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472B1 -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 - Google Patents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472B1
KR100710472B1 KR1020060101432A KR20060101432A KR100710472B1 KR 100710472 B1 KR100710472 B1 KR 100710472B1 KR 1020060101432 A KR1020060101432 A KR 1020060101432A KR 20060101432 A KR20060101432 A KR 20060101432A KR 100710472 B1 KR100710472 B1 KR 10071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onnecting rod
ge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가야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가야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가야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10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of rotation not at one side of the opening, e.g. turnove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me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문틀과, 상기 문틀과 힌지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여닫히는 문과, 수평이동하게 고정되는 걸림쇠를 갖는 자물쇠통 및 상기 자물쇠통과 손잡이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축은 걸림쇠와 연동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축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제1기어; 상기 문과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와 동축으로 고정되는 회전반; 일단이 상기 회전반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형상의 크랭크암; 상기 크랭크암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내측에 이동홈을 갖는 제2연결대와 상기 이동홈으로 삽입되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면에 돌출된 걸림돌부를 구비하는 제1연결대와 상기 이동홈 내에서 상기 제1연결대의 이동에 저항하여 탄발하는 탄발체로 된 지지바아와, 상기 문의 하부에 수평길이를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제1연결대와 하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바아와, 상기 연결바아의 말단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문의 저면을 통해 상기 지지바아, 연결바아 및 연결대와 더불어 상하로 승강하는 합성수지재질의 기밀부재와, 상면이 폐구된 걸림구로 구성된 링커; 및 막대형상을 하며 일단이 상기 문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문에 수평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돌출되는 일단은 사면을 갖는 누름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아와 마주하는 일면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상 하로 통과할 수 있는 이동로가 형성되되, 상기 문이 닫히면 상기 누름대가 문틀과 맞닿으면서 밀려 이동하고, 이렇게 밀려 이동하면 상기 이동로는 상기 걸림돌부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함께 이동하는 개폐바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대는 여닫히는 상기 문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문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힌지대의 양단은 각각 상기 문틀 상하에 형성된 상ㆍ하부 힌지홈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고, 상기 하부 힌지홈에는 상면이 스크류 형태로 경사진 제1캠이 탑재되며, 상기 힌지대의 하단은 상기 제1캠과 마주하는 면에 스크류 형태로 경사진 제2캠이 형성되어서, 상기 문의 회동 시 상기 제1캠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힌지대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힌지대는 상기 걸림구와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상기 힌지대의 상방이동시 상기 걸림구를 지지하여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연결판을 구비한 회전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Door structure having the movable se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부재의 동작을 위한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구조가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도어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대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이 닫힌 상태에서 핸들을 조작할 시에 일어나는 모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아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구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대와 링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10 ; 손잡이축 120 ; 제1기어
130 ; 제2기어 140 ; 회전반
150 ; 크랭크암 151, 152 ; 제1,2회전홈
153, 154 ; 제1,2회전축 160 ; 링커
161 ; 회동구멍 162 ; 지지바아
163 ; 연결바아 164 ; 연결대
165 ; 기밀부재 170 ; 개폐바아
171 ; 이동로 172 ; 플랜지
173 ; 스프링 200 ; 자물쇠통
210 ; 걸림쇠 300 ; 문틀
310 ; 걸림쇠홈 400 ; 문
420 ; 힌지대 430 ; 회전대
본 발명은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의 각 세대별 도어는 철재로 되어 허가받지 못한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하게 금하면서 파손에 대한 내구성을 높인다. 하지만, 이러한 철재는 표면강도가 비교적 크고 가요성 및 쿠션기능이 상대적으로 작아 철재로 된 문틀과 문 간의 이격공간을 자체적으로 매꾸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바닥과 직접 마주하며 슬라이딩하는 문의 저면은 문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되면서 바닥과 문 간의 이격거리를 두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격거리는 철재 문과 문틀 및 문과 바닥 간의 틈새를 크게 하여 문의 밀폐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문의 저면에 합성수지섬유와 같은 기밀부재를 도포 및 설치하여 문과 바닥 간의 틈새를 매꾼다.
하지만, 상기 기밀부재는 바닥과의 실질적인 접촉에 의한 마찰을 일으킬 수 밖에 없어, 문의 동작시 소음이 발생하고 사용자가 문을 열고 닫는데도 어려움을 주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문의 저면을 따라 설치되는 기밀부재에 의해 문이 여닫힐 때 발생하는 소음 및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문의 여닫힘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틀과, 상기 문틀과 힌지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여닫히는 문과, 수평이동하게 고정되는 걸림쇠를 갖는 자물쇠통 및 상기 자물쇠통과 손잡이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축은 걸림쇠와 연동하는 핸들을 포함 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축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제1기어;
상기 문과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와 동축으로 고정되는 회전반;
일단이 상기 회전반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형상의 크랭크암;
상기 크랭크암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내측에 이동홈을 갖는 제2연결대와 상기 이동홈으로 삽입되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면에 돌출된 걸림돌부를 구비하는 제1연결대와 상기 이동홈 내에서 상기 제1연결대의 이동에 저항하여 탄발하는 탄발체로 된 지지바아와, 상기 문의 하부에 수평길이를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제1연결대와 하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바아와, 상기 연결바아의 말단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문의 저면을 통해 상기 지지바아, 연결바아 및 연결대와 더불어 상하로 승강하는 합성수지재질의 기밀부재와, 상면이 폐구된 걸림구로 구성된 링커; 및
막대형상을 하며 일단이 상기 문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문에 수평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돌출되는 일단은 사면을 갖는 누름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아와 마주하는 일면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상하로 통과할 수 있는 이동로가 형성되되, 상기 문이 닫히면 상기 누름대가 문틀과 맞닿으면서 밀려 이동하고, 이렇게 밀려 이동하면 상기 이동로는 상기 걸림돌부가 통과하지 못 하도록 함께 이동하는 개폐바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대는 여닫히는 상기 문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문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힌지대의 양단은 각각 상기 문틀 상하에 형성된 상ㆍ하부 힌지홈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고, 상기 하부 힌지홈에는 상면이 스크류 형태로 경사진 제1캠이 탑재되며, 상기 힌지대의 하단은 상기 제1캠과 마주하는 면에 스크류 형태로 경사진 제2캠이 형성되어서, 상기 문의 회동 시 상기 제1캠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힌지대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힌지대는 상기 걸림구와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상기 힌지대의 상방이동시 상기 걸림구를 지지하여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연결판을 구비한 회전대를 더 포함하는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부재의 동작을 위한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구조가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내외를 경계하면서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문(400)과 이 문(400)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문틀(300)로 이루어진 도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는 문(400)과 문틀(300) 간의 틈새를 매꾸는 기밀부재(165)가 문(400)의 회동시 문(400) 안쪽으로 삽입되어 바닥과의 마찰과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문틀(300)은 실내 개방을 위해 절개 형성된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문(400)은 일측에 배치된 힌지대(420)를 매개로 상기 문틀(300)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문틀(300)과 여닫이 구조로 된 문(400)의 결합 구조 및 설치구조는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문틀(300)과 문(400)의 통상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상기 문(400)의 안쪽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부재(165)는 문(400)을 열고 닫을 때 사용자가 조작하는 핸들(미 도시함)의 동작에 연동한다. 즉, 핸들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기밀부재(165)가 승강하는 것인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틀(300)에는 일반적인 걸림쇠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홈(310)으로는 문(400)에 설치된 걸림쇠(210)가 출입한다. 즉, 사용자가 핸들을 돌려 조작하면 걸림쇠(210)가 상기 걸림쇠홈(310)으로 출입하면서 닫힌 문(400)을 열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핸들은 그 조작방식이 회전식 또는 누름식 등이 있고, 모터 등의 작동장비를 이용한 자동식 또는 사용자가 힘으로 조작해야 하는 수동식 등 다양한데, 상술한 회전식, 누름식, 자동식 및 수동식은 모두 회전력을 받아 동작하는 것이므로 문의 핸들이 회전력을 원동력으로 하는 방식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청구범위 내에 실시가 될 것이다.
상기 걸림쇠(210)를 조작하는 자물쇠통(200)은 문(400)의 일 지점에 배치되 고, 핸들은 상기 자물쇠통(200)과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핸들은 손잡이축(110)을 매개로 상기 자물쇠통(200)과 연결된다. 즉,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돌리면 상기 손잡이축(110)이 회전하면서 자물쇠통(200)으로 그 힘을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손잡이축(110)이 제1기어(120)와 연결되어서, 상기 손잡이축(110)이 회전하면 상기 제1기어(120)도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핸들은 구조적으로 360도 회전이 안 되는 게 일반적이므로, 상기 제1기어(120)는 회전각의 범위가 한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기어(120)가 불필요하게 공간을 점유할 수 있는 완전한 원형을 이루기보다는 상기 문(400)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이를 갖는 활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기어(120)는 문(400)의 안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기어(130)와 맞물린다. 상기 제2기어(130)는 상기 제1기어(120)의 동작을 따라 동작하는데, 상기 제1,2기어(120, 130)가 서로 나란하게 맞물리므로, 그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가 될 것이다.
상기 제1기어(120)는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돌리는 방향을 따라 회동한다. 즉, 사용자가 핸들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상기 손잡이축(110) 또한 오른쪽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기어(12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고(도 4 참조), 사용자가 핸들을 왼쪽으로 돌리면 상기 손잡이축(110)은 왼쪽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기어(120)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이다.(도 3 참조)
도면에서는 상기 제1기어(120) 및 제2기어(130)의 접촉면을 굴곡이 없는 단 순한 곡면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제1,2기어(120, 130)의 접촉면에 이가 형성되어서 상기 이를 통해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제1,2기어(120, 130) 간의 연동이 상기 이를 매개로 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돌리는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기밀부재(165)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기밀부재(165)는 제2기어(130)와 크랭크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를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기어(130)는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문(400)의 안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131)을 동축으로 하는 회전반(140)과 연동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기어(130)가 제1기어(120)와 맞물려 회전하면, 상기 회전반(14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반(140)은 양단에 각각 제1,2회전홈(151, 152)을 갖는 크랭크암(150)을 매개로 링커(160)와 연결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크랭크암(150)의 일단에는 제1회전홈(151)이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반(140)의 편중된 위치에 제1회전축(15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2회전홈(152)이 형성되어서 상기 링커(160)의 회동구멍(161)과 제2회동축(15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도어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암(15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회전반(140) 및 링커(160)는 상기 회전반(140)이 회전하면 그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크랭크암(15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링커(16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암(150)이 회전반(140)과 연동하여도 정확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랭크암(150)은 링커(160)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지지바아(162)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아(162)는 양측에 각각 맞닿는 가이드(410)로 지지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회전시키면, 그 힘으로 인해 제1기어(12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기어(130)는 상기 제1기어(120)와 연동하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데, 상기 제2기어(130)는 회전반(140)과 동축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회전반(140)은 제2기어(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는 회전반(140)은 크랭크암(150)의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크랭크암(150)은 상기 회전반(140)의 회전을 따라 이동하고, 또한 상기 크랭크암(150)의 타단은 상하로 이동하는 링커(160)의 지지바아(162)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결국에는 상기 회전반(140)이 회전하면 상기 지지바아(162)를 포함하는 링커(160)는 상하로 이동한다.
결국,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쇠(210)가 돌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크랭크암(150)이 회전반(140)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링커(160)가 최하점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핸들 조작으로 상기 걸림쇠(210)가 안쪽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1기어(120)가 회전하는 것이므로, 상기 링커(16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문(400)의 저면에 돌출된 기밀부재(165)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링커(160)의 지지바아(162)의 말단에는 다수의 연결바아(163)가 나란하게 돌출되고, 그 연결바아(163)의 말단은 기밀부재(165)가 고정된 연결대(164)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밀부재(165)가 부착된 연결대(164)가 문(400)의 저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지지바아(162)가 최하점에 위치하면 기밀부재(165)가 문(400)의 저면으로 돌출되고, 최상점에 위치하면 상기 기밀부재(165)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문(400)의 안쪽으로 내입된다. 결국, 상기 기밀부재(165)는 문(400)의 이동 시 바닥과 접촉하지 않아 문(400)의 여닫이가 어렵지 않고 마찰음에 의한 소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도 2은 문(40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문(400)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바아(17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폐바아(170)를 설명한다.
상기 개폐바아(170)는 긴 막대형상으로, 문(400)에 형성된 가이드(410)와 지지가이드(440)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어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일단은 문(40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서 도 5(본 발명에 따른 누름대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300)과 맞닿게 된다.
도 5(a)는 문(400)이 닫힌 상태이고, 도 5(b)는 문(400)이 열린 상태로, 문(400)이 닫히게 되면 문틀(300)과 문(400) 사이가 좁아져서 상기 개폐바아(170)의 누름대(174)가 문틀(300)에 눌리게 되고, 결국 상기 개폐바아(170)는 문(400)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400)이 열리면서 문틀(300)이 개폐바아(170)를 더 이상 누룰 수 없게 되면 누름대(174)는 문(400)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나오게 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바아(170)의 외면에 형성된 플랜지(172)와 문(400)의 내벽이 장력을 갖는 스프링(173)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스프링(173)의 장력으로 상기 누름대(174)가 돌출되도록 힘을 받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누름대(174)와 문틀(300)이 접촉하는 일면에는 사면(174a)이 형성되어서, 문(400)이 닫힐 때 문틀(300)과 만나는 누름대(174)가 압력을 쉽게 받아 상기 개폐바아(170)의 이동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개폐바아(170)는 상기 지지바아(162)와 인접하는 부분이 절개되어 이동로(171)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로(171)는 지지바아(162)가 이동하는 공간으로 그 폭은 상기 지지바아(162)의 폭에 상응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바아(170)와 마주하는 지지바아(162)의 일면은 개페바아(170)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부(16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부(167)는 상기 이동로(171)를 통과할 수 있을 만큼 돌출되는데, 상기 개폐바아(170)의 이동으로 이동로(171)의 위치가 상기 걸림돌부(167)의 위치와 상응하지 않을 경우엔 상기 걸림돌부(167)는 개폐바아(170)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문(400)이 닫힐 경우 상기 누름대(174)가 눌리면서 개폐바아(170) 전체의 수평이동이 일어나서 상기 이동로(171)는 걸림돌부(167)가 통과할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이 닫힌 상태에서 핸들을 조작할 시에 일어나는 모 습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아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부분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바아(162)는 제1연결대(162a)와, 상기 제1연결대(162a)가 피스톤 방식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대(162c)로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대(162c)는 상기 크랭크암(150)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됨은 물론, 그 안쪽에 상기 제1연결대(162a)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홈(162d)을 가지며, 상기 제1연결대(162a)는 말단에 걸림돌부(162b)를 구비하여 상기 제1,2연결대(162a, 162c)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대(162a)는 상기 이동홈(162d)의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대(162a)는 상기 이동홈(162d) 내에서 탄발체(162e)에 의해 이동방향에 대한 저항력을 받도록 된다.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연결대(162c)가 상방으로 힘을 받으면 상기 탄발체(162e)는 제1연결대(162a)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힘을 가하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연결대(162c)가 하방으로 힘을 받으면 상기 탄발체(162e)는 제1연결대(162a)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400)이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돌릴 경우 상기 개폐바아(170)의 막힘으로 제1연결대(162a)가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크랭크암(150)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제2연결대(162c)만 상방으로 이동하여 도 7(a)의 모습을 보이게 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문(400)이 열리고 상기 개폐바아(170)가 이동함으로서 상 기 걸림돌부(167)가 통과할 수 있는 이동로(171)가 이동선 상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탄발체(162e)의 탄발력으로 상기 제1연결대(162a)는 상방으로 신속히 이동하게 될 것이다.
결국, 이러한 구조에서는 문(40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기밀부재(165)가 외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도어의 기밀성을 항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구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밀부재(165)는 사용자에 의한 핸들의 조작으로 승강하여 문(400)의 이동시 바닥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핸들로부터 손을 놓을 경우, 자체 복귀력에 의해 상기 핸들은 재 위치로 복귀하고 결국엔 상기 기밀부재(165) 또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바닥과 다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문(400)이 문틀(300)로부터 일정각도 이상 회동하면 사용자가 핸들로부터 손을 놓더라도 상기 기밀부재(165)가 내려가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해야할 필요가 있다. 물론, 문(400)이 완전히 닫히면 사용자가 핸들로부터 손을 놓을 경우 기밀부재(165)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문(400)과 문틀(300) 간의 틈새를 매꾸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힌지대(420)는 문(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서 상기 문(400)의 상면과 저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돌출되고, 돌 출된 각 부분은 문틀(300)의 상부 힌지홈(321)과 하부 힌지홈(322)에 각각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결국, 상기 문(400)은 상하부 힌지홈(321, 322)에 각각 삽입된 힌지대(420)의 상하단 지지력으로 상기 문틀(300)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대와 링커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힌지대(420)는 제1힌지관(421)과 제2힌지관(422)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1힌지관(421)과 제2힌지관(422)은 회전대(43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힌지관(421)의 저면에는 회전용 홈부(미도시함)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회전대(430)의 상면에는 회전용 돌부(43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2힌지관(422)의 상면에도 회전용 홈부(422b)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회전대(430)의 저면에는 회전용 돌부(4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대(430)는 상기 제1,2힌지관(421, 422)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회전대(430)와 제1,2힌지관(421, 422) 간의 회전가능한 연결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상기 제2힌지관(422)의 하단, 즉 상기 하부 힌지홈(322)과 맞물리는 저면에는 스크류 형태로 경사진 제2캠(422a)이 형성되고, 이와 맞닿는 하부 힌지홈(322)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캠(422a)과 맞닿는 제1캠(3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캠(323)은 그 상면이 경사면을 이루므로, 저면이 경사진 제2캠(422a)과 맞물릴 시 상기 힌지대(420)가 회전하면 상기 힌지대(420)와 더불어 회 전하는 제2캠(422a)이 제1캠(32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대(42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대(420)는 문(400)이 여닫히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므로, 상기 문(400)이 열릴 때 상기 제1,2캠(323, 422a) 간의 맞물림이 일어나 상기 힌지대(420)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힌지대(420)는 문(400)의 여닫힘과 그 회전을 함께 하면서도 상기 제1,2캠(323, 422a)에 의한 상하이동은 문(400)과는 별도로 이루어진다. 이는 다양한 구조로서 실시될 수 있는데, 일예로 상기 힌지대(420)의 일부를 사각기둥이나 삼각기둥과 같은 입면체로 하고, 상기 힌지대(420)가 삽입되어 맞닿는 문(400)의 내면도 상기 입면체에 상응하는 면체로 하여, 상기 힌지대(420)과 문(400)의 여닫힘을 따라 회전하면서도 그 길이방향으로인 상하이동은 문(400)과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대(430)는 상기 링커(160) 쪽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연결판(431)을 구비하고, 상기 링커(160)는 걸림구(166)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걸림구(166)는 상기 연결판(431)이 위치하는 링커(160)의 일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판(431)이 맞물려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166)는 링커(160)의 배면에 위치하면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 상기 연결판(431)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431)과 걸림구(166) 간의 맞물림에서, 상기 걸림구(166)는 상기 연결판(431)의 하방이동 범위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지만 상방이동 범위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판(431)이 상방으로 이 동할 경우, 일정 높이 이상은 상기 걸림구(166)에 걸리면서 그 이동에 간섭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구조에 따르면, 문(400)이 열리면서 상기 힌지대(420)가 문(400)과 더불어 회전하면, 상기 제2캠(422a)이 상기 하부 힌지홈(322)에 탑재된 제1캠(323)과 맞물려 미끄러지면서 상기 제1캠(323)의 경사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힌지대(420) 또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회전대(430)도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회전대(430)의 연결판(431)은 상기 걸림구(166)를 지지하면서 회전대(430)와 함께 링커(16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런데, 상기 지지바아(16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대(162a)와 제2연결대(162c)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1연결대(162a)가 상기 연결판(431)의 지지를 받아 제2연결대(162c)와는 별도로 상방이동하고, 상기 제1연결대(162a)와 이어지는 연결바아(163), 연결대(164) 및 기밀부재(165)도 함께 상방이동한다.
결국, 상기 문(400)이 열리면 사용자가 핸들을 조작하지 않아도 문(400)의 회전력으로 상기 링커(160)가 상방이동하여, 문(400)의 저면에 돌출되는 기밀부재(165)가 문(400)의 안쪽으로 삽입된다.
물론, 상기 문(400)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시키면, 도 6(b)의 모습을 한 현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대(162c)만이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핸들 조작에도 어려움이 없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문이 닫혀 걸림쇠가 문틀의 걸림쇠홈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기밀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문과 문틀 사이의 틈새를 매꾸게 되고, 사용자가 문을 열기 위해 핸들을 돌리면 그 힘으로 기밀부재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바닥과 비접촉하여 문의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는 한편, 바닥과 기밀부재 간의 마찰을 없애 문의 여닫힘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한다.

Claims (1)

  1. 문틀과, 상기 문틀과 힌지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여닫히는 문과, 수평이동하게 고정되는 걸림쇠를 갖는 자물쇠통 및 상기 자물쇠통과 손잡이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축은 걸림쇠와 연동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축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제1기어;
    상기 문과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와 동축으로 고정되는 회전반;
    일단이 상기 회전반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형상의 크랭크암;
    상기 크랭크암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내측에 이동홈을 갖는 제2연결대와 상기 이동홈으로 삽입되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면에 돌출된 걸림돌부를 구비하는 제1연결대와 상기 이동홈 내에서 상기 제1연결대의 이동에 저항하여 탄발하는 탄발체로 된 지지바아와, 상기 문의 하부에 수평길이를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제1연결대와 하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바아와, 상기 연결바아의 말단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문의 저면을 통해 상기 지지바아, 연결바아 및 연결대와 더불어 상하로 승강하는 합성수지재질의 기밀부재와, 상면이 폐구된 걸림구로 구성된 링커; 및
    막대형상을 하며 일단이 상기 문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스프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문에 수평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돌출되는 일단은 사면을 갖는 누름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아와 마주하는 일면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상하로 통과할 수 있는 이동로가 형성되되, 상기 문이 닫히면 상기 누름대가 문틀과 맞닿으면서 밀려 이동하고, 이렇게 밀려 이동하면 상기 이동로는 상기 걸림돌부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함께 이동하는 개폐바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대는 여닫히는 상기 문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문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힌지대의 양단은 각각 상기 문틀 상하에 형성된 상ㆍ하부 힌지홈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고, 상기 하부 힌지홈에는 상면이 스크류 형태로 경사진 제1캠이 탑재되며, 상기 힌지대의 하단은 상기 제1캠과 마주하는 면에 스크류 형태로 경사진 제2캠이 형성되어서, 상기 문의 회동 시 상기 제1캠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힌지대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힌지대는 상기 걸림구와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상기 힌지대의 상방이동시 상기 걸림구를 지지하여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연결판을 구비한 회전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
KR1020060101432A 2006-10-18 2006-10-18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 KR10071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32A KR100710472B1 (ko) 2006-10-18 2006-10-18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32A KR100710472B1 (ko) 2006-10-18 2006-10-18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472B1 true KR100710472B1 (ko) 2007-04-24

Family

ID=3818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432A KR100710472B1 (ko) 2006-10-18 2006-10-18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4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5261A (zh) * 2014-10-23 2015-03-11 南安市丰州高捷摩托车节能实用科技产品销售中心 一种摇控式门板内隔层板下降装置
CN105401860A (zh) * 2015-12-24 2016-03-16 苏州频发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门体
KR101619361B1 (ko) * 2014-08-13 2016-05-11 (주)해밀 스윙도어용 잠금해제장치
CN116429327A (zh) * 2023-06-15 2023-07-14 常州佳尔科仿真器材有限公司 一种军用折叠式宿营方舱淋雨试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411A (ko) * 2004-02-12 2006-09-22 칫소가부시키가이샤 디아민, 폴리머,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1411A (ko) * 2004-02-12 2006-09-22 칫소가부시키가이샤 디아민, 폴리머,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소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101411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61B1 (ko) * 2014-08-13 2016-05-11 (주)해밀 스윙도어용 잠금해제장치
CN104405261A (zh) * 2014-10-23 2015-03-11 南安市丰州高捷摩托车节能实用科技产品销售中心 一种摇控式门板内隔层板下降装置
CN104405261B (zh) * 2014-10-23 2016-01-13 南安市丰州高捷摩托车节能实用科技产品销售中心 一种摇控式门板内隔层板下降装置
CN105401860A (zh) * 2015-12-24 2016-03-16 苏州频发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门体
CN116429327A (zh) * 2023-06-15 2023-07-14 常州佳尔科仿真器材有限公司 一种军用折叠式宿营方舱淋雨试验系统
CN116429327B (zh) * 2023-06-15 2023-10-20 常州佳尔科仿真器材有限公司 一种军用折叠式宿营方舱淋雨试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392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up sliding doors and windows
CN111449429B (zh) 一种可自由布置空间的鞋柜装置
US8826705B2 (en) Outer operational device for a door lock
KR100710472B1 (ko) 실내외 기밀성 유지를 위한 주택용 도어구조
TWI592560B (zh) Lock device and sliding door with the lock device
KR101666017B1 (ko) 창호 잠금장치
KR101842834B1 (ko) 폴딩도어 락 잠금장치
JP2018090966A (ja) 建具
KR100700105B1 (ko) 건축물의 출입문 개폐구조
KR100684662B1 (ko) 가변성 틈새 매꿈이 가능한 아파트의 철재 현관문
KR100720054B1 (ko)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JP2014134070A (ja) 建具
JP2017031698A (ja) 建具
JP2009052243A (ja) ルーバー装置および建具
CA2474516A1 (en) Locking device for a hung sash window
KR100535279B1 (ko) 도어 래치
KR200454646Y1 (ko) 강화유리문 잠금장치
JP4587141B2 (ja) 施解錠機構
KR100923838B1 (ko) 샤시구조
JP5993311B2 (ja) 建具
JP6650294B2 (ja) 窓開閉装置及び窓
KR200496291Y1 (ko) 도어락 잠금장치
JP4769751B2 (ja) 引戸錠装置
KR200417007Y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JP4686325B2 (ja) 開口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