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415B1 -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415B1
KR100711415B1 KR1020050130061A KR20050130061A KR100711415B1 KR 100711415 B1 KR100711415 B1 KR 100711415B1 KR 1020050130061 A KR1020050130061 A KR 1020050130061A KR 20050130061 A KR20050130061 A KR 20050130061A KR 100711415 B1 KR100711415 B1 KR 100711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amber
rolling
plate
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13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30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camber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nsion or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8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roll-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5/00Forming parameters
    • B21B2265/12Rolling load or rolling pressure; roll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판압연의 평면형상 결함의 하나인 캠버를 제어할 수 있는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연기의 구동측(drive side) 및 작업측(work side)의 압연하중검출기로부터 판의 하중을 각각 측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압연하중검출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구동측 및 작업측 각각의 아날로그 하중측정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측정된 각각의 하중측정치로부터 캠버를 판단하여 캠버가 발생한 경우에 캠버 제어량을 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산출된 값을 구동측 및 작업측 각각의 실린더 아날로그 위치 변경량으로 변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변환된 값을 적용하여 판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캠버, 후판압연, 압연하중, 차하중

Description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camber in plate mill}
도 1은 판의 캠버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후판 압연의 캠버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후판 압연시 캠버가 발생될 때 나타나는 작업측 하중형태와 구동측 하중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캠버의 휘어진 방향에 따른 롤갭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후판 압연의 캠버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측 압연하중 검출기 20 : 작업측 압연하중 검출기
30 : A/D 변환기 40 : 연산부
50 : D/A 변환기 60 : 구동측 실린더(cylinder)
70 : 작업측 실린더(cylinder)
본 발명은 후판 압연공정에서 특히 얇은 후판을 사상 압연할 때 생기는 캠버(Camber)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판의 캠버는 압연기나 판의 비대칭성에 의해 판폭방향의 연신율 차이에 의해 도 1과 같이 판이 휘어진 상태를 말한다. 판의 캠버는 소재의 폭 방향 온도 불균일, 롤의 편마모, 하우징과 롤의 갭에 의해 발생하고, 상하롤 정렬 어긋남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므로 캠버를 사전에 정확히 예측하고 제어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압연전에 캠버를 예측하여 제어하는 예측제어가 아닌, 판이 압연기에 치입된 후 압연하중의 변화를 이용하여 캠버를 제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종래의 이와 같은 압연하중을 이용하여 후판 압연에서 캠버를 제어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특개평 11-188415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압연중 압연기의 좌우 하중차를 로드셀에 의해 측정하고, 하중차 측정치에 기초하여 하중이 감소하는 형태로 롤 개도차를 제어하여 압연재의 캠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 압연기 출측의 압연재의 캠버량을 형상인식 장치에 의해 측정하고, 해당 캠버량 측정치가 미리 정해둔 기준치를 초월한 경우에 롤 개도차를 제어하는 설정 롤 개도차를 역으로 설정하여 압연기에 대한 좌우하중의 고저를 조절하는 형태로 캠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상기 발명에서는 압연재 위에 설치된 피압연재의 캠버량을 측정하는 형상인식장치 즉, 캠버량 측정수단을 갖추고 있는데, 이 형상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캠버량 측정치를 이용하여 캠버 제어량의 방향(작업측 롤개도 open, 구동측(drive side) 롤개도 close 혹 작업측(work side) 롤개도 close, 구동측 롤개도 open)을 결정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상기의 제어방법과 같이 캠버를 측정할 경우 캠버계의 측정 정도에 제어 정도가 좌우된다. 후판에서는 소재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수를 소재에 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수증기와 물이 상부에 있는 캠버 측정기의 측정에 영향을 미쳐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측정오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실제의 경우 밀 근접 캠버 측정 결과가 제어에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캠버가 발생될 경우 캠버에 의해 판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고, 판이 쏠리는 경우 쏠리는 쪽의 하중이 증가하고, 반대쪽의 하중은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나므로 판이 쏠리는 쪽의 갭을 현재의 갭보다 적어지게 하고, 반대편은 커지게 하는 형태로 롤갭을 제어하므로 오히려 롤갭 제어에 의해 하중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공지기술에서는 반대로 하중이 감소하는 형태로 캠버를 제어하므로 캠버를 조장시키는 방향으로 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이 압연기에 물린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압연기 좌우에 설치된 하중검출기로부터 압연하중차(작업측 하중 - 구동측 하중)를 측정하고, 측정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 한 후 상기 압연하중차의 형태로부터 캠버의 방향을 예측하여 레벨 제어로 캠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후판압연의 평면형상 결함의 하나인 캠버를 제어할 수 있는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에 있어서,
압연기의 구동측(drive side) 및 작업측(work side)의 압연하중검출기로부터 판의 하중을 각각 측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압연하중검출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구동측 및 작업측 각각의 아날로그 하중측정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측정된 각각의 하중측정치로부터 캠버를 판단하여 캠버가 발생한 경우에 캠버 제어량을 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산출된 값을 구동측 및 작업측 각각의 실린더 아날로그 위치 변경량으로 변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변환된 값을 적용하여 판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이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장치는 먼저, 구동측(drive side) 및 작업측(work side)의 각각의 하중검출기(10,20)로부터 판의 하중을 측정하고, 상기 하중검출기(10,20)에서 측정된 아날로그 하중측정신호를 A/D 변환기(30)에서 일정주기로 샘플링(Sampling)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하중측정값으로부터 캠버형상을 인식하고 캠버형상에 따라 캠버제어량을 산출하는 연산부(40)와 상기 연산부(40)에서 산출된 캠버제어량의 디지털신호를 구동측(drive side) 및 작업측(work side)의 각각의 아날로그 실린더(Cylinder, 60,70)의 위치 변경량으로 변환할 수 있는 D/A변환기(50)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후판압연의 캠버 제어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후판압연캠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먼저, 압연기 구동측(drive side) 및 작업측(work side)에 압연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압연하중검출기(10,20)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압연하중신호를 A/D 변환기(30)에서는 일정주기로 샘플링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연산부(40)로 전송한다. 상기 연산부(40)에서는 상기 각각의 압연하중검출기(10,20)로부터 측정된 압연하중값으로부터 캠버 형상을 인식하고, 캠버형상에 따라 하기한 수식을 이용하여 캠버제어량을 산출한다.
이하, 구동측 및 작업측의 압연하중검출기(10,20)로부터 측정된 압연하중신호로부터 캠버형상을 인식하여 캠버제어량을 산출하는 연산부(40)에서의 작용을 본 발명에 의한 도 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판이 압연기에 치입된 후(S100), 경과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01
이 되면(S120), 구동측 및 작업측 압연하중검출기에서 검출한 하중값을 이용하여 양 하중값의 차이인 차하중값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02
을 산출한다(S14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하중값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03
는 미리 설정된 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04
에서 측정된 작업측(work side) 측정하중(Fw)에서 구동측(drive side) 측정 하중(Fd)을 차감한 값이고(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05
=
Figure 112007004598760-pat00006
-
Figure 112007004598760-pat00007
), 상기 차하중값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08
을 저장한다(S140). 특정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09
후, 상기와 같이 특정시간 ttop에서(S160) 측정된 차하중값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10
top을 산출하고 저장한다(S180). 상기 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11
과 ttop의 합이 소정시간 t보다 작거나 같다면(S200),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12
top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20).
여기서,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13
top은 상기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14
에서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15
top을 차감한 값(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16
top =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17
Figure 112007004598760-pat00018
top)이고, 이 값을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19
top = α*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20
top에 적용하여 판의 선단부의 캠버제어량을 산출(S240) 및 출력(S260)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단, α는 상수로 밀정수와 두께의 함수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ΔΔ
Figure 112005076451248-pat00021
top 의 형태는 판의 캠버가 도 3a와 같이 구동측이 작업측보다 연신이 많이 된 형태일 경우 부호가 (-)가 되었다가, 다시 (+)로 반전하는 형태가 된다. 이와 반대의 경우 즉, 작업측이 구동측보다 연신이 많이 된 경우는 도 3b와 같이 (+)에서 (-)로 변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22
top의 부호가 (+)인 경우에는 구동측의 롤갭을 α*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23
top만큼 열고, 작업측의 롤갭은 α*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24
top만큼 반대로 닫는 형태로 제어하고, 상기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25
top의 부호가 (-)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대로 제어한다. 이와 같은 캠버의 휘어진 방향에 따른 롤갭 제어 방향을 도 4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부호가 반전되는 경우는 판의 캠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주 급격하게 발생 되어 미단부에서 급격히 캠버가 커지는 형태이다. 이런 경우 기존의 차하중이 변화하는 형태로 레벨을 제어할 경우 선단부 혹은 미단부에서 캠버를 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단부에서 계측된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26
top 의 부호를 항시 모니터링 하였다가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27
top 부호가 반전한 경우(S280), 부호가 반대가 된 시점 이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28
bot이 되면(S300), 상기
Figure 112007004598760-pat00093
bot에서 측정된 차하중 즉,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29
bot(여기서,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30
bot =
Figure 112007004598760-pat00031
-
Figure 112007004598760-pat00032
)를 계산 및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320), 이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33
bot이 지난 시점에서(S340), 미리 계산된 차하중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34
bot를 이용하여,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35
bot =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36
L -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37
bot에 적용하여 계산한다(S360). 이 값으로부터 다음의 식에(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38
bot = -α1 *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39
bot) 적용하여, 판의 선단부 이후의 캠버제어량을 산출하고(S380), 이를 출력한다(S400). 여기서, 상기 α1은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α1 = β*(압연전 예측 판길이 - 부호가 반전된 시점의 계산 판길이)
β : 상수이다.
상기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40
bot값과 상기 판의 선단부에서 계산된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41
top 제어량과 합하여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42
를 롤갭 제어량으로 출력한다(S420).
여기서, 상기 판의 선단부에서 산출된 제어량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43
top와 선단부 이후에서 산출된 제어량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44
bot은 (+)값으로 혹은 (-) 값으로 계산될 수 있는데, 상기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45
top의 부호가 (+)인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구동측의 롤갭을 α*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46
top만큼 열고, 작업측의 롤갭은 α*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47
top만큼 반대로 닫는 형태로 제어하고, 상기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48
top의 부호가 (-)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대로 수행한다.
이후, 판이 압연기에서 빠지면(S440), 제어량을 다시 설정하고 종료한다(S460).
상기에서와 같이 연산부(40)에서 캠버 제어량을 산출한 후, 다시 D/A 변환기(50)에서 상기 산출된 캠버 제어량은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구동측 및 작업측 각각의 실린더(60,70) 위치변경량으로 변환되어 최종적으로 후판압연의 캠버를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에 한정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경 또는 삭제가 가능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 져야 한다.
본 캠버제어 방법에 의하면, 후판압연에서 특히, 두께가 얇고, 판길이가 긴 판을 압연할 때, 쵸크와 하우징간의 갭에 의해 압연시, 상,하부 작업롤의 정렬이 비대칭이 되었거나, 혹은 기타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캠버를 줄이고, 과대하게 발생된 캠버에 의해 설비를 손상시키고, 이로 인해 압연이 중지되는 사례를 막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시 과대 캠버로 인한 설비 트러블을 막고, 캠버량을 줄여 후공정 가스절단 라인의 공정 부하를 감소시켜, 에너지 감소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4)

  1. 압연기의 구동측(drive side) 및 작업측(work side)의 압연하중검출기로부터 판의 하중을 각각 측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압연하중검출기로부터 측정된 상기 구동측 및 작업측 각각의 아날로그 하중측정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측정된 각각의 하중측정치로부터 캠버를 판단하여 캠버가 발생한 경우에 캠버 제어량을 산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산출된 값을 구동측 및 작업측 각각의 실린더 아날로그 위치 변경량으로 변환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에서 변환된 값을 적용하여 판을 제어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 압연의 캠버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판이 압연기에 치입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49
    에서 측정된 각각의 하중 측정치를 하기 수식 1에 적용하여 차하중값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50
    을 산출한 후,
    상기 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51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t top에서 측정된 차하중값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52
    top을 상기 차하중값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53
    을 하기 수식 2에서와 같이 차감하여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54
    top을 산출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55
    t top에서의 차하중값을 각각 저장하고, t=
    Figure 112007004598760-pat00056
    + t top 도달하면, 상기 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57
    에서 측정된 하중과 상기 시간 t top에서 측정된 하중과의 차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58
    top를 산출하여 하기한 수식 3을 통해 판 선단부의 캠버제어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 압연의 캠버 제어 방법.
    (수식 1)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59
    =
    Figure 112007004598760-pat00060
    -
    Figure 112007004598760-pat00061
    (수식 2)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62
    top =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94
    -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95
    top
    (수식 3)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65
    top = α*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66
    top
    (단, 여기서, α는 상수이고, 밀정수와 두께의 함수도 되어 있다.)
  3. 제 2항에 있어서,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67
    top의 부호가 상기 t=
    Figure 112007004598760-pat00068
    + t top에 측정된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69
    top의 부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부호가 반대가 된 시점 이후부터 소정의 시간
    Figure 112007004598760-pat00070
    bot에서의 차하중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71
    bot를 이용하여 하기한 수식 4로부터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72
    bot를 산출한 후, 하기한 수식 5에 적용하여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73
    bot를 산출한 후, 상기 수식 6에서와 같이 상기 판의 선단부에서 계산된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74
    top과 가산하여 롤갭 제어량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75
    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 압연의 캠버 제어 방법.
    (수식 4)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76
    bot =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77
    L -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78
    bot
    (수식 5)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79
    bot = -α1 *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80
    bot
    (여기서, α1=β*(압연전 예측 판길이 - 부호가 반전된 시점의 계산 판길이), β : 상수)
    (수식 6)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81
    =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82
    top + 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83
    bot
  4. 제 2항에 있어서,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84
    top의 부호가 (+)인 경우에는 구동측의 롤갭을 α*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85
    top만큼 열고, 작업측의 롤갭은 α*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86
    top만큼 반대로 닫는 형태로 제어하고, 상기 ΔΔ
    Figure 112007004598760-pat00087
    top의 부호가 (-)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대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 압연의 캠버 제어 방법.
KR1020050130061A 2005-12-26 2005-12-26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 KR100711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061A KR100711415B1 (ko) 2005-12-26 2005-12-26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061A KR100711415B1 (ko) 2005-12-26 2005-12-26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415B1 true KR100711415B1 (ko) 2007-04-30

Family

ID=3818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061A KR100711415B1 (ko) 2005-12-26 2005-12-26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3864A (zh) * 2012-06-26 2014-09-03 新日铁住金株式会社 金属板材的轧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770A (ko) * 1992-10-28 1994-05-16 정명식 캠버제어가능한 후판압연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33981A (ko) * 1998-11-26 2000-06-15 이구택 열연 조압연에서 캠버측정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캠버제어 방법
KR20020051077A (ko) * 2000-12-22 2002-06-28 이구택 후판 압연에서의 캠버 제어방법
KR20020052755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캠버를 제어하는 후판 마무리 압연기 및 그 압연기를이용한 캠버 제어방법
KR20040058474A (ko) * 2002-12-27 2004-07-05 주식회사 포스코 캠버가 있는 압연소재의 열간압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770A (ko) * 1992-10-28 1994-05-16 정명식 캠버제어가능한 후판압연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33981A (ko) * 1998-11-26 2000-06-15 이구택 열연 조압연에서 캠버측정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캠버제어 방법
KR20020051077A (ko) * 2000-12-22 2002-06-28 이구택 후판 압연에서의 캠버 제어방법
KR20020052755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캠버를 제어하는 후판 마무리 압연기 및 그 압연기를이용한 캠버 제어방법
KR20040058474A (ko) * 2002-12-27 2004-07-05 주식회사 포스코 캠버가 있는 압연소재의 열간압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3864A (zh) * 2012-06-26 2014-09-03 新日铁住金株式会社 金属板材的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5646B2 (ja) ストリップを案内するための装置
KR101298763B1 (ko) 슬라브 사이즈 측정 시스템
KR100711415B1 (ko) 후판압연의 캠버제어 방법
KR101323292B1 (ko) 연주 주편 두께 조절 장치 및 두께 조절 방법
JP4267609B2 (ja) 金属板材の圧延方法および圧延装置
KR100641755B1 (ko) 사상압연 폭 마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851200B1 (ko) 폭압하를 고려한 조압연 수평 압연하중 예측 방법
CN111299534B (zh) 连铸轻重压下基准辊缝确定方法及装置
KR100919031B1 (ko) 스트립 캐스팅 공정의 압연기 레벨 제어 방법
JP4461075B2 (ja) 連続鋳造方法
KR100860322B1 (ko) 쌍롤식 주조공정의 루프 길이 검출 방법
KR100832399B1 (ko) 루퍼 하중차를 이용한 열연판 사행 제어방법
JP2007190579A (ja) 金属板材の圧延方法および圧延装置
KR100711416B1 (ko) 사상압연기의 스탠드 레벨 설정에 의한 사행제어 방법
CN113165061B (zh) 用于确定铸造金属产品的火口端位置的方法
KR100957925B1 (ko) 강판 두께 제어방법
CN112888512B (zh) 铸坯的制造方法及控制装置
CN107983780B (zh) 一种中厚板热轧机液压压下系统的速度补偿方法及系统
JP2001137918A (ja) 熱間圧延機のセットアップ方法
KR20010060791A (ko) 열연강판의 평탄도 추정 방법
KR100780426B1 (ko) 열간 사상압연 선단부 루퍼 응답성 향상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2569A (ko) 소프트 리덕션시 응고 완료점 검출 및 적정 리덕션량산정방법
JP3144934B2 (ja) 蛇行制御方法
JPH05239556A (ja) 金属帯の蛇行防止方法
KR20020017624A (ko) 후판 선후단부의 두께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