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062B1 -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062B1
KR100712062B1 KR1020057009048A KR20057009048A KR100712062B1 KR 100712062 B1 KR100712062 B1 KR 100712062B1 KR 1020057009048 A KR1020057009048 A KR 1020057009048A KR 20057009048 A KR20057009048 A KR 20057009048A KR 100712062 B1 KR100712062 B1 KR 10071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data transmission
terminal device
transmission metho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435A (ko
Inventor
줏시 마아니이티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8388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120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5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데이터 전송 방법들이 선택용으로 존재하는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들을 기반으로 하여 전송될 메시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입력되거나 또는 사전에 입력된 메시지에 관한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검사된다. 메시지 전송을 위해, 사전에 결정된 선택 조건들에서 상기 속성 정보와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이 선택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Selecting a data transfer method}
본 발명은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에 관한 것이다.
이동국들과 같은 기존의 무선 단말기 장치들은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나 또는 다른 한 단말기 장치에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다른 여러 방법들을 구비하고 있다. 여러 단말기 장치들은, 예컨대 텍스트 형태의 짧은 메시지들(짧은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미디어 메시지들(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및 전자 메일 메시지들의 전송을 지원한다. 예컨대, SMS 및 MMS 메시지들로 다른 유형의 정보가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메시지 유형은 자기 자신의 고유한 편집기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 사용자 자신은 먼저 메시지 전송을 위해 사용될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야 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메시지 편집기가 열리기 때문에 사용자가 예를 들면 단말기 장치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한 단말기 장치의 일례로 노키아 커뮤니케이터가 있는 데, 이러한 노키아 커뮤니케이터에서는 메시징 뷰(messaging view)에서, 맨 처음으로 수행하여야 할 사항이 전송될 메시지가 전자 메일 메시지인 지, 짧은 메시지인 지 아니면 팩스인 지를 선택하 는 것이며, 그에 따라 특정 용도의 메시지 편집기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어느 편집기를 선택해야 하는 지에 대해 항상 알고 있지는 않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수정된 텍스트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자신은 SMS 애플리케이션보다는 오히려 MMS 애플리케이션(및 편집기)을 선택해야 하는 데, 그 이유는 수정된 텍스트가 SMS 메시지로서 전송될 수 없기 때문이다. 데이터 전송 방법들 및 데이터 전송 방법들에 사용되는 편집기들의 이같은 예외적인 특징들 및 제약 조건들은 종종 사용자들이 모르고 있는 데, 이는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데 문제들을 야기시키며 사용자들이 만족하지 않게 한다. SMS 메시지들에 관한 개별 문제는 상기 노키아 커뮤니케이터 장치에 의해 해결되었는 데, 상기 노키아 커뮤니케이터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의 길이가 최대 길이를 초과할 때를 편집기가 검출하며, 이 경우에 메시지가 SMS 메시지로서 전송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의 해결 방안이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시 데이터 전송 방법들의 기타 제약 조건들을 고려하는 데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된 문제들이 회피되거나 또는 적어도 경감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에 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단말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되거나 사전에 입력된 메시지에 관한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검사된다. 메시지 전송을 위해, 사전에 결정된 선택 조건들에서 상기 속성 정보와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이점은 데이터 전송 방법이 메시지의 하나 이상의 속성들에 따라 자동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반드시 데이터 전송 방법들의 제약 조건들을 알아야 할 필요는 없으며 메시지 전송에 적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이 사전에 결정된 선택 조건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여러 데이터 전송 방법들을 지원하는 예컨대, 최신 이동국으로부터 메시지들의 전송을 보다 용이하게 해 준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메시지 내에 입력되며 그리고/또는 메시지용으로 선택된 정보의 하나 이상의 정보 유형들이 검사된다.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 유형들과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은 메시지 전송용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선택될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전송될 메시지의 컨텐츠 전송을 지원할 수 있게 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메시지 수신기로서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이 검사된다. 다음으로,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결정된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과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이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선택될 데이터 전송 방법이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에 따른 데이터 전송이나 또는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에 따른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게 해 준다.
지금부터 첨부도면들을 참조한 몇몇 실시예들과 연관지어 본 발명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원격 통신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들을 전반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어떠한 선택 조건들이 사용되는 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절차가 예를 들어 그리고 GSM 시스템 및 제3세대 3GPP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송될 메시지용으로 사용될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는 어떠한 원격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한 예로 무선 구내 정보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이 예컨대 휴대용 컴퓨터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메시지들은 다른 여러 데이터 전송 방법들을 사용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로부터 예를 들면 유선 접속, WLAN 접속, GPRS 접속 또는 블루투스 접속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MNW)를 포함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MNW)로부터 인터넷 및 PSTM 네트워크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원격 통신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MNW)는 이동국들(MS)에 여러 원격 서비스들(TS)을 제공한다. 그러한 원격 서비스들(TS)의 예들로는 PLMN 네트워크에 대한 호 설정(call setup) 서비스, 인터넷에 대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SMS 서비스, MMS 서비스, 및 팩스 서비스가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MNW)의 외부 요소는, 예를 들면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의 서버(S)가 전자 메일 서비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MNW)의 이동국(MS)에 원격 서비스들(TS)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원격 서비스(TS)는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만이 하나의 중계 네트워크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는 단말 간 서비스(end-to-end service)일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MNW)는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MNW) 및 이동국(MS)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베어러 서비스들(BS)을 사용한다. 베어러 서비스들(BS)의 예들로는 데이터 및 음성 전송을 위한 회선 교환 호(circuit-switched call), 또는 GPRS 네트워크 패킷 회선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 PDP) 콘텍스트, 및 이들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들이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MNW)의 일례로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기구에 의해 정의되고 3GPP 시스템 또는 UMTS 시스템으로 언급되는 제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이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요 부분들은 코어 네트워크(CN) 및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이다. 상기 UTRAN은 여러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들(RNS)을 포함하는 것이 전형적이며, 상기 여러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들(RNS) 간의 인터페이스 는 lur(도시되지 않음)로 언급된다. 상기 RNS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및 또한 노드(들)(B)로서 알려져 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무선 경로를 구현할 능력을 지니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는 무선 자원들을 관리한다. UMTS 코어 네트워크(CN)에 대한 접속은 또한 GSM 기지국 서브시스템(BSS) 또는 GSM/EDD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GSM 진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 속도 향상 기법)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ERAN)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CN)는 상기 UTRAN의 외부에 존재하며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기반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서, 이동 전화 교환국/방문자 위치 등록기(3G MSC/VLR)는 회선 교환 호를 구현할 능력을 지니고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와의 통신을 이룬다.
3GPP 시스템은 또한 GSM 네트워크에 접속된 GPRS 시스템에 따라 주로 구현되는 패킷 무선 시스템을 포함한다. UMTS 패킷 무선 시스템은 여러 게이트웨이 및 서비스 제공용 GPRS 지원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여러 서비스 제공용 GPRS 지원 노드들(SGSN)은 하나의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에 접속된다. 상기 서비스 제공용 GPRS 지원 노드(SGSN)의 태스크는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패킷 무선 접속들이 가능한 이동국들을 검출하고, 그러한 이동국들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 및 수신하며, 그리고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상기 이동국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는 상기 UMTS 네트워크 패킷 무선 시스템 및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간 게이트웨이로서의 역할을 한다.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들은 예컨대 다른 네트워크 운영자의 3GPP 또는 GPRS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사설 구내 정보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또한 SMS 센터, MMS 서버, 및 SIP 기능들과 같은 (개별 네트워크 요소들 및/또는 앞서 위에서 언급된 네트워크 요소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다른 기능들을 포함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3GPP 사양들에는 이동국 및 코어 네트워크 간, 코어 네트워크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간, 그리고 이동국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간의 여러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상기 3GPP 사양들에는 네트워크 운영자들에 의해 생성되는 여러 네트워크 서비스들(TS)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여러 서비스 특징들(예컨대, CAMEL(customized applications for mobile network enhanced logic; 이동 네트워크 향상 로직을 위한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이 정의되어 있다. 3GPP 시스템들은 음성 서비스, 팩스 서비스, 회선 교환 데이터, 부가 서비스들, 및 비정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USSD) 서비스와 같은 GSM 시스템의 원격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또한, 다른 종류의 원격 서비스들(TS), 예컨대, 음성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Voice-over-IP; VoIP)이 3GPP 네트워크들에서 제공된다.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동국(MS)은 메모리(MEM), 사용자 인터페이스(UI), I/O 데이터 전송을 이루기 위한 I/O 수단,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유닛(CPU)을 포함한다. 여러 애플리케이션들(APP)은 상기 CPU에서 상기 메모리(MEM)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이동국(MS)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MNW)에서 메시지 전송을 허용하는 베어러 서비스들(BS) 중 적어도 몇몇 베어러 서비스들이 상기 이동국(MS) 에 의해 이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들(APP)이 상기 이동국(MS)에서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들(APP)은 상기 네트워크와 함께 사용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필요한 절충(negotiation), 메시지 패킹 및 전송을 구현한다. 그러한 애플리케이션들(APP)의 예들로는 회선 교환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 SMS 애플리케이션, WAP 애플리케이션, MMS 애플리케이션, 향상된 메시징 서비스(EMS) 애플리케이션, 팩스 애플리케이션, 및 전자 메일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위에서 언급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몇몇 애플리케이션들은 프로토콜 스택에서 하위에 위치해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들의 서비스들을 이용하는 데, 예를 들면, 전자 메일 애플리케이션은 패킷 교환 GPRS 서비스를 이용한다. 상기 중앙 처리 유닛(CPU)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은 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국(MS)이 또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에 관한 독창적인 수단을 구현할 수 있게 해 주는 데, 그러한 수단의 몇몇 실시예들은 도 3,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국(MS)은 중앙 집중식으로 사용될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내부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애플리케이션들(APP)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메시지 편집기(ED)를 사용한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장치(MS)의 메모리(MEM) 내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메모리 수단 내에, 예컨대 PC의 하드 디스크 또는 CD-ROM 디스크 상에 저장될 수 있 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예컨대 TCP/IP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창적인 수단을 구현하는 데 하드웨어 솔루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상기 도면에 예시된 방법은 이동국(MS), 한 실시예에 의하면, 메시지 편집기(ED)에 특히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단계(300)는 메시지 결정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편집기(ED)는 그후 온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고, 메시지의 입력 뷰(input view)가 결과적으로는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입력들은 사용자로부터 수신(301)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전송될 메시지가 결정된다. 사용자는, 예컨대 문자들의 입력 및/또는 사전에 저장된 정보 일부의 선택, 예컨대 메시지에 첨부될 상기 메모리(MEM)에 저장된 사진의 선택을 통해 메시지 내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입력되거나 또는 사전에 입력된 메시지에 관한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검사된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302)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선택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는, 단계(302)는 메시지의 입력시, 예컨대, 사용자가 사전에 결정된 정보 유형의 정보를 메시지에 추가하도록 선택할 때 사전에 구현될 수도 있다. 단계(302)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선택하며 그리고/또는 메시지를 수신기에 입력할 때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303)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사전에 결정된 선택 조건들에 따라 그리 고 결정된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따라 선택된다. 상기 선택 조건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전송 방법들은 상기 속성 정보와 연관된다. 상기 선택 조건들은 다른 여러 방식들로, 예컨대 상기 메모리(MEM)에 저장된 검색표(search tabl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조건들을 구현하고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메시지의 다른 속성들을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들이 이하 보다 상세하게 언급될 것이다. 단계(303)에서는, 상기 사전에 결정된 선택 조건들에서 상기 속성 정보와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이 메시지 전송을 위해 그러한 방식으로 선택된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예를 들면 직접적인 연관이 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속성 정보 중 일부 간의 선택 조건들에서 결정되고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결정된 다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반드시 언급될 필요조차도 없는) 다른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속성 정보가 또한 간접적으로 데이터 전송 방법과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선택 조건들이 메시지에 관한 속성 정보 중 일부용으로 사용될 데이터 전송 방법을 결정하지 못할 경우, 이동국(MS)은 상기 속성 정보와 간접적으로 연관되는 디폴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사용될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할 것을 요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선택 기준이 장치의 제조시 사전에 이동국(MS) 내에 결정되어 있을 수 있지만, 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선택 조건들 중 적어도 몇몇 선택 조건들을 결정 및/또는 변경할 수 있다. 여러 데이터 전송 방법들이 유사한 유형의 메시지들의 전송용으로 이용가능할 경우, 사용자는 디폴트 데이터 전송 방법, 예컨대 EMS 메시지들 대신에 MMS 메시지들을 사전에 선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의하면, 예를 들면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다른 외부 사람이 예컨대 장치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선택 조건들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택 조건들은 응답이 메시지에 제공될 경우, 다시 말하면 전송될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일 경우 사전에 수신된 메시지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라 선택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이 선택된 후에는, 단계(304)에서 메시지가 선택된 데이터 전송 방법, 예컨대 도 1 또는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데이터 전송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도 3의 방법이 메시지 편집기(ED)에 적용될 경우, 상기 메시지 편집기(ED)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지원 및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APP)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APP)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APP)이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의 컨텐츠를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 편집기(ED)는 그러한 방식으로 다른 데이터 전송 방법들에 따른 여러 메시지들, 예컨대 SMS 서비스 및 MMS 서비스를 통해 전송될 메시지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시지 편집기(ED)는 선택된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GPRS 서비스의 WAP 접속 또는 PDP 콘텍스트가 메시지 및 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전송해야 할 필요성에 응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4a는 한 실시예에 따라 어떠한 선택 조건들이 사용되는 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상기 선택 조건들은 다른 정보 유형들용으로 사용될 데이터 전송 방법을 결정한다. 메시지 내에 입력되며 그리고/또는 메시지용으로 선택되는 정보의 하나 이상의 정보 유형들이 그후 검사(400)된다. 한 정보 유형이 결과적으로는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정보의 포맷을 언급하며, 메시지가 결과적으로는 예컨대 텍스트, 수정된 텍스트, 정지 그림(still picture), 비디오 이미지, 기록물, 캘린더 입력과 같은 정보 유형들 중 하나 이상의 정보 유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0)에서는,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 유형들과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은 메시지 전송용으로 선택(401)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항상 선택될 데이터 전송 방법이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의 하나 이상의 정보 유형들의 전송을 지원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선택 조건들은 예컨대 이미지 파일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들이 MMS 서비스를 사용하여 항상 전송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후, 단계(400)에서는, 메시지가 이미지 파일들을 포함할 지의 여부가 검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조건들은, 예컨대 메시지가 여러 정보 유형들을 포함할 경우 메시지가 MMS 메시지로서 항상 전송되도록 다른 여러 정보 유형들에 관한 조건들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선택 조건들은 또한 특정 데이터 전송 방법의 사용을 위한 조건들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선택 조건들은 메시지가 단지 텍스트만을 포함할 경우 메시지가 SMS 메시지로서 전송되고, 메시지가 단지 텍스트만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 메시지가 항상 MMS 메시지로서 전송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군다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택 조건들은 단일 정보 유형들 및 단일 정보 유형들용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들을 보다 세부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선택 조건들은, 예컨대 메시지에 첨부될 파일들에 따라 사용될 데이터 전송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데, 예컨대 JPEG 포맷의 그림들은 MMS 메시지로서 전송되고 전자 메일 애플리케이션은 GIF 포맷의 그림들용으로 사용된다.
도 4b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라 어떠한 선택 조건들이 사용되는 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상기 선택 조건들은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들용으로 사용될 데이터 전송 방법을 결정한다. 그후, 단계(410)에서, 메시지 수신기로서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이 검사된다. 단계(411)에서,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과 연관되며 결정된 유형에 따라 메시지들의 전송을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항상 선택될 데이터 전송 방법이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에 따른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에 따른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게 해 준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이 IP 주소이다. 상기 유형은 그후 단계(410)에서 결정될 수 있는 데,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IP 주소 또는 IP 주소를 기술하는 도메인 네임을 입력했거나 또는 입력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유형이 검출될 때이다. 이러한 유형은, 예컨대 전자 메일 주소에서 사용되는 @ 문자를 기반으로 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주소를 기반으로 하여 단계(410)에서 검출될 수 있다. 그후, 상기 식별자 유형이 IP 주소인 것으로 검출될 경우,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IP 주소와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 예컨대, IP 데이터 전송을 기반으로 하는 GPRS 서비스가 사용될 수 있다. 더군다나, 보다 세부적인 선택 조건들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 메일 주소를 입력할 경우, 전자 메일 서비스가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선택된다.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은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전화번호이다. 그후, 단계(410)에서, 수신기에 의해 입력된 숫자들을 기반으로 하여 번호가 전화번호인 것으로 상기 식별자 유형이 검출될 수 있고,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이러한 유형과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이 선택(411)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보다 세부적인 선택 조건들이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데, 그 이유는 예를 들면 다른 데이터 전송 방법들이 다른 전화번호들 또는 번호들의 집합들용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국(MS)은 상기 번호가 이동 가입자 번호인 지의 여부를 검사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GSM 표준에 따른 이동국(MS)에서는, 그러한 결과로 최초의 3 내지 6개의 입력된 숫자들 검사한 후, GSM 번호 방식인 국가 코드(country code; CC) 및 국내 지정 코드(national destination code; NDC)를 기반으로 하여, 수신기의 번호가 이동 가입자 번호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국(MS)의 선택 조건들은 특히 SMS 서비스 및 MMS 서비스의 사용과 관련하여, 이동 가입자 번호만에 지정된 메시지들이 이러한 서비스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택 조건들은 다른 수신기들의 식별자들 용으로 사용될 데이터 전송 방법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연락처 정보는 디폴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연락처 특정 방식으로 결정한다. 그후, 상기 연락처 정보가 전송 정보(주소 또는 전화번호)에 대해 검색될 경우에는, 디폴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수 신기 정보와 연관되었는 지의 여부가 동시에 검사된다. 따라서,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결정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 전송 방법이 선택되는 속성 정보는 예를 들면 특정의 전화번호 또는 IP 주소이다. 상기 연락처 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저장되는 선택 조건들은 수신기가 예컨대 MMS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사전에 결정될 데이터 전송 방법이 항상 특정의 수신기나 또는 수신기들의 그룹에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들은 도 3의 단계들(302,303)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다른 여러 선택 조건들이 적용될 수도 있고 상기 선택 조건들이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다른 여러 기준들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a 및 도 4b 모두에 예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은 메시지 편집기(ED)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조건들이 속성 정보와 연관된 적어도 2가지의 데이터 전송 방법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러한 조합이 상기 속성 정보를 지니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MMS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파일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들용으로 선택(303;401)되고, MMS 메시지들은 GPR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선택 조건들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데이터 전송 방법들이 메시지 전송용으로 이용가능할 경우 이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구비한다.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데이터 전송 방법은 그후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을 기반으로 하여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 예는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구비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을 위해 필요에 따라 예컨대, 가장 값이 싼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자동 선택된 데이터 전송 방법의 승인을 사용자에게 요구하고 단지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 방법의 사용을 승인한 경우에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당업자에게 자명한 점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이 다른 여러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에서 언급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특징들은 등가예들로 생략, 수정 또는 대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여러 데이터 전송 방법들이 선택용으로 존재하는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들을 기반으로 하여 전송될 메시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거나 사전에 입력된 메시지에 관한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메시지 전송을 위해 사전에 결정된 선택 조건들에서 상기 속성 정보와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은,
    메시지 내에 입력되며 그리고/또는 메시지용으로 선택되는 정보의 하나 이상의 정보 유형들을 검사하는 단계, 및
    메시지 전송을 위해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 유형들과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은,
    메시지 수신기로서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을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결정되는 상기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과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은,
    단말기 장치에서 메시지들의 입력용으로 사용되는 메시지 편집기에 상기 방법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편집기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를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은,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결정하고 메시지 전송을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은,
    상기 선택 조건들을 기반으로 하여, 메시지 전송용으로 이용가능한 여러 데이터 전송 방법들에 응답하여 이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을 기반으로 하여 메시지 전송용으로 사용될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방법.
  7.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들을 기반으로 하여 전송될 메시지를 결정하도록 설정되는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입력되거나 또는 사전에 입력된 메시지에 관한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검사하도록 부가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기 장치는 메시지 전송을 위해 사전에 결정된 선택 조건들에서 상기 속성 정보와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단말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메시지 내에 입력되며 그리고/또는 메시지용으로 선택되는 정보의 하나 이상의 정보 유형들을 검사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단말기 장치는 메시지 전송을 위해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정보 유형들과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메시지 수신기로서 사용자가 입력 또는 선택한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을 검사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선택 조건들에서 결정되는 수신기의 식별자 유형과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메시지 입력용으로 사용되는 메시지 편집기에 상기 방법을 적용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메시지 편집기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를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결정하고 메시지 전송을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상기 선택 조건들을 기반으로 하여, 메시지 전송용으로 이용가능한 여러 데이터 전송 방법들에 응답하여 이용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법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단말기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을 기반으로 하여 메시지 전송용으로 사용될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13. 입력되거나 사전에 입력된 메시지에 관한 속성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검사하도록 상기 단말기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코드부, 및
    메시지 전송을 위해 사전에 결정된 선택 조건들에서 상기 속성 정보와 연관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선택하도록 상기 단말기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코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의 메모리 내에 다운로드가능하고 상기 단말기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을 저장한 컴퓨터에 의해 독출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057009048A 2003-08-18 2004-08-17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KR100712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1165A FI116440B (fi) 2003-08-18 2003-08-18 Tiedonsiirtomenetelmän valinta
FI20031165 2003-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435A KR20060055435A (ko) 2006-05-23
KR100712062B1 true KR100712062B1 (ko) 2007-04-30

Family

ID=2783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048A KR100712062B1 (ko) 2003-08-18 2004-08-17 데이터 전송 방법의 선택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149724B2 (ko)
EP (1) EP1550333B1 (ko)
JP (1) JP4242868B2 (ko)
KR (1) KR100712062B1 (ko)
CN (1) CN100401818C (ko)
AT (1) ATE343909T1 (ko)
BR (1) BRPI0406390B1 (ko)
CA (1) CA2502963C (ko)
DE (1) DE602004002926T2 (ko)
ES (1) ES2273274T3 (ko)
FI (1) FI116440B (ko)
HK (1) HK1086975A1 (ko)
WO (1) WO2005018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6440B (fi) 2003-08-18 2005-11-15 Nokia Corp Tiedonsiirtomenetelmän valinta
US20060047837A1 (en) * 2004-06-14 2006-03-02 Jukka-Pekka Rissanen Arrangement for informing application capabilities by an object exchange protocol
KR100873710B1 (ko) * 2004-06-14 2008-12-12 노키아 코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용량을 알려주는 장치
EP1708467B1 (en) * 2005-03-29 2009-04-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an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therefore
CN100531057C (zh) * 2006-06-09 2009-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短消息交互建立最优数据传输通道方式的方法
DE102006059280A1 (de) * 2006-12-13 2008-06-19 Vodafone Holding Gmbh Erzeugung von mittels eines Nachrichtendienstes eines Mobilfunknetzes übertragbaren Nachrichten
US8588062B1 (en) * 2007-02-27 2013-11-1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pplication based access selection
AU2008201643B1 (en) 2007-07-24 2008-08-28 Rambrandt Messaging Technologies, LP Messaging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20150199529A1 (en) * 2013-02-10 2015-07-16 Einar Rosenber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virtual bucket to transfer electronic dat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3946A1 (en) * 2000-02-23 2001-08-30 Nexterna,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outing messages transmitted from mobile platforms
EP1161109A2 (en) * 2000-05-31 2001-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graphic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in a portable radio terminal
WO2003103319A1 (en) * 2002-05-29 2003-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message from a wireles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2088B2 (ja) * 1989-02-06 1998-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ロトコル選択切替方法
JPH05216597A (ja) * 1992-02-05 1993-08-27 Canon Inc 入出力方法及び装置
JPH06319005A (ja) 1993-01-13 1994-11-15 Canon Inf Syst Inc メッセージ配信方法及び装置
US5414444A (en) 1994-03-30 1995-05-09 At&T Corp. Personal communicator having orientable video imaging element
WO1996038762A1 (en) 1995-05-29 1996-12-05 Behruz Vazvan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H09252393A (ja) 1996-01-12 1997-09-22 Sanyo Electric Co Ltd ファクシミリ機能装置
GB9600804D0 (en) 1996-01-17 1996-03-20 Robb Garry D Multiphone
US5805298A (en) * 1996-02-06 1998-09-08 Ho; Shu-Kuang Communications device with remote device identifier recognition and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ognized identifier
JPH10107842A (ja) 1996-05-08 1998-04-24 Biscom Inc 認識された識別子にしたがって遠隔装置の識別子の認識および送信を行う通信装置
EP0906703A4 (en) * 1996-06-18 2000-03-15 Compuserve Inc INTEGRATED MESSAGING SYSTEM BY EMAIL, FAX AND VOICE BOX
US6072862A (en) * 1996-07-02 2000-06-06 Srinivasan; Thiru Adaptable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delivery
US6009336A (en) 1996-07-10 1999-12-28 Motorola, Inc. Hand-held radiotelephone having a detachable display
JPH1065780A (ja) 1996-08-22 1998-03-06 Hitachi Ltd テレビ電話機能付きの携帯電話機
JPH10155046A (ja) 1996-09-25 1998-06-09 Canon Inc 画像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5910951A (en) * 1996-10-15 1999-06-08 Motorola, Inc. Transmitting device with mobility manager and method of communicating
SE510664C2 (sv) 1996-10-29 1999-06-14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er och anordning för meddelandehantering i ett kommunikationssystem
US6002689A (en) * 1996-11-22 1999-12-14 Sprint Communications Co. L.P.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a local communication device
US6760382B1 (en) 1997-04-01 2004-07-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r, and data selector
JPH1188251A (ja) 1997-09-04 1999-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通信システム、送信機、受信機、並びに、データ通信方法
JPH11113061A (ja) 1997-10-02 1999-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端末
EP1699223B1 (en) 1997-10-27 2010-03-24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DE29722657U1 (de) 1997-12-31 1998-05-07 Jesberger Joerg Handy mit integrierter Kamera
FI108982B (fi) 1998-06-15 2002-04-30 Nokia Corp Sanomapalvelu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WO2000007357A1 (en) 1998-07-28 2000-0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igital handheld keyboard oriented device with multikey data and control input, display, wireless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and a camera feeding the communication
WO2000041369A1 (fr) 1998-12-28 2000-07-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ocede et appareil permettant de selectionner des lignes de communication de donnees
US6411990B1 (en) 1999-01-22 2002-06-25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evel date file messaging
AU4033099A (en) 1999-04-19 2000-11-02 Nokia Networks Oy Method for delivering messages
FI990877A0 (fi) * 1999-04-19 1999-04-19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multimediaviestien välittämiseksi
US6795711B1 (en) 1999-10-07 2004-09-21 Nokia Mobile Phones Ltd Multimedia message content adaptation
FI111314B (fi) 1999-11-05 2003-06-30 Nokia Corp Multimediasanomanvälityspalvelu
JP3568191B2 (ja) 2000-03-09 2004-09-2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移動通信端末とその制御方法
JP2001292245A (ja) 2000-04-05 2001-10-19 Canon Inc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141614B2 (ja) 2000-05-02 2008-08-27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
US7200634B2 (en) * 2000-05-10 2007-04-03 Chikka Pte Ltd. Instant messaging account system
US7024209B1 (en) * 2000-12-20 2006-04-04 Cisco Technology, Inc. Unified messaging system configured for management of short message service-type messages
JP4123331B2 (ja) 2001-03-16 2008-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とマルチメディア通信可能な携帯無線通信端末及び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US7603379B2 (en) 2001-04-11 2009-10-13 Lg Electronics Inc. Unified management method of various types of messages of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US20030105825A1 (en) 2001-05-01 2003-06-05 Proflu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policy based management of messages for mobile data networks
US7668535B2 (en) * 2001-07-09 2010-02-23 Palm, Inc. Notification infrastructure for sending device-specific wireless notifications
WO2003019959A1 (en) * 2001-08-27 2003-03-06 Sage Agent Networks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of text message services
US20030214970A1 (en) * 2002-05-17 2003-11-20 Pimentel Roberto J.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capability to send information to a wireless device using hybrid network capability
US6985720B2 (en) 2002-07-12 2006-01-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and integrated wireless messaging in a multi-mode environment
KR20040098980A (ko) 2003-05-16 200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전송 방식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GB2402578A (en) * 2003-06-04 2004-12-08 Research In Motion Ltd Selection of message transport in a communication device
FI116440B (fi) 2003-08-18 2005-11-15 Nokia Corp Tiedonsiirtomenetelmän valinta
FI20040780A0 (fi) 2004-06-07 2004-06-07 Redeve Oy Matkaviest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3946A1 (en) * 2000-02-23 2001-08-30 Nexterna,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outing messages transmitted from mobile platforms
EP1161109A2 (en) * 2000-05-31 2001-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graphic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in a portable radio terminal
WO2003103319A1 (en) * 2002-05-29 2003-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message from a wirel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02963C (en) 2014-02-18
ES2273274T3 (es) 2007-05-01
CA2502963A1 (en) 2005-02-24
US20120165051A1 (en) 2012-06-28
EP1550333B1 (en) 2006-10-25
JP2006516838A (ja) 2006-07-06
BRPI0406390A8 (pt) 2017-10-10
US8149724B2 (en) 2012-04-03
EP1550333A1 (en) 2005-07-06
CN1717947A (zh) 2006-01-04
ATE343909T1 (de) 2006-11-15
BRPI0406390B1 (pt) 2018-12-18
US8767770B2 (en) 2014-07-01
HK1086975A1 (en) 2006-09-29
DE602004002926T2 (de) 2007-04-26
US20060056309A1 (en) 2006-03-16
FI116440B (fi) 2005-11-15
KR20060055435A (ko) 2006-05-23
BRPI0406390A (pt) 2005-08-09
WO2005018257A1 (en) 2005-02-24
FI20031165A0 (fi) 2003-08-18
JP4242868B2 (ja) 2009-03-25
DE602004002926D1 (de) 2006-12-07
CN100401818C (zh) 2008-07-09
FI20031165A (fi) 200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7770B2 (en) Selecting a data transfer method
JP4459572B2 (ja) 1つの移動局への別の移動局の呼参加可能状況の更新の伝達
JP4541620B2 (ja) 移動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に対してベアラ・サービスを選択する方法
US20070127645A1 (en) Technique for providing secondary information to a user equipment
KR20050056909A (ko) 가입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실시간 통신 메시지를라우팅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네트워크
RU231614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услуги sms для мобильного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го терминала
US20070226240A1 (en) Technique for providing data objects prior to call establishment
US200800628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based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conditioned on personal calendar information
JP2011176833A (ja) ハイブリッド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アドレスを取り出す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90100368A (ko) 단문 서비스 처리 방법, 단문 서비스 호 처리 장치 및 저장 매체
US20060136554A1 (en) Information ser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5480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based synchronization of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CA2586574A1 (en) Method for smm capability distribution
US8005494B2 (en) Providing to sender of message an identifier of service provider associated with recipient of the message
KR20030048502A (ko) 무선 단말 자원상태를 고려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및 방법
WO2006067262A1 (en) Monitoring access to a mobile information ser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97162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단문 메세지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060133310A1 (en) Information ser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2355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동보 단문메시지 재전송 방법
KR20060089763A (ko) 이동통신단말기로의 데이터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