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80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804B1
KR100712804B1 KR1020050044445A KR20050044445A KR100712804B1 KR 100712804 B1 KR100712804 B1 KR 100712804B1 KR 1020050044445 A KR1020050044445 A KR 1020050044445A KR 20050044445 A KR20050044445 A KR 20050044445A KR 100712804 B1 KR100712804 B1 KR 10071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ration member
connector
rotary shaft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113A (ko
Inventor
히로카즈 호시노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크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 회전축부(54)의 단면에 개략 반원형의 돌기부(55)를 돌설하고, 조작시에 상기 회전축부(54)의 외주면 및 상기 돌기부(55)의 접합면(56)이, 상기 하우징(10)의 암부(20)의 대향면에 마련한 빠짐 방지용 돌기부(22) 및 돌기(23)에 각각 맞닿아서 빠짐 방지된다.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하우징의 배면도, 도 2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 도 2C 및 2D는 도 1에 도시한 접촉자 및 조작 부재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3A, 3B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의 로크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4A, 4B 및 4C는 도 3에 도시한 커넥터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도5A, 5B는 하우징에 조작 부재를 조립하는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5C는 도 5B의 좌측면도, 도 5D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커넥터의 로크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 7B 및 7C는 도 6에 도시한 커넥터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도 8A는 도 6에 도시한 커넥터의 배면도, 도 8B는 도 8A의 좌측면도, 도 8C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하우징 본체
12 : 압입 홈
13, 14 : 상, 하단자 홈
15 : 리브
16 : 유지부
17 : 위치 규제용 폴 부
2O : 암부
21 : 단부
22 : 빠짐 방지용 돌기부
22a : 가이드면
22b : 테이퍼면
22c : 테이퍼면
23 : 빠짐 방지용 돌기
23a : 테이퍼면
30 : 지지 금구
31 : 수직부
32 : 계지용 돌기
40 : 접촉자
41 : 접촉자 본체
41a : 협지부
41b : 단자부
41c : 위치 결정용 오목부
41d : 계지용 돌기
41e : 계지 폴
42 : 지주부
43 : 조작편
43a : 협지부
43b : 피조작부
50 : 조작 부재
51 : 리브
52 : 당접부
53 : 캠부
54 : 회전축부
55 : 돌기부
56 : 접합면
6O : FPC
기술분야
본 발명은 커넥터, 특히, 플렉시블한 프린트 배선 기판(FPC)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플렉시블한 프린트 배선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회전 로크 방식의 커넥터가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즉, 특허 문헌 1에 관한 커넥터는 하우징(30)의 배면 양측 단(端)부분에 오목형의 지지부(37, 3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20)의 피지지부(27)를 상기 지지부(37)에 삽입하여 상기 하우징(30)의 배면측에 장착함에 의해 해제 위치와 접속 위치 사이에서 횡방향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유롭게 되도록 상기 조작 부재(20)를 하우징(30)에 지지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평11-3O7198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커넥터는 조작 부재(20)의 피지지부(27)를 상기 하우징(30)의 지지부(37)에 단지 지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조작 부재(20), 하우징(30)이 작아지면, 조작 부재(20)의 탈락을 방지하는 지지력을 얻기 어려움과 함께, 상기 조작 부재(20)를 조작할 때의 힘(力) 가감이 용이하지 않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조작 부재(20)를 로크할 때 조작자가 과대한 조작력을 잘못 가하는 일이 있어, 상기 조작 부재(20)가 하우징(30)으로부터 탈락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조작할 때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의 탈락 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우징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한 쌍의 암부를 대향하도록 연장한 하우징과, 접촉자 본체에 직립설치(立設)한 지주부(支柱部)를 통하여 조작편을 연장하고, 상기 조작편의 일단부를 협지부(挾持部)로 함과 함께 그 타단부를 피조작부로 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소정의 피치로 병설된 복수개의 접촉자와, 양단면에 회전축부를 동일한 회전축심상에 각각 돌설(突設)함과 함께, 상기 회전축부 사이에 상기 회전축부와 동일한 회전축심을 갖는 복수의 캠부를 소정의 피치로 일체 성형하고, 상기 회전축부를 상기 하우징의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빠짐 방지한 조작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부재를 밀어 넘어뜨려 회전하고, 로크 상태로 함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의 캠부가 상기 접촉자의 조작편의 피조작부를 밀어올리는 한편, 상기 접촉자의 조작편의 협지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접속부에 압접(壓接)하고, 또한, 전기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회전축부의 단면(端面)에 개략 반원형의 돌기부(突部)를 돌설하고, 조작시에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 및 상기 돌기부의 접합면이, 상기 하우징의 암부의 대향면에 돌설한 빠짐 방지용 돌기부 및 돌기에 각각 맞닿아 빠짐 방지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크할 때 또는 로크를 해제할 때에 조작 부재의 회전축부 및 돌기부의 2개소에서 상기 조작 부재가 하우징에 빠짐 방지되기 때문에, 종래예 보다도 조작 부재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빠짐 방지용 돌기부 및 돌기가 로크 시에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 및 상기 돌기부의 접합면에 파고들어가도록 작용하여 탈락을 방지하는 테이퍼면을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크시에 조작 부재를 인출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테이퍼면이 조작 부재의 탈락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접촉자의 조작편의 피조작부가, 로크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의 캠부에, 상기 조작 부재를 외부로 압출하려고 하는 분력(分力)이 생기지 않도록 압접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크시에 항상, 가세되는 조작편의 스프링력을 원인으로 하는 조작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8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지지 금구(30)와, 접촉자(40)와, 조작 부재(5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외형 치수는 최대 폭 3.5㎜, 최대 길이 6.0㎜, 최대 높이 1.25㎜이다.
상기 하우징(10)은, 단면(斷面) 개략 직사각형의 통형상(筒狀) 하우징 본체(11)의 양측면으로부터 한 쌍의 암부(20, 20)를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1)는 그 양측면에 후술하는 지지 금구(30, 30)를 압입, 지지하기 위해 단면 T자 형상의 압입 홈(12, 12)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11)는 그 내부의 상하면에 후술하는 접촉자(40)를 압입, 지지하는 상, 하단자 홈(13, 14)을 소정의 피치로 대향하도록 각각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단자 홈(13, 14)과 다른 상기 상, 하단자 홈(13, 14) 사이에 위치하는 상하면을 연결하도록 리브(15)를 소정의 피치로 일체 성형하고 있다(도 2A). 또한,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단자 홈(13, 14)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리브(15)를 연결 일체화하는 유지부(保持部)(16)를 일체 성형하고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암부(20)의 기부에는 위치 규제용 폴부(17)가 배면측을 향하여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암부(2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측의 윗면에 한 단계 낮은 단부(段部)(21)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선단측이 대향하는 내측면에, 후술하는 조작 부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빠짐 방지용 돌기부(22)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빠짐 방지용 돌기부(22)는 그 하면이 후술하는 조작 부재(50)를 조립할 때의 가이드면(22a)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그 배면측에 테이퍼면(22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암부(20)는 상기 빠짐 방지용 돌기부(22)의 내측의 기부에 빠짐 방지용 돌기(23)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빠짐 방지용 돌기부(22) 및 돌기(23)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측에 대향하는 측면을 테이퍼면(22c, 23a)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조작 부재(50)의 탈락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지지 금구(30)는 단면 개략 L자 형상으로 굴곡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수직부(31)의 양측단면에 계지용 돌기(32, 3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 고,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압입 홈(12)에 상기 수직부(31)를 하방측으로부터 압입하고, 상기 계지용 돌기(32)를 통하여 빠짐 방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 금구(30)를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또는 경질 프린트 배선 기판상에 고착함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접촉자(40)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금속재로부터 천공(打拔)하여 형성되고, 그 접촉자 본체(41)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지주부(42)를 통하여 조작편(43)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촉자 본체(41)는 한단측에 협지부(41a)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타단측을 단자부(41b)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주부(42)와 단자부(41b) 사이에 후술하는 조작 부재(5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오목부(41c)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지주부(42)의 기부에 계지용 돌기(41d)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상, 하단자 홈(13, 14)에 상기 접촉자(40)의 조작편(43) 및 접촉 본체(41)를 각각 압입하면, 상기 하우징 본체(11)에 계지 폴(41e)이 계지함과 함께, 상기 유지부(16)에 상기 계지용 돌기(41d)가 계지하여 빠짐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접촉자 본체(41)의 선단에 위치하는 협지부(41a)의 들떠오름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하단자 홈(14)의 일단측에 계지부를 형성하고 있어서도 좋다.
상기 조작 부재(50)는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피치로 리브(51)를 평행하게 돌설함과 함께, 최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리브(51)에 인접하도록 당접부(5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당접부(52)는 상기 조작 부재(50)의 정면측으로의 쓰 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리브(51) 사이에는 지레의 원리로 상기 접촉자(40)를 구동하는 캠부(53)를 걸치도록 일체 성형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당접부(52)의 측면에는 회전축부(54)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회전축부(54)의 단면에는 개략 반원형의 돌기부(55)가 측방으로 돌설하고, 접합면(5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부(54)의 회전 중심과 상기 캠부(53)의 회전 중심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암부(20)에 마련한 빠짐 방지용 돌기부(22)의 가이드면(22a)에 상기 조작 부재(50)의 접합면(56)을 맞닿게 하여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50)의 회전축부(54)를 테이퍼면(22b)에 꽉누름에 의해, 상기 암부(20)를 탄성 변형시켜 상기 빠짐 방지용 돌기부(22)를 지나가도록 하여 끼워 맞춘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50)의 캠부(53)가 접촉자(40)의 위치 결정용 오목부(41c)에 끼워 맞추어 위치 결정되고, 조립이 완료한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50)의 당접부(52)가 하우징(10)의 위치 규제용 폴부(17)에 맞닿음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50)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의 정면 측에서부터 FPC(60)를 삽입하고, 리브(15)에 꽉눌러서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50)를 밀어 넘어뜨려서 회전축부(54)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부(53)가 일어서고, 조작편(43)의 피조작부(43b)를 밀어올린다. 이 때문에, 상기 지주부(42)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조작편(43)의 협지부(43a)가 접촉자 본체(41)의 협지부(41a)로서 상기 FPC(60)를 끼워 지지하여 빠짐 방지하고, 또한, 전기 접속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54)가 빠짐 방지용 돌기부(22)의 테이퍼면(22c)에 맞닿음과 함께, 돌기부(55)의 접합면(56)이 빠짐 방지용 돌기(23)의 테이퍼면(23a)에 맞닿는다. 이 때, 접합면(56)과 테이퍼면(23a)이 면접촉 가능해지고, 과대한 조작력이 부하되더라도, 조작 부재(50)는 빠져 떨어지기 어렵다. 특히, 상기 테이퍼면(22c, 23a)의 연부(緣部)가 회전축부(54) 및 접합면(56)에 각각 파고들어가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회전시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부재(50)의 탈락 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53)에 대한 접촉자(40)의 피조작부(43b)의 작용점이 상기 캠부(53)의 축심, 즉, 회전축부(54)의 회전축심에 직교함과 함께 연직선상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조작편(43)의 스프링력이 수평 방향으로 분력되지 않고, 그 스프링력의 모두가 연직 방향으로 상기 캠부(53)의 축심상에 부하된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50)가 접촉자(40)의 오목부(41c)로부터 빠져나오기 어려워지고, 조작 부재(50)가 한층 더 탈락하기 어려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50)를 로크하여 FPC(60)를 끼워 지지한 경우에는, 도 8A,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윗면과 조작 부재(50)의 윗면이 동일면으로 된다. 이것은, 장치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조작 부재(50)도 작아지면, 상기 조작 부재(50)가 동작 위치까지 확실하게 변위하고 있는지의 여부 판단이 용이하지 않다. 이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치구의 평탄면으로 상기 조작 부재(50)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상기 조작 부재(50)를 로크 상태까지 확실하게 변위시킬 수 있 다.
계속해서, 상기 FPC(60)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부재(50)를 전술한 바와는 역방향으로 끌어올려서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캠부(53)가 조작편(43)의 피조작부(43b)의 압압력에 대항하여 회전한다. 이 때문에, 조작편(43)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FPC(60)에 대한 협지부(41a, 43a)의 협지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FPC(60)를 하우징(11)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통상의 경질 프린트 배선 기판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크할 때 또는 로크를 해제할 때에 조작 부재의 회전축부 및 돌기부의 2개소에서 상기 조작 부재가 하우징에 빠짐 방지되기 때문에, 종래예 보다도 조작 부재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빠짐 방지용 돌기부 및 돌기가 로크시에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 및 상기 돌기부의 접합면에 파고들어가도록 작용하여 탈락을 방지하는 테이퍼면을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크시에 조작 부재를 인출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테이퍼면이 조작 부재의 탈락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접촉자의 조작편의 피조작부가, 로크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의 캠부에, 상기 조작 부재를 외부로 압출하려고 하는 분력(分力)이 생기지 않도록 압접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크시에 항상, 가세되는 조작편의 스프링력을 원인으로 하는 조작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우징 본체의 양측면으로부터 한 쌍의 암부를 대향하도록 연장한 하우징과,
    접촉자 본체에 직립설치한 지주부를 통하여 조작편을 연장하고, 상기 조작편의 일단부를 협지부로 함과 함께 그 타단부를 피조작부로 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소정의 피치로 병설된 복수개의 접촉자와,
    양단면에 회전축부를 동일한 회전축심상에 각각 돌설함과 함께, 상기 회전축부 사이에 상기 회전축부와 동일한 회전축심을 갖는 복수의 캠부를 소정의 피치로 일체 성형하고, 상기 회전축부를 상기 하우징의 암부에 회전 가능하게 빠짐 방지한 조작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부재를 밀어 넘어뜨려 회전하고, 로크 상태로 함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의 캠부가 상기 접촉자의 조작편의 피조작부를 밀어올리는 한편, 상기 접촉자의 조작편의 협지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프린트 배선 기판의 접속부에 압접하고, 또한, 전기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회전축부의 단면에 개략 반원형의 돌기부를 돌설하고, 조작시에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 및 상기 돌기부의 접합면이, 상기 하우징의 암부의 대향면에 돌설한 빠짐 방지용 돌기부 및 돌기에 각각 맞닿아 빠짐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용 돌기부 및 돌기가, 로크시에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면 및 상기 돌기부의 접합면에 파고들어가도록 작용하여 탈락을 방지하는 테이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조작편의 피조작부가, 로크시에 있어서 조작부재의 캠부중, 연직선상에 존재하고, 상기 회전축심과 직교하는 위치를 압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50044445A 2004-06-11 2005-05-26 커넥터 KR100712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74234 2004-06-11
JP2004174234A JP4380428B2 (ja) 2004-06-11 2004-06-1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113A KR20060048113A (ko) 2006-05-18
KR100712804B1 true KR100712804B1 (ko) 2007-04-30

Family

ID=3558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445A KR100712804B1 (ko) 2004-06-11 2005-05-26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80428B2 (ko)
KR (1) KR100712804B1 (ko)
CN (1) CN100414781C (ko)
TW (1) TWI2601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2705B2 (ja) * 2006-09-28 2011-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92707B2 (ja) * 2007-12-28 2012-08-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842798B (zh) * 2011-06-24 2014-11-12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器
US8672698B2 (en) 2011-07-22 2014-03-18 Hosiden Corporation Card connector
US8636531B2 (en) * 2011-07-22 2014-01-28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flat connecting objects
JP6303641B2 (ja) * 2014-03-13 2018-04-0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790A (ko) * 2002-09-03 2004-03-09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9560A (en) * 1994-12-14 1998-01-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having a pivotable connection-assistance member
JP3101951B2 (ja) * 1997-01-24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3932521B2 (ja) * 1998-04-17 2007-06-20 Smk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ー
JP3903338B2 (ja) * 2001-11-08 2007-04-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3709174B2 (ja) * 2002-04-22 2005-10-19 Smkアールアンドディ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790A (ko) * 2002-09-03 2004-03-09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7867A (zh) 2005-12-14
JP2005353469A (ja) 2005-12-22
KR20060048113A (ko) 2006-05-18
TW200607183A (en) 2006-02-16
JP4380428B2 (ja) 2009-12-09
TWI260113B (en) 2006-08-11
CN100414781C (zh)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3338B2 (ja) Fpc用コネクタ
KR0154609B1 (ko)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커넥터
KR100944087B1 (ko) 커넥터
KR100572885B1 (ko) 가요성 기판용 커넥터
US7931491B2 (en) Flat cable connector
KR100712804B1 (ko) 커넥터
KR101036719B1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4858249B2 (ja) コネクタ
KR100899049B1 (ko) 커넥터
JP2004165046A (ja)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JP5018620B2 (ja) コネクタ
EP147805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echanism for supplementing spring characteristics of a contact
JP2004022286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10003616A (ja) コネクタ
JP2683709B2 (ja) 無挿入力電気コネクタ
JP3786400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595934B2 (ja) コネクタ
JP2002324609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5141315B2 (ja) 端子支持構造
JP3632106B2 (ja) Fpc用コネクタ
JP2003317838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H033991Y2 (ko)
JP2009266667A (ja) コネクタ
JP2002050423A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5348374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