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573B1 - 호스 연결구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573B1
KR100710573B1 KR1020060003853A KR20060003853A KR100710573B1 KR 100710573 B1 KR100710573 B1 KR 100710573B1 KR 1020060003853 A KR1020060003853 A KR 1020060003853A KR 20060003853 A KR20060003853 A KR 20060003853A KR 100710573 B1 KR100710573 B1 KR 10071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nipple
groove
sleev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윤
황호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연결부위가 해제되거나 또는 호스의 내측이 과도하게 인장변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에 따른 누수를 막을 수 있게 구성한 호스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스 연결구는 호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후단의 외주를 따라 홈이 형성된 니플과, 상기 니플이 삽입된 상기 호스 외측을 감싸며 내주를 따라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홈은 상기 슬리브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위치한 돌기들 중 첫 번째 돌기에 대응하며 상기 니플의 선단 방향으로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호스 연결구, 니플, 슬리브, 니플 홈, 돌기, 인장변형, 파손

Description

호스 연결구{Hose 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한 예의 호스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한 예의 호스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니플의 홈과 슬리브의 첫 번째 돌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호스 연결구 110 : 니플
111 : 니플 홈 120 : 슬리브
121 : 돌기 130 : 호스
141 : 전체결부 143 : 본체결부
본 발명은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체의 압력에 의해 연결부위가 해제되거나 또는 호스의 내측이 과도하게 인장변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해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호스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파손에 따른 누수를 막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압의 유체가 흘러가는 호스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부위가 고압에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결착력을 가져야 한다.
호스의 연결부위가 해제되거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호스 연결구를 이용하여 호스와 호스 또는 관과 호스를 연결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한 예의 호스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연결구(1)는, 연결하고자 하는 호스(30) 내측에 끼워지는 니플(10)과, 상기 니플(10)이 끼워진 호스(30)의 외측에 위치하여 소성 변형됨으로써 호스(30)를 가압 고정하는 슬리브(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니플(10)의 외측면에는 호스(30)의 내측과 접촉면적 및 마찰을 높이기 위해 요(凹)부(11) 또는 철(凸)부(13)를 형성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니플(10)에는 요부(11)가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니플(10)에는 철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구의 체결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보이듯이, 우선 슬리브(20)에 호스(30)를 끼운 상태에서, 니플(10)을 호스(30)의 단부에 끼운다. 그리고 슬리브(20)를 니플(10)에 호스(30)가 끼워진 부위에 위치한다. 이때 슬리브(20)에 있어서 호스(30)가 니플(10)에 끼워진 방향에 위치한 선단을 가압하여 소성변형시킨다. 그러면 슬리브(20)의 선단이 니플(10)과 접하도록 변형되면서 슬리브(20)가 니플(10)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한 번 슬리브(20)의 중간부위를 가압하여 소성변형시킨다.
아래에서는 슬리브(20)와 니플(10)이 접해 고정되는 부위를 '전체결부(41)'라 하고, 소성변형된 슬리브(20)의 중간부를 '본체결부(43)'라 한다. 도 1 및 도 2에 보이듯이, 본체결부(43)는 슬리브(20) 내측에 형성된 돌기(21)와 니플(10)에 형성된 요부(11) 및 철부(13)에 대응하는 부위로서, 본체결부(43)가 소성변형됨에 따라 호스(30)는 돌기(21)와 요부(11) 및 철부(13)의 형태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슬리브(20)가 전체결부(41)와 본체결부(43)에서 가압 고정됨에 따라, 호스(30)는 슬리브(20)와 니플(10) 사이에 고정된다.
호스(30)의 체결 순서는 전체결부(41) 형성 후 호스(30)를 삽입한 후 본체결부(43)를 형성하여 호스(30)를 슬리브(20)와 니플(10) 사이에 고정하는 순서도 가능하다.
한편 호스(30)는 도 1 및 도 2에 보이듯이, 유체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호스 중간에 보강층(31)이 형성된다. 호스(30)는 이와 같은 보강층(31)을 기준으로 내측(33)과 외측(35)으로 구분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구(1)는 슬리브(20)의 외주면을 압착 소성변형시켜, 슬리브(20)의 내측과 니플(10)의 외측 사이에 호스(30)를 압축시키면, 호스(30)의 외측(35)은 슬리브(20)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21)의 모양으로 탄성변형되고, 호스(30)의 내측(33)은 니플(10)의 외측에 형성된 요부(11) 또는 철부(13)의 모양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호스(30)의 내외측(33, 35)이 돌기(21)와 요부(11) 및 철부(13)의 형태로 변형되면서, 접촉면적은 넓어지고, 마찰력 또한 커져 호스(30)의 이탈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구는 누수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호스의 내측 노화 및 파괴 측면에서, 노화 및 파괴의 중요한 요소인 변형률의 분포는 전혀 반영되지 않은 상태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누수를 방지하고자, 체결경(D)을 과도하게 작게 하여 호스의 내측과 니플 사이의 접촉압력을 증가시키면, 호스 내측부에서는 국부적으로 축방향의 인장변형률이 크게 되면서, 니플에서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된 전방,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에 있어서, 전체결부와 본체결부의 사이에 과도한 인장변형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호스 내측의 일부가 과도하게 인장되면 그 부위는 노화 후 탄성을 잃고 파괴된다. 이와 같이 호스의 내측이 파괴되면 쉽게 누수된다는 단점이 있다.
만약, 호스 내측에 국부적으로 발생한 파괴를 고려하여 체결경을 크게 하였을 경우에는 호스 내측과 니플 사이에 접촉압력이 약해져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슬리브를 소성 변형시켜 호스를 연결하더라도 호스에 과도한 인장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니플의 구조를 변경한 호스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니플과 슬리브의 사이에 호스를 위치한 상태에서 슬리브를 소성 변형시키더라도 호스에 과도한 인장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호스의 노화 후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스 연결구는 호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후단의 외주를 따라 홈이 형성된 니플과, 상기 니플이 삽입된 상기 호스 외측을 감싸며 내주를 따라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홈은 상기 슬리브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위치한 돌기들 중 첫 번째 돌기에 대응하며 상기 니플의 선단 방향으로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의 폭(Wn)은 상기 첫 번째 돌기의 폭(Ws)에 대해 1~2배이고, 상기 홈의 깊이(Ds)는 상기 첫 번째 돌기의 높이(Hs)에 대해 1/10~1/3배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홈의 폭 중심은 상기 첫 번째 돌기의 폭 중심에서 선단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돌기의 폭(Ws)에 대해 1/3~1/2배의 거리만큼 이동해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의 깊이(Ds)는 상기 첫 번째 돌기의 높이(Hs)에 대해 1/5배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니플의 홈과 슬리브의 첫 번째 돌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연결구(100)에 있어서, 니플(110)의 외측면에는 니플 홈(111)이 형성되고, 슬리브(120)의 내측에는 돌기(121)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니플 홈(111)은 슬리브(120)에 형성된 돌기(121) 중에서 전체결부(141)에 가까운 첫 번째 돌기(121f)에서 전체결부(141) 쪽으로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니플 홈과 돌기의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110)은 호스(130)의 내측(133)에 끼워지며 호스(130)의 외측(135)에는 슬리브(120)가 위치한다. 호스(130)에 끼워진 니플(110)의 일부분에는 니플 홈(111)이 니플(11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호스(130)를 감싸는 슬리브(120)의 내측에는 돌기(121)가 슬리브(120)의 내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여기에서, 슬리브(120)의 선단 쪽인 전체결부(141)가 소성변형되어 니플(110)에 고정된다. 니플(110)에 형성된 니플 홈(111)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리브(120)의 첫 번째 돌기(이하 '돌기'라 함)(121f)에서 선단쪽으로 형성된다. 즉 니플 홈(111)은 돌기(121f)의 일부와 대응하게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니플 홈(111)과 돌기(121f)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니플 홈(111)의 폭(Wn)은 돌기(121f)의 폭(Ws)에 대해 1~2배이며, 니플 홈(111)의 깊이(Ds)는 돌기(121f)의 높이(Hs)에 대해 1/10~1/3배의 깊이를 갖는다. 그리고 니플 홈(111)의 폭 중심은 돌기(121f)의 폭 중심에서 선단쪽으로 이동해 위치하는데, 니플 홈(111)의 폭 중심은 돌기 폭(Ws)에 대해 1/3~1/2배의 거리만큼 돌기(121f)의 중심에서 선단으로 이동해 위치한다.
여기에서, 니플 홈(111)의 폭(Wn)이 돌기(121f)의 폭(Ws)에 대해 1~2배의 폭을 갖는 이유는, 호스(130)의 내측에 과도하게 인장변형되는 부위(A)의 폭이 돌기(121f)의 1~1.5배정도 되기 때문에, 상기 인장변형된 부위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니플 홈(111)의 폭(Wn)이 돌기(121f)의 폭(Ws)에 대해 1~2배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또한, 니플 홈(111)의 깊이(Ds)가 돌기(121f)의 높이(Hs)에 대해 1/10~1/3배의 깊이를 갖는 이유는, 만약 니플 홈(111)의 깊이(Ds)가 돌기(121f)의 높이(Hs)에 대해 1/10배미만이면, 인장변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떨어진다. 반대로 돌기(121f)의 높이(Hs)에 대해 1/3배를 초과하면 호스(130) 내측(133)의 변형이 오히려 심하게 되어 역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대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니플 홈(111)의 깊이(Ds)가 돌기(121f)의 높이(Hs)에 대해 1/5배일 때에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니플 홈(111)의 폭 중심이 돌기(121f)의 폭(Ws)의 1/3~1/2배 거리만큼 중심 이동한 이유는, 호스(130) 내측에 과도하게 인장변형된 부위가 전체결부(141)와 본체결부(143)의 사이에서 돌기(121f)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니플 홈(111)의 폭 중심이 돌기(121f)의 폭 중심에서 돌기(121f) 폭에 대해 1/3~1/2배의 거리를 벗어나면 니플 홈(111)이 과도하게 인장변형된 부위와 대응하지 않게 된다.
한편, 아래에서는 호스 연결구의 조립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니플(110)의 후단은 호스(130)에 끼운다. 그리고 슬리브(120)를 니플(110)의 후단에 끼워진 호스(130)의 선단을 감싼다. 이런 상태에서 호스와 대응하지 않는 슬리브(120)의 선단을 소성변형시켜 슬리브(120)를 니플(110)에 고정한다. 또는 니플(110)에 슬리브(120)를 끼우고, 슬리브(120)의 선단을 소성변형시켜 전체결부(141)를 형성하고, 니플(110)과 슬리브(120) 결합체에 호스(130)를 끼운다.
그리고 슬리브(120)의 본체결부(143)를 가압 소성변형시켜 호스(130)를 고정한다. 그러면 호스(130)의 내측은 니플(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니플 홈(111)의 형태로 탄성변형되고, 본체결부(143)에서는 슬리브(120)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121f)의 모양으로 탄성변형되어 정합한다.
이때, 본체결부(143)를 형성하기 위해 가압하였을 때, 종래와 같이 발생하는 과도한 인장부위(A)는 니플 홈(111)과 대응하여 형성되지만, 호스(130) 내측(133)이 니플 홈(111)으로 진입해 들어가면서 니플 홈(111)에 대응하여 걸리는 인장변형은 감소한다.
반면, 니플 홈(111)과 같은 모양으로 호스(130)의 내측(133)이 탄성변형되기 때문에, 호스(130) 내측(133)과 니플(110)의 외측 사이의 접촉면적은 넓어지면서, 결착력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구(100)를 사용하면 호스(130)에 걸리는 압 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결착력을 갖고 있으면서, 접촉면적은 넓고 인장변형은 다소 감소하여 누수 방지는 물론, 호스의 노화시에 발생하는 파손을 극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연결구(100)의 한 구성요소인 니플(110)에 있어서, 니플(110)에 형성된 니플 홈(111)의 후방으로는 다른 요부 또는 철부를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호스는 자동차 유압동력장치 및 최대 사용압력이 200bar이하의 유압배관에 적합하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스 연결구는 슬리브를 소성변형하여 호스를 가압 고정함에 있어서, 호스에 과도하게 형성되는 인장변형을 해소하면서 니플과 호스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과도한 인장변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하며, 더불어 접촉면적을 넓혀 호스의 내측과 니플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호스 연결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호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후단의 외주를 따라 홈이 형성된 니플과,
    상기 니플이 삽입된 상기 호스 외측을 감싸며 내주를 따라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홈은 상기 슬리브의 안쪽 선단에서 바깥쪽 후단으로 위치한 돌기들 중 첫 번째 돌기에 대응하며 상기 홈의 폭 중심이 상기 첫 번째 돌기의 폭 중심보다 선단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폭 중심은 상기 첫 번째 돌기의 폭 중심에서 선단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돌기의 폭(Ws)에 대해 1/3~1/2배의 거리만큼 이동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폭(Wn)은 상기 첫 번째 돌기의 폭(Ws)에 대해 1~2배이고,
    상기 홈의 깊이(Ds)는 상기 첫 번째 돌기의 높이(Hs)에 대해 1/10~1/3배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홈의 폭 중심은 상기 첫 번째 돌기의 폭 중심에서 선단 방향으로 상기 첫 번째 돌기의 폭(Ws)에 대해 1/3~1/2배의 거리만큼 이동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호스 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Ds)는 상기 첫 번째 돌기의 높이(Hs)에 대해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
KR1020060003853A 2006-01-13 2006-01-13 호스 연결구 KR10071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853A KR100710573B1 (ko) 2006-01-13 2006-01-13 호스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3853A KR100710573B1 (ko) 2006-01-13 2006-01-13 호스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573B1 true KR100710573B1 (ko) 2007-04-24

Family

ID=3818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853A KR100710573B1 (ko) 2006-01-13 2006-01-13 호스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5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2287U (ko) * 1980-08-22 1982-03-08
JPS63163086A (ja) * 1986-12-25 1988-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ホ−ス接続構造
JPH04132289U (ja) * 1991-05-28 1992-12-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ホース用継手金具
JP2005121187A (ja) * 2003-10-20 2005-05-12 Nichirin Co Ltd ホース接続構造
KR20060095016A (ko) * 2005-02-25 2006-08-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압호스용 금구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2287U (ko) * 1980-08-22 1982-03-08
JPS63163086A (ja) * 1986-12-25 1988-07-06 株式会社デンソー ホ−ス接続構造
JPH04132289U (ja) * 1991-05-28 1992-12-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ホース用継手金具
JP2005121187A (ja) * 2003-10-20 2005-05-12 Nichirin Co Ltd ホース接続構造
KR20060095016A (ko) * 2005-02-25 2006-08-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압호스용 금구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5123B2 (ja) 継手
EP1818592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resin pipe
JP5117953B2 (ja) 高圧医療ホース用結合ソケット
CN112664728B (zh) 管接头、液压胶管总成以及液压系统
JP2008275168A (ja) 導管の連結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9116368A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の接続部
JP5537982B2 (ja) 管継手
JP5322679B2 (ja) 継手に用いられるインサート部材及び継手
KR100710573B1 (ko) 호스 연결구
WO2010047284A1 (ja) ホース継手
US11796097B2 (en) Coupling part for a hose coupling
JP2006322542A (ja) 管継手
KR20160119559A (ko) 유압용 호스의 연결구
JPH11148582A (ja) プラスチック管継手
KR101068778B1 (ko) 상수도관의 직선이음구간 접합구조
CZ300989B6 (cs) Prstencové tesnení
US8403371B1 (en) Sprinkler unwinding piping
KR101021410B1 (ko) 접속 금구 및 이를 이용한 튜브와 호스의 연결구조
JP3859125B2 (ja) スリーブ型管継手
KR101141017B1 (ko)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JP4920435B2 (ja) コネクタ
CN210920442U (zh) 适用于阀体定位的环接装置
KR20120103087A (ko) 호스 커플링
WO2016031100A1 (ja) ホース用継手
KR200261373Y1 (ko) 파이프 연결용 프론트 페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