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457B1 -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 - Google Patents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457B1
KR100468457B1 KR10-2001-0049451A KR20010049451A KR100468457B1 KR 100468457 B1 KR100468457 B1 KR 100468457B1 KR 20010049451 A KR20010049451 A KR 20010049451A KR 100468457 B1 KR100468457 B1 KR 100468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size
carrier frame
lower screen
raw materi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620A (ko
Inventor
이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4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광석 입도선별장치의 하단 스크린 메트의 이송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원료의 스크린 효율 저하시 신속하게 스크린을 인출하여 스크린 눈금구멍에 끼인 광석이나 고착광을 제거한 후, 다시 본체 하단부에 장착하여 원료를 스크린 할 수있게 한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단 스크린 메트를 상단에 장착하고, 상기 입도 선별기내의 경사진 레일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캐리어 프레임; 상기 입도 선별기의 스크린 유입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입도 선별기내의 캐리어 프레임이 장착된 레일과 일직선의 레일을 상단에 구비한 지지대;및 상기 지지대상에 장착되고,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 프레임에 연결되며, 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캐리어 프레임과 하단 스크린 메트를 상기 입도 선별기로 부터 인출하는 견인 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하단 스크린 메트의 눈금구멍이 원료에 의해서 막히면, 하단 스크린 메트를 지지대상으로 인출하여 원료를 제거하고, 원료 제거후 하단 스크린 메트의 자중에 의해서 입도 선별기내로 인입시키는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AN APPARATUS FOR HANDLING LOWER SCREEN MAT OF SCREEN DEVICE FOR RAW MATERIALS}
본 발명은 고로에 투입하는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메트를 자유롭게 인출및 인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광석 입도선별장치의 하단 스크린 메트의 이송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원료의 스크린 효율 저하시 신속하게 스크린을 인출하여 스크린 눈금구멍에 끼인 광석이나 고착광을 제거한 후, 다시 본체 하단부에 장착하여 원료를 스크린 할 수있게 한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 투입되는 원료인 철광석은 소결기로부터 불출받고,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료저장조(210)에 투입되어 있다가 철광석의 입도 선별기(220)에 의해서 고로 조업에서 필요로 하는 크기의 입도로 선별된다.
상기 입도선별기(220)는 도 11에서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스크린 메트(222)(224)들을 갖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크게 상단 스크린 메트(222)와 하단 스크린 메트(224)들로 나누어진다.
상기 상단 스크린 메트(2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 고무판에 일정한 크기의 눈을 갖는 구멍(226a)이 다수개 형성된 스크린 유닛(226)들이 한조를 이루며, 하나의 스크린 메트(222)에는 90여개의 스크린 유닛(226)들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단 스크린 메트(224)도 동일한 수량으로 채워져 있으나, 상단과 하단 스크린메트(222)(224)의 차이점은 단지 구멍 크기(hole size)가 다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입도 선별기(220)에서 그 상단 스크린 메트(222)의 스크린 구멍을 통과하지 않고 상단 스크린 메트(222)의 상단에 수집되어 괴 슈트(lump chute)(230)를 통해 수집되어지는 철광석(232)은 고로에 투입되는 원료의 1단계 분류 과정이고, 상기 상단 스크린 메트(222)의 눈금구멍(226a)을 통과한 원료는 하단 스크린 메트(224)상에 떨어져 2단계 스크린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상단 스크린 메트(222)로 부터 하단 스크린 메트(224)상에 떨어지는 원료중 그 직경의 12mm 이상은 고로에서 원료로 쓰이지만, 이 과정에서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눈금 구멍(226a)의 하부로 빠지는 원료는 소결공정으로 다시 보내어 재생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크린 선별과정에서 12mm 이하의 분광이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눈금 구멍(226a)을 막고 있을시는 입도 선별이 되지 않음은 물론 스크린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렇게 입도 선별이 되지 않고, 고착광으로 막혀 있을 경우에는 괴광을 포함한 분광이 고로 내에 다량으로 투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로 내부로 분광이 투입되면, 로내부(爐內部)의 가스흐름 불균일, 통기저항 장애 발생등으로 고로 노황이 매우 나빠지게 됨으로서 고로 연속조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눈금구멍(226a) 막힘 관통 및 고착광 제거를 위하여 종래에는 원료저장조(210)의 하단 슈트부(210a)에 갖춰진 게이트(gate)(미도시)를 수작업에 의하여 닫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도선별기(220)의 구동 모터(233)를 가동하여 수회 공회전함으로서 고착광 및 눈금구멍(226a)에 막힌 광석을 털어내고 있지만, 이러한 눈금구멍(226a)에 끼인 광석(232)들은 양측에서 작용하는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고무 반발 탄성력에 의하여 꽉 끼여 있기 때문에, 상기 편심 진동모터(233)에 의한 진동으로는 절대 빠지지 않음으로서 그 효과는 미미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눈금 구멍(226a)으로 부터 광석원료를 제거하는 또 다른 하나의 종래의 방법으로는 90여개 되는 상,하단의 스크린 매트(222)(224)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취외하여 일일히 눈금구멍(226a)에 끼인 광석(232)을 끝이 예리한 관통기구(미도시)로서 밀어내어 관통을 실시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수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하단 스크린 메트(224)에 부착된 고착광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에 설치된 수개의 프레임(240)을 절단 작업후, 공기 브레이커(고착광 제거기:미도시)를 이용하여 하단 스크린 메트(224)에 부착된 고착광을 분쇄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업에는 많은 인원이 소요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정비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됨으로서 결국은 고로공정에서는 용선 생산 원가가 동반 상승하는 문제점이 내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광석 입도선별장치의 하단 스크린 메트의 눈금구멍에 원료가 끼어 원료의 스크린 효율 저하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출하여 스크린 눈금구멍에 끼인 광석이나 고착광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 부하를 감소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효율적인 스크린 관리를 함으로써 양질의 원료를 공급하여 생산성향상과 노황안정을 이룰 수 있는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린 인입출 장치에 갖춰진 하단 스크린장치의 인입 구동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린 인입출 장치에 갖춰진 하단 스크린장치의 이송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좌측면도, b)도는 평면도 및 c)도는 전방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린 인입출 장치에 갖춰진 하단 일체형 스크린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4의 "C" 부 상세도;
도 6은 도5의 좌측면도;
도 7은 도5의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크린 인입출 장치에 갖춰진 구동 휠의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크린 인입출 장치에 갖춰진 구동 휠 축 및 브라케트 상세도;
도 10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로 원료 입도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로 원료 입도선별장치의 측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로 원료 입도선별장치의 상,하단 스크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캐리어 프레임 12..... 구동 휠
15..... 베이스 플레이트 20..... 베어링
34..... 가로대 40..... 서포트
42..... 하단 스크린 메트 60..... 암나사 구멍
63..... 콜크 고정구 65..... 고정볼트
75..... 레일 80..... 견인기구
84..... 구동모터 90..... 가이드 휠
220.... 입도 선별기 222.... 상단 스크린 메트
224.... 하단 스크린 메트 226a... 눈금구멍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고로에 투입하는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메트를 자유롭게 인출및 인입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상기 하단 스크린 메트를 상단에 장착하고, 상기 입도 선별기내의 경사진 레일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개의 휠을 구비한 캐리어 프레임;상기 입도 선별기의 스크린 유입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입도 선별기내의 캐리어 프레임이 장착된 레일과 일직선의 레일을 상단에 구비한 지지대;및상기 지지대상에 장착되고,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 프레임에 연결되며, 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를 당겨서 상기 캐리어 프레임과 하단 스크린 메트를 상기 입도 선별기로 부터 인출하는 견인 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하단 스크린 메트의 눈금구멍이 원료에 의해서 막히면, 하단 스크린 메트를 지지대상으로 인출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원료를 제거하고, 원료 제거후 하단 스크린 메트는 그 자중에 의해서 캐리어 프레임의 휠이 레일로 부터 레일로 이동하여 입도 선별기내로 인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1)는, 고로에 투입하는 원료 입도선별기(220)로 부터 하단 스크린메트(224)를 자유롭게 인출및 인입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눈금구멍(226a)이 원료 광석(232)에 의해서 막히면,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지지대(70)상으로 인출하여 원료 광석(232)을 제거하고, 원료 광석(232)의 제거후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자중에 의해서 입도 선별기(220)내로 인입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상단에 장착하고, 상기 입도 선별기(220)내의 경사진 레일(5)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캐리어 프레임(10)을 갖는다. 상기 캐리어 프레임(10)은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장착하기 위해서 사각프레임으로 연결시키고, 4개소를 임의로 분할하여 하부면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4개의 구동 휠(12)을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리어 구동 휠(12)은 상기 캐리어 프레임(10)의 하단에 각각 다수개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15)에 축(17)과 베어링(20)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5)는 고정용 볼트(22)에 의하여 케리어 프레임(10)의 양측단에 각각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5)와 캐리어 프레임(10)의 사이에는 광석의 입도선별시 진동이 많이 발생하게 됨으로, 그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완충 플레이트(25)를 삽입하며, 상기 완충 플레이트(25)는 통상적인 고무판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에 갖춰진 구동 휠(12)의 상세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구동 휠(12)이 장착되는 축(17)및 베이스 플레이트(15)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상기 구동 휠(12)은 외주면이 "U"형으로 홈이 파여 있으며, 이는 기계적인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할 경우 원형단면의 레일(5)상에서 좌,우측으로 이탈을 방지하고, 입도 선별기(220)내로의 인입및 인출시, 레일(5)상에서 슬라이딩(sliding)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 휠(12)이 상부측에 놓여지는 레일(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단면 구조를 갖추고, 입도 선별기(220)의 하단 스크린 메트(224) 하부측에서 경사진 상태로 "ㄷ"형 지지프레임(30)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은 고정 볼트(32)를 통하여 입도선별기(220)의 내측 가로대(34)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장착 구조를 살펴보면, 광석의 스크린 효율 향상과 막힘 방지를 위해서 둥근 아아치형의 형상으로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 프레임(10)은 그 양측단으로 부터 중심으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대되는 다수의 서포트(support)(40)들을 도 4와 같이 장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서포트(40)들 중에서, 하단 스크린 메트(224)가 고정되는 중앙부에는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 U"형태의 단면을 갖는 서포트(40a)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것들은 단순 바(bar)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서포트(40a)의 상부에는 캐리어 프레임(10)의 좌우측 방향으로 평판 바(42)들이 일정간격으로 용접 고정되어 그 상부측으로 하단 스크린 메트(224)가 볼트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50)는 캐리어 프레임(10)을 보강하기 위한 지지바들이며, 이들은 캐리어 프레임(10)의 사각 프레임 내면들을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하여 캐리어 프레임(10)이 단일의 견고한 구조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부측에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장착한 캐리어 프레임(10)은 그 하부측의 휠(12)들이 입도 선별기(220)의 내부 양측으로 경사진 상태의 레일(5)상에 놓여짐으로써 레일(5)을 따라서 입도 선별기(220)로 부터 인입및 인출이 가능한 구조이고, 입도 선별기(220)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입도 선별기(220)와 일체로 고정되어 진동을 부여 받고, 입도 선별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장착한 캐리어 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도 선별기(220)의 내부에서 그 전단부가 스토퍼(52)에 지지되어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도 선별기(220)와의 결합을 위하여 입도 선별기(220)의 철피 외부에는 각각 중앙에 구멍(56a)이 형성된 고정판(56)들이 상기 구동휠(12)이 장착된 개소에 맞추어 고정볼트(58)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56)의 구멍(56a)들은 각각 캐리어 프레임(10)의 구동 휠(12)들이 장착된 부분의 직상부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60)에 일치하도록 입도 선별기(220)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판(56)의 구멍(56a)으로 콜크(caulk) 재료의 고정구(63)가 삽입되고, 이를 관통하도록 고정볼트(65)가 삽입되어 그 하단 숫나사부(65a)가 상기 캐리어 프레임(10)의 암나사 구멍(60)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 프레임(10)은 입도 선별기(220)의 내부에서 상기 다수개의 고정판(56)의 구멍(56a)을 통하여 끼워지는 각각의 콜크 고정구(63)와 고정볼트(65)및 암나사 구멍(60)들로 인하여 완충상태를 유지하면서 입도 선별기(220)와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며, 입도 선별기(220)로 부여되는 진동에 따라서 하단 스크린 메트(224)가 입도선별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1)는 상기 입도 선별기(220)의 스크린 유입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입도 선별기(220)내의 캐리어 프레임(10)이 장착된 레일(5)과 일직선의 레일(75)을 상단에 구비한 지지대(70)를 구비하는 바, 상기 지지대(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인,입출을 위하여 상부면에 레일(75)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레일(75)은 상기 입도 선별기(220)내의 레일(5)과 동축을 이루는 것으로서 대략 5도내지 10도의 경사를 유지하며, 상기 지지대(70)는 입도 선별기(22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크기는 지지대(70)의 상부측으로 하단 스크린 메트(224)와 캐리어 프레임(10)이 위치될 수 있도록 된 큰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70)상으로 하단 스크린 메트(224)와 캐리어 프레임(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견인 기구(80)가 갖춰지는 바, 상기 견인 기구(80)는 와이어 로프(82)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 프레임(10)에 연결되며, 모터(84)의 구동력으로 상기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상기 입도 선별기(220)로 부터 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견인 기구(80)에 구비된 구동모터(84)를 기동하여 입도 선별기(220)의 내부로 부터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이송하기 위하여는 캐리어 프레임(10)의 전단에 와이어(wire) 고정고리(88)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70)의 일측에는 와이어 로프(82)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휠(90)를 설치하여 구동 모터(84)의 회전축 드럼(86)에 와이어 로프(82)를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84)를 기동,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조작 판넬(100)과 패넌트 스위치(110)를 구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패넌트 스위치(110)와 제어조작 판넬(100)을 통하여 상기 견인 기구(80)를 동작시키게 되면, 견인 기구(80)의 구동모터(84)는 드럼(96)을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정,역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서, 와이어 로프(82)가 캐리어 프레임(10)을 끌게 되어 그 하부의 휠(12)은 레일(5)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케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이동을 이룰 수가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120)는 입도 선별기(220)의 스크린 유입구 커버이고, (122)는 원료 유출 방지커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스크린 입입장치(1)의 인입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스크린의 인입출장치(1)를 입도선별기(220)의 하단측으로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케리어 프레임(10)에 장착된 하단 스크린 메트(224)는 캐리어 프레임(10)의 좌,우측에 각각 다수개가 이송용으로 부설되는 구동 휠(12)들이 입도 선별기(220)의 내부 양측면에 설치되는 원형 레일(5)에 장착됨으로서, 상기 레일(5)의 경사도를 따라서 입도 선별기(22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입도 선별기(220)의 전방측에 마련된 광석의 절출슈트(130)측으로 이동되어 고정 스토퍼(STOPPER)(52)에 의해서 정지하게 된다.
상기 하단 스크린 메트(224)과 케리어 프레임(10)이 정지되면, 이는 입도 선별기(220)의 철피에 마련된 고정판(56)의 구멍(56a)에 케리어 프레임(10)의 암나사 구멍(60)들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되어 센터링(centering)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정위치에 정렬을 하게 되면, 도4에서 도시한 것처럼 콜크 고정구(63)를 상기 고정판(56)의 구멍(56a)으로 끼우고, 고정볼트(65)를 암나사 구멍(60)으로 조여서 상기 입도 선별기(220)에 대하여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가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콜크 고정구(63)를 통하여 입도 선별기(220)에 대하여 캐리어 프레임(10)을 고정하면,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들은 입도 선별기(220)에 대하여 좌,우측의 일정한 장력유지가 가능하고, 장력 균형을 유지시켜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입도선별기(220)의 하단부에 삽입하고, 고로에 원료로 사용하는 광석을 스크린하여 원료를 입도선별하던 중, 장시간의 사용으로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눈금구멍(226a)이 60~65%이상 막힘율이 확인되었을 시는 이를 운전자가 판단하여 외부로 취외하고, 상기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눈금구멍(226a)에 끼워진 원료 광석(232)들을 별도의 수작업으로서 끝이 예리한 관통기구(미도시)로 밀어내어 관통을 실시하거나, 공기 브레이커(미도시)를 이용하여 하단 스크린 메트(224)에 부착된 고착광을 분쇄하는 작업을 실시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도1에서 도시한 것처럼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지지대(70) 상부측으로 견인하여 이동시키게 되는 바, 먼저 고정판(56)에 끼워진 콜크 고정구(63)와 고정볼트(65)를 해체하여 고정판(56)으로 부터 분리함으로써 캐리어 프레임(10)과 입도 선별기(22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도 선별기(220)의 스크린 유입구 커버(120)를 제거한 다음, 작업자는 제어조작 판넬(100)의 패넌트 스위치(110)에서 구동모터(84)의 역회전방향의 버튼(미도시)를 눌러 와이어 로프(82)를 인출거리만큼 푼다.
그리고, 캐리어 프레임(10)의 전단부 중앙에 고리(88)를 삽입시켜 걸어서 고정하고, 상기 고리(88)에는 와이어 로프(82)의 전단에 마련된 후크부(미도시)를 걸어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구동모터(84)를 정회전시키게 되고, 이는 와이어 로프(82)가 감긴 드럼(86)을 회전시켜 외이어 로프(82)를 당기게 되어 상기 캐리어 프레임(10)과 그 상부에 장착된 하단 스크린 메트(224)는 입도 선별기(220)의 내부로 부터 지지대(70)의 상부측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입도 선별기(220) 내측의 레일(5)들과 지지대(70)상의 레일(75)들은 서로 일직선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캐리어 프레임(10)의 구동 휠(12)들이 원활하게 입도 선별기(220)의 레일(5)로 부터 지지대(70)의 레일(75)측으로 이동되어 별 저항 없이 지지대(70)상으로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가 인출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70)상에서 입도 선별기(220)로 부터 인출된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가 정위치하게 되면, 작업자는 패넌트 스위치(110)에서 구동 모터(84)의 정지 버튼을 눌러 견인을 정지 시키게 되고,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가 자중에 의해서 후진되지 않도록 구동 휠(12)의 후미에는 밀림방지 스토퍼(미도시)를 고정하는 것이다.이와 같이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입도 선별기(220)의 외측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하단 스크린 메트(224)부분의 눈금구멍 막힘에 대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관통작업, 메트(224)의 손상시 수리작업, 캐리어 프레임(10) 손상시등의 전반적인 수리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필요한 수리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스토퍼(미도시)를 제거하고, 패넌트 스위치(110)를 통하여 상기 구동모터(84)를 서서히 역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와이어 로프(82)는 드럼(86)으로 부터 풀려서 상기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는 자중에 의해서 경사진 상태의 지지대 레일(75)을 하강하여 입도 선별기(220)의 내부 레일(5)로 진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입도 선별기(220)로 재장착이 이루어지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콜크 고정구(63)와 고정볼트(65)등을 이용하여 입도 선별기(220)에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고정하고 입도 선별기(220)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 광석의 스크린 눈금구멍의 막힘으로 스크린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 하단 스크린 메트를 최단 시간에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출하여 스크린 눈금 구멍에 끼인 광석이나 고착광 제거작업이 가능하며, 종래처럼 작업자가 구동 체인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메트 측으로 직접 2-3명이 들어가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그리고, 하단 스크린 메트의 보수 작업공간을 확보해 줌으로서 정비작업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효율적인 스크린 메트의 관리를 이룸으로서 양질의 원료를 고로내에 공급하여 생산성 향상과 노황 안정을 이룰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5)

  1. 고로에 투입하는 원료 입도선별기(220)의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자유롭게 인출및 인입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상단에 장착하고, 상기 입도 선별기(220)내의 경사진 레일(5)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개의 휠(12)을 구비한 캐리어 프레임(10);
    상기 입도 선별기(220)의 스크린 유입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입도 선별기(220)내의 캐리어 프레임(10)이 장착된 레일(5)과 일직선의 레일(75)을 상단에 구비한 지지대(70);및
    상기 지지대(70)상에 장착되고, 와이어 로프(82)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 프레임(10)에 연결되며, 모터(84)의 구동력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82)를 당겨서 상기 캐리어 프레임(10)과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상기 입도 선별기(220)로 부터 인출하는 견인 기구(80);를 포함하여 상기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눈금구멍이 원료에 의해서 막히면,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지지대(70)상으로 인출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원료를 제거하고, 원료 제거후 하단 스크린 메트(224)는 그 자중에 의해서 캐리어 프레임(10)의 휠(12)이 레일(75)로 부터 레일(5)로 이동하여 입도 선별기(220)내로 인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프레임(10)은 그 하단에 각각 다수개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15)를 장착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5)에는 축(17)과 베어링(20)을 통하여 상기 휠(12)들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5)와 캐리어 프레임(10)의 사이에는 광석의 입도선별시 진동을 완충할 수 있는 완충 플레이트(25)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12)은 외주면이 "U"형으로 홈이 파여 있음으로써 기계적인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할 경우, 원형 단면의 레일(5)상에서 좌,우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입도 선별기(220)의 철피 외부에는 각각 중앙에 구멍(56a)이 형성된 고정판(56)들이 상기 구동휠(12)이 장착된 개소에 맞추어 고정볼트(58)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56)의 구멍(56a)들은 각각 캐리어 프레임(10)의 구동 휠(12)들이 장착된 부분의 직상부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60)에 일치하며, 상기 고정판(56)의 구멍(56a)으로 콜크재료의 고정구(63)가 삽입되고 이를 관통하도록 고정볼트(65)가 삽입되어 상기 암나사 구멍(6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캐리어 프레임(10)은 입도 선별기(220)의 내부에서 완충상태를 유지하면서 입도 선별기(220)와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며, 입도 선별기(220)로 부여되는 진동에 따라서 하단 스크린 메트(224)가 입도선별을 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프레임(10)은 원료의 스크린 효율 향상과 막힘 방지를 위해서 둥근 아아치형의 형상으로 하단 스크린 메트(224)를 고정하기 위하여, 그 양측단으로 부터 중심으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대되는 다수의서포트(support)(40)들을 장착하고, 상기 서포트(40)들 중에서, 하단 스크린 메트(224)가 고정되는 중앙부에는 하단 스크린 메트(224)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 U"형태의 단면을 갖는 서포트(40a)가 장착되며, 상기 서포트(40)(40a)의 상부에는 캐리어 프레임(10)의 좌우측 방향으로 평판 바(42)들이 일정간격으로 용접 고정되어 그 상부측으로 하단 스크린 메트(224)가 볼트 고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70)는 상부면의 레일(75)이 대략 5도 내지 10도의 경사를 유지하며, 상기 지지대(70)에 갖춰진 견인 기구(80)는 상기 구동모터(84)를 기동,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조작 판넬(100)과 패넌트 스위치(110)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 장치.
KR10-2001-0049451A 2001-08-17 2001-08-17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 KR100468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451A KR100468457B1 (ko) 2001-08-17 2001-08-17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451A KR100468457B1 (ko) 2001-08-17 2001-08-17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620A KR20030015620A (ko) 2003-02-25
KR100468457B1 true KR100468457B1 (ko) 2005-01-29

Family

ID=2771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451A KR100468457B1 (ko) 2001-08-17 2001-08-17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629B1 (ko) * 2001-12-24 2007-11-27 주식회사 포스코 이동식 분리형 입도 선별장치
KR20040021152A (ko) * 2002-09-02 2004-03-10 주식회사 포스코 입도선별기 하단스크린 고정축수부 쿠션해체장치
KR101349919B1 (ko) * 2012-09-05 2014-01-14 주식회사 포스코 신터 스크린 바이브레이터 인출입 장치
CN117160585A (zh) * 2023-11-01 2023-12-05 山东泓钦矿业科技有限公司 一种金矿原料预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620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05118B (zh) 零件加工用搓丝设备
KR100468457B1 (ko) 고로 원료 입도선별기의 하단 스크린 인입출 장치
CN214021318U (zh) 一种可移动式破碎机设备
KR101310854B1 (ko) 고철 분리 장치
CN116442432B (zh) 一种再生塑料颗粒上料输送装置
CN113083408A (zh) 一种利用建筑固体废物制作再生混凝土骨料的方法
CN2258101Y (zh) 羽绒分选设备
CN217172531U (zh) 一种矿山用矿石螺旋式提升机
KR101221144B1 (ko) 브랜딩라인의 컨베이어 벨트 표면 브러쉬 회전장치
WO2007043780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hips in coolant oil
JPH11189319A (ja) 可倒式キャリアローラースタンド
CN113663916B (zh) 一种分选机的进料装置
CN113276446B (zh) 一种单晶炉坩埚托盘原料处理装置
KR102204077B1 (ko) 세골재 분류용 이중 망 진동 스크린
CN209849026U (zh) 硅铁破碎分级筛分系统
CN211865428U (zh) 磁性分选输送机及其分选送料装置
CN212681665U (zh) 一种燕麦筛分用平面回转筛
CN112474006A (zh) 一种可移动式破碎机设备
CN217650305U (zh) 一种可去除杂质的轴承滚子上料装置
KR20050023707A (ko) 고로용 소립광 스크린 장치
EP0985452A2 (en) Crusher
CN220658265U (zh) 一种选矿筛
CN211249587U (zh) 一种滚筒抛光机的分选结构
CN219155330U (zh) 一种可拆卸的料斗
CN211190922U (zh) 一种筛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