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443U -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443U
KR19990005443U KR2019970018768U KR19970018768U KR19990005443U KR 19990005443 U KR19990005443 U KR 19990005443U KR 2019970018768 U KR2019970018768 U KR 2019970018768U KR 19970018768 U KR19970018768 U KR 19970018768U KR 19990005443 U KR19990005443 U KR 199900054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joint structure
hose
oil
flar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찬용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70018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443U/ko
Publication of KR19990005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443U/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에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부품에 오일을 공급하는 호스의 이음구조를 변경시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는 자동차의 각종 유압기기에 사용되는 오일을 이송하며, 일측 선단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요철부를 구비한 튜브와, 이 튜브(5)의 원주방향에 끼움 결합되는 플래어 너트와, 상기 플래어 너트의 원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튜브의 요철부와 대응하게 밀착되는 니플을 성형한 호스를 포함하는 호스 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튜브(5)의 요철부에 근접하는 원주방향의 소정위치에 상기 튜브(5)와 플래어 너트(4) 사이의 틈새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오링(7)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에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부품에 오일을 공급하는 호스의 이음구조를 변경시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오일을 매개체로하여 작동되는 많은 기기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은 오일을 이송하는 각각의 호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호스는 튜브나 각종 부품과 연결되므로 다양한 이음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호스의 이음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100)의 일단에 형성된 니플(110)에 튜브(130)가 삽입된 플래어 너트(120)와 나사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호스(100)는 유연한 재질로 성형되어 있어 주로 설치 장소가 비좁거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되어 오일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호스(100)의 선단 원주 방향으로는 플래어 너트(120)를 포함한 튜브(130)가 삽입되도록 니플(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니플(110)은 내주면으로 나사홈이 가공된 고정홈(115)를 포함하며, 이 고정홈(115)의 내측 일단은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성형된 요철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래어 너트(120)는 중앙이 천공된 관통부(1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이 가공된 결합부(1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플래어 너트(120)의 결합부(121)는 상기 니플(110)의 고정홈(115)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플래어 너트(120)의 관통부(125)에 끼움 결합되는 튜브(130)는 선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요철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135)는 상기 고정홈(115)의 요철부(116)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130)의 요철부(136)와 고정홈(115)의 요철부(116)가 상호 밀착되어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자동차용 호스(100)의 이음구조는 호스(100)와 관이음된 튜브(130)를 통해 소정의 오일이 이송된다.
그러나 종래의 호스(100) 이음구조는 호스(100)나 또는 튜브(130)를 통해 이송되는 오일압이 급격하게 올라가거나 또는 노후화 되었을 경우 호스(100)와 튜브(130)의 이음부에서 오일이 누유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예로 호스를 통과하는 오일의 압이 급격하게 상승하였을 경우 이 오일은 튜브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튜브의 요철부에 오일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튜브의 요철부와 호스의 요철부는 상호 밀착되어 있지만 소정의 틈새가 존재하므로 이 틈새를 통해 오일이 튜브의 외주면과 플래어 너트의 내주면 사이로 진입하여 외부로 누유된다.
따라서 오일 누유로 인한 유압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오일이 기기에 묻게되어 미관이 저해되는 등 소비자의 불만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사용되는 오일을 이송하는 호스 이음구조에서 누유되는 오일을 차단하여 오일을 사용한 유압기기의 작동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는 자동차의 각종 유압기기에 사용되는 오일을 이송하며, 일측 선단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요철부를 구비한 튜브와, 이 튜브의 원주방향에 끼움 결합되는 플래어 너트와, 상기 플래어 너트의 원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튜브의 요철부와 대응하게 밀착되는 니플을 성형한 호스를 포함하는 호스 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요철부에 근접하는 원주방향의 소정위치에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호스이음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호스 이음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스 2 : 니플
3 : 요철부 4 : 플래어 너트
5 : 튜브 6 : 요철부
7 : 오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호스 이음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된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각종 유압장치에 사용되는 오일을 이송하는 소정의 관로를 형성하는 호스(1)와 튜브(5), 그리고 상기 호스(1)와 튜브(5)를 상호 연결하는 플래어 너트(4)를 포함하는 호스 이음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호스(1)의 선단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니플(2)이 형성되며, 이 니플(2)은 내주면에 나사홈이 가공되어 있다.
상기 니플(2)은 나사홈이 가공된 내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되는 요철부(3)가 형성되며, 이 니플(2)에 나사 결합되는 플래어 너트(4)는 니플(2)의 내경과 거의 일치하는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원주방향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래어 너트(4)의 중앙부는 튜브(5)가 끼움 결합되도록 관통되어 있다.
상기 플래어 너트(4)에 끼움 결합되는 튜브(5)는 선단측에 니플(2)의 요철부(3)와 상호 대응하는 형상의 요철부(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5)의 요철부(6)는 플래어 너트(4)를 관통하여 상기 니플(2)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3)과 상호 밀착되는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플래어 너트(4)의 일측에 소정의 지지력을 가하여 튜브(5)와 플래어 너트(4) 사이의 접촉력을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호스 이음구조에서 상기 튜브(5)와 플래어 너트(4) 사이의 틈새에 보다 향상된 실링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튜브(5)의 원주방향에 오링(7)이 끼워지며, 이 오링(7)은 상기 플래어 너트(4)의 일측면에 접촉하는 튜브(5)의 요철부(6)에 근접하는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오링(7)은 고무재로서 소정의 탄력성을 보유하고 있어 튜브(5)와 플래어 너트(4)와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틈새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기 튜브(5)는 플래어 너트(4)에 끼움 결합되므로 튜브(5)의 외주면과 플래어 너트(4)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5)의 소정 위치에 끼워지는 오링(7)이 상기 튜브(5)와 플래어 너트(4)와 밀착하여 틈새를 차단하고 실링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유압장치의 작동시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호스(1)를 통해 튜브(5)로 소정의 오일이 이송될 때 상기 튜브(5)의 요철부(6)에는 오일이 보유한 소정의 오일압이 작용한다.
상기 오일은 상기 니플(2)의 요철부(3)와 튜브(5)의 요철부(6)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작용하여 상기 튜브(5)의 요철부(6) 외주면으로 진입된다.
그러나 상기 튜브(5)의 선단측 소정 위치에 끼워진 오링(7)은 튜브(5)와 플래어 너트(4) 사이의 틈새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튜브(5)의 외주면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은 오링(7)이 설치된 곳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오일이 호스 이음구조를 통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는 오일이 호스와 튜브의 틈새로 누유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호스와 튜브가 연결된 유압장치의 작동시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각종 유압기기에 사용되는 오일을 이송하며, 일측 선단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요철부를 구비한 튜브와, 이 튜브의 원주방향에 끼움 결합되는 플래어 너트와, 상기 플래어 너트의 원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튜브의 요철부와 대응하게 밀착되는 니플을 성형한 호스를 포함하는 호스 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튜브(5)의 요철부에 근접하는 원주방향의 소정위치에 상기 튜브(5)와 플래어 너트(4) 사이의 틈새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오링(7)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KR2019970018768U 1997-07-16 1997-07-16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KR199900054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768U KR19990005443U (ko) 1997-07-16 1997-07-16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768U KR19990005443U (ko) 1997-07-16 1997-07-16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443U true KR19990005443U (ko) 1999-02-18

Family

ID=6968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768U KR19990005443U (ko) 1997-07-16 1997-07-16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44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017B1 (ko) * 2008-09-18 2012-05-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KR102124001B1 (ko) * 2019-04-04 2020-06-17 현원재 와이어 케이블용 수분 유입 방지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017B1 (ko) * 2008-09-18 2012-05-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결합력 강화구조를 가지는 접속 금구
KR102124001B1 (ko) * 2019-04-04 2020-06-17 현원재 와이어 케이블용 수분 유입 방지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6276C (en) Plumbing hookup kit
US6012743A (en) Quick connection device for fluid conduit under pressure
US3931992A (en) Universal joint connector
US4478435A (en) Swivel connector
US4887852A (en) Pipe connector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CA2153517A1 (en) Hose coupling
KR19990005443U (ko) 자동차용 호스 이음구조
US2733941A (en) Flexible hose couplings
KR100532555B1 (ko) 배관 연결장치
KR920002319B1 (ko) 커플링 장치
KR20030091914A (ko) 호스클램핑구조
JPH017908Y2 (ko)
JP2812903B2 (ja) 配管接続用コネクタ
US20020135180A1 (en) Connector and pipe connecting assembly
KR200151475Y1 (ko) 호스 이음구조
CN220354764U (zh) 一种燃气管件外部密封组件
KR0143619B1 (ko) 파이프 피팅부재
KR100446185B1 (ko) 원터치형 튜브피팅의 실링구조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KR200251613Y1 (ko) 고압 호스용 티형 연결구
KR200232253Y1 (ko) 원터치형 튜브피팅의 실링구조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100558938B1 (ko) 고압 및 저압용 고무호스와 금속 파이프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