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056B1 - 세탁기의 해체 방법, 해체 장치, 재생 수지 및 수지 제품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해체 방법, 해체 장치, 재생 수지 및 수지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056B1
KR100713056B1 KR1020057022490A KR20057022490A KR100713056B1 KR 100713056 B1 KR100713056 B1 KR 100713056B1 KR 1020057022490 A KR1020057022490 A KR 1020057022490A KR 20057022490 A KR20057022490 A KR 20057022490A KR 100713056 B1 KR100713056 B1 KR 10071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shing machine
hook
open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814A (ko
Inventor
나오유끼 하라다
요오헤이 가와구찌
류우조 호리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2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having several platen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51Scrap recovering or utilizing
    • Y10T29/49755Separating one material from an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15Disassembling
    • Y10T29/49822Disassembling by applying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36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 Y10T29/5137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10T29/5304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including means to divert defective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087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 Y10T29/5309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signal, scale, illuminator, or optical viewer for work-holder for assembly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의 해체 방법은 수조(65)의 외측에 고정된 감속 기어 유닛(66)과, 수조(65)의 내부에 배치된 탈수조(12)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이며, 회전 샤프트(16)의 축 방향에 따라서 감속 기어 유닛(66)과 탈수조(12)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감속 기어 유닛(66)과 탈수조(12)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세탁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지를 높은 수율로 회수할 수 있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수조, 탈수조, 감속 기어 유닛, 회전 샤프트, 볼트

Description

세탁기의 해체 방법, 해체 장치, 재생 수지 및 수지 제품{WASHING MACHINE DISMANTLING METHOD AND DEVICE, REGENERATED RESIN, AND RESIN PRODU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해체 방법 및 해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재생 수지 및 수지 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세탁기로부터 수지를 취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세탁기의 구성 부품 중, 플라스틱 부품에 대해서는 그다지 재활용이 행해지고 있지 않았다. 최근, 플라스틱 부품에 대해서도 재활용이 행해지게 되어 왔다. 플라스틱 부품의 재활용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40037호 공보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부품을 분별 회수하여 재활용을 행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폐기된 제품으로부터 동일한 조성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동일한 부품을 분별회수하고, 플라스틱 부품을 분쇄한 후에 용융하여 재이용하는 방법이다.
일부의 재활용 공장에서는, 이 방법을 기초로 하여 세탁기의 재활용이 행해지고 있다. 세탁기를 수작업으로 해체하여 잔 부품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부품을 각각의 재료마다 분별한다. 플라스틱 부품에 대해서는, 각각의 플라스틱의 종류마다 분별한 후에, 파쇄 및 세정을 행하여 펠릿으로 한다. 이 펠릿을 다시 세탁기의 재료로서 이용하는 소위 동종간 재활용(horizontal recycle)이 실시되어 있다. 플라스틱 부품 중, 수조는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의 양이 많다. 이 수조에 관해서도 수작업으로 세탁기로부터 제거되어 있다.
도23에,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우징(20)의 상부에는 조작 패널 등이 배치되고,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수조(11) 등의 주요 부품이 배치된다. 수조(11)의 내부에는 탈수조(12)가 배치되어 있다. 세정수는 수조(11)의 내부에 충전되고, 세탁해야 할 의류는 탈수조(12)의 내부에 배치된다. 탈수조(12)의 바닥부에는 펄세이터(13, pulsator)가 배치되어 있다. 펄세이터(13)는 회전 샤프트(16)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 샤프트(16)는 감속 기어 유닛(14)에 연결되어 있다. 수조(11)의 바닥부에는 모터(21)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21)의 회전 연동은 벨트(24)를 통해 감속 기어 유닛(14)의 내부의 기어에 전해진다. 감속 기어 유닛(14)의 내부에서 감속된 회전 연동은 회전 샤프트(16)에 전해지고, 펄세이터(13)가 회전하여 세정수가 교반된다. 의류는, 교반되는 흐름에 따라 세탁된다. 의류의 탈수시에는, 탈수조(12) 및 펄세이터(13)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탈수조(12)가 회전하는 한편, 수조(11)는 세탁 중에도 회전하지 않는다. 수조(11)의 바닥부의 감속 기어 유닛(14)은 체결 볼트(23)에 의해 수조(11)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21)는 마찬가지로 수조(11)에 고정되어 있다. 감속 기어 유닛(14) 주위에는 수송 앵글(22)이 배치되어 있다. 수송 앵글(22)은 세탁기의 수송 중에 감속 기어 유닛(14)과 감속 기어 유닛(14)의 풀리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수송 앵글(22)은 감속 기어 유닛(14)을 둘러싸도록 띠 형상으 로 형성되고, 수조(11)에 비틀어 고정되어 있다.
재활용 공장에 있어서 세탁기를 분해할 때에는, 우선 하우징(20)으로부터 수조(11)를 취출한다. 이 시점에서는, 수조(11)에 탈수조(12), 펄세이터(13), 감속 기어 유닛(14) 및 모터(21) 등이 설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수송 앵글(22)을 제거한 후에 모터(21) 및 벨트(24)를 제거한다. 모터(21) 및 벨트(24)는 수조(11)에 부착되어 있는 모터 고정용의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된다. 또한, 체결 볼트(23)가 제거된다. 수조의 바닥부에는 모터, 감속 기어 유닛, 감속 기어 프레임 및 수송 앵글 외에, 전자 밸브, 배선류 및 호스류 등이 배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하우징(20)으로부터 수조(11)를 취출한 후, 적어도 수송 앵글(22), 모터(21) 및 벨트(24)를 제거하거나 또한 체결 볼트(23)를 제외한 것을「수조 유닛」이라 한다.
도24에, 수조 유닛(1)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수조(11)는 상측이 개구한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조(11)의 내부에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탈수조(12)가 형성되어 있다. 탈수조(12)의 하부에 배치된 펄세이터(13)는 평면 형상의 것이 형성되어 있다. 즉, 회전축의 방향의 길이보다 바닥부에 있어서의 외경 쪽이 긴 펄세이터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샤프트(16)는 탈수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탈수조 회전 샤프트(16a)와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펄세이터 회전 샤프트(16b)를 포함한다. 펄세이터 회전 샤프트(16b)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펄세이터 회전 샤프트를 둘러싸도록 탈수조 회전 샤프트(16a)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펄세이터(13)는 펄세이터 고정 나사(18)에 의해, 펄세 이터 회전 샤프트(16b)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 샤프트(16)는 탈수조(12) 및 수조(11)를 관통하여 수조(11)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있는 감속 기어 유닛(14)에 접속되어 있다. 탈수조(12)의 관통부에는 탈수조 플랜지(19)가 설치되어 있다. 탈수조 고정 너트(17)에 의해, 탈수조 플랜지(19)와 탈수조 회전 샤프트(16a)가 고정되어 있다. 감속 기어 유닛(14)은 평판부(10)를 포함한다. 평판부(10)는 수조(11)의 바닥부에 고정된 감속 기어 프레임(15)에 체결 볼트로 고정되어 있던 부분이다. 감속 기어 프레임(15)은 볼록 형상을 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10)와 수조(11)의 바닥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감속 기어 유닛(14)은, 일부가 수조(11)에 끼워 넣어지도록 고정되어 있다.
수조 유닛(1)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펄세이터(13)의 상부에 체결 부착되어 있는 펄세이터 고정 나사(18)를 풀어 제거한다. 이 후에, 펄세이터(13)를 탈수조(12)의 내부로부터 취출한다. 다음에, 탈수조(12)와 탈수조 회전 샤프트(16a)를 결합하고 있는 탈수조 고정 너트(17)를 제거하여 탈수조(12)를 수조(11)로부터 취출한다. 세탁기의 구조에 따라서는, 탈수조(12)를 관통하고 있는 회전 샤프트(16)에 충격력을 가함으로써 탈수조(12)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수조 유닛으로부터 펄세이터(13) 및 탈수조(12)를 분리시킬 수 있다. 탈수조(12)가 제거된 회전 샤프트(16)는 막대 형상이기 때문에, 감속 기어 유닛(14)과 회전 샤프트(16)가 일체화된 것을, 수조(11)로부터 도면 중 하측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후에, 주위에 부속되어 있는 부품을 제거하여 수조(11)만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 대해서는, 세탁기의 일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구조를 갖는 세탁기의 해체에 대해서도, 수조만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구조상의 이유로부터 펄세이터, 탈수조 및 회전 샤프트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을 완전히 분해하여 펄세이터 및 탈수조를 먼저 수조로부터 취출할 필요가 있었다. 수작업과는 다른 기계적인 해체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9-300127호 공보에 수조의 몸통 부재의 주위 방향에 대해 기계적으로 절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재활용을 행하는 세탁기의 제조 메이커나 제조된 년은, 각각의 세탁기에 의해 서로 다르다. 제조 메이커나 제조된 년이 다르, 세탁기의 구조도 다르고, 그 중에는 수작업으로 해체하기 어려운 것이 있다. 또한 세탁기의 사용 연수는 몇 년으로부터 20년 이상의 것까지 있고, 녹이나 물때가 발생하여 수작업으로 해체하기 어려운 것이 있다. 또한, 세제 찌꺼기가 세탁기의 각 부위에 단단해져 버려 용이하게 해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펄세이터를 펄세이터 회전 샤프트에 고정하고 있는 펄세이터 고정 나사는 공구가 닿기 어렵고, 또한 보이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 이로 인해 특수한 공구가 필요하거나, 비틀림 구멍에 공구를 합하는 데 시간이 걸리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펄세이터와 펄세이터 회전 샤프트와의 결합부나 펄세이터의 베어링부의 재질 및 사용 연수에 따라서는, 펄세이터 고정 나사를 제거한 후에도, 녹이나 물때에 의해 펄세이터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조 유닛의 개구하고 있는 측을 밑을 향해 바닥에 내리치거나 막대를 이용하여 펄세이터 자체를 파괴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해체를 하고 있었다. 펄세 이터가 탈수조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탈수조 고정 너트의 양쪽 변의 치수는 38 ㎜ 내지 41 ㎜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탈수조 고정 너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특수 공구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탈수조 고정 너트는 탈수조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공구가 매우 닿기 어렵고, 탈수조가 세탁기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작업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회전 샤프트와 탈수조 플랜지 사이에 물때나 세제때 등이 부착되어 수조로부터 탈수조를 취출하는 데 매우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수작업의 해체에 있어서는 많은 노동력과 긴 시간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시간이 너무나 걸리는 경우에는 해체를 단념하여 재활용을 행하는 일 없이 파쇄하여 폐기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300127호 공보에 개시된 기계적인 절단 방법을 이용하면, 탈수조와 회전 샤프트와의 결합을 해제하지 않고 수조를 취출할 수 있다. 그러나, 절단은 수조의 주위 방향을 포함하는 일면에서 행해진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수조의 전체 중량의 50 내지 70 % 정도밖에 플라스틱을 회수할 수 없었다. 또한 수조가 커지면 커질수록 회수율이 작아진다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지를 높은 수율로 회수할 수 있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품질의 재생 수지 및 수지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의 제1 국면에서는, 수조에 고정된 감속 기어 유닛을 수조로부터 분리시키는 기어 유닛 제거 공정을 포함하고, 기어 유닛 제거 공정은 감속 기어 유닛을 탈수조 회전 샤프트로부터 쉽게 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수조와 탈수조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해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수조의 재료를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의 제2 국면에서는, 수조에 고정된 감속 기어 유닛을 수조로부터 분리시키는 기어 유닛 제거 공정을 포함하고, 기어 유닛 제거 공정은 수조의 내부에 배치된 탈수조를 탈수조 회전 샤프트에 고정하기 위한 탈수조 플랜지를 분단시키면서, 감속 기어 유닛 및 탈수조 회전 샤프트를 수조로부터 인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수조와 탈수조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해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수조의 재료를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세탁기로서, 바닥부에 있어서의 외경으로부터 회전축 방향의 길이 쪽이 긴 펄세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는 경우,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상기의 효과가 현저해진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의 제1 국면에서는 감속 기어 유닛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수단과, 보유 지지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과, 감속 기어 유닛을 보유 지지한 보유 지지 수단을 이동할 때에 수조의 이동을 억지하기 위한 이동 억지 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수조와 탈수조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해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수조의 재료를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보유 지지 수단은 프레임의 상부에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개폐 갈고리를 포함하고, 이동 수단은 개폐 갈고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이동 억지 수단은 하측 방향으로 수조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판을 포함한다. 또한, 압박판은 프레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주지의 부품을 이용하여 해체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의 제3 국면에서는 수지로 형성된 용기와, 용기의 내부에서 회전 연동을 행하는 피구동부와, 피구동부에 연결봉를 통해 접속되고, 용기의 외측에 배치된 구동부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이며, 연결봉의 축 방향에 따라서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구동부와 피구동부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해제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수지를 높은 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해제 공정은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거나 압박하거나 또는 걸쳐, 피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거나 압박하거나 또는 걸쳐,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서로 멀리하도록 행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해제 공정은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거나 압박하거나 또는 걸쳐 용기를 보유 지지하거나 압박하거나 또는 걸쳐, 구동부와 용기를 서로 멀리하도록 행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해제 공정은 선단부가 막대 형상 또는 선단부가 판 형상의 부재를 구동부에 걸쳐 상기의 부재에 힘을 가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좁은 간극 등을 이용하여 구동부를 걸칠 수 있다. 또한, 선단부가 판 형상의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구동부와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커져 안정적으로 구동부를 걸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수조를 포함하고, 구동부는 적어도 모터 또는 감속 기어 유닛 중 어느 한 쪽을 포함하고, 피구동부는 적어도 탈수조 또는 펄세이터 중 어느 한 쪽을 포함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수조의 수지를 고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해제 공정 전에 용기와 구동부가 접촉하여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용기와 구동부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공정, 용기와 구동부가 금속 부품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금속 부품과 구동부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공정 및 금속 부품과 용기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해제 공정에 있어서 분리되는 부품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해제 공정 후에 구동부로부터 누출된 오일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회수한 수지를 고품질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의 제2 국면에서는 수지로 형성된 용기와, 용기의 내부에서 회전 연동을 행하는 피구동부와, 피구동부에 연결봉를 통해 접속되고, 용기의 외측에 배치된 구동부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이며, 연결봉의 축 방향에 따라서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분리 수단을 포함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수지를 고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분리 수단은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과, 피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피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과,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및 피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중 적어도 한 쪽을 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또는, 분리 수단은 구동부를 걸치기 위한 구동부 계지 수단과, 피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피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과, 구동부 계지 수단 및 피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중 적어도 한 쪽을 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또는, 분리 수단은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과, 용기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용기 보유 지지 수단과,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및 용기 보유 지지 수단 중 적어도 한 쪽을 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3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것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분리 수단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분리 수단은 구동부를 걸치기 위한 구동부 계지 수단과, 용기를 압박하기 위한 용기 압박 수단과, 구동부 계지 수단 및 용기 압박 수단 중 적어도 한 쪽을 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4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분리 수단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용기 압박 수단은 축 방향 중 한 쪽의 방향으로 용기를 압박하도록 형성되고, 구동부 계지 수단은 한 쪽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분리 수단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용기 압박 수단은 배치되어야 할 용기의 바닥부를 압박하도록 형성된 압박 막대를 포함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용기 압박 수단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압박 막대는 바닥부를 압박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종류의 세탁기에 대해 세탁기의 해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압박 막대의 바닥부를 압박하는 부분에 평면 형상이 부채형의 압박판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용기를 압박하는 부분에 리브 등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금속 부품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으로, 압박판을 배치하는 영역이 작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용기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용기와의 접촉 면적이 커져 용기를 안정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또는 구동부 계지 수단이 상부에 형성되고,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또는 구동부 계지 수단은 구동부가 상측이 되도록 용기가 배치되었을 때, 구동부의 상방으로부터 보유 지지 또는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세탁기를 해체할 때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피해체물을 배치하기 위한 설치대를 구비하고, 설치대는 탑재면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구동부 계지 수단을 용이하게 구동부에 걸치거나,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으로 용이하게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구동부 계지 수단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 갈고리를 포함하고, 개폐 갈고리는 구동부를 걸치기 위한 선단부를 갖는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구동부 계지 수단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걸친 구동부 계지 수단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선단부는 제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종류의 세탁기에 대해 안정된 해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가 파손된 경우 등의 선단부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에, 선단부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구동부 계지 수단은 개폐 갈고리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개폐 갈고리를 압박하기 위한 갈고리 구동부를 포함하고, 갈고리 구동부는 개폐 갈고리에 연결 고정되지 않고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개폐 갈고리를 일정한 힘으로 폐쇄할 수 있고, 또한 원격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개폐 갈고리에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져도 갈고리 구동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분리 수단은 힘이 670 ㎏ 이상 940 ㎏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대부분의 세탁기를 해체할 수 있고, 또한 분리 수단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거나 고액이 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분리 수단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비산 방지판을 구비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세탁기의 부품 등이 갑자기 비산하였다고 해도 주위에 있는 작업자를 손상시키거나 주위의 기기를 파손시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재생 수지는, 상술의 세탁기의 해체 장치를 이용하여 회수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품질이 높은 재생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수지 제품은, 상기의 재생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품질이 높은 수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해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1b는 도1a에 있어서의 IB-IB선에 관한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에 있어서의 제l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3은 개폐 갈고리로 감속 기어 유닛을 보유 지지하는 상태의 제1 설명도이 다.
도4는 개폐 갈고리로 감속 기어 유닛을 보유 지지하는 상태의 제2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에 있어서의 제2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에 있어서의 제3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7은 감속 기어 유닛을 수조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제1 설명도이다.
도8은 감속 기어 유닛을 수조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제2 설명도이다.
도9는 돌기 형태의 펄세이터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의 개폐 갈고리의 확대도이다.
도13a 및 도13b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 갈고리의 선단부의 설명도이다.
도1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용기 압박 수단의 설명도이다.
도1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1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1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 갈고리로 감속 기어 유닛을 걸칠 때의 설명도이다.
도1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1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하나의 해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2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다른 해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21은 강판제의 탈수조 플랜지의 세탁기를 해체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22는 알루미늄제의 탈수조 플랜지의 세탁기를 해체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23은 세탁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24는 세탁기의 수조 유닛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처음에, 도21 및 도22를 참조하여 본 출원인이 검토한 세탁기를 해체할 때 세탁기의 구조에 의존하는 해체 특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21은 탈수조 플랜지가 강판제의 세탁기를 해체할 때의 단면도이며, 도22는 탈수조 플랜지가 알루미늄제의 세탁기를 해체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21에 있어서의 세탁기 및 도22에 있어서의 세탁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수조(65)의 내측에 탈수조(12)가 배치되고, 수조(65)의 외측에 구동부 유닛으로서 감속 기어 유닛(66)과 감속 기어 프레임(217, 218)이 배치되어 있다. 탈수조(12)와 감속 기어 유닛(66)과는 회전 샤프트(215, 216)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수조, 회전 샤프트 및 구동부를 구비하는 해체 유닛으로부터 수조를 손상시 키지 않고 100 % 회수하기 위해서는, 탈수조와 구동부 유닛과 회전 샤프트에 의해 연결된 부분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연결 부분을 해제하면 좋다.
출원인은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으로서, 탈수조로부터 구동부 유닛을 회전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분리시키거나 구동부 유닛으로부터 탈수조를 회전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것 중, 출원인은 수조의 바닥면을 압박한 상태에서 구동부 유닛을 끌어 올려 탈수조와 구동부 유닛을 분리시킨 방법에 대해, 해체시에 해체 유닛에 어떠한 현상이 생기는지를 검증하였다.
현재, 가전 재활용 플랜트에 입하되는 세탁기는 탈수조 플랜지가 강판제의 세탁기와 알루미늄제의 세탁기로 크게 구별된다. 각각 세탁기의 구조를 비교하면, 탈수조의 회전 샤프트로의 부착 구조와 베어링의 부착 구조가 다르다.
도21에 탈수조 플랜지가 강판제인 대표적인 세탁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세탁기에 있어서는 회전 샤프트(215)가 탈수조 회전 샤프트(215a) 및 펄세이터 회전 샤프트(215b)를 포함하고, 탈수조 회전 샤프트(215a)에 강판제의 탈수조 플랜지(202)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 샤프트(215)의 측면에는 나사 체결 플랜지(204)가 형성되어 있다. 탈수조 플랜지(202)는 볼트(206)에 의해, 나사 체결 플랜지(204)에 고정되어 있다. 탈수조 플랜지(202)는 볼트(205)에 의해 탈수조(12)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201)은 감속 기어 프레임(217)의 외측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다.
도22에 탈수조 플랜지가 알루미늄제인 대표적인 세탁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 세탁기에 있어서는 회전 샤프트(216)가 탈수조 회전 샤프트(216a) 및 펄세이터 회전 샤프트(216b)를 포함한다. 탈수조 회전 샤프트(216a)에 알루미늄제의 탈수조 플랜지(203)가 고정되어 있다. 탈수조 플랜지(203)는 회전 샤프트(216)에 형성된 D 커트부에 끼워 넣고, 탈수조 고정 너트(17)로 고정되어 있다. 탈수조 플랜지(203)는 볼트(207)에 의해 탈수조(12)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201)은 감속 기어 프레임(218) 내측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다.
도21 및 도22에 있어서는, 감속 기어 유닛(66)과 감속 기어 프레임(217, 218)을 포함하는 구동부 유닛을 걸침 갈고리(210)로 걸쳐 수조(65)로부터 회전 샤프트(215, 216)의 축 방향으로 구동부 유닛을 끌어 올리고 있다. 구동부 유닛은 화살표 250의 방향으로 끌어 올리는 한편, 수조(65)는 움직이지 않도록 바닥면이 화살표 250과 반대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 유닛을 걸침 갈고리로 걸쳐 수조를 압박하면서 걸침 갈고리를 끌어 올림으로써, 구동부 유닛으로부터 탈수조 바닥부에 이르기까지의 영역 R1 내지 R6의 각각 내부 응력이 발생한다. 걸침 갈고리를 더 강한 힘에 의해 끌어 올리면, 이러한 영역 중 가장 취약한 부위가 파손된다.
도21을 참조하여, 탈수조 플랜지가 강판제의 세탁기인 경우, 내부 응력이 발생하는 영역에 있어서, 강도의 순위는 대강 이하의 식 (1)과 같다.
R3 < R1, R2a, R2b < R4 << R6 < R5 … (1)
각각의 영역에 생긴 응력에 의해 각각의 영역이 파손된 경우의 분리 상태는, 표 1과 같게 된다. 수조의 회수율 확보와 작업 부담 경감의 견지로부터, 화살표 A 또는 B의 위치를 압박하여 영역 R3의 파손을 회피하는 형태로 분리하면 좋다. 이와 같이 분리한 대부분의 경우, 파손 부위는 영역 R1 또한 영역 R2a, 또는 영역 R1 또한 영역 R2b 중 어느 하나이다. 영역 R5 또는 영역 R6이 파손되는 일은 거의 없다.
[표 1]
내부 응력의 발생 영역과 분리 상태(탈수조 플랜지가 강판제인 경우)
영역 힘을 계속해서 가해 해당하는 영역이 파손될 때 분리 상태
R1, R2a, R2b 회전 샤프트와 베어링 내주면과의 결합력(영역 R2a의 결합력)이 감속 기어 프레임과 베어링 외주면과의 결합력(영역 R2b의 결합력)보다도 약할 때, 베어링 및 감속 기어 프레임으로부터 회전 샤프트가 빠져 수조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회전 샤프트와 베어링 내주면과의 결합력(영역 R2a의 결합력)이 감속 기어 프레임과 베어링 외주면과의 결합력(영역 R2b의 결합력)보다도 강할 때, 베어링이 회전 샤프트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회전 샤프트가 감속 기어 유닛으로부터 빠진다. 수조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베어링을 회전 샤프트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해진다.
R3 수조의 바닥부가 깨져 탈수조, 탈수조 플랜지, 회전 샤프트 및 감속 기어 유닛이 일체적인 상태에서 수조로부터 인발된다. 이 때 수조의 바닥부의 일부가 감속 기어 유닛에 서로 맞물려 수조 본체로부터 찢겨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결과, 수조의 수지의 회수량이 현저하게 저하되거나, 수조의 파손 부분을 별도로 분리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거나 한다.
R4 탈수조 플랜지와 탈수조를 체결하고 있는 나사 자체가 파손되는 일은 없지만, 탈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나사가 인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동부 유닛의 끌어 올림을 계속하면, 통상은 수조의 바닥부(영역 R3)가 파손되어 감속 기어 유닛, 회전 샤프트 및 탈수조 플랜지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수조로부터 분리된다.
R5 탈수조 플랜지에 전단력이 작용하여 탈수조 플랜지가 분단된다. 이 결과, 회전 샤프트에 탈수조 플랜지의 일부가 접합한 상태에서, 또한 회전 샤프트와 감속 기어 유닛이 끼워 맞춘 상태에서 수조로부터 분리된다. 단, 탈수조 플랜지는 견고하기 때문에, 영역 R5가 파손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R6 탈수조 플랜지와 회전 샤프트를 체결하고 있는 나사가 파손되어 탈수조 플랜지와 회전 샤프트가 분리된다. 회전 샤프트와 감속 기어 유닛이 끼워 맞춘 상태에서 수조로부터 분리된다. 단, 체결 나사는 견고하기 때문에, 영역 R6이 파손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도22를 참조하여, 탈수조 플랜지가 알루미늄제의 세탁기인 경우, 내부 응력이 발생하는 영역에 있어서, 강도의 순위는 대강 이하의 식 (2)와 같다.
R3 < R1, R2a, R5 < R4 << R6 … (2)
각각의 영역에 생긴 응력에 의해 각각의 영역이 파손된 경우의 분리 상태는, 표 2와 같게 된다. 강판제 플랜지일 때와 마찬가지로, 영역 R3의 파손을 회피하는 형태로 분리된 대부분의 경우, 파손 부위는 영역 R1 또한 영역 R2a, 또는 영역 R5 중 어느 하나이다. 영역 R6이 파손되는 일은 거의 없다.
[표 2] 내부 응력의 발생 영역과 분리 상태(탈수조 플랜지가 알루미늄제인 경우)
영역 힘을 계속하여 가해 해당하는 영역이 파손될 때의 분리 상태
R1, R2a, R5 탈수조 플랜지의 응력 집중 영역(영역 R5)이, 회전 샤프트와 감속 기어 유닛과의 결합력(영역 R1의 결합력) 및 회전 샤프트와 베어링 내주면과의 결합력(영역 R2a의 결합력)의 양쪽보다도 강할 때, 영역 R1 또한 영역 R2a가 파손된다. 반대로, 회전 샤프트와 감속 기어 유닛과의 결합력(영역 R1의 결합력)과 회전 샤프트와 베어링 내주면의 결합력(영역 R2a의 결합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보다도 탈수조 플랜지의 응력 집중 영역(영역 R5)이 약할 때 영역 R5가 파손된다. 영역 R1 또한 영역 R2a가 파손되는 경우, 회전 샤프트가 베어링 및 감속 기어 프레임으로부터 빠져 수조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영역 R5가 파손된 경우, 탈수조 플랜지가 회전 샤프트의 근방으로 분단되어 회전 샤프트가 감속 기어 유닛에 끼워 맞춘 상태로 인발되어 수조를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R3 수조의 바닥부가 깨져 탈수조, 탈수조 플랜지, 회전 샤프트 및 감속 기어 유닛이 일체적인 상태에서 수조로부터 인발된다. 이 때 수조의 바닥부의 일부가 수조 본체로부터 찢겨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결과, 수조의 수지의 회수량이 현저하게 저하되거나 수조의 파손 부분을 별도로 분리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거나 한다.
R4 탈수조 플랜지와 탈수조를 체결하고 있는 나사 자체가 파손되는 것은 아니지만, 탈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나사가 인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동부 유닛의 끌어 올림을 계속하면, 통상은 수조의 바닥부(영역 R3)가 파손되고, 감속 기어 유닛, 회전 샤프트 및 탈수조 플랜지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수조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분리 상황에 따라서는 탈수조 플랜지의 응력 집중 영역(영역 R5)이 파손되고, 회전 샤프트가 감속 기어 유닛에 끼워 맞춘 상태로 인발되어 수조를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경우도 있다.
R6 탈수조 플랜지와 회전 샤프트를 체결하고 있는 나사가 파손되어 탈수조 플랜지와 회전 샤프트가 분리된다. 회전 샤프트와 감속 기어 유닛이 끼워 맞춘 상태에서 수조로부터 분리된다. 단, 체결 나사는 견고하기 때문에, 영역 R6이 파손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표 1 및 표 2로부터, 수조의 수지의 회수량을 많게 하거나 작업을 쉽게 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영역 R1 또한 영역 R2a를 파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수조 플랜지가 알루미늄제인 경우에는 영역 R5를 파손시킴으로써, 상기의 2개의 영역을 파손시켰을 때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수조의 바닥부를 압박하는 위치에 관해서는, 영역 R1 또한 영역 R2a 및 영역 R5(단, 영역 R5는 탈수조 플랜지가 알루미늄제인 경우만) 중, 어느 하나를 파손시키도록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1 및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의 압박 위치를 화살표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경우, 내부 응력의 발생 부위 및 주된 파손 부위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3] 수조의 압박 위치와 주된 파손 부위와의 관계
수조의 압박 위치 내부 응력 발생 부위 주된 파손 부위
화살표 A (탈수조 플랜지에 대향하는 위치) 영역 R1, 영역 R2a (베어링이 구동부 유닛의 외측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역 R2a 및 영역 R2b), 영역 R5, 영역 R6 영역 R1, 영역 R2a (베어링이 구동부 유닛의 외측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역 R2a 또는 영역 R2b), 또는, 탈수조 플랜지가 알루미늄제인 경우에는, 영역 R5
화살표 B (탈수조의 바닥면에 대향하여 탈수조 플랜지에는 대향하지 않은 위치) 영역 R1, 영역 R2a (베어링이 구동부 유닛의 외측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역 R2a 및 영역 R2b), 영역 R4, 영역 R5, 영역 R6 영역 R1, 영역 R2a (베어링이 구동부 유닛의 외측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역 R2a 또는 영역 R2b), 영역 R4, 또는, 탈수조 플랜지가 알루미늄제인 경우에는, 영역 R5
화살표 C (탈수조의 바닥면에 대향하지 않은 위치) 영역 R1, 영역 R2a (베어링이 구동부 유닛의 외측으로부터 압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역 R2a 및 영역 R2b), 영역 R3, 영역 R4, 영역 R5, 영역 R6 영역 R3
표 3으로부터, 영역 R3 또는 영역 R4(결과적으로 영역 R3의 파손에 이어짐)가 파손 부위로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화살표 A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수조의 바닥면을 압박하는 것이 가장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탈수조 플랜지의 바닥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수조의 바닥면을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에서는 대표적인 것으로 하여, 알루미늄제의 탈수조 플랜지에는 감속 기어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베어링이 압입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알루미늄제인 것이라도 감속 기어 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강판제인 것이라도 감속 기어 프레임의 내측으로부터 베어링이 압입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베어링이 감속 기어 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압입되어 있으면, 영역 R2a와 영역 R2b와의 양쪽, 내측으로부터 압입되어 있으면, 영역 R2a만을 고려하면 좋다. 베어링과 감속 기어 프레임과의 결합 부분에 있어서의 내부 응력의 발생 부위는 탈수조 플랜지의 재질에 관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베어링이 감속 기어 프레임에 압입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베어링은 구동부 유닛, 즉 감속 기어 유닛 또는 감속 기어 프레임에 압입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의 검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수조를 파손시키지 않고, 구동부 유닛으로부터 회전 샤프트를 인발할 수 있는 해체 장치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해체 유닛의 구조에 의존하여 해체시에 생기는 내부 응력의 발생 부위를 고려한 결과, 수조를 분리 및 회수하는 데 적합한 해체 장치를 발명하는 것에 이르렀다. 이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a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해체 방법 및 해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세탁기의 구조에 대해서는, 배경 기술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세탁기는 케이싱의 내부에 수조가 형성되고, 또한 수조의 내부에는 탈수조가 형성되어 있다. 탈수조는 회전 샤프트를 통해 수조와 결합되어 있다. 수조에는 감속 기어 유닛이나 모터 등이 고정되어 있다. 세탁기의 해체에 있어서, 처음에 하우징으로부터 수조 유닛을 취출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해체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도1a 및 도1b에,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1a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해체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1b는 도1a에 있어서의 IB-IB선에 관한 화살표 단면도이다. 해체 장치는, 각 구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34)을 구비한다. 프레임(34)은 메인 프레임으로서 측판(35) 및 배면판(38)을 포함한다. 프레임(34)의 상부에는 천정판(36)이 배치되고, 또한 프레임(34)의 하부에는 바닥판(37)이 배치되어 있다. 천정판(36)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유압 실린더(33)가 배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33)는 보유 지지 수단으로서의 개폐 갈고리(32)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32)는 유압 실린더(33)가 구동됨으로써,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32)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 구동 기구를 갖고 있고, 개폐 갈고리(32)가 개방되거나 폐쇄되거나 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갈고리(32)는 2개의 갈고리로 형성되어 있지만, 보다 많은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측판(35)의 종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프레임(34)에 고정된 이동 억지 수단으 로서의 압박판(31)이 형성되어 있다. 압박판(31)은 주요 표면이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압박판(31)에는 절결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40)는 절결부(40)의 내측을 개폐 갈고리(32)를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박판(31)은 수조 유닛을 상하로 이동하였을 때에, 수조(11)의 바닥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압박판(31)의 하측에는 수조 유닛(1)을 적재하기 위해, 평판 형상의 설치대(30)가 형성되어 있다.
수조 유닛(1)은 세탁기의 하측이었던 감속 기어 유닛(14)이 형성되어 있는 측을 상측으로 하여 설치대(30)에 배치된다. 이 때, 감속 기어 유닛(14)의 바로 위에, 개폐 갈고리(32)가 배치되도록 수조 유닛(1)의 위치를 조정한다. 설치대(30)는 개폐 갈고리(32)로 감속 기어 유닛(14)을 보유 지지할 때에, 작업자로 부담이 가해지지 않는 적절한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설치대(30)는 세탁기의 크기에 따라서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승강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갈고리(32)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33)를 구동함으로써, 개폐 갈고리(32)를 화살표 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시킨다. 이후에, 개폐 갈고리(32)를 폐쇄함으로써, 개폐 갈고리(32)로 감속 기어 유닛(14)을 끼워 넣는다. 개폐 갈고리(32)가 하강될 때, 개폐 갈고리(32)는 압박판(31)의 절결부(40)의 내측을 통과한다.
도3은, 개폐 갈고리(32)가 감속 기어 유닛(14)을 끼울 때 확대 사시도이다. 감속 기어 유닛(14)에는 평판부(10)가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10)와 감속 기어 프레임(15)과의 간극에 개폐 갈고리(32)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끼워 넣음 으로써, 감속 기어 유닛(14)의 평판부(10)가 개폐 갈고리(32)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세탁기에는 감속 기어 유닛(14)의 바닥부의 단면 형상이 산 형태인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 기어 유닛(14)의 산 형태의 주위를 개폐 갈고리(32)로 직접 보유 지지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보유 지지 수단으로서 개폐 갈고리를 포함함으로써, 용이한 구조로 감속 기어 유닛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 여러 가지 크기나 종류의 감속 기어 유닛에 해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33)를 구동함으로써, 개폐 갈고리(32)를 화살표 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으로 끌어 올린다. 감속 기어 유닛(14)이 개폐 갈고리(32)로 들어 올려진 동시에, 수조(11) 및 탈수조(12)도 동시에 화살표 61의 방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감속 기어 유닛(14)이 보유 지지된 개폐 갈고리(32)는 압박판(31)의 절결부(40)의 내측을 통과한다. 어느 정도 들어 올려진 후에, 수조(11)의 바닥부가 압박판(31)에 접촉한다. 압박판(31)은 프레임(3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11) 상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압박판(31)은 수조(11)의 이동을 억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11)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감속 기어 유닛(14)을 계속해서 상측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감속 기어 유닛(14)과 수조(11)를 완전히 분리할 때에 분리시킬 수 있다. 감속 기어 유닛(14)은, 계속해서 개폐 갈고리(32)에 보유 지지된 상태이다. 분리된 수조(11)는 설치대(30)의 상측으로 낙하한다.
도7에, 감속 기어 유닛(14)과 수조(11)가 분리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 한다. 탈수조 회전 샤프트(16a)와 탈수조 플랜지(19)와는 접속된 상태이다. 펄세이터(13)는 펄세이터 회전 샤프트(16b)에 고정된 상태이다. 탈수조 회전 샤프트(16a)와 감속 기어 유닛(14)의 내부의 감속 기어와의 연결이 어긋나 감속 기어 유닛(14)을 탈수조 회전 샤프트(16a)로부터 인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압 실린더의 힘에 따라, 감속 기어 유닛과 회전 샤프트와의 결합부를 파괴하여 수조(11)로부터 감속 기어 유닛(14)만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분리된 회전 샤프트(16)는 탈수조(12)와 동시에 수조(11)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후에, 수조(11)에 배치되어 있는 금구나 호스류 등을 제거함으로써, 수조만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수조(11)에 사용되어 있던 플라스틱을 회수율 100 %로 회수할 수 있다.
감속 기어 유닛 제거 공정에 있어서, 부품의 부식 등이 원인으로 감속 기어 유닛과 회전 샤프트와의 결합이 강한 경우가 있다. 또는, 회전 샤프트(16)의 축 방향과 개폐 갈고리(32)의 인발 방향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인발 방향이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것이 원인으로, 탈수조 회전 샤프트(16a)가 감속 기어 유닛(14)으로부터 제거하지 않은 경우에서도,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조 회전 샤프트(16a)와 탈수조(12)를 결합하고 있는 탈수조 플랜지(19)가 분단됨으로써, 감속 기어 유닛(14)에 회전 샤프트(16)가 부착된 상태에서 감속 기어 유닛(14)을 수조(1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펄세이터(13)와 회전 샤프트(16)와의 결합 부분에 관해서는 펄세이터(13)의 결합부가 분단되거나 펄세이터 고정 나사(18)가 파괴됨으로써, 이 결합 부분을 파괴할 수 있다. 또는, 펄세이터 회전 샤프트(16b)는 탈수조 회전 샤프트(16a)로부터 인발되고, 펄세이터(13)와 동시에 탈수조측에 남아 있어도 좋다. 이들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수조(11)에 사용되어 있는 플라스틱을 회수율 100 %로 회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속 기어 유닛을 수조로부터 분리한 기어 유닛 제거 공정을 포함하고, 감속 기어 유닛을 탈수조 회전 샤프트로부터 인발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용이하게 수조와 탈수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세탁기의 해체 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작업원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수조를 거의 원형대로 취출함으로써, 수조의 재료인 플라스틱을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기어 유닛 제거 공정에 있어서, 탈수조에 탈수조 회전 샤프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탈수조 플랜지를 분단함으로써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세탁기의 해체 장치로서, 감속 기어 유닛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 수단과, 보유 지지 수단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과, 수조의 이동을 억지하기 위한 이동 억지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감속 기어를 용이하게 수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수조와 탈수조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수조의 재료를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또, 이동 수단에 유압 실린더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동 수단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충분한 인장력을 갖는 이동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한 압박판을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동 억지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펄세이터는 평면적인 형상을 하고 있다. 한편, 세탁기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한 형상을 갖는 펄세이터(13)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 펄세이터(13)는 바닥부에 있어서의 외경으로부터 회전축의 방향의 길이 쪽이 긴 형상을 하고 있다. 펄세이터는 회전축 상에 형성된 바닥부의 보스가 회전 샤프트에 끼워 맞추고, 펄세이터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펄세이터 회전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돌기하고 있는 형상을 갖는 펄세이터는, 예를 들어 내경이 ø50 ㎜, 높이가 450 ㎜ 정도의 큰 것이다. 이로 인해, 펄세이터 고정 나사(18)에 빛이 닿지 않고,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넣으면 펄세이터 고정 나사(18)가 공구의 그림자로 되어 버리기 때문에, 제거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또한, 세탁 찌꺼기가 펄세이터 고정 나사(18)를 덮고 있는 것이 많다. 이 경우에는, 펄세이터 고정 나사(18)의 형상의 판단을 알아차리는 것이 많았다. 본 발명은, 평면적인 형상의 펄세이터를 구비하는 세탁기보다도 대폭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펄세이터의 형상이 돌기 형상의 세탁기에 대해 매우 유효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유 지지 수단으로서 개폐 갈고리를 채용하고 있지만, 보유 지지 수단은 감속 기어 유닛을 보유 지지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개폐 갈고리 대신에 유압 클램프를 형성함으로써 감속 기어 유닛을 협지하는 보유 지지 장치를 형성해도 좋다. 또, 이동 수단으로서는 유압 실린더 대신에, 모터나 에어 실린더 등에 의한 이동 장치를 형성해도 좋다. 또, 이동 억지 수단은 압박판에 한정되지 않고, 감속 기어 유닛을 보유 지지 수단으로 잡아당길 때에, 수조의 이동을 멈출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감속 기어 유닛의 양측에 프레임과는 독립되어 형성된 막대 형상의 이동 억지 수단을 형성 해도 상관없다.
<제2 실시 형태>
도10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해체 장치, 세탁기의 해체 방법, 재생 수지 및 수지 제품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해체 장치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부분 단면도이다. 해체 장치는 바닥판(94)의 표면에 막대 형상의 프레임(97)과, 프레임(97)의 상부에 형성된 판 형상의 천정판(98)을 구비한다. 해체 장치의 각 기기는 바닥판(94), 프레임(97) 또는 천정판(98)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작업자(120)가 작업을 행하는 측과 반대측의 프레임(97)에는 판형의 배면판(96)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의 천정판(98)에는 구동부 계지 수단으로서의 개폐 갈고리(8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서, 유압 실린더(90)가 고정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90)는 개폐 갈고리(80)의 이동 방향이 연직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실린더(90)는 개폐 갈고리(80)를 45 ㎜/sec 이상 50 ㎜/sec 이하로 끌어 올릴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90)는 670 ㎏ 이상 940 ㎏ 이하의 범위 내에서 구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90)는 샤프트(91)를 포함한다. 샤프트(91)는 갈고리 지지 부재(83)와 연결되어 있다. 갈고리 지지 부재(83)는 개폐 갈고리(80)를 보유 지지한 다. 갈고리 지지 부재(83)는 유압 실린더(90)에 의한 샤프트(91)의 상하 방향의 동작을 개폐 갈고리(8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갈고리 지지 부재(83)는 작업자(120)가 서는 측과 반대측인 해체 장치의 후방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해체 장치의 후방측의 프레임(97) 및 천정판(98)에는 갈고리 지지 부재용 레일(84)이 고정되어 있다. 갈고리 지지 부재용 레일(84)은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 지지 부재(83)는 갈고리 지지 부재용 레일(84)과 끼워 맞추고, 갈고리 지지 부재용 레일(84)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연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즉, 갈고리 지지 부재(83)는 화살표 131에 나타내는 연직 방향으로 평행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 지지 부재(83)에는 구동부 계지 수단으로서의 개폐 갈고리(80)가 부착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80)는 해체 장치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80)는, 본 실시 형태의 피해체물로서의 해체 유닛(64)에 있어서, 구동부로서의 감속 기어 유닛(66)이 상측이 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측이 되도록 감속 기어 유닛(66)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개폐 갈고리(80)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80)는 해체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부터 감속 기어 유닛(66)을 끼워 넣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체 장치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개폐 갈고리(80)의 양측에는 개폐 갈고리(80)를 개폐시키기 위한 갈고리 구동부(82)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80)는 좌우 양측의 갈고리 단부가 화살표 132의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개폐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해체 장치의 하부에 있어서, 바닥판(94)의 상측에는 피해체물을 배치하기 위한 설치대(75)가 형성되어 있다. 설치대(75)는 개폐 갈고리(8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세탁기의 부재는 탑재면(76)에 배치된다. 설치대(75)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설치대(75)의 탑재면(76)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치대(75)는 연속적으로 탑재면(76)이 상승되는 제1 상승 제어 기능과, 미소 구간씩 탑재면(76)이 상승되는 소위 인칭으로 탑재면(76)이 상승되는 제2 상승 제어 기능을 갖는다.
도11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해체 장치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개폐 갈고리(80) 및 유압 실린더(90)는 해체 장치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폭 방향의 거의 중앙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해체 장치의 좌우 양측에는 프레임(97)이 형성되어 있다. 측방의 프레임(97)에는 측판 등의 판 형상의 부재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장치의 측방으로부터 프레임(97) 끼리의 사이를 통해 피해체물이 설치대(75)에 배치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해체 장치의 상부에 있어서, 천정판(98)에는 용기 압박 수단으로서의 압박 막대를 지지하기 위한 압박 막대 지지 부재(70)가 고정되어 있다. 압박 막대 지지 부재(70)는 길이 방향을 갖고, 이 길이 방향이 해체 장치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박 막대 지지 부재(70)에는 압박 막대용 레일(173)이 형성되어 있다. 압박 막대용 레일(173)은 길이 방향을 갖고, 이 길이 방향이 해체 장치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박 막대(71)는 개폐 갈고리(80)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압박 막대(71)는 상측의 단부가 압박 막대용 레일(173)에 끼워 맞추도록 형성되고, 화살표 130에 나타내는 해체 장치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박 막대(71)는 피해체물로서의 해체 유닛(64)의 바닥부를 압박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압박 막대(71)에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고정 수단이 형성되고, 압박 막대용 레일(173)에 있어서의 압박 막대(7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박 막대(71)의 선단부에는 압박판(7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용기 압박 수단은 압박 막대(71) 및 압박판(72)을 포함하고, 용기의 바닥부를 압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1을 참조하여, 개폐 갈고리(8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구성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용기 압박 수단은 용기를 하측으로 압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리 수단은 구동부 계지 수단과 용기 압박 수단을 포함하고, 구동부 계지 수단을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시키는 한편, 용기 압박 수단으로 용기를 압박함으로써, 연결봉의 축 방향에 따라서 구동부와 피구동부에 대해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도12에, 구동부 계지 수단으로서의 개폐 갈고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갈고리 지지 부재(83)의 하면에는 해체 장치의 전후 방향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갈고리 가동용 레일(81)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80)는 구동부와 접촉되는 부분인 갈고리 선단부(79), 갈고리 가동용 레일(81)에 끼워 맞추는 부분인 갈고 리 레일 끼워 맞춤부(86) 및 갈고리 선단부(79)와 갈고리 레일 끼워 맞춤부(86)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87)를 포함한다. 개폐 갈고리(80)는 갈고리 가동용 레일(81)에 따라서, 화살표 132의 방향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80)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수단이 접속되고, 개폐 갈고리(80)가 넓어지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갈고리 선단부(79)는 너트(87)를 제거함으로써, 교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12에 있어서, 개폐 갈고리(80)의 측방에는 갈고리 구동부(82)가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 구동부(82)는 개폐 갈고리(8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 구동부(82)는 개폐 갈고리(80)에 접촉되는 부분인 갈고리 압박부(85)를 포함한다. 갈고리 압박부(85)는 신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 압박부(85)는 평행 이동하는 막대 형상의 부재와, 개폐 갈고리(80)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의 평판 형상 부재(99)를 갖는다. 평판 형상 부재(99)는 주요 표면이 개폐 갈고리(80)에 접촉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80)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갈고리 압박부(85)가 신장되는 한편, 개폐 갈고리를 개방할 때에는 갈고리 압박부(85)가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80)는 상기의 스프링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평판 형상 부재(99)는 개폐 갈고리(80)에 항상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갈고리 압박부(85)는 개폐 갈고리(80)에 접속 고정되어 있지 않고, 평판 형상 부재(99)가 개폐 갈고리(80)에 면 접촉되어 있을 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 갈고리(80)에 있어서, 2개의 갈고리 선단부(79)끼리의 간격(128)은 개폐 갈고리를 최대한 으로 개방된 경우에 있어서, 180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3a 및 도13b는 갈고리 선단부의 설명도이며, 갈고리 레일 끼워 맞춤부로부터 제거된 도면이다. 도13a는 갈고리 선단부의 측면도, 도13b는 갈고리 선단부의 상면도이다. 갈고리 선단부(79)는 나사골을 내는 일이 실시된 막대를 나사 넣기 위한 암 나사부(88)와, 구동부와 접촉되는 부분인 접촉부(89)를 포함한다. 접촉부(89)는 해체 장치의 내측을 향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갈고리 레일 끼워 맞춤부에 부착하였을 때에, 접촉부(89)의 주요 표면이 수평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 선단부(79)는 기계 구조용 탄소강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89)는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갈고리 선단부의 최대의 폭(125)은 40 ㎜이다. 또한, 갈고리 선단부(79)의 높이(127)는 104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갈고리 선단부의 접촉부(89)의 두께(126)는 16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4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박 막대의 선단부의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압박 막대(71)의 선단부에는 압박 막대(71)의 축 방향에 대해 주요 표면이 수직으로 되도록 압박판(72)이 형성되어 있다. 압박판(72)은 평면 형상이 거의 부채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박판(72)의 하측에는 해제 공정에 있어서 수조가 미끄러져 어긋나지 않도록 셀렉션 부재(77)가 형성되어 있다. 셀렉션 부재(77)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수조와의 접촉면에 셀렉션 형상(톱 형상)의 요철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압박판과 수조와의 접촉면에는 수조와 압 박판이 미끄러지지 않는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에 있어서, 압박판(72)은 평면 형상의 부채형이 짧은 원호와 긴 원호 중 짧은 원호가 개폐 갈고리(80)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에는 프레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비산 방지판이 형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비산 방지판은 주요 표면이 연직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복수매의 판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비산 방지판은 높이가 프레임의 높이와 대략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는 해제 공정 완료 후에 개폐 갈고리를 개방하였을 때에도, 구동부가 낙하하지 않도록 구동부 낙하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부 낙하 방지 수단은 프레임에 고정된 금속 와이어와, 금속 와이어의 단부 중 프레임에 고정된 측과 반대측에 고정된 구동부에 착탈 가능한 부재를 포함한다. 금속 와이어는 해체를 행하는 경우에 상기의 착탈 가능한 부재를 구동부에 부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 와이어는 해제 공정이 종료되었을 때에, 구동부가 낙하하여 구동부가 설치대에 도달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세탁기의 해체에 있어서, 처음에 하우징으로부터 해체 유닛을 취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해체 유닛」이라 함은, 하우징으로부터 취출하였을 때 용기에 부속 부품이 부착된 상태의 피해체물 또는 취출한 피해체물에 부속되는 부품 중 일부의 부품을 제거한 피해체물을 말한다.
도15에 본 실시 형태의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의 대상이 되는 부재로서의 일반적인 해체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해체 유닛(64)은 수지로 형성된 용기로서의 수조(65)와, 수조(65)의 내부에서 회전 연동을 행하는 피구동부로서의 탈수조(12)와, 수조(65)의 외측에 배치된 구동부로서의 감속 기어 유닛(66)을 구비한다. 감속 기어 유닛(66)과 탈수조(12)와는 연결봉로서의 회전 샤프트(1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감속 기어 유닛(66)과 수조(65) 사이에는 수조(65)에 대해 감속 기어 유닛(66)을 접속하기 위한 감속 기어 프레임(67)이 형성되어 있다. 감속 기어 프레임(67)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속 기어 프레임(67)은 볼트(122)에 의해 수조(6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감속 기어 유닛(66)은 볼트(121)에 의해, 감속 기어 프레임(67)에 결합되어 있다. 감속 기어 유닛(66)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던 모터 및 모터의 회전을 감속 기어 유닛(66)에 전하기 위한 벨트 등은 제거되어 있다. 또, 부호의 구성에 관해서는 배경 기술에 나타낸 수조 유닛의 부호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며, 해체 유닛의 상기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처음에 볼트(122)를 제거하여 감속 기어 프레임(67)과 수조(65)와의 접속을 해제한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후의 해제 공정에 있어서 금속 부품인 감속 기어 유닛(66)과 금속 부품인 감속 기어 프레임(67)을 일체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수지로 형성된 수조(65)로부터 금속으로 형성된 부품을 한 번에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다음에,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대(75)의 탑재면(76)에 해체 유닛(64)을 배치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120)는 해체 장치의 전방 측에 서서 작업을 행한다.
해체 유닛(64)을 해체 장치에 배치할 때에는, 해체 장치의 측방 중 한 쪽으로부터 반입하여 해체 후에 반대측으로 불출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해체 유닛의 반입 및 불출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전방측의 막대 형상의 프레임(97)과 후방측의 막대 형상의 프레임(97) 사이에서 해체 유닛(64)을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다(도10 참조).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는 해체 장치의 측방 중 한 쪽으로부터 반입하여 해체 후에 반대측으로 불출을 행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피해체물의 반출입을 행할 수 있다.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체 유닛(64)을 설치대(75)에 배치할 때에는, 설치대(75)를 가장 줄어들게 한 상태로 한다. 탑재면(76)은 가장 낮은 위치가 된다. 해체 유닛은 12 내지 20 ㎏의 중량이지만, 탑재면(76)이 낮아짐으로써 용이하게 해체 유닛(64)을 설치대(75)에 탑재할 수 있다.
해체 유닛(64)의 배치에 있어서는 감속 기어 유닛(66)이 상측이 되도록 배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의 개폐 갈고리(80)는 감속 기어 유닛(66)의 상방으로부터 감속 기어 유닛(66)을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개폐 갈고리(80)는 하측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를 상측으로 하여 해체 장치에 배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설치대에 해체 유닛을 배치하였을 때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후의 공정에 있어서의 설치대의 탑재면의 높이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개폐 갈고리가 작업자의 눈 높이와 대략 같게 되기 때문에, 탑재면에 있어서의 해체 유닛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탑재면(76)에 있어서의 해체 유닛(64)의 위치는 감속 기어 유닛(66)이 개폐 갈고리(80)의 대략 바로 아래가 되도록 한다. 이 때의 위치 조정은 거친 것으로 좋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탑재면(76)에 그려진 동심원에 대해 해체 유닛(64)의 개구부의 단부를 합하도록 하여 위치 조정을 행하고 있다. 이 위치 조정에 있어서는 해체 유닛(64)을 양손으로 보유 지지하여 탑재면(76)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행한다.
다음에,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대(75)를 상승시켜 감속 기어 유닛(66)과 개폐 갈고리(80)를 근접한 후에, 개폐 갈고리(80)를 감속 기어 유닛(66)에 걸친다. 설치대(75)의 탑재면(76)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유압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설치대를 형성하는 대신에 유압 실린더 및 개폐 갈고리를 일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에 있어서는, 연속적으로 탑재면(76)이 상승되는 제1 상승 제어 기능을 구비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감속 기어 유닛(66)이 개폐 갈고리(80)의 근접하게 되기까지 빠르게 탑재면(76)을 상승시킬 수 있어, 개폐 갈고리(80)와 감속 기어 유닛(66)과의 높이를 합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감속 기어 유닛(66)이 개폐 갈고리(80)의 부근까지 도달하면, 탑재면(76)에 있어서의 해체 유닛(64)의 수평 방향의 위치의 미조정을 행한다. 다음에, 미소 구간씩 탑재면(76)이 상승되는 제2 상승 제어 기능을 이용하여, 탑재면(76)을 상승시켜 개폐 갈고리(80)에 대해 감속 기어 유닛(66)의 높이를 미조정한다. 이와 같이, 제2 상승 제어 기능을 가짐으로써, 용이하게 높이의 미조정을 행하는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탑재면(76)에 있어서의 해체 유닛(64)의 수평 방향의 위치 조정은 탑재면(76)을 상승시키면서 행해도 좋다.
설치대에 대해서는, 제1 상승 기능을 이용하여 탑재면(76)을 상승시킬 때에, 상한에 있어서 상승이 정지되는 상승 리미트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제1 상승 기능으로 탑재면(76)을 지나치게 올려, 개폐 갈고리(80)와 감속 기어 유닛(66)이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탑재면의 높이의 조정이 완료되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갈고리의 갈고리 선단부(79)를 감속 기어 유닛(66)에 걸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감속 기어 유닛(66)과 감속 기어 프레임(67)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에, 화살표 1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갈고리 선단부(79)의 접촉부(89)를 삽입한다. 도12를 참조하여, 개폐 갈고리의 이동은 갈고리 구동부(82)를 구동함으로써 행한다. 갈고리 구동부(82)를 구동하여 갈고리 압박부(85)를 신장함으로써, 갈고리 선단부(79)끼리의 간격(128)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갈고리 구동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일정한 힘으로 개폐 갈고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작이 가능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적절한 위치로 해체 유닛의 바닥부를 압박할 수 있게 압박 막대(71)의 위치를 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박 막대(71)는 각각이 해체 장치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도11 참조). 해체 장치의 폭 방향으로 압박 막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작업자로부터 보았을 때에 압박 막대가 좌우의 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압박 막대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압박 막대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여러 가지의 종류의 세탁기에 대해 본 해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에는 구동부가 용기의 바닥면의 대략 중심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지만, 이러한 세탁기에 대해서도 압박 막대가 이동함으로써, 적절한 위치로 해체 유닛을 압박할 수 있다. 압박 막대의 위치가 정해지면,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압박 막대 레일에 있어서의 압박 막대의 위치를 고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박 막대는 해체 장치의 폭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해체 장치의 폭 방향뿐만 아니라 해체 장치 전후의 방향에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유닛과 같이, 단면이 원형인 것을 해체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형의 주위 방향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박 막대는 축 방향의 길이가 일정하지만, 압박 막대의 축 방향의 길이는 조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보다 여러 가지 종류의 세탁기에 대해 본 해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압박 막대의 위치 맞춤이나 설치대의 탑재면의 높이 맞 춤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는, 압박 막대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해체 장치의 구성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14 및 도1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박 막대의 선단부에는 압박판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수조(65)의 바닥면을 압박하는 접촉 면적이 커져 안정적으로 수조를 압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조(65)의 바닥부의 두께가 얇은 경우 등에는, 압박 막대가 수조(65)의 바닥부를 관통해 버리는 것이다.
혹은, 구동부 계지 수단으로 구동부를 끌어 올리면 연결봉로 접속된 피구동부가 수조(65)의 바닥부 내측에 접촉 및 압박하고, 수조의 바닥부에 적지 않게 균열, 파탄 또는 변형을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부[감속 기어 유닛(14)]를 연결봉[탈수조 회전 샤프트(16a)]로부터 인발할 수 있으면 좋지만, 부품의 부식 등이 원인으로 구동부와 연결봉와의 결합이 강한 경우가 있다. 또는, 연결봉의 축 방향과 개폐 갈고리(80)의 인발 방향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있다. 즉, 인발 방향이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요인도 포함시켜 어떠한 원인으로, 구동부를 연결봉로부터 인발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부 계지 수단으로 구동부를 끌어 올리면 연결봉로 접속된 피구동부가 수조(65)의 바닥부 내측에 접촉되면서 강한 압박력이 가해짐으로써, 수조의 바닥부가 크게 균열, 파탄 또는 변형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수조(65)를 파괴한 경우에는 회수하는 수지의 특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용기 압박 수단에 압박판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접촉 면적이 커져 안정적으로 수조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연결봉가 구동부에서 제거하지 않은 경우에는 피구동부가 수조(65)의 바닥부의 내측에 부여하는 압박력에 대해 반대측의 수조(65)의 바닥부의 외측으로부터 압박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수조(65)의 바닥부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수조를 높은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또,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박판(31)의 구성이라도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용기 압박 수단에는 압박판(72)의 주요 표면에 셀렉션 부재(7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후의 해제 공정을 하고 있는 도중에 수조가 미끄러져 버리고, 수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압박판의 주요 표면에 셀렉션 부재가 형성되어 있지만, 특히 본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수조와 압박판이 미끄러지지 않는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고무막과 같이 탄력성을 갖는 것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탄력성을 갖는 부재가 압박판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수조의 바닥부에 요철이 있던 경우에 있어서도, 수조와 용기 압박 수단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압박판이 접촉되는 수조 표면의 깨짐이나 수조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해제 공정을 행할 수 있어 회수하는 수지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용기 압박 수단으로서 압박 막대만이 형성되어 압박 막대의 선단부에 셀렉션 부재나 탄력성이 있는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도16의 화살표 1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갈고리(80)를 유압 실린더(90)에 의해 끌어 올려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접속하는 연결봉의 축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구동부와 피구동부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해제 공정을 행한다. 개폐 갈고리(80)를 끌어 올리면, 해체 유닛(64)은 개폐 갈고리(80)에 걸치는 동시에 상승한다. 해체 유닛(64) 중, 수조의 바닥부가 압박판(72)에 형성된 셀렉션 부재(77)에 접촉하여 수조가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박되어 상승이 정지된다. 이 때, 수조에는 하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와 같이, 구동부 계지 수단이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용기를 압박하는 용기 압박 수단으로서 압박 막대를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용기 압박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도18에, 계속해서 개폐 갈고리(80)를 끌어 올린 경우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수조(65)는, 도시하지 않은 압박 막대에 압박되어 있는 한편, 개폐 갈고리(80)는 화살표 133의 방향으로 상승되어 있다. 연결봉로서의 회전 샤프트(16)가 감속 기어 유닛(66)으로부터 인발되어 구동부로서의 감속 기어 유닛과 피구동부로서의 탈수조(12)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회전 샤프트(16)가 감속 기어 유닛(66)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감속 기어 프레임(67)은 감속 기어 유닛(66)에 부착된 상태이다. 감속 기어 프레임(67)은 개폐 갈고리에 걸쳐진 상태인 한편, 수조(65)나 펄세이터(13)와 연결되어 있는 탈수조(12)는 설치대에 낙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해제 공정 전에 감속 기어 프레임(67)과 수조(65)를 접속하고 있는 볼트를 제거하고 있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전술한 대로 감속 기어 유닛(14)과 감속 기어 프레임(15)이 일체적으로 된 상태로 감속 기어 유 닛(14)을 인발할 수 있다(도18 참조).
도1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해제 공정 전에 수조(11)와 감속 기어 프레임(67)과의 연결을 해제하였지만, 특히 본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감속 기어 유닛(66)과 감속 기어 프레임(67)을 고정하고 있는 볼트(121)를 제거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해제 공정에 있어서 감속 기어 프레임(67)이 수조(65)에 부착된 상태로 해체가 행해진다. 이 해체 방법은, 예를 들어 감속 기어 프레임이 수조의 바닥면 전체를 덮고 있는 구조를 갖는 해체 유닛에 대해 유효하다.
또는, 구동부가 직접적으로 용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구동부와 용기가 접촉하여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동부와 용기를 연결되어 있는 볼트 등의 고정 부재를 제거해도 좋다. 예를 들어, 구동부로서의 감속 기어 유닛이 감속 기어 프레임을 사이에 세우지 않고 직접적으로 수조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감속 기어 유닛과 수조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제거한다. 해제 공정에 있어서, 탈수조 등의 피구동부와 감속 기어 유닛 등의 구동부와의 연결을 제거하여 구동부와 용기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는, 구동부와 용기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분을 전혀 해제하지 않고, 다음 해제 공정을 행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주로 용기가 파괴되어 용기의 일부분이 구동부나 구동부에 접속되어 있는 금속 부품에 부착된 상태로 해체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5에 도시한 해체 유닛(64)에 있어서는 해제 공정에서 수조(65)의 바닥부가 파괴되어 감속 기어 프레임(67)에 수조의 일부분이 매달린 상태에서, 감속 기어 유닛(66)과 탈수조(12)를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부분을 강제적으로 파괴하기 때문에, 회수율이 저하되는 것뿐만 아니라 재활용을 행한 경우의 수지 특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용기와 금속 부품을 접속하고 있는 볼트를 미리 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연결의 해제를 복합적으로 행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15에 있어서 복수의 볼트(122) 중 하나의 볼트(122)가 고정 부착되어 버려 제거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 하나의 볼트만을 남기고, 다른 볼트(122)를 제거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후의 해제 공정에 있어서, 제거하지 않던 하나의 볼트(122)의 주위만으로 수조(65)가 파괴되어 감속 기어 유닛(66)과 수조(65)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제 공정은 구동부를 걸치는 한편, 용기를 압박하여 구동부와 용기를 서로 멀리하도록 하여 행하고 있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봉의 축 방향에 따라서,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구동부와 피구동부와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높은 수율로 용기의 수지를 회수할 수 있다. 또, 양질의 재생 수지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제 공정이 완료되면, 설치대를 최하점까지 하강하여 수조 및 수조 중에 포함되는 부품을 해체 장치의 폭 방향 중 반입한 측과 반대측으로 쫓아낸다. 또한, 개폐 갈고리를 개방하여 감속 기어 유닛을 개폐 갈고리로부터 제거한다.
해제 공정을 행하고 있을 때에, 구동부에 충전되어 있던 윤활제 등의 오일이 누출되어 수조의 바닥부 등에 부착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제 공정 후에 진공 펌프 등을 이용한 누설한 오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구동부에 충전되어 있던 오일에 포함되는 수지의 품질을 악화시키는 성분을 제거할 수 있어 고품질의 수지를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은 용이하게 구동부와 피구동부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어, 비약적으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수작업에 있어서, 해체 유닛으로부터 수조만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공구를 이용하여 압박하거나 두드리거나 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해체에 있어서는, 중노동을 수반한 작업을 약 5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수지의 회수율은 수조를 두드려 파괴하여 해체를 행하는 경우나 해체를 단념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30 % 정도로 낮은 것이었다.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해체 장치 또는 해체 방법을 이용하면,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약 1분으로 해체 유닛으로부터 수조만을 분리 회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은 용기의 수지를 높은 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해체 장치의 실증 시험에 있어서는, 특수한 구조를 갖는 세탁기도 포함하는 약 900대의 세탁기의 해체 시험을 행한 결과, 수지를 약 95 %의 회수율로 회수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으로 회수한 재생 수지는, 해체의 도중에 불순물이 혼입되는 요인이 적어 물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 재생 수지로 형성된 수지 제품은 물성이 우수한 재생 수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양질이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구동부 계지 수단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 갈고리를 포함으로써, 용이하게 구동부를 걸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1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폐 갈고리(80)의 갈고리 선단부(79)끼리의 간격(128)은 개폐 갈고리(80)를 최대한으로 개방한 경우에 있어서, 180 ㎜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많은 세탁기가 필요한 갈고리 선단부(79)끼리의 간격을 측정하면 약 140 ㎜ 이상 약 180 ㎜ 이하였다. 2개의 개폐 갈고리(80)끼리의 간격(128)을 180 ㎜로 함으로써, 거의 세탁기의 해체에 본 해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13a 및 도13b를 참조하여, 갈고리 선단부(79)의 접촉부(89)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구동부를 면 접촉으로 걸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구동부를 잡아당길 수 있다. 갈고리 선단부(79)의 접촉부(89)는 판 형상의 부재로 한정되지 않고, 구동부를 걸칠 수 있는 구조이면 좋다. 예를 들어, 접촉부(89)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판 형상의 부재 또는 막대 형상의 부재를 걸침으로써,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구동부를 걸칠 수 있다.
또한, 갈고리 선단부(79)는 개폐 갈고리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특수한 형상의 구동부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도, 갈고리 선단부를 바꾸는 것만으로 본 해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 선단부(79)가 파손된 경우라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갈고리 선단부(79)의 최대의 폭(125)은 40 ㎜이다. 갈고리 선단부(79)는 직접적으로 구동부를 걸쳐 힘이 가해지므로, 갈고리 선단부(79)의 최대의 폭(125)은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세탁기에 따라서는 구동부로부터 돌기물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갈고리 선단부(79)의 폭(125)이 지나치게 크면 이 돌기물이 장해가 되고, 개폐 갈고리를 구동부에 걸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개폐 갈고리의 폭을 40 ㎜로 함으로써, 구동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기물을 회피하면서 개폐 갈고리를 걸칠 수 있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 선단부(79)의 높이(127)는 70 ㎜ 이상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갈고리 선단부(79)의 높이(127)는 약 105 ㎜가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구동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기물이 있던 경우에 있어서도, 이 돌기물을 회피하면서 개폐 갈고리를 구동부에 걸칠 수 있다.
또한, 접촉부(89)의 두께(126)는 15 ㎜ 이상 25 ㎜ 이하가 바람직하다. 많은 세탁기의 개폐 갈고리를 삽입하는 부분의 높이를 측정한 결과, 삽입하는 부분의 높이는 약 30 ㎜ 이상 약 45 ㎜ 이하였다. 접촉부(89)의 두께는 얇은 쪽이 삽입하기 쉽지만, 지나치게 너무 얇으면 강도적인 문제가 생긴다. 강도를 확보하면서, 접촉부(89)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고려하고, 접촉부(89)의 두께(126)는 15 ㎜ 이상 25 ㎜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실린더는 개폐 갈고리를 45 ㎜/sec 이상 50 ㎜/sec 이하로 끌어 올릴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의 인발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해체 유닛에 과도의 충격을 부여하여 해체 유닛을 부분적으로 파괴하는 경 우가 있다. 반대로, 구동부의 인발 속도가 너무 늦으면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2개의 것을 고려하고, 개폐 갈고리의 최대 인발 속도는 45 ㎜/sec 이상 50 ㎜/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압 실린더의 개폐 갈고리를 끌어 올리는 힘은 670 ㎏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많은 세탁기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실린더는 670 ㎏ 이상 940 ㎏ 이하의 범위 내에서 구동부를 인발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분리 수단은 분리한 힘이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분리한 힘을 크게 하고자 하면 분리 수단 자체가 매우 커지거나, 고가인 것이 되거나 한다. 분리한 힘이 940 ㎏의 힘을 가짐으로써, 대개 모든 세탁기에 있어서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갈고리 압박부(85)는 개폐 갈고리(80)에 접속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개폐 갈고리(8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갈고리에 구동부를 걸쳐 구동부에 힘을 가하는 해제 공정에 있어서는, 개폐 갈고리와 구동부와의 위치 관계나 압박 막대로 압박하는 위치에 의존하여 개폐 갈고리(80)에는 여러 가지의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갈고리 구동부(82)의 평판 형상 부재(99)가 개폐 갈고리(80)에 접속 고정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개폐 갈고리(80)에 대해 여러 가지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갈고리 압박부(8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세탁기의 해체 장치에는 프레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비산 방지판이 형성되어 있다. 해제 공정에 있어서는 구동부와 피구동부 와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해 큰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해제할 때에 수조가 파손되어 부품이 비산되거나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부품이 비산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비산 방지판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작업원이 부상되거나 주위에 있는 기기를 파괴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의 주위에 비산 방지판이 형성되어 있지만, 특히 본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분리 수단의 주위에 비산 방지판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는 해제 공정 완료 후에 개폐 갈고리를 개방하였을 때에도, 구동부가 낙하되지 않도록 구동부 낙하 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개폐 갈고리를 개방할 때에도 구동부를 지지해 둘 필요가 없고, 작업성 및 작업시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19 및 도20에 여러 가지의 세탁기 중 구조가 특징적인 세탁기의 설명도를 도시한다. 도19는 구조가 특징적인 것 중 하나의 세탁기에 있어서의 해체 유닛의 바닥부의 사시도이다.
이 세탁기의 수조(100)의 바닥부에는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한 리브(101)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압박 수단으로서는 압박 막대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이러한 리브(10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브의 요철에 의해 압박 막대를 접촉시키는 위치가 결정이 어렵거나, 해제 공정에서 압박 막대가 미끄러지거나, 리브 중 오목해진 부분에 압박 막대가 삽입되어 수조(100)를 돌파해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막대의 선단부에 압박판(7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리브가 수조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압박 막대의 위치 결 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압박 수단과 수조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후의 해제 공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19에 있어서는 감속 기어 프레임(103)이 도19의 상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십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조(100)의 바닥면 중 용기 압박 수단을 접촉시킬 수 있는 압박판 배치 영역(140)이 작아진다. 이러한 해체 유닛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압박판(72)의 평면 형상을 대략 부채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 압박 수단과 용기의 바닥부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확실하게 수조를 압박할 수 있다.
해제 공정 전에 있어서는, 볼트(105)를 제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해제 공정에 있어서 감속 기어 유닛(102)과 감속 기어 프레임(103)을 일체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은, 전술의 해체 유닛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19에 도시한 해체 유닛에는 감속 기어 유닛(102)의 주위에 수송 앵글(104)이 형성되어 있다. 수송 앵글(104)은 금속 부품이기 때문에, 해제 공정에서 감속 기어 유닛(102)과 함께 일체적으로 수조(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해제 공정 전에 볼트(106)를 제거하여 미리 분리해 두어도 좋다.
도20은, 특징적인 다른 세탁기에 있어서의 해체 유닛의 바닥부의 사시도이다. 이 세탁기에는 구동부로서, DD(Direct Drive) 모터가 형성되어 있다. DD 모터는 감속 기어를 사이에 세우지 않고, 직접적으로 피구동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도20에 도시한 세탁기에 있어서는, 수조(113)에 DD 모터 프레임(114)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DD 모터(110)의 도시하지 않은 상부 덮개를 제거하고, 또한 연결봉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112)를 제거한다. 다음에, 안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111)을 제거한다. 다음에, DD 모터 프레임(114)과 DD 모터(110)를 일체적으로 제거하는 경우에는, DD 모터 프레임(114)과 수조(113)를 접속하고 있는 볼트(118)를 제거한다. 또는, DD 모터 프레임(114)를 수조(113)에 부착한 상태로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볼트(117)를 제거한다. 해제 공정에 있어서, DD 모터를 걸치면서 행하는 것은 감속 기어 유닛을 구비하는 세탁기의 해체와 마찬가지이다. 그 밖의 공정에 대해서도, 감속 기어 유닛을 구비하는 세탁기와 마찬가지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가 이동하지 않도록 압박하면서 구동부를 걸쳐 구동부와 용기를 서로 멀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특히 본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구동부 및 용기 중 어느 한 쪽을 압박 및 보유 지지 또는 걸치고, 또한 다른 쪽을 압박, 보유 지지 또는 걸쳐, 서로를 멀리하도록 행해도 좋다.
또는,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각각 보유 지지, 압박 또는 걸쳐 구동부와 피구동부를 서로 멀리하도록 행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15에 도시한 해체 유닛에 있어서는 감속 기어 유닛(66)을 협지하고, 또한 탈수조(12)를 협지하여 감속 기어 유닛(66)과 탈수조(12)를 회전 샤프트(16)의 축 방향에 따라서, 서로 멀리하도록 하여 행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체 장치에 있어서의 분리 수단은 구동부를 걸치기 위한 구동부 계지 수단과, 용기를 압박하기 위한 용기 압박 수단과, 구동부 계지 수단 및 용기 압박 수단 중 적어도 한 쪽을 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었지만, 특히 본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구동부 계지 수단 대신에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용기 압박 수단 대신에 용기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의 이동 수단으로서는,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과 용기 보유 지지 수단을 연결봉의 축 방향에 따라서 서로 분리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는, 분리 수단은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또는 구동부 계지 수단 중 어느 한 쪽과, 피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피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의 이동 수단으로서는,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또는 구동부 계지 수단 중 어느 한 쪽과 피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이 연결봉의 축 방향에 따라서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러한 어느 쪽의 구성에 의해서도, 구동부와 피구동부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고, 또 용기의 수지를 고수율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로서는 감속 기어 유닛 외에 모터 등의 피구동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가 포함된다. 또한, 피구동부로서는 탈수조 외에, 블레이드의 형상한 부품이나 물을 세탁기의 외부에 인발시키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형상을 한 부품 등의 구동부의 동력을 받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펄세이터나 2 조식 세탁기에 있어서의 탈수조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의 바닥면에 대략 수직이 되도록 연결봉가 형성되어 있지만, 연결봉의 배치 상태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용기의 측면에 있어서 측면의 표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연결봉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펄세이터가 경사져 부착되어 있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지를 높은 수율로 회수할 수 있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높은 품질의 재생 수지 및 수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이번 개시한 상기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 종류의 세탁기의 해체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7)

  1. 수지로 형성되고, 수조를 포함하는 용기와,
    탈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을 행하는 피구동부와,
    모터 및 감속 기어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피구동부에 연결봉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용기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축 방향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와의 접속을 해제하는 해제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공정은 상기 연결봉과 상기 피구동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행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공정은 상기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거나 압박하거나 또는 걸치고,
    상기 피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거나 압박하거나 또는 걸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를 서로 멀리하도록 행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공정은 상기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거나 압박하거나 걸치고,
    상기 용기를 보유 지지하거나 압박하거나 또는 걸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용기를 서로 멀리하도록 행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공정은 상기 피구동부가 상기 용기의 내측에 접촉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 공정은 상기 용기의 상기 피구동부가 접촉되는 부분을, 상기 피구동부가 이동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박하면서 행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공정은 상기 연결봉과 상기 탈수조를 연결하고 있는 탈수조 플랜지를 파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해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수지로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을 행하는 피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에 연결봉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용기의 외측에 배치된 구동부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축 방향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용기 또는 상기 피구동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구동부 중 한 쪽을 정지시켜 다른 쪽을 한 쪽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피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피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및 상기 피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중 적어도 한 쪽을 상기 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구동부를 걸치기 위한 구동부 계지 수단과,
    상기 피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피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구동부 계지 수단 및 상기 피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중 적어도 한 쪽을 상기 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계지 수단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 갈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갈고리는 상기 구동부를 걸치기 위한 선단부를 갖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계지 수단은 상기 개폐 갈고리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갈고리를 압박하기 위한 갈고리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 구동부는, 상기 개폐 갈고리에 연결 고정되지 않고 접촉하도록 형성된 세탁기의 해체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구동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용기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용기 보유 지지 수단과,
    상기 구동부 보유 지지 수단 및 상기 용기 보유 지지 수단 중 적어도 한 쪽을 상기 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3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18. 삭제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구동부를 걸치기 위한 구동부 계지 수단과,
    상기 용기를 압박하기 위한 용기 압박 수단과,
    상기 구동부 계지 수단 및 상기 용기 압박 수단 중 적어도 한 쪽을 상기 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4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계지 수단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개폐 갈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갈고리는 상기 구동부를 걸치기 위한 선단부를 갖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계지 수단은 상기 개폐 갈고리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갈고리를 압박하기 위한 갈고리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 구동부는 상기 개폐 갈고리에 연결 고정되지 않고 접촉하도록 형성된 세탁기의 해체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압박 수단은 상기 축 방향 중 한 쪽 방향으로 상기 용기를 압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 계지 수단은 상기 한 쪽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세탁기의 해체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압박 수단은 배치되어야 할 상기 용기의 바닥부를 압박하도록 형성된 압박 막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26. 삭제
  27. 삭제
  28. 제9항에 있어서, 피해체물을 배치하기 위한 설치대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대는 탑재면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세탁기의 해체 장치.
  29. 삭제
  3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비산 방지판을 구비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31. 제9항에 기재된 세탁기의 해체 장치를 이용하여 회수된 재생 수지.
  32. 제31항에 기재된 재생 수지로 형성된 수지 제품.
  33. 수지로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을 행하는 피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에 연결봉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용기의 외측에 배치된 구동부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축 방향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피구동부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분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힘이 940 ㎏ 이하로 형성된 세탁기의 해제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피해체물을 배치하기 위한 설치대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대는 탑재면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세탁기의 해체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비산 방지판을 구비하는 세탁기의 해체 장치.
  36. 제33항에 기재된 세탁기의 해체 장치를 이용하여 회수된 재생 수지.
  37. 제36항에 기재된 재생 수지로 형성된 수지 제품.
KR1020057022490A 2003-05-27 2004-05-25 세탁기의 해체 방법, 해체 장치, 재생 수지 및 수지 제품 KR100713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9132 2003-05-27
JP2003149132 2003-05-27
JP2003400228 2003-11-28
JPJP-P-2003-00400228 2003-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814A KR20060017814A (ko) 2006-02-27
KR100713056B1 true KR100713056B1 (ko) 2007-05-02

Family

ID=3349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490A KR100713056B1 (ko) 2003-05-27 2004-05-25 세탁기의 해체 방법, 해체 장치, 재생 수지 및 수지 제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25998B2 (ko)
JP (1) JP4046750B2 (ko)
KR (1) KR100713056B1 (ko)
WO (1) WO2004105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643B1 (ko) * 2013-09-06 2014-10-23 사단법인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 김치 냉장고 서랍장 해체 장치
KR102366012B1 (ko) * 2020-12-08 2022-02-22 (주)삼우엔지니어링 세탁기 터브 삽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2471A (ja) * 1998-01-22 1999-08-06 Sanyo Electric Co Ltd 組立体ならびにリサイクル装置
JPH11255467A (ja) * 1998-03-09 1999-09-21 Yoshikawa Kogyo Co Ltd 自動車リサイクル部品の取外し用フック及びその回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2888U (ko) * 1987-09-10 1989-03-14
JPH08155875A (ja) * 1994-12-07 1996-06-18 Kikkoman Corp ロボットハンド
JP3411445B2 (ja) 1996-05-10 2003-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廃家電品の解体方法および装置
JP2000254383A (ja) * 1999-03-05 2000-09-19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回転翼
JP2000271385A (ja) * 1999-03-23 2000-10-03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洗濯兼脱水槽固定構造
JP2000271378A (ja) 1999-03-23 2000-10-03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水槽
JP2001062187A (ja) 1999-08-27 2001-03-13 Sharp Corp 洗濯機
JP2002021831A (ja) 2000-07-10 2002-01-23 Takeuchi Kogyo Kk 装着部品のスナップ構造
JP2002240037A (ja) 2001-02-22 2002-08-28 Sharp Corp プラスチック部品の再利用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用いて作製されたプラスチック原料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部品
JP2003047121A (ja) 2001-07-27 2003-02-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端子
JP2003089116A (ja) 2001-09-18 2003-03-25 Sharp Corp 熱可塑性樹脂を主体とする部品の再利用方法
JP3952717B2 (ja) 2001-09-19 2007-08-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解体用治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2471A (ja) * 1998-01-22 1999-08-06 Sanyo Electric Co Ltd 組立体ならびにリサイクル装置
JPH11255467A (ja) * 1998-03-09 1999-09-21 Yoshikawa Kogyo Co Ltd 自動車リサイクル部品の取外し用フック及びその回収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1212471
1125546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105973A1 (ja) 2006-07-20
JP4046750B2 (ja) 2008-02-13
WO2004105973A1 (ja) 2004-12-09
US20070056152A1 (en) 2007-03-15
US7725998B2 (en) 2010-06-01
KR20060017814A (ko) 2006-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443A (en) Waste recycling device
CN111589521B (zh) 一种炼钢加工废弃物钢渣回收再利用加工处理系统
KR100713056B1 (ko) 세탁기의 해체 방법, 해체 장치, 재생 수지 및 수지 제품
KR100672019B1 (ko) 폐 오일용기 처리시스템
RU2650691C2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внутренней изнашивающейся части жираторной или конусной дробилки, внутренняя изнашивающаяся часть, жираторная или конусная дробилка и подъемный инструмент внутренней изнашивающейся части
JP4439544B2 (ja) 洗濯機の解体方法および解体装置
CN113786897B (zh) 一种建筑工地用垃圾临时处理装置
CN109507036A (zh) 一种混凝土结构抗压强度检测装置及方法
CN113798032B (zh) 一种再生混凝土制备方法
CN213854802U (zh) 一种机制砂生产用原料破碎装置
CN100462155C (zh) 洗衣机拆卸方法和拆卸装置、再循环利用树脂和树脂产品
CN211411292U (zh) 一种用于食用油加工处理白土脱色分离机滤网清理装置
CN110819413B (zh) 一种利用废旧塑料制造固体燃料的设备
JP4616143B2 (ja) ゴムクローラの廃棄処理装置
JP2005334255A (ja) 洗濯機
CN112536115A (zh) 一种橡胶轮胎制造加工工艺
CN218189813U (zh) 一种用于冰柜门拆解及回收装置
CN220610635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碎石装置
CN214026622U (zh) 一种具有自动进料功能的带铁塑钢破碎分离机
KR101259341B1 (ko) 고착물 제거장치
KR100468457B1 (ko)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
CN218251430U (zh) 便于检修安装的振动机构
KR20070001152U (ko) 오일 스키머
KR100712398B1 (ko) 폐비닐 절단장치
CN212216575U (zh) 一种金属废件回收拆解的机械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