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060B1 -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060B1
KR100708060B1 KR1020060002234A KR20060002234A KR100708060B1 KR 100708060 B1 KR100708060 B1 KR 100708060B1 KR 1020060002234 A KR1020060002234 A KR 1020060002234A KR 20060002234 A KR20060002234 A KR 20060002234A KR 100708060 B1 KR100708060 B1 KR 10070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kin
weight
cosmetic composition
p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현
남혜성
김연준
김한곤
강학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02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Abstract

본 발명은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1~50중량%, C12-15 알킬 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1~50중량%,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1~50중량%, 포화탄화수소 오일 10~50중량%,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 1~20중량%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계 계면활성제 0.1~20중량%를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은, 각전을 오일을 이용하여 모공으로부터 용해시켜 분리해내어 피부자극 없이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피부 세포막 유사 성분을 함유하여 열린 모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이차적인 감염을 막는 효과가 있어 피부에 보다 안전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며, 도포물의 피부 잔류의 염려가 없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우수한 피부각전 제거 효능을 나타내므로, 피부 각전 제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피부각전, 탄화수소,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알킬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모공

Description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blackheads on the skin containing oil and surfactant}
도 1a는 모공 내 각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표피층의 각전이 발생한 부위에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각전이 모공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해 제거된 각전을 필름 위에 올려놓은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각전을 오일을 이용하여 모공으로부터 용해시켜 분리해내어 피부자극 없이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차적인 감염을 막는 효과가 있어 피부에 보다 안전한 피부 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층, 진피층, 피하지방 층으로 구분되며, 블랙헤드(blackhead)라고 불리는 각전(角栓)이 나타나는 부분은 표피층이다. 더러워진 표피층을 그대로 두면 모세혈관이 수축되어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아 모공이 막히게 된다. 각전은 이렇게 노폐물과 분비된 피지가 뭉쳐서 생긴 덩어리가 공기 중의 산소와 닿아 검게 산화된 중성지방의 산화물로, 미관상 대단히 좋지 못해 피부고민이 된다.
현재까지 각전은 피부표면에 피막을 형성시켜 뜯어내는 시트 타입 팩으로 만 제거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 2000-0006074호에 따르면 최근까지 각전 제거는 모공 내의 오물이나 각전의 제거를 목적으로 한 필 오프(peel off) 타입의 각전 제거제 및 시트 타입의 각전 제거제에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필 오프 타입의 각전제거제는 손가락이 각전 제거제로 더러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전 제거제를 안면에 고르게 바르는 것도 비교적 어려운 문제이다. 또한, 도포된 각전 제거제를 건조시키는 데 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조된 각전 제거제를 안면으로부터 벗겨낼 때 각전 제거제의 일부가 피부 상에 잔류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평10-77212호 공보에는 시트 타입의 각전 제거제(각전 제거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전 제거용 시트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의 각전 제거용 시트에는 건조된 후 각전 제거 층의 피막의 강도가 모자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소제의 첨가에 의해서 각전 제거제가 가소화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각전 제거용 시트로는 각전에 대한 높은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충분히 각전을 제거할 수 없다고 하는 점에서 문 제가 있다. 또한, 친수성을 갖는 가소제는 일반적으로 실온 내지 체온 부근에서, 휘발성이 불량하거나 또는 비휘발성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종래의 각전 제거용 시트의 경우에는, 각전 제거층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해당 각전 제거용 시트를 장시간 방치시켜야만 했다. 이와 같이 각전 제거용 시트를 장시간 방치시키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번거로운 일이 된다. 이외에도 한국 공개특허 제1998-0068196호, 제1999-0001566호, 제2000-0006074호에 따르면 여러 가지의 각전제거용 팩 제형의 조성물이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팩 제형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특성상 피지를 제거한 이후 모공을 열린 상태로 두어 2차 감염을 유발하거나 강한 접착력으로 제거 시 피부표면에 자극을 주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시트나 팩의 조성물이 아니라 오일을 이용한 조성물의 경우, 시트의 탈, 부착에 따른 피부 표면의 표피층 자극이 없고, 피부의 세포막 유사성분을 함유하여 열린 모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이차 감염을 막는 효과가 있어 피부에 보다 안전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며, 도포물의 피부 잔류의 염려가 없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우수한 피부 각전 제거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을 이용해 각전을 모공으로부터 용해시켜 분리해냄으로써 상기 효능을 나타내는 우수한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은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1~50중량%, C12-15 알킬 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1~50중량%,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1~50중량%, 포화탄화수소 오일 10~50중량%,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 1~20중량%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계 계면활성제 0.1~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포화탄화수소 오일은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스쿠알란(squalane), 수소첨가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및 수소첨가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올리브 오일(olive oil),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hydrogenated coconut oil), 수소첨가 베지터블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및 메도우폼 시드 오일(meadowfoam seed oi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계 계면활성제는 PEG-2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EG-20 glyceryl isostea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각전 제거용도의 저점도 액상 오일, 고점도 젤상 오일, 크림상 오일, 왁스상 오일, 현탁화된 액상 오일, 또는 상기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전 제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각전”이란 용어는 표피층의 노폐물과 모공에서 분비된 피지가 뭉쳐서 생긴 덩어리가 공기 중의 산소와 닿아 검게 산화된 중성지방의 산화물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블랙헤드(Black head)”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그 작용기전은 도 1a 내지 1c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a는 모공 내 각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부 표피층의 노폐물과 모공에서 분비된 피지가 뭉쳐서 생긴 덩어리가 공기 중의 산소와 닿아 검게 산화된 중성지방의 산화물이 모공 속에 함유되어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표피층의 각전이 발생한 부위에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포된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오일이 모공 내 각전을 용해시키게 된다.
도 1c는 각전이 모공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 내 오일은 각전을 용해시켜 피부 모공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해내어 제거하고 모공 내에 오일막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비수용성 탄화수소 화합물로서 포화 또는 불포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상기 탄화수소 오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에서는 각전제거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50중량% 초과에서는 사용감이 나빠져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제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은 피부의 세포막 유사성분으로 모공 내 막 형성에 관여하며, 이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상기 트리글리에사이드 오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에서는 각전제거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20중량% 초과에서는 제형의 색상이 변색되거나 침전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이 생겨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제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는 각각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상기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의 각 성분의 함 량이1중량% 미만에서는 각전제거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50중량% 초과에서는 피부자극등의 안전성의 문제를 보이기 때문에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제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에 더하여, 트리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tridecyl neopentanoate),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등의 탄소수 10 내지 80의 에스터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피부 각전 제거용도의 저점도 액상 오일, 고점도 젤상 오일, 크림상 오일, 왁스상 오일, 현탁화된 액상 오일, 또는 상기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전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코 및 각전이 발생한 부위에 도포한 다음, 도포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손가락을 이용해 둥글게 4~5분간 마사지하여 각전 주변을 용해시킨다. 
이하,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 하여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5]
본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5에서는 각각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중량%)으로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미네랄 오일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30.0 20.0 - 20.0 20.0 20.0 20.0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 - 20.0 - - - -
C12-15 알킬 벤조에이트(INCI: Cas Number:68411-27-8) 20.45 20.45 20.45 - 20.45 20.45 20.45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0.0 20.0 20.0 20.0 - 20.0 2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10.0 10.0 10.0 10.0 - 10.0
PEG-2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6.0 6.0 6.0 6.0 6.0 6.0 -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5의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 성분 및 함량을 상기 표 1에 따라 평량하여 비커에 넣은 후 미네랄 오일로 100까지 맞춘 다음 교반믹서(Agi Mixer)를 이용하여 500 rpm으로 투명해 질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실험예 1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각각의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0명의 패널에게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각각의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코 및 각전이 발생한 부위에 도포하게 한 다음, 도포한 상기 조성물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둥글게 4~5분간 마사지하게 하였다. 그 평가방법은 피부각전 제거 효과를 비교하여 1-5점으로 평가(아주만족함: 5점, 만족함: 4점, 보통: 3점, 그저 그렇다: 2점, 불만족함: 1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피부 각전 제거 효과 유무 × × × × ×
평균 4.6 4.8 1.7 1.5 1.9 1.4 1.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서는 도 2와 같이 피부각전이 제거되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5에서는 실시예 1 및 2와 같은 각전 제거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또한, 패널 10명의 만족도를 평균한 결과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인 실시예 1 및 2의 경우 평균 4.6점, 4.8점으로 평가된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만족도가 매우 낮았다.
즉, 포화탄화수소 오일, 트리글리세라이트 오일, PEG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더라도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중 어느 하나를 다른 오일로 바꾸거나(비교예 1), 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지 않거나(비교예 2 및 3), 또는 포화탄화수소 오일,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PEG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더라도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을 함유하지 않거나(비교예 4), 포화탄화수소 오일,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을 함유하더라도 PEG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비교예 5) 피부각전 제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를 통해, 피부각전을 모공으로부터 용해시켜 분리하려면 실시예 1 및 2에 포함된 4종류의 오일,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PEG계의 계면활성제(PEG-2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를 모두 일정량 포함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본 실험예 2에서는 10명의 패널에서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실시예 2)과 현재 시판중인 시트 타입 코팩(제조판매원 주식회사 이세양(伊勢羊), 제품명 매지컬 클리어팩)을 이용하여 피부각전을 제거하는 경우 피부 자극감을 비교하여 보았다. 이때, 피부 자극감은 상기 각 조성물을 사용한 후 패널이 느끼는 피부 자극감을 따가움, 화끈거림, 가려움의 각 항목에 대해서 0-3점으로 채점 한 후 각 패널의 점수를 평균하여 최종 피부자극감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트 타입 코팩 실시예 2
따가움 2 0
화끈거림 2 0
가려움 0 0
(무자극 0, 경자극 1, 중자극 2, 강자극 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타입 코팩의 경우에는 따가움과 화끈거림에서 중자극을 느끼는 반면,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의 경우 따가움, 화끈거림, 가려움에서 모두 무자극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본 실험예 3에서는 10명의 패널에서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실시예 2)과 현재 시판중인 시트 타입 코팩(제조판매원 주식회사 이세양(伊勢羊), 제품명 매지컬 클리어팩)을 사용하였을 경우 피부각전 제거 만족도를 비교하여 1-5점으로 평가(아주만족함: 5점, 만족함: 4점, 보통: 3점, 그저 그렇다: 2점, 불만족함: 1점)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트 타입 코팩 실시예 2
패널 1 2 4
패널 2 2 4
패널 3 2 3
패널 4 3 4
패널 5 3 5
패널 6 1 4
패널 7 2 3
패널 8 3 4
패널 9 3 4
패널 10 2 5
평균 2.3 4.0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널 10명의 만족도를 평균한 결과 시트 타입 코팩의 경우 평균 2.3점,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의 경우 평균 4.0점으로 평가되었다. 즉, 본 발명의 피부각전 제거용 조성물이 시트 타입 코팩 보다 각전 제거 효과에 있어서 더 큰 만족도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일을 함유한 피부각전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각전을 오일을 이용하여 모공으로부터 용해시켜 분리해내어 피부자극 없이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피부 세포막 유사 성분을 함유하여 열린 모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이차적인 감염을 막는 효과가 있어 피부에 보다 안전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며, 도포물의 피부 잔류의 염려가 없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우수한 피부각전 제거 효능을 나타내므로, 피부 각전 제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펜타에리쓰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1~50중량%, C12-15 알킬 벤조에이트(C12-15 alkyl benzoate) 1~50중량%,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1~50중량%, 포화탄화수소 오일 10~50중량%,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 1~20중량%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계 계면활성제 0.1~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포화탄화수소 오일은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스쿠알란(squalane), 수소첨가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및 수소첨가 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올리브 오일(olive oil), 수소첨가 코코넛 오일(hydrogenated coconut oil), 수소첨가 베지터블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및 메도우폼 시드 오일(meadowfoam seed oil)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계 계면활성제는 PEG-2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EG-20 glyceryl isostea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각전 제거용도의 저점도 액상 오일, 고점도 젤상 오일, 크림상 오일, 왁스상 오일, 현탁화된 액상 오일, 또는 상기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전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02234A 2006-01-09 2006-01-09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조성물 KR10070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234A KR100708060B1 (ko) 2006-01-09 2006-01-09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234A KR100708060B1 (ko) 2006-01-09 2006-01-09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060B1 true KR100708060B1 (ko) 2007-04-16

Family

ID=3818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234A KR100708060B1 (ko) 2006-01-09 2006-01-09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0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061B1 (ko) * 2008-10-28 2011-09-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전 제거를 위한 피부 도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5089A (ko) * 2013-07-31 2015-02-10 (주)아모레퍼시픽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569775B1 (ko) 2009-10-01 2015-11-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중유형 크림 타입의 필러 화장료 조성물
KR101722924B1 (ko) * 2016-12-28 2017-04-05 이경화학 주식회사 고순도 mct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7212A (en) * 1988-08-18 1989-03-23 Fuji Denka Kk Production of airtight terminal base of quartz oscillator
KR20000006074A (ko) * 1998-06-10 2000-01-25 쇼지 고메이 각전제거제,각전제거용시이트및각전제거용시이트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7212A (en) * 1988-08-18 1989-03-23 Fuji Denka Kk Production of airtight terminal base of quartz oscillator
KR20000006074A (ko) * 1998-06-10 2000-01-25 쇼지 고메이 각전제거제,각전제거용시이트및각전제거용시이트의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061B1 (ko) * 2008-10-28 2011-09-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전 제거를 위한 피부 도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69775B1 (ko) 2009-10-01 2015-11-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중유형 크림 타입의 필러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5089A (ko) * 2013-07-31 2015-02-10 (주)아모레퍼시픽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KR102083282B1 (ko) * 2013-07-31 2020-03-02 (주)아모레퍼시픽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722924B1 (ko) * 2016-12-28 2017-04-05 이경화학 주식회사 고순도 mct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4008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dministration to nails
US4355046A (en) Dermatologic and cosmetic ointment base
JP3789455B2 (ja) シート状クレンジング材
CA2086254A1 (en) Ointment base and method of use
JPH09295929A (ja) 皮膚皺除去用皮膚粘着型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10617631B2 (en)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cleansing and moisturizing
CN103816165B (zh) 一种治疗痤疮的组合物
JP2011012252A (ja) 洗浄剤組成物
KR100708060B1 (ko)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각전 제거용 화장료조성물
CA274784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rmally treating pain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2003003013A (ja) アルキル化多糖類からなる水中油型乳化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化粧料
KR102269198B1 (ko) 피부 각질 박리용 배니싱 크림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1998013436A1 (fr) Composition d'humectant, base la contenant, produit cosmetique ou preparation a usage externe la contenant
KR20010108523A (ko) 피부 차단성 강화 흡수성 티슈
JP2019059696A (ja) シート化粧料
JP2001106611A (ja) 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KR101064061B1 (ko) 피부 각전 제거를 위한 피부 도포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183147A (ja) シート状含水ゲル
JPH1149627A (ja) 身体用発熱性組成物
JPH11130664A (ja) シート状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6817A (ja) 多価アルコール中油型温熱基剤
WO2017145441A1 (ja) 外用液剤
JP2005015481A (ja) 肌荒れ改善シート
JPS62155206A (ja) 美爪エナメル除去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