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245Y1 - 호스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245Y1
KR200427245Y1 KR2020060012776U KR20060012776U KR200427245Y1 KR 200427245 Y1 KR200427245 Y1 KR 200427245Y1 KR 2020060012776 U KR2020060012776 U KR 2020060012776U KR 20060012776 U KR20060012776 U KR 20060012776U KR 200427245 Y1 KR200427245 Y1 KR 200427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coupling
groov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2020060012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2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2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냉·온수 호스를 냉·온수 공급관에 연결 시킬 때 연결구조물로써 사용하기에 적당한 호스 연결 구조물이 개시된다. 연결구는 패킹홈과 고정홈 및 위치조절부를 구비한 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냉·온수 호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된다. 결합부와 끼움부 사이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걸림단이 형성된다. 연결너트는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의 일측에는 내부에 기밀용 패킹이 냉·온수 공급관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되고 내경에는 냉·온수 공급관의 선단이 나사 체결될 수 있게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가 형성된다. 격벽의 타측에는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격벽과 결합공 사이에는 고정링이 결합되는 고정링홈이 형성된다. 기밀유지링은 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켜주고, 고정부재는 고정링홈에 결합되어 연결구의 이탈을 방지시켜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연결너트를 냉·온수 공급관에 결합시킨 후 냉·온수 호스에 결합된 연결구를 연결너트에 연결시키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싱크대와 같이 내부공간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냉·온수 호스를 냉·온수 공급관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호스, 연결 구조물, 연결구

Description

호스 연결 구조물{HOSE CONNECTING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여준 호스 연결 구조물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물의 사용상태도로써, 도 4a는 연결구가 결합되는 연결너트가 냉·온수 공급관에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4b는 연결구가 연결너트에 결합되어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c는 연결구에 의해 고정링이 탄성력에 의해 고정링홈의 벽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d는 연결구가 연결너트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냉·온수 호스가 싱크대와 냉·온수 공급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변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온수 호스가 싱크대와 냉·온수 공급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냉·온수 호스 110 : 연결구
111 : 결합부 112 : 패킹홈
113 : 고정홈 114 : 위치조절부
116 : 끼움부 118 : 걸림단
120 : 연결너트 121 : 격벽
123 : 연결부 123A : 밀착면
123B : 나사산 125 : 지지부
125A : 결합공 127 : 고정링홈
130 : 기밀용 패킹 140 : 기밀유지링
150 : 제 1고정링 151 : 제 1절결부
152 : 제 1경사부 154 : 제 1고정편
160 : 제 2고정링 161 : 제 2절결부
162 : 제 2경사부 164 : 제 2고정편
170 : 냉·온수 공급관
본 고안은 호스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결너트를 냉·온수 공급관에 결합시킨 후 연결구를 연결너트에 연결시키기 때문에 싱크대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도 냉·온수 호스를 냉·온수 공급관에 용이하게 연결시키고, 냉·온수 호스의 꼬임 현상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호스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는 싱크대 또는 세면대에 설치된 수전금구와 벽면 내에 구비되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 공급관에 연결되어 싱크대 또는 세면대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호스가 싱크대 본체와 냉·온수 공급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내에 구비되어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 공급관(50)에 연결되는 냉·온수 호스(30), 냉·온수 호스(30)의 일단을 냉·온수 공급관(50)에 연결하는 연결부재(40), 냉·온수 호스(30)의 타단이 연결되고 냉·온수 호스(30)를 통해 유입된 냉수 및 온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수전금구(20), 수전금구(20)와 싱크대(10)를 연결하는 결합부재(60)로 구성된다.
연결부재(40)는 연결구(도시안됨)와 연결구에 결합되는 연결너트(도시안됨)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냉·온수 호스(30)를 냉·온수 공급관(5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40)의 연결구와 연결너트가 연결된 상태로 냉·온수 호스(30)에 결합되어 출하됨으로써, 현장에서 냉·온수 호스(30)를 냉·온수 공급관(50)에 연결시키는 작업이 불편하였다. 즉, 일단에 연결구와 연결너트가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40)가 연결되고 타단은 수전금구(20)에 연결되어 있는 냉·온수 호스(30)를 냉·온수 공급관(50)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결합부재(60)의 결합몸체(61)에서 결합너트(63)를 회전시켜 분리시키고, 분리된 결합너트(63)를 다시 냉·온수 호스(30)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냉·온수 호스(30)를 싱크대(10)에 형성된 관통공(12)으로 삽입시키며, 냉·온수 호스(30)가 관통공(12)으로 관통되면, 이탈되어 있는 결합너트(63)를 냉·온수 호스(30)에 위치되도록 한 후 결합몸체(61)에 나사 결합시켜 수전금구(20)와 싱크대(10)를 상호 연결시킨 다음 냉·온수 호스(30)를 냉·온수 공급관(50)에 연결부재(40)로 연결시켜야 함으로써, 냉·온수 호스(30)를 연결하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냉·온수 호스(30)를 냉·온수 공급관(50)에 연결시 연결부재(40)의 회전에 의해 냉·온수 호스(30)가 같이 회전하게 되어 냉·온수 호스(30)가 꼬이게 되고, 냉·온수 호스(30)를 결합너트(63)에 조립할 때 결합너트(63)의 내경이 작기 때문에 연결부재(40)와 냉·온수 호스(30)의 마찰로 인하여 냉·온수 호스(30)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싱크대(10)의 내부공간이 협소하여 연결부재(40)가 결합되어 있는 냉·온수 호스(30)를 냉·온수 공급관(50)에 연결시키는 작업이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현장에서 냉·온수 호스와 냉·온수 공급관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냉·온수 호스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고, 마찰로 인한 냉·온수 호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호스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냉·온수 공급관과 냉·온수 호스를 연결시키는 연결구조물에 있어서,
패킹홈과 고정홈 및 위치조절부를 구비한 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냉·온수 호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결합부와 끼움부 사이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이 형성된 연결구;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일측에는 내부에 기밀용 패킹이 냉·온수 공급관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면이 형성되고 내주면 둘레에 나사산이 구비된 연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격벽과 상기 결합공 사이에 고정링홈이 형성된 연결너트;
패킹홈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링; 및
고정링홈에 결합되어 연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연결너트를 냉·온수 공급관에 결합시킨 후 연결구를 연결너트에 연결시키기 때문에 싱크대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도 연결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냉·온수 호스의 꼬임 현상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여준 호스 연결 구조물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호스 연결 구조물은 연결구 (110), 연결너트(120), 기밀유지링(140) 및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구(110)는 냉·온수 호스(100)와 연결너트(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에 패킹홈(112)과 고정홈(113) 및 위치조절부(114)를 구비한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냉·온수 호스(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끼움부(116)가 형성된다. 결합부(111)와 끼움부(113) 사이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118)이 형성된다. 이때, 위치조절부(114)는 끝단에서 고정홈(113)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부재가 편심되지 않도록 유지시켜 준다.
연결너트(120)는 냉·온수 공급관(170)에 나사 체결되고 연결구(110)가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격벽(121)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121)의 일측에는 내부에 기밀용 패킹(130)이 냉·온수 공급관(170)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면(123A)이 형성되고 내주면 둘레에 나사산(123B)이 구비된 연결부(123)가 형성되고, 격벽(121) 타측에는 결합부(111)가 삽입되는 결합공(125A)을 갖는 지지부(125)가 형성되며, 격벽(121)과 결합공(125A) 사이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고정링홈(127)이 형성된다.
기밀유지링(140)은 패킹홈(112)에 설치되어 연결구(110)가 연결너트(120)에 결합시 기밀을 유지시켜 주어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시켜 준다. 이때 기밀유지링(140)은 연결구(110)에 형성되는 패킹홈(112)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으로 제 1고정링(150)이다. 제 1고정링(150)은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고정링홈(127)에 설치되어 결합부(111)가 지지부(12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것으로, 소정 위치에 절단된 제 1절결부(151)가 형성되되, 제 1절결부(151)의 양단 중앙에서 연결너트(120)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제 1경사부(152)가 형성된다. 후단에는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그 끝단은 내향 절곡 되어 고정홈(113)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고정편(154)이 형성된다. 제 1고정링(150)의 제 1절결부(151)에 형성된 제 1경사부(152)는 연결구(110)의 결합부(111)가 삽입되었을 경우 결합부(111)의 가압력에 의해 제 1고정링(150)의 선단이 격벽(121)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위치조절부(114)와 격벽(121) 사이에 협착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어 제 1고정링(15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켜준다.
미설명부호(180)은 끼움부(116)가 결합된 냉·온수 호스(100)의 외주연에 압착 설치되어 연결구(110)가 냉·온수 호스(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압착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장에서 냉·온수 호스(100)를 싱크대(200)와 수전금구(190)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수전금구(190)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재(191)의 결합몸체(193)에서 결합너트(194)를 회전시켜 분리시키고, 분리된 결합너트(194)를 다시 냉·온수 호스(100)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냉·온수 호스(100)를 싱 크대(200)에 형성된 관통공(201)으로 삽입시키며, 냉·온수 호스(100)가 관통공(201)으로 관통되면, 이탈되어 있는 결합너트(194)를 냉·온수 호스(100)에 위치되도록 한 후 결합몸체(193)에 나사 결합시켜 수전금구(190)와 싱크대(200)를 상호 연결시킨다.
도 4a를 참조하면, 싱크대와 수전금구가 연결되면, 연결너트(120)의 고정링홈(127)에 제 1고정링(150)을 설치하고, 연결부(123) 내부에는 기밀용 패킹(130)을 삽입시킨 다음 연결너트(120)의 연결부(123)를 벽면에 구비되어 싱크대의 내부공간으로 관통된 냉·온수 호스 공급관(170)에 결합시킨다. 이때, 연결부(123)와 냉·온수 공급관(170)이 나사 결합될 때 냉·온수 공급관(170)의 단부가 기밀용 패킹(130)을 가압시키게 되고, 이 가압에 의해 기밀용 패킹(130)은 밀착면(123A)에 밀착되면서 연결너트(120)가 냉·온수 공급관(170)에 나사 체결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냉·온수 공급관(170)에 연결너트(120)가 설치되면, 연결구(110)를 연결너트(120)에 결합시키되, 그 전에 패킹홈(112)에 기밀유지링(140)을 설치한다. 패킹홈(112)에 기밀유지링(140)이 설치되면, 연결구(110)의 결합부(111)를 연결너트(120)의 지지부(125)에 형성된 결합공(125A)에 삽입시켜 위치시킨다.
도 4c를 참조하면, 연결구(110)의 결합부(111)를 지지부(125)의 결합공(125A) 내부로 더 삽입시키면 위치조절부(114)가 제 1고정링(150)의 제 1고정편(154)에 접촉하면서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에 의해 제 1고정링(150)은 위치조절부(114)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제 1절결부(151)를 중심으로 고정링홈(127) 방향으로 벌어지고 이에 따라 그 외측면이 고정링홈(127)의 벽면에 접촉하게 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연결구(110)를 더욱 삽입하여 고정홈(113)이 제 1고정편(154)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고정링홈(127)의 벽면에 접촉되어 있던 제 1고정링(150)이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서 동시에 제 1고정편(154)이 고정홈(113)에 걸려 고정되고, 걸림단(118)은 지지부(125)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면(126)에 접촉되어 연결구(110)가 연결부(123)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 1고정링(150)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연결구(110)의 결합부(111)가 지지부(125)로 결합될 때 제 1고정링(150)이 편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제 1고정링(150)이 편심되는 현상은 위치조절부(114)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즉, 위치조절부(114)는 일측 끝단에서 고정홈(113)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제 1고정링(150)이 경사부위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편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도 5와 같이 냉·온수 호스(100)가 싱크대(200)와 냉·온수 공급관(170)에 연결되면서 조립이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 수돗물을 냉·온수 호스(100)를 통해 외부로 공급시키면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변형을 보여준 제 2고정링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고정링(160)은 소정 위치가 절단된 제 2절결부(161)가 형성되되, 상기 제 2절결부(161)의 양단 중앙에서 고정링홈(127)의 벽면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제 2경사부(162)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되, 연결구(110)의 걸림단(118)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져 고정홈(113)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고정편(16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고정링(160)의 작용은 전술한 제 1고정링(160)의 작용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싱크대의 내부 공간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도 냉·온수 호스의 연결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스 연결 구조물에서는, 연결너트를 냉·온수 공급관에 결합시킨 후 냉·온수 호스에 결합된 연결구를 연결너트에 연결시키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냉·온수 호스가 꼬임 되는 현상 및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며, 싱크대와 같이 내부공간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냉·온수 호스를 냉·온수 공급관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로서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냉·온수 공급관(170)과 냉·온수 호스(100)를 연결시키는 연결구조물에 있어서,
    패킹홈(112)과 고정홈(113) 및 위치조절부(114)를 구비한 결합부(111)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냉·온수 호스(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끼움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11)와 상기 끼움부(116) 사이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환형의 걸림단(118)이 형성된 연결구(110);
    내부에 형성된 격벽(121)에 의해 일측에는 내부에 기밀용 패킹(130)이 상기 냉·온수 공급관(170)에 의해 밀착되는 밀착면(123A)이 형성되고 내주면 둘레에 나사산(123B)이 구비된 연결부(12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111)가 삽입되는 결합공(125A)을 갖는 지지부(125)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121)과 상기 결합공(125A) 사이에 고정링홈(127)이 형성된 연결너트(120);
    상기 패킹홈(112)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링(140); 및
    상기 고정링홈(127)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구(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링형의 제 1고정링(150)이고, 상기 제 1고정링(150)은 소정 위치에 절단된 제 1절결부(151)가 형성되되, 상기 제 1절결부(151)의 양단 중앙에서 상기 연결너트(120)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제 1경사부(152)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되 그 끝단은 내향절곡 되어 상기 고정홈(113)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고정편(1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링형의 제 2고정링(160)이고, 상기 제 2고정링(160)은 소정 위치에 절단된 제 2절결부(161)가 형성되되, 상기 제 2절결부(161)의 양단 중앙에서 상기 고정링홈(127)의 벽면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제 2경사부(162)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연결구(110)의 걸림단(118)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져 상기 고정홈(113)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고정편(16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 구조물.
KR2020060012776U 2006-05-12 2006-05-12 호스 연결 구조물 KR200427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76U KR200427245Y1 (ko) 2006-05-12 2006-05-12 호스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76U KR200427245Y1 (ko) 2006-05-12 2006-05-12 호스 연결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051A Division KR100751755B1 (ko) 2006-05-12 2006-05-12 호스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245Y1 true KR200427245Y1 (ko) 2006-09-22

Family

ID=4177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776U KR200427245Y1 (ko) 2006-05-12 2006-05-12 호스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2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18Y1 (ko) * 2015-05-18 2016-10-20 손병천 분할크랩링을 구비한 파이프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18Y1 (ko) * 2015-05-18 2016-10-20 손병천 분할크랩링을 구비한 파이프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9826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20110031762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US7063329B2 (en) Seal/method for improved retention of the sealing element in annular grooves
KR101114497B1 (ko)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KR200427245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100751755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WO2008056602A1 (fr) Dispositif de connexion de purge pour climatiseur
US20040046386A1 (en) Joint device in a pipeline
JP2002295756A (ja) 簡易スイベルホース継手
KR200175033Y1 (ko) 호스 연결장치
KR100745653B1 (ko)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200430093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200396607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100717617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JP4514053B2 (ja) ヘッダー及びヘッダーの止水方法
KR200212005Y1 (ko) 급수관 연결구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KR20110137759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US7014217B2 (en) Pipe connector
CN210106824U (zh) 一种用于管路连接的方块接头
CN215294080U (zh) 一种用水塑料软管接头
KR200269762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245582Y1 (ko) 배관 연결 소켓
KR20060082236A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