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612B1 - 플로팅 노즐 - Google Patents

플로팅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612B1
KR100713612B1 KR1020050130633A KR20050130633A KR100713612B1 KR 100713612 B1 KR100713612 B1 KR 100713612B1 KR 1020050130633 A KR1020050130633 A KR 1020050130633A KR 20050130633 A KR20050130633 A KR 20050130633A KR 100713612 B1 KR100713612 B1 KR 100713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ody
air
nozzle
diaphragm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중국
Original Assignee
(주)프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템 filed Critical (주)프로템
Priority to KR102005013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팅 노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부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에어가 흡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의 송풍구가 형성된 노즐 본체와; 노즐 본체의 내면에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노즐 본체 내부를 제 1, 2 팽창실로 구획하는 제 1 교축 격판과; 노즐 본체의 송풍구와 대향되는 노즐 본체의 타측에 위치되어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제 2 교축 격판;을 포함하여 된 노즐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2 교축 격판을 통해 2차에 걸려 에어의 와류에 의한 충진 효과를 얻게됨으로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에어의 분사 성능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된다.
따라서 이를 이용한 웹이나 필름의 건조 및 이물질 제거등의 작업을 우수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웹, 플로팅, 필름, 노즐 본체, 교축 격판, 팽창실, 송풍구, 토출구

Description

플로팅 노즐{floating nozzl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젯트 노즐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노즐의 정면 및 평면 그리고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플로팅 노즐을 통한 건조 및 이물질 제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노즐 본체 110 : 공간부
111,112 : 제 1, 2 팽창실
120 : 송풍구 130 : 토출구
200,300 : 제 1, 2 교축 격판
본 발명은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를 통해 웹이나 필름등의 표면을 건조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플로팅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얇은 필름 형태를 이루고 있는 웹(web)이나 필름등의 표면은 제 조 및 이송 과정에서 표면 건조 및 이물질 제거가 필요로하다.
이를 위하여 웹 또는 필름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노즐(nozzle)을 통해 표면에 에어(air)를 분사하여 표면 건조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즐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삼각 단면형상을 갖는 노즐 본체(10)를 구비한다.
이 노즐 본체(10)의 일측에는 공간부(11) 내부로 에어를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송풍구(20)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공간부(11) 내에서 와류 현상에 의해 압축된 에어를 소정압력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토출구(30)가 마련된다.
따라서 송풍구(20)를 통해 에어를 공간부(11) 내로 유입시키게 되면, 단면 형상 구조에 의한 와류(渦流)가 형성되면서 노즐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에어가 분산되고, 동시에 토출구(30)를 통과하여 웹이나 필름의 표면에 소정압력으로 분사됨으로써 웹의 표면 건조 및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즐에 있어서는, 복수의 토출구(30)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 속도의 차이에 의한 필름 또는 웹의 건조 속도가 달라지고, 동시에 표면의 이물질 제거 작업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는, 노즐 본체(10)가 하나의 공간부(11)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송풍구(20)와 대응되는 위치의 토출구(30)측으로는 강한 분사력으로 에어가 토출되고, 이에 비하여 송풍구(20)와 어느정도 거리가 떨어진 측 토출구(30)로는 상대적으로 약한 분사력의 에어가 토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조되는 웹 필름의 특성이 폭 방향으로 엄격한 특성 관리를 행하는 것이 요망될 때 이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되며, 심하게는 불량의 요인이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송풍구를 통해 유입되어 토출구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건조와 정밀한 이물질 제거 작업을 동시 만족시킬 수 있는 플로팅 노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노즐은,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부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에어가 흡입되는 복수의 송풍구가 형성된 노즐 본체와; 상기 송풍구를 기준으로 노즐 본체의 좌,우 내면에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노즐 본체 내부를 제 1, 2 팽창실로 구획하는 제 1 교축 격판과; 상기 노즐 본체의 송풍구와 대향되는 노즐 본체의 타측에 위치되어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제 2 교축 격판;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노즐의 정면 및 평면 그리고 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플로팅 노즐을 통한 건조 및 이물질 제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노즐은, 크게 노즐 본체 (100)와 제 1,2 교축 격판(200,300)으로 대별된다.
노즐 본체(100)는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부(110)가 마련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에어가 흡입되는 적어도 1곳 이상 복수의 송풍구(120)가 형성된다.
제 1 교축 격판(200)은, 노즐 본체(100)의 공간부(110) 내에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 대략 삼각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에 의해 노즐 본체(100) 내부의 공간부(110)는 제 1 팽창실(111)과 제 2 팽창실(112)로 구획된다.
즉, 제 1 교축 격판(200)은 송풍구(120)를 기준으로 하여 노즐 본체(100)의 좌,우측 내면에 대면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노즐 본체(100)의 내부를 제 1, 2 팽창실(111,112)로 구획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 1 교축 격판(200)의 단면 형상은 여러 형태로 변경 가능한 것은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이다.
제 2 교축 격판(300)은, 노즐 본체(100)의 송풍구(120)와 대향되는 타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 제 2 교축 격판(300)이 노즐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노즐 본체(100)의 타측에는 즉, 송풍구(120)와 대향되는 측에도 소정간격으로 에어가 토출되는 다수의 토출구(130)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노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즐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된 복수의 송풍구(120)를 통해 공간부(110) 내부 즉, 좀더 상세히 말하면 제 1 교축 격판(200)에 의해 분리 형성된 제 1 팽창실(111)내로 에어가 유입되면, 와류 현상에 의해 에어가 제 1 팽창실(111) 내부로 퍼지게 되며, 동시에 제 1 팽창실(111) 내부에서 제 2 팽창실(112) 내로 빠르게 통과한다.
이때 제 1 팽창실(111)내에서 제 2 팽창실(112)내로 에어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에어의 제 2 팽창실(112)내로의 유입속도는 빨라지지만 상대적으로 유입량은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와류 현상에 의해 제 2 팽창실(112)내로 유입되는 에어가 폭방향으로 충진되어진다.
결과적으로 송풍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는 제 1, 2 팽창실(111,112) 내에서 2번에 걸쳐 충진되는 효과를 얻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2 교축 격판(300)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토출구(130)를 통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웹(W)이나 필름의 표면에 분사되는 에어는 풍압이나 풍량이 균질하게 된 상태로 분사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건조되는 필름이나 웹의 특성이 폭방향의 특성이 엄격하게 관리되는 경우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노즐에 의하면, 노즐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2 교축 격판을 통해 2차에 걸려 에어의 와류에 의한 충진 효과를 얻게됨으로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에어의 분사 성능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 는 효과를 얻게된다.
따라서 이를 이용한 웹 필름의 건조 및 이물질 제거등의 작업을 우수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부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에어가 흡입되는 복수의 송풍구가 형성된 노즐 본체와;
    상기 송풍구를 기준으로 노즐 본체의 좌,우 내면에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노즐 본체 내부를 제 1, 2 팽창실로 구획하는 제 1 교축 격판과;
    상기 노즐 본체의 송풍구와 대향되는 노즐 본체의 타측에 위치되어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제 2 교축 격판;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노즐.
KR1020050130633A 2005-12-27 2005-12-27 플로팅 노즐 KR100713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633A KR100713612B1 (ko) 2005-12-27 2005-12-27 플로팅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633A KR100713612B1 (ko) 2005-12-27 2005-12-27 플로팅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3612B1 true KR100713612B1 (ko) 2007-05-02

Family

ID=3826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633A KR100713612B1 (ko) 2005-12-27 2005-12-27 플로팅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6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747B1 (ko) * 2008-09-30 2011-04-19 (주)프로템 건조기의 플로팅 노즐
KR101831591B1 (ko) 2017-09-18 2018-02-23 고재능 케이싱의 절곡부 꺽임 안정성과 지지 내구성 증대 및 송풍 균등 분산 구조를 갖는 인쇄기용 플로팅 드라이어 노즐
KR102153294B1 (ko) 2019-08-07 2020-09-08 씨아이에스(주) 열풍 노즐이 구비된 건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5A (ko) 1973-05-11 1975-01-09
JPH0347648U (ko) * 1989-09-12 1991-05-02
EP0586912A2 (de) 1992-09-08 1994-03-16 MAN Nutzfahrzeuge Aktiengesellschaft Zerstäuberdüse
JPH06226146A (ja) * 1993-02-03 1994-08-16 Shineman:Kk ノズル
JP2004057936A (ja) 2002-07-29 2004-02-26 Babcock Hitachi Kk 水質浄化装置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キャビテーションリアクター用ノズ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5A (ko) 1973-05-11 1975-01-09
JPH0347648U (ko) * 1989-09-12 1991-05-02
EP0586912A2 (de) 1992-09-08 1994-03-16 MAN Nutzfahrzeuge Aktiengesellschaft Zerstäuberdüse
JPH06226146A (ja) * 1993-02-03 1994-08-16 Shineman:Kk ノズル
JP2004057936A (ja) 2002-07-29 2004-02-26 Babcock Hitachi Kk 水質浄化装置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キャビテーションリアクター用ノズ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747B1 (ko) * 2008-09-30 2011-04-19 (주)프로템 건조기의 플로팅 노즐
KR101831591B1 (ko) 2017-09-18 2018-02-23 고재능 케이싱의 절곡부 꺽임 안정성과 지지 내구성 증대 및 송풍 균등 분산 구조를 갖는 인쇄기용 플로팅 드라이어 노즐
KR102153294B1 (ko) 2019-08-07 2020-09-08 씨아이에스(주) 열풍 노즐이 구비된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612B1 (ko) 플로팅 노즐
KR20120113652A (ko) 다수의 스로트를 갖는 고효율의 유체 오실레이터
JPS5819025B2 (ja) ウエブを流体浮揚させる流体噴出ノズルボックスを有するウェブ処理装置
KR101998977B1 (ko) 방사형 격벽 구조의 점적 호스
JP4877567B2 (ja) 塗工装置
WO2020034937A1 (zh) 降膜式蒸发器
KR20110061557A (ko) 흡수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56155B1 (ko) 섬유 원단 코팅장치
CN111570106A (zh) 矩形风刀
CN111836685B (zh) 气体喷出喷嘴及炉、以及加工膜的制造方法
US20170205090A1 (en) Air-conditioner module and use thereof
KR100714250B1 (ko) 분체 도장부스
KR101029747B1 (ko) 건조기의 플로팅 노즐
JP4822013B2 (ja) 制振材塗布方法及び制振材塗布装置
TWI569879B (zh) nozzle
KR101728896B1 (ko) 에어나이프
US20190084380A1 (en) Defroster nozzle of vehicle generating vortex during discharging
CA2942479C (en) Vehicle air dryer
JP2878385B2 (ja) エゼクタ装置
CN219503351U (zh) 用于清洁摄像机的气嘴结构
KR102609580B1 (ko) 코팅필름 건조기용 노즐모듈
CN115354257B (zh) 一种气刀
JPS6034372Y2 (ja) 塗工機のドライヤ用ノズル装置
JP4129861B2 (ja) 塗工装置
WO2014049990A1 (ja) 手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