의 신체 상황 정보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신체 상황 판단부 140는 사용자의 운동량, 칼로리 소모량을 비롯하여, 사용자의 한계 운동량 도달 비율, 수분 보충 필요성, 휴식 필요성 등의 신체 상황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상황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체력 유추 정보를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체력 유추 정보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근육 무게, 성별, 나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상황 판단부 140는 사용자의 신체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체 상황 판단부 140는 맥박 수치 증가비율, 체온, 운동량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위험성 수치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위험성 수치는 사용자의 신체가 운동으로 인해 탈진 등의 위험 상황 여부를 측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신체 상황 판단부 140는 조정기 100에 구비된 온도 센서 또는 외부 웹을 통해 기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기온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신체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 상황 판단부 140는 기온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 운동량 하에서 위험성 수치를 증가시켜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운동량이 측정되더라도, 기온이 높은 상황에서 탈진에 대한 위험성 경고 알림 동작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계수장치 200는 통신부 210, 저장부 220, 표시부 230, 카메라부 240, 오디오 처리부 250 및 제어부 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260는 기준 설정부 261, 스코어 산정부 262 및 훈련 지원부 2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통신부 21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210는 조정기 100 및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210는 현재 경기가 진행중인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GPS, 비콘 신호 등을 기반으로 한 기기의 위치 판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2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220는 게임 종목별 규칙,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위험 기준치, 사용자 기량 판단을 위한 기준치, 미션 리스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230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230는 스코어 현황, 서브권이 있는 팀, 진행중인 경기의 룰 등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 240는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 (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카메라부 240는 사용자의 동작을 촬영할 수 있도록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카메라부 240는 양 팀의 모든 플레이어들의 동작을 촬영할 수 있도록 기기의 양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 240에서 촬영된 촬영 정보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랠리의 진행 상황 또는 랠리 종료 상황, 사용자의 로테이션 여부, 사용자의 기준선 침범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250는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는,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디오 처리부 250는 득점 상황, 파울 상황, 오류 상황 등에서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6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260는 스코어 자동 계수 기능을 수행하며, 계수된 스코어 현황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60는 기준 설정부 261, 스코어 산정부 262 및 훈련 지원부 2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준 설정부 261는 경기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받고, 이에 대응하는 기준을 스코어 계수 동작 시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 설정부 261는 경기 종목, 플레이어 수 등의 경기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경기 정보를 토대로 통용되는 게임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준 설정부 261는 서브권 적용 여부, 서브권 부여 기준, 듀스 규칙, 게임 종료 조건 등의 경기 관련 기준들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기준 설정부 261는 선택된 경기 종목에 대응하는 일반적인 룰을 로드하고 이를 적용하여, 게임 진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경기 종목이 배구라고 가정할 때, 한 선수가 연달아 공을 쳐낼 수 없는 점, 3번 이내의 터치로 상대편으로 공을 넘겨야 하는 점, 세트 마감 시 코트 이동하는 점, 플레이어의 기본 위치가 로테이션되는 점 등의 룰이 로드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설정부 261가 로드한 각 종목의 룰은 세트 시작 시, 서브 전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규칙을 세밀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사용자들도 경기를 수행하는 중에 해당 종목의 룰을 배워나갈 수 있게 된다. 이 때 특정 룰은 상황에 맞게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서브 위치에 관련된 규칙은 서브권을 갖고 있는 팀의 사용자(플레이어)가 서브를 수행하기 직전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설정부 261는 로테이션과 관련된 규칙에 대하여는 스코어 반영 직후에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 산정부 262는 상기 기준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게임 규칙에 따라 스코어 자동 계수 동작 전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 산정부 262의 세부 구성은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코어 산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스코어 산정부 262는 기록 확인부 262a 및 충돌 방지부 26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기록 확인부 262a는 조정기 100로부터 전달된 스코어 조정 정보를 기반으로 각 팀의 점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기 기록 확인부 262a는 상기 기준 설정부 261에 의해 적용된 기준에 따라, 점수 계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록 확인부 262a는 이긴 팀 측에 1점씩을 부여하여 스코어를 계수하되, 일 팀이 최소 2점을 앞선 상태에서 25점을 먼저 획득한 경우, 한 세트를 종료하고, 다음 세트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충돌 방지부 262b는 다수 플레이어가 동시에 스코어 조정 정보를 입력하여 스코어 계수에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충돌 방지부 262b는 스코어 계수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어들의 손목에 착용된 조정기 100로부터 플레이어들의 동작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반하여 랠리 종료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랠리 종료 1회당 스코어 조정 정보가 1회 입력되면 해당 회차 점수의 계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충돌 방지부 262b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2개 이상의 조정기 100로부터 스코어 조정 정보가 계수장치에 입력되는 경우, 또는 카메라 촬영된 플레이어들의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 회차에 대한 스코어 조정 정보 입력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돌 방지부 262b는 상대적으로 이후에 입력된 스코어 조정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충돌 방지부 262b는 동일 회차에 대한 스코어 조정 정보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질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질의 동작은 예컨대, "A팀의 추가 득점이 맞습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훈련 지원부 263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훈련 지원부 263는 사용자가 경기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훈련 지원부 263는 미션 설정부 263a, 기량 판단부 26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훈련 지원부 263은 사용자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미션을 부여하고, 기량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션 설정부 263a는 플레이어끼리의 대결이 목적이 아닌, 훈련이 목적인 경우, 경기에 참여하는 각 사용자에게 미션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미션은 기 저장된 미션 리스트 중 임의의 하나가 선택되어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션은 난도 단계에 대응하여 분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량이 향상될수록 증가된 난도 단계에 대응하는 미션이 추출되어 제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션 설정부 263a는 상기 기량 판단부 263b에서 산출한 플레이어별 기량 정보를 기반으로 미션의 난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량 판단부 263b는 상기 미션 설정부 263a에서 사용자에게 부여한 미션의 성공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기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미션 설정부 263a는 조정기 100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감지 가능한 미션을 제공하고, 센싱된 값에 기반하여 미션의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션 설정부 263a는 일 사용자에게'30회 이상 랠리 유지'를 미션 항목으로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미션 설정부 263a는 조정기 100에서 센싱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랠리 횟수를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미션 설정부 263a는 상기 카메라부 240에 의해 촬영된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랠리 횟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량 판단부 263b는 상기 미션 설정부 263a에서 관리하는 사용자별 미션 성공 여부 외에도, 사용자의 평균 운동량, 타 플레이어와의 대결 시 획득 점수, 우승 횟수 등의 경기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기량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량 판단부 263b는 키, 체중, 연령, 성별 등의 신체 정보를 고려하여 기량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량 판단부 263b는 저장부 220에 기 저장된 동일 연령대, 동일 성별, 동일 BMI 기준 평균 기량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량을 1차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량 판단부 263b는 사용자가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10을 이용할 때마다, 대결 결과, 평균 운동량 등의 사용자의 경기 수행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경기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1차 산출된 사용자 기량에 적정값을 증감하여 2차 산출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량 판단부 263b는 마지막으로, 이전에 미션을 수행한 이력이 있는 경우, 미션 성공 여부, 성공한 미션의 난도 수준을 고려하여 상기 2차 산출된 사용자 기량에 적정값을 증감하는 방식으로 3차 기량 산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서버 300는 플레이어 관리부 310, 스포츠 추천부 320, 팀 매칭부 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 300는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에서 제외되고, 계수장치 200와 조정기 100 간의 통신 동작을 통해서만 스코어 계수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서버 300가 포함되어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서버 300는 스코어 계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와의 기량 비교, 팀 매칭 등의 사용자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 3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 중 먼저, 상기 플레이어 관리부 310는 플레이어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어 관리부 310는 사용자들의 ID, 거주 지역, 선호 경기 종목, 승패 전적 등과 같은 대결용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 플레이어 정보로써 관리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플레이어 관리부 310는 사용자들의 기량 정보, 경기 수행 정보 및 신체 정보를 계수 장치 200로부터 획득하여 플레이어 정보로써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어 관리부 310에서 획득하고 관리하는 플레이어 정보는 스포츠 추천부 320가 수행하는 스포츠 추천 동작과 팀 매칭부 330가 수행하는 팀 매칭 동작 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스포츠 추천부 320는 상기 플레이어 관리부 310에서 관리하는 플레이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스포츠 종목을 추천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스포츠 추천부 32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며 플레이어 정보를 등록한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하여, 종목별 순위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스포츠 추천부 320는 사용자의 순위가 상승하는 종목, 또는 사용자의 순위가 기준치 이상인 종목 등을 추천 종목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포츠 추천부 320는 사용자가 주로 함께 플레이하는 인원 수를 기반으로 추천 종목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6인 이상의 인원이 한 팀인 경기 종목에 대한 경기 횟수의 비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배구, 미니배구 등의 종목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스포츠 추천부 320는 또한 조정기 100로부터 획득된 정보 내지 계수장치 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능력치를 항목별로 평가할 수 있으며, 해당 능력치에 대응하는 스포츠 종목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포츠 추천부 320는 사용자의 능력치를 순발력, 지구력, 서브 능력, 파워 등의 항목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발력은 조정기 100가 센싱하는 사용자의 시간당 스텝수를 기반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지구력은 사용자의 평균 운동 지속 시간을 기반으로 평가될 수 있고, 서브 능력은 평균 서브 실책 횟수 등을 통해 판단될 수 있으며, 파워는 타구 시 순간적인 팔의 움직임 속도 등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상기 스포츠 추천부 320는 사용자에게 기준치 이상 발달된 능력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능력치가 주요하게 요구되는 종목을 추천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능력치들 중 기준치 이상 부진한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항목의 능력치를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인 경기 종목을 추천할 수도 있다.
상기 팀 매칭부 330는 사용자가 속한 팀과 경기 종목, 지역, 팀원의 평균 기량 또는 인원수 중 적어도 하나가 유사한 대결 팀을 매칭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팀 매칭부 330는 사용자로부터 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팀 정보에 경기에 참여하는 플레이어의 수, 플레이어의 아이디, 팀의 전적, 주요 경기 지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팀 매칭부 330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팀의 경기 일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경기 일정은 기간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팀 매칭부 330는 사용자로부터 팀 매칭을 요청받으면, 예상 경기 일정이 동일한 팀들의 리스트를 1차로 추출하고, 1차 추출 리스트에서 경기 종목, 지역, 팀원의 평균 기량, 인원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범위 이내로 같은 값을 같은 팀들의 리스트를 2차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팀 매칭부 330는 일 사용자로부터 팀 매칭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2차 추출 리스트에 포함되는 팀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해당 일자에 대결 가능한 팀을 소개할 수 있다.
상기 팀 매칭부 33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팀 매칭 동작에 의해 팀 매칭이 이루어진 경우, 실제 경기를 수행할 시, 팀원들의 평균 기량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팀원의 평균 기량이 기준치 이상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우등 팀에게 핸디캡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팀 매칭부 330는 열등 팀에게 소정의 기본 점수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팀 매칭부 330는 기량 차이의 정도에 대응하여 부여되는 기본 점수의 수치를 증감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팀 매칭부 330는 다양한 방식의 핸디캡 부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팀 매칭부 330는 핸디캡 부여 이후 전체 팀 매칭 기능을 이용한 전체 플레이어 또는 팀들의 승률 변화에 기반하여 핸디캡의 적정 수준을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조정기
110 : 동작 센싱부
120 : 정보 입력부
130 : 화면 표시부
140 : 신체 상황 판단부
200 : 계수장치
261 : 기준 설정부
262 : 스코어 산정부
263 : 훈련 지원부
300 : 서버
310 : 플레이어 관리부
320 : 스포츠 추천부
330 : 팀 매칭부

Claims (13)

  1. 조정기 및 계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포츠 경기 스코어의 계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사용자로부터 스코어 조정을 위한 버튼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계수장치로 스코어 조정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계수장치는
    기기의 양면에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기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의 종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종목에 대응하여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며, 계수 동작이 완료된 스코어 현황을 기기의 양면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구비된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경기 관련 동작을 센싱하며, 센싱값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 상태 및 비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센싱부;
    득점 시, 사용자로부터 득점 수치, 승리한 플레이어 또는 팀에 대한 정보인 스코어 조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스코어 조정 정보를 계수 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입력부;
    스코어 현황, 진행중인 경기 종목, 스코어 조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스코어 조정 버튼을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및
    구비된 센서에 기반하여 신체 상황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신체 상황 정보에 따라 신체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되, 위험성 수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위험성 경고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신체 상황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장치는
    경기 종목 및 플레이어 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해당 경기 종목 및 플레이어 수에 대응하는 게임 규칙을 적용하여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기준 설정부;
    상기 기준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게임 규칙에 따라 스코어 자동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스코어 산정부; 및
    사용자가 경기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용 동작을 지원하는 훈련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장치는
    표시부와 동일한 면에 설치되어 각 팀의 플레이어들의 동작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 산정부는
    상기 조정기로부터 전달된 스코어 조정 정보를 기반으로 각 팀의 스코어를 업데이트하는 기록 확인부; 및
    다수의 조정기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다수의 스코어 조정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또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한 촬영 결과 동일 회차에 대한 다수의 스코어 입력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일 회차에 대한 스코어 조정 정보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질의 동작을 수행하는 충돌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지원부는
    기 저장된 미션 리스트 중 사용자의 기량에 대응하는 난도의 미션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미션 설정부; 및
    사용자의 신체 정보에 대응하는 평균 기량 정보를 기반으로 1차 기량 산출 후, 대결 결과 및 평균 운동량을 포함하는 경기 수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1차 기량 산출값에 적정값을 증감하여 2차 기량 산출 후, 미션 성공 여부 및 성공한 미션의 난도를 고려하여 3차 기량을 산출하는 기량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6. 조정기, 계수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포츠 경기 스코어의 계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사용자로부터 스코어 조정을 위한 버튼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계수장치로 스코어 조정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계수장치는
    기기의 양면에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기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의 종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종목에 대응하여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며, 계수 동작이 완료된 스코어 현황을 기기의 양면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조정기 및 상기 계수장치에서 스코어 계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지원하되,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와의 기량 비교, 팀 매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대결용 정보, 사용자들의 기량 정보, 경기 수행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플레이어 정보로 관리하는 플레이어 관리부; 및
    상기 플레이어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사용자들의 종목별 순위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순위가 기준치 이상인 종목을 추천 종목으로 추출하는 스포츠 추천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결용 정보는 사용자의 ID, 거주 지역, 선호 경기 종목 및 승패 전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팀 매칭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경기 일정이 동일한 팀들의 리스트를 1차 추출한 후, 1차 추출 리스트에서 경기 종목, 지역, 팀원의 평균 기량, 인원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범위 이내로 유사한 팀들의 리스트를 2차 추출하여, 2차 추출된 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팀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9.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사용자로부터 스코어 조정을 위한 버튼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계수장치로 스코어 조정 정보를 전송하되,
    구비된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경기 관련 동작을 센싱하며, 센싱값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 상태 및 비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 센싱부;
    득점 시, 사용자로부터 득점 수치, 승리한 플레이어 또는 팀에 대한 정보인 스코어 조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스코어 조정 정보를 계수 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입력부;
    스코어 현황, 진행중인 경기 종목, 스코어 조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스코어 조정 버튼을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및
    상기 센서에 기반하여 신체 상황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신체 상황 정보에 따라 신체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하되, 위험성 수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위험성 경고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신체 상황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기.
  10.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기기의 양면에 표시부를 구비하며, 조정기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의 종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종목에 대응하여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며, 계수 동작이 완료된 스코어 현황을 기기의 양면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장치.
  11.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기기의 양면에 표시부를 구비하며, 조정기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스포츠 경기의 종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종목에 대응하여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며, 계수 동작이 완료된 스코어 현황을 기기의 양면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하며,
    경기 종목 및 플레이어 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해당 경기 종목 및 플레이어 수에 대응하는 게임 규칙을 적용하여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기준 설정부;
    상기 기준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게임 규칙에 따라 스코어 자동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스코어 산정부; 및
    사용자가 경기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용 동작을 지원하는 훈련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장치.
  12.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서버에 있어서,
    대결용 정보, 사용자들의 기량 정보, 경기 수행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플레이어 정보로 관리하는 플레이어 관리부;
    상기 플레이어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사용자들의 종목별 순위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순위가 기준치 이상인 종목을 추천 종목으로 추출하는 스포츠 추천부; 및
    사용자로부터 팀 매칭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경기 일정이 동일한 팀들의 리스트를 1차 추출한 후, 1차 추출 리스트에서 경기 종목, 지역, 팀원의 평균 기량, 인원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범위 이내로 유사한 팀들의 리스트를 2차 추출하여, 2차 추출된 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팀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결용 정보는 사용자의 ID, 거주 지역, 선호 경기 종목 및 승패 전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스코어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서버에 있어서,
    대결용 정보, 사용자들의 기량 정보, 경기 수행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하여 플레이어 정보로 관리하는 플레이어 관리부;
    상기 플레이어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사용자들의 종목별 순위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순위가 기준치 이상인 종목을 추천 종목으로 추출하는 스포츠 추천부; 및
    사용자로부터 팀 매칭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경기 일정이 동일한 팀들의 리스트를 1차 추출한 후, 1차 추출 리스트에서 경기 종목, 지역, 팀원의 평균 기량, 인원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범위 이내로 유사한 팀들의 리스트를 2차 추출하여, 2차 추출된 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팀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팀 매칭부는
    매칭된 양 팀의 평균 팀원 기량이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된 경우, 기량 차이의 정도에 대응하는 핸디캡을 우등팀에게 부여하고,
    상기 대결용 정보는 사용자의 ID, 거주 지역, 선호 경기 종목 및 승패 전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90135623A 2019-10-29 2019-10-29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KR102297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623A KR102297958B1 (ko) 2019-10-29 2019-10-29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623A KR102297958B1 (ko) 2019-10-29 2019-10-29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969A true KR20210050969A (ko) 2021-05-10
KR102297958B1 KR102297958B1 (ko) 2021-09-03

Family

ID=7591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623A KR102297958B1 (ko) 2019-10-29 2019-10-29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9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903A (ko) * 2000-03-09 2001-09-26 임동현 전자식 휴대용 무선 점수판
KR100714093B1 (ko) * 2005-08-30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05603A (ko) 2010-03-19 2011-09-27 홍성열 전자식 스코어보드
KR20160037858A (ko) * 2016-03-17 2016-04-06 서인아 사용자 동작과 연동하는 리듬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903A (ko) * 2000-03-09 2001-09-26 임동현 전자식 휴대용 무선 점수판
KR100714093B1 (ko) * 2005-08-30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05603A (ko) 2010-03-19 2011-09-27 홍성열 전자식 스코어보드
KR20160037858A (ko) * 2016-03-17 2016-04-06 서인아 사용자 동작과 연동하는 리듬 게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958B1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5868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ve sports game
US20160346690A1 (en) Multi-device cooperative scorekeeping
BR112016029545B1 (pt) Método para operar uma plataforma para fornecer uma liga esportiva virtual e sistema
JP2006506182A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上でゲームを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3958011A (zh) 电子设备
US10306687B2 (en) Transmitting athletic data using non-connected state of discovery signal
JP7270885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398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determining of odds for live events betting
US20220090885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providing event effect
CN104190060A (zh) 篮球感测装置
JP2018531678A (ja) ダーツゲームにおいて、仮想プレーヤーを提供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20200033100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with display unit
EP3682398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and post-authentication processing system
EP3682399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and post-authentication processing system
JP2020044155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764262B1 (ko) 스마트공의 속도 및 구질 측정 장치
KR102297958B1 (ko) 스코어 자동 계수 시스템
US20220221254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With an Image Projector
JP2020171595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ゲームサーバ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KR10226109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트 게임 시스템
US20200033099A1 (en) Dart game apparatus and dart game system comprising illumination unit
US20220406144A1 (en) Fitness Challenge and Wagering System and Method
US20170340956A1 (en) Method for monitoring quest progress
KR102524976B1 (ko) 인터렉티브 실내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81353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concealed value in mobile ga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