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017B1 -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 Google Patents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017B1
KR101141017B1 KR1020080091567A KR20080091567A KR101141017B1 KR 101141017 B1 KR101141017 B1 KR 101141017B1 KR 1020080091567 A KR1020080091567 A KR 1020080091567A KR 20080091567 A KR20080091567 A KR 20080091567A KR 101141017 B1 KR101141017 B1 KR 101141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nection
state
force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606A (ko
Inventor
신재윤
구자찬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1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0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와 튜브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접속 금구로서, 특히 접속 금구에 튜브가 고정 결합될 때, 고정력 강화 및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한 고정 타입이 적용되도록 접속 금구를 개선하여, 브레이징 또는 플레어 너트를 사용한 고정구조가 가지는 고정력 약화와 그에 따른 누수발생을 방지하고, 그와 더불어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에 관한 것이다.
접속, 금구, 튜브, 호스, 누수, 결합, 고정

Description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The Fitting}
본 발명은 소위 "피팅"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접속 금구로서, 특히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접속 금구에 튜브가 고정 결합 될 때, 신규한 고정 결합 타입이 적용될 수 있도록 접속 금구를 개선하여,브레이징 또는 플레어 너트를 사용한 고정구조가 가지는 고정력 약화 및 누수발생을 방지하고, 그와 더불어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및 유압 또는 공압 시스템에서 동작 유체의 공급과 회수를 위하여 튜브와 호스가 연결될 때, 소위 "피팅"이라 불리는 접속 금구가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접속 금구에는 튜브와 호스가 각각 대응하는 상태로 고정 연결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접속 금구에 연결되는 튜브는 브레이징으로 고정 결합되므로 해서 브레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상 번거로움이 있고, 아울러 브레이징에 의한 튜브의 고정시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다소 해결하기 위해 튜브 상에 플레어 너트를 구비시키고, 이 플레어 너트를 접속 금구에 체결하는 것으로 튜브를 고정 결합함으로써, 브레이징 보다는 작업성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나, 전해오는 진동과 떨림에 의해 플레어 너트의 나사 풀림이 발생하여 누수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플레어 너트의 사용으로 인하여 생산단가의 급상승도 불가피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제안된 것으로, 새로운 고정구조의 타입이 적용된 접속 금구에 의하여 브레이징 또는 플레어 너트를 이용한 고정구조의 문제가 모두 해소됨은 물론, 고정력이 더욱 강화되고 누수차단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몸체의 일측에 길이를 가지고 연장 상태로 형성되며 호스가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내부에 환형공간을 형성시킨 제1 압착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길이를 가지고 연장 상태로 형성되며 튜브가 삽입되는 상태에서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공을 형성시킨 제2 압착부와; 상기 환형공간과 결합공 간에 소통하도록 연결되는 연결공을 몸체의 내부 중앙에 형성시킨 접속 금구로서, 상기 결합공과 접하는 연결공의 일측 외곽에 상기 튜브의 일단에 형성되는 끼움부가 연결공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의 안쪽으로 깊이를 가지고 파진 형태의 끼움홈부가 연결공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압착부와 튜브의 사이에는 실링 부재가 튜브를 전부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어, 상기 제2 압착부의 압착시 끼움부가 끼움홈부에 매립되는 상태로 박혀져 고정되면서 실링 부재에 의해 제2 압착부와 튜브 사이의 틈새 형성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속 금구를 사용하게 되면, 튜브의 고정을 위해 종래와 같이 브레이징, 플레어 너트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웨이징 방법인 압착으로 고정됨으로써,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제2 압착부의 압착시 끼움부가 끼움홈부에 박히는 매립형태의 고정구조이므로, 강력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됨은 물론,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가 도시된 것으로, 도 1a에서는 튜브의 삽입과, 압착돌기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서는 압착에 의한 튜브의 고정과, 압착돌기가 니플의 디스크부에 압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금구(10)에서 제1 압착부(14)는 몸체(16)의 일측으로 길이를 가지고 연장 형성된다. 이런 제1 압착부(14)의 내부에는 호스(18)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환형공간(20)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6)의 타측에는 결합공(22)을 내부에 형성시킨 제2 압착부(24)가 길이를 가지고 연장 상태로 형성되며, 이 결합공(22)으로 튜브(12)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몸체(16)의 중앙 내부에는 환형공간(20)과 결합공(22) 간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공(26)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공(26)은 결합공(2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환형공간(20)의 내부에는 니플(28)이 배치된다. 이러한 니플(28)의 일단에는 디스크부(30)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니플(28)의 디스크부(30)는 환형공간(20)의 내측 벽면에 밀착 배치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몸체(16)와 일체를 이루며 제1 압착부(14)의 내면에 돌출된 압착돌기(32)가 별도의 공구사용에 의해 니플(28)의 디스크부(30)로 구부려져 압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결합공(22)과 접하는 상태로 연결되는 연결공(26)의 일측 외곽에는 결합공(22)의 일단부에서 몸체(16)의 안쪽 방향으로 깊이를 가지고 파진형태의 끼움홈부(34)가 연결공(2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끼움홈부(34)로 끼워지게 되는 튜브(12)의 일단에는 끼움부(36)가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36)는 끼움부(36)가 끼움홈부(34)의 내부로 끼워질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을 이루고 있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홈부(34)는, 결합공(22)의 내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선분을 제1 가상선(A)으로 가정하고, 연결공(26)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분을 제2 가상선(B)으로 가정할 때, 제2 가상선(B)이 제1 가상선(A)의 일 지점에서 서로 만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끼움홈부(34)의 내부 각 도(θ)는 예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22)의 내부로 튜브(12)가 고정될 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2)의 끼움부(36)가 끼움홈부(34)로 끼워지게 되면서 연결공(26)의 외곽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된다.
그 상태에서 제2 압착부(24)를 압착하게 될 경우, 제2 압착부(24)의 내면과 튜브(12)의 외면이 닿게 되는 접촉부분(a)에서 강력한 압착력 및 마찰력이 형성되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튜브(12)의 끼움부(36)가 끼움홈부(34)에 매립되는 상태로 박혀져 고정되는 구조로 인해 고정력이 더욱 강화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가 도시된 것으로, 도 2a에서는 제2 압착부와 튜브 사이에 실링부재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서는 압착에 의한 튜브의 고정과, 압착돌기가 니플의 디스크부에 압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12)의 경도가 접속 금구(10)의 몸체(16) 경도에 비해 작거나 유사한 경우, 제2 압착부(24)의 압착력에 의해 튜브(12)의 변형 혹은 찌그러짐이 발생하게 되므로 압착력을 강하게 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압착부(24)의 압착력을 강하게 가하지 못하게 되면, 제2 압착부(24)와 튜브(12) 간 마찰력의 약화로 인해 튜브(12)가 쉽게 빠져나올 수도 있고, 또한 튜브(12)의 유동으로 인해 틈새가 형성되어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압착부(24)와 튜브(12) 사이에 튜브(12)를 감싸는 상태로 실링 부재(38)가 결합 되어 있으므로, 결합력 약화로 인한 누수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실링 부재(38)는 경도가 튜브(24)의 경도보다 낮은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와 더불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 재질의 사용으로도 응용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2 압착부(24)의 압착력이 다소 강하게 가해질 경우, 튜브(12)의 변형 없이 실링 부재(38)가 변형되면서 압착력은 그대로 가해지게 되므로 강력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됨은 물론, 수밀성이 향상된다.
한편, 제2 압착부(24)의 압착력이 다소 약하게 가해질 경우, 압착에 의한 고정력은 약화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된 끼움부(36)와 끼움홈부(34)의 고정력만으로 충분하며, 다만 제2 압착부(24)의 압착력 약화로 인해 제2 압착부(24)와 튜브(12) 사이의 틈새 형성을 실링 부재(38)가 완벽하게 실링 처리하게 됨으로써, 누수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10)를 사용하게 되면, 튜브(24)가 종래와 같이 브레이징 또는 플레어 너트의 사용으로 인한 제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가 도시된 것으로, 도 1a는 튜브의 삽입과, 압착돌기가 형성된 모습이고, 도 1b는 압착에 의한 튜브의 고정과, 압착돌기가 니플의 디스크부에 압착된 모습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가 도시된 것으로, 도 2a는 제2 압착부와 튜브 사이에 실링부재가 결합된 모습이고, 도 2b는 압착에 의한 튜브의 고정과, 압착돌기가 니플의 디스크부에 압착된 모습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속 금구 12 : 튜브
14 : 제1 압착부 16 : 몸체
18 : 호스 20 : 환형공간
22 : 결합공 24 : 제2 압착부
26 : 연결공 28 : 니플
30 : 디스크부 32 : 압지돌기
34 : 끼움홈부 36 : 끼움부
38 : 실링부재

Claims (2)

  1. 몸체(16)의 일측에 길이를 가지고 연장 상태로 형성되며 호스(18)가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내부에 환형공간(20)을 형성시킨 제1 압착부(14)와; 상기 몸체(16)의 타측에 길이를 가지고 연장 상태로 형성되며 튜브(12)가 삽입되는 상태에서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공(22)을 형성시킨 제2 압착부(24)와; 상기 환형공간(20)과 결합공(22) 간에 소통하도록 연결되는 연결공(26)을 몸체(16)의 내부 중앙에 형성시킨 접속 금구로서,
    상기 결합공(22)과 접하는 연결공(26)의 일측 외곽에 상기 튜브(12)의 일단에 형성되는 끼움부(36)가 연결공(26)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16)의 안쪽으로 깊이를 가지고 파진 형태의 끼움홈부(34)가 연결공(2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압착부(24)와 튜브(12)의 사이에는 실링 부재(38)가 튜브(12)를 전부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어,
    상기 제2 압착부(24)의 압착시 끼움부(36)가 끼움홈부(34)에 매립되는 상태로 박혀져 고정되면서 실링 부재(38)에 의해 제2 압착부(24)와 튜브(12) 사이의 틈새 형성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2. 삭제
KR1020080091567A 2008-09-18 2008-09-18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KR10114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567A KR101141017B1 (ko) 2008-09-18 2008-09-18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567A KR101141017B1 (ko) 2008-09-18 2008-09-18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606A KR20100032606A (ko) 2010-03-26
KR101141017B1 true KR101141017B1 (ko) 2012-05-02

Family

ID=4218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567A KR101141017B1 (ko) 2008-09-18 2008-09-18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37B1 (ko) * 2013-03-28 2019-08-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관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683U (ja) * 1992-12-24 1994-07-15 片山工業株式会社 ゴムホースと金属パイプの接続部構造
JPH09303649A (ja) * 1996-03-13 1997-11-28 Hitachi Cable Ltd ホース用口金具及びブレーキホース
KR19990005443U (ko) * 1997-07-16 1999-02-18 박병재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JP2003278974A (ja) 2002-03-20 2003-10-02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継手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683U (ja) * 1992-12-24 1994-07-15 片山工業株式会社 ゴムホースと金属パイプの接続部構造
JPH09303649A (ja) * 1996-03-13 1997-11-28 Hitachi Cable Ltd ホース用口金具及びブレーキホース
KR19990005443U (ko) * 1997-07-16 1999-02-18 박병재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JP2003278974A (ja) 2002-03-20 2003-10-02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継手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606A (ko) 201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9864B2 (ja) 配管継手装置
US9500308B2 (en) Spiral-type flexible pipe connector
WO2014045632A1 (ja) 管継手構造
JP4929005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のシール方法およびシール構造
US9772056B2 (en) Tube connector
JP5537982B2 (ja) 管継手
KR101141017B1 (ko)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CN204284750U (zh) 新型软管接头
KR20110103775A (ko) 파이프 커플링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커플러
JP2006038169A (ja) 管継手
KR20160119559A (ko) 유압용 호스의 연결구
CN205316683U (zh) 防电墙的连接头组件及热水器
CN201209718Y (zh) 一种提高密封性能及可装配性的管端结构
KR101021410B1 (ko) 접속 금구 및 이를 이용한 튜브와 호스의 연결구조
JP2013002515A (ja) ホース締結構造
KR101034091B1 (ko) 접속 금구
ITBS20000058A1 (it) Raccordo a compressione per tubi
JP5184756B2 (ja) シール部材
JP4593409B2 (ja) 伸縮可撓継手構造
JP2014109295A (ja) 管継手構造
CN219159801U (zh) 一种高压咬合双卡套结构
CN215335112U (zh) 一种自密封管道承插口结构
KR200261373Y1 (ko) 파이프 연결용 프론트 페럴 구조
CN215335113U (zh) 一种利于密封的管道接口结构
KR200427245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421

Effective date: 201204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