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845B1 -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845B1
KR100707845B1 KR1020050088048A KR20050088048A KR100707845B1 KR 100707845 B1 KR100707845 B1 KR 100707845B1 KR 1020050088048 A KR1020050088048 A KR 1020050088048A KR 20050088048 A KR20050088048 A KR 20050088048A KR 100707845 B1 KR100707845 B1 KR 100707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air
electrostatic
air flow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521A (ko
Inventor
야스노리 마츠이
오사무 이마호리
쇼스케 아키사다
후미오 미하라
아키히데 스가와
토시히사 히라이
타카시 나카가와
코조 카와이
나오후미 코다마
토모히로 야마구치
키요시 타카시마
코우스케 카타야마
준이치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0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0427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22167A external-priority patent/JP4475126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6Surface treatment of hair by steam, oi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45D20/50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and provision for an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01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5/169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or with a container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vapor generation, e.g. st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정전무화장치(6)에 의해 발생된 미스트를 헤어드라이어(1)의 본체부(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효율적으로 분산시켜서, 미스트를 모발에 균일하게 분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모발의 트리트먼트 등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한다.
정전무화장치(6)를 구성하는 탱크(61)를 본체부(10) 외주부 근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전극부(60)를, 본체부(10)의 내부에 흡인된 공기흐름의 유로 중에, 단열재(50)에 의해 가열부(5)의 열로부터 차단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미스트를 분출시키는 미스트 분사구(70)를, 본체부(10)의 공기 토출구(14)와 대략 동일면에, 또한 그의 대략 중심에 배치한다. 미스트 분사구(70)로부터 분사되는 미스트는, 공기 토출구(1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효율 좋게 분산된다.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미스트, 분사, 토출

Description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ELECTROSTATIC ATOMIZING HAIRDRY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의 일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의 일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의 일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의해 토출되는 온풍, 냉풍 및 정전무화된 미스트의 유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의 일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장치에 있어서, 정전무화용 하우징에 도입구 및 테이퍼부를 설치한 경우의 공기의 흐름의 해석결과를 나타낸 벡터(vector)도이다.
도 15는 정전무화용 하우징에 도입구 및 테이퍼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의 해설결과를 나타낸 벡터도이다.
도 16은 정전무화용 하우징을 통과한 공기의 유속에 대한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미스트의 입자지름과 그 개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graph)이다.
도 17은 정전무화용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과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미스트의 개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a)는 상기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장치에 있어서, 이물질침입 방지부재를 설치한 정전무화용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b)는, 그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장치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단면도이다.
도 22(a)는, 도 21에 도시한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정전무화장치를 설치한 부근에서 측면 공기흐름의 해석결과를 나타낸 벡터도이고, 도 22(b)는, 그 정면에서의 공기흐름의 해석결과를 나타낸 벡터도이다.
본 발명은, 온풍이나 냉풍을 토출하여 모발의 건조나 세트(set)를 행하는 헤어드라이어(hairdryer), 특히, 정전무화(靜電霧化)된 미스트(mist)를 분사시켜서 모발의 트리트먼트(treatment)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모세관 등의 급수체(給水體)에 고전압을 인가(印加)하는 것에 의해, 미세한 안개 모양의 물(이하, 「미스트」라고 함)을 비산(飛散)시키는 정전 무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이 정전무화 기술을 헤어드라이어에 응용하여, 미스트를 모발에 분사하는 것에 의해, 모발의 수분 유지성을 향상시켜, 머리카락에 정리된 느낌이나 윤기를 주는 효과를 얻고 있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특개2002-151146호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서는, 정전무화장치를 헤어드라이어 본체의 바깥쪽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헤어드라이어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미스트를 효율적으로 분사시킬 수 없어, 단시간 내에 미스트를 모발에 균일하게 분무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모발의 트리트먼트 등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국부적으로 모발의 과건조(過乾燥)한 상태가 생길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정전무화된 미스트를 생성하는 정전무화장치로는, 예를 들면, 특개2004-8518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화전극(霧化電極)과 대향전극(對向電極)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무화전극의 선단부(先端部)의 물에, 고전압에 의한 큰 에너지를 받아 분열을 반복하는 레일레이(Rayleigh) 분열을 일으켜, 반응성에 풍부한 활성종(活性種)을 가진 나노미터 사이즈(nanometer size)의 미스트를 생성하고 있다. 이 미스트에 의해 실내공기나, 실내벽면 등의 부착물의 탈취(脫臭)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성된 미스트를 효율 좋게 비산시키기 위해서, 정전무화장치 내에 송풍장치를 구비한 공기유로를 설치하고, 이 공기유로에 무화전극과 대향전극을 배치하여, 생성된 미스트를 공기의 흐름에 실어 비산시키고 있다. 그 경우, 무화전극의 선단부(先端部)의 액체가 공기유로의 공기흐름에 직접 쬐여져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무화전극과 대향전극을 정전무화용 하우징(housing) 내에 수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무화전극의 선단부에서 생성된 정전기무화 미스트는 정전기력에 의해 대향전극의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미스트를 정전무화용 하우징 밖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는, 대항전극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단순히 공기유로 내에 정전무화용 하우징을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정전무화용 하우징의 토출구로부터 미스트는 효율 좋게 토출되지 않고, 미스트가 정전무화용 하우징 내에 체류하거나, 정전기력에 의해 대향전극으로 흡착되어 버린다. 또한, 미스트의 비산량을 많게 하기 위해 정전무화되는 액체를 증량하면, 액체나 전력의 소비량이 증대함과 더불어, 부생성물(副生成物)로서의 오존(ozone)의 발생량도 증가해 버린다. 더욱이, 미스트를 비산시키기 위한 노즐(nozzle)을 설치하면, 장치의 대형화나 코스트-업(cost-up)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정전무화장치에 의해 발생된 정전무화된 미스트를 헤어드라이어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미스트를 모발에 균일하게 분무(噴霧)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모발의 트리트먼트 등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는,
공기 흡인구(吸引口) 및 공기 토출구를 가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인구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기흐름을 발생시켜서, 상기 공기 토출구로부터 공기흐름을 토출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적어도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tank), 상기 탱크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정전무화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수단과, 상기 미스트를 분출시키는 미스트 분사구를 가지는 정전무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미스트 분사구는,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의 유로 중에 설치되어, 상기 미스트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미스트가 상기 공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미스트 분사구는, 본체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흐름의 유로 중에 설치되어, 미스트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미스트가 공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분산됨으로써, 정전무화장치가 헤어드라이어 본체의 바깥쪽에 설치된 종래의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비하여, 헤어드라이어 본체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미스트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시간 내에 미스트를 모발에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고, 모발의 트리트먼트 등에 필요한 시간을 짧게 하거나, 국부적인 모발의 과건조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시간 내에 효율 좋게 모발표면에 트리트먼트 효과를 주어, 모발에 윤기와 촉촉함을 주는 것이 가능한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구는,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와 대략 동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에 이물질침입 방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정전무화장치의 상기 미스트 분사구부가 상기 이물질침입 방지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 토출구에 이물질침입 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이물질이 본체 내부로 침입하는 것에 의한 감전이나 발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 분사구는, 공기 토출구와 대략 동일면에 설치되고, 정전무화장치의 미스트 분사구부가 이물질침입 방지부재에 유지되어 있음으로써, 공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정전무화장치에 의한 에어 포켓(air pocket)이 생기고, 에어 포켓에 생기는 부압(負壓)에 의해, 미스트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미스트가, 공기흐름 중에 효율 좋게 분산된다. 또한, 미스트 분사구에 이물질침입 방지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는, 이물질침입 방지부재가 대전(帶電)하는 것에 의한 미스트 발생수단의 대향전극쪽 선단으로의 전계집중(電界集中)이 감소하지 않으므로, 미스트의 입자 지름이 크게 되지도 않고, 발생 미스트 수가 감소하지도 않는다. 그 때문에, 모발표면의 트리트먼트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구에, 대전방지처리가 된 이물질침입 방지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정전무화장치를 복수개소(複數個所)에 설치하는 등, 미스트 분사구에 이물질침입 방지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 표면에 대전방지재료를 도포하거나 접지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침입 방지부재에 대전방지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미스트 발생수단의 대향전극쪽 선단으로의 전계집중의 감소를 방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발생된 공기흐름 중의 일부가 상기 정전무화장치에 도입되어, 도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미스트를 토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송풍수단에 의해 발생된 공기흐름의 일부를 정전무화장치로 도입하고, 도입된 공기에 의해 미스트를 분출시키기 때문에, 정전무화장치에 의해 발생된 미스트를 효율 좋게 압출하고, 미스트가 대향전극 부근에서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미스트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미스트를 공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정전무화장치로 도입되는 공기흐름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이전의 공기흐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전무화장치에 도입되는 공기흐름으로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이전의 공기흐름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가열수단으로부터의 열에 의 한 액체의 팽창에 기인하는 액체의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미스트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시간 내에 미스트를 모발에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고, 효율 좋게 모발 표면에 트리트먼트 효과를 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1)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1)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1)(이하, 간단하게 「헤어드라이어」라고 함)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된 클립(clip)부(2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0)의 내부에, 또한 클립부(20)와의 분기부 근방에는, 모터(motor) 및 팬(fan) 등으로 구성된 송풍부(송풍수단)(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의 후벽(도중 좌단)에서는, 공기 흡인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안전을 위해 손가락이나 이물질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격자(格子)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0)의 내부에, 또한 송풍부(4)에 대하여 공기흐름의 하류측에는, 히터(heater) 등으로 구성된 가열부(가열수단)(5) 및 후술하는 정전무화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토출구(14)에도, 안전을 위해 손가락이나 이물질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격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기 흡인구(13) 및 공기 토출구(14)에 격자 등의 이물질침입 방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의 삽입에 의한 감전이나 발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립부(20)에는, 송풍의 온/오프(on/off), 냉풍과 온풍의 전환, 온풍의 강약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21)와, 미스트 분사 의 온/오프를 전환하기 위한 푸쉬(push) 스위치(22)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스위치(21)를 온(on)하는 것에 의해, 송풍부(4)의 팬이 회전하여, 공기 흡인구(13)로부터 공기가 송풍부(4)로 흡인된다. 온풍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송풍부(4)에 의해 흡인되어, 본체부(10)의 내부에 발생된 공기흐름은 가열부(5)측으로 송출되고,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가열부(5)를 통과할 때에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으로 되어 공기 토출구(14)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푸쉬 스위치(22)를 온(on)하는 것에 의해, 미스트의 분사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정전무화장치(6)로부터 다시 미스트가 분사되고, 공기 토출구(1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효율적으로 분산되어, 유저(user)의 모발 등으로 불어 넣어진다.
정전무화장치(6)는, 정전무화된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중심전극(65) 및 대향전극(66)을 가지는 전극부(미스트 발생수단)(60)와, 물 등의 액체(63)를 저장하는 탱크(61)와, 액체(63)를 탱크(61)로부터 전극부로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pipe) 등의 액체공급관(64)과, 중심전극(65)과 대향전극(66)과의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발생회로(6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부(60)는, 단열재(50)에 의해 가열부(5)로부터 차단되어 있고, 가열부(5)의 대략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열재(50)에 의해, 가열부(5)로부터의 열에 의한 전극부(60)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전극부(60)에서 발생된 미스트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스트 분사구(70)는, 송풍부(4)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의 방향에 있어서, 공기 토출구(14)와 공기흐름의 방향에 직교하는 대략 동일면(동일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공기 토출구(14)의 개구부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또한, 미스트 분사구(70)는, 반드시 공기 토출구(14)와 대략 동일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보다도 약간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있어도 좋다.
탱크(61)는 본체부(1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본체부(10)에서는, 탱크(61)을 장착하기 위한 탱크 장착부(11) 및 그 덮개(12)가 설치되어 있다. 액체 공급관(64)은, 탱크 장착부(11)의 바닥부와, 전극부(60)의 중심전극(65)과의 사이를 접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탱크(61)에서는, 액체(63)를 탱크(61) 내로 주입하기 위한 액체주입구(62) 및 탱크(61) 내의 액체(63)를 액체 공급관(64)으로 공급하기 위한 액체 토출구(68)가 설치되어 있다.
손가락이나 이물질이 전극부(60)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미스트 분사구(70)에도, 격자 등의 이물질침입 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미스트 분사구(70)에 이물질침입 방지부재를 설치하면, 이물질침입 방지부재가 대전(帶電)하고, 고전압을 인가하고 있는 대향전극(66) 측으로의 전계집중(電界集中)이 감소하여, 미스트의 입자지름이 크게 되어, 발생하는 미스트 수가 감소한다. 그 때문에, 미스트를 모발에 분사하는 것에 의해, 모발의 수분 유지성을 향상시키고, 머리카락에 정리된 느낌이나 윤기를 준다는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미스트 분사구(70)에 설치된 이물질침입 방지부재가 대전하지 않도록, 대전방지 대책이 실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스트 분사구(70)에 설치된 격자의 표면에, 예를 들면, 실리콘(silicon)계 , 유기 바론(boron)계, 고분자형의 수지계 등의 대전방지재를 도포하고 있다. 또는, 격자자체를 접지시켜도 좋다. 또는, 대향전극(66)에 대하여, 중심전극(65)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보다도 충분하게 낮은 전압을 인가 하여도 좋다.
한편, 미스트 분사구(70)에 격자 등의 이물질침입 방지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미스트 분사구(70)로부터 손가락이나 이물질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미스트 분사구(70)의 일부 또는 전부에, 3 ~ 7mm 정도로 개구부 틈 사이를 좁게한 부위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공기 토출구(14)로부터의 송풍으로 미스트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미스트 분사구(70)는 공기 토출구(13)보다 하류부 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공기 토출구(14)와 동일면 상이나 상류부 측이어도 좋다.
정전무화장치(6)의 탱크(61)는, 열에 의한 액체(63)의 팽창 및 그에 동반한 액체(63)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가열부(5)에 의한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부(5)보다도 공기유로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가열부(5)보다도 공기유로의 상류측이 아니더라도, 단열재에 의해 차단된 부위에 탱크(61)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는, 탱크(61) 자체를 단열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들의 경우, 탱크(61)의 설치장소는, 가열부(5)의 주변이나 가열부(5)의 내부, 가열부(5)보다 공기유로의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탱크(61)에서의 액체(63)의 보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61)을 헤어드라이어(1)의 본체부(10)의 상부에 탱크장착부(11)를 설치하여, 탱크(61)를 착탈가능하게 하고 있다. 탱크(61)를 착탈가능하게 한 경우, 탱 크장착부(11)는 도시한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부(10)의 하부나 측부 등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렇지만, 탱크(61)는, 반드시 착탈가능할 필요는 없고, 본체부(10)에 탱크(61)를 고정하여도 좋다. 그 경우, 탱크(61)로의 액체(63)의 보충을 용이하기 하기 위해, 본체부(10)의 상부, 하부 또는 측부 등, 외부에 면한 부위에 탱크(61)의 액체 주입구(6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탱크(61)는, 본체부(10)의 외부에 면하지 않는 부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 탱크(61)의 액체주입구(62)와 본체부(10)의 외주부에 설치된 액체주입구를 연결하는 액체유입경로를 설치하면 좋다. 또한, 탱크(61)의 위치에 관계없이, 탱크(61) 자체 또는 액체유입경로의 일부에, 액체(63)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나 체크밸브(check valve)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탱크(61)로부터 전극부(60)로 액체(63)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공급관(64)이나 상기 탱크(61)와 본체부(10)의 외주부를 연결하는 액체유입경로에 펠트(felt) 등을 병용(倂用)하여도 좋다.
또한, 헤어드라이어(1)는, 다양한 각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탱크(61)의 탈락(脫落)을 방지하는 것 등을 위해서, 탱크 장착부(11)의 덮개(12)에 로크(lock)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는, 탱크 장착부(11)에 탱크(61)를 고정하기 위한 인터로크(inter-lock)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탱크 장착부(11)에 고무 등의 패킹(packing)으로 구성된 압입부(壓入部)를 설치하여, 탱크(61)를 이 압입부에 압입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덮개(12)를 생략하고, 탱크(61)를 직접 본체부(10)의 외주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탱크(61)를 생략하고, 본체부(10)의 외주부와 전극부(60)를 연결하는 액체유입경로를 탱크(61)의 대용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중심전극(65)으로서, 세라믹(ceramic), 펠트(felt), 금속의 메시(mesh) 구조와 같은 다공체의 것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중심전극(65)을, 액체를 채우기 위한 저액부(貯液部)의 일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극부(60)의 중심전극(65)에 대하여 고전압 발생회로(67)로부터 전압을 인가하는 것은, 전선 등을 통하여 중심전극(65)에 직접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 외, 탱크(61) 내부의 액체(63)나 액체공급관(64)의 내부의 액체를 통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 등이 고려된다. 대향전극(66)에는, 고전압 발생회로(67)에서 발생된 중심전극(65)에 인가되는 전압보다도 충분히 낮은 전압이 인가되지만, 고전압 발생회로(67)의 저전압 측의 전압을 인가하여도 좋고, 그 이외에서도, 헤어드라이어(1)에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전압을 직접 인가하거나, 또는 사용전원의 전압을 다시 변압하여 인가하거나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60)와 탱크(61)를 일체화함과 더불어, 본체부(1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부(60)와 탱크(61)를 일체화하고, 본체부(10)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카트리지(cartridge)(7)를 형성한다. 또한, 카트리지(7)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대전방지처리가 실시된 미스트 분사구(70) 가 장착되어 있다. 중심전극(65)은, 전극부(60)와 탱크(61)의 사이의 격벽(隔璧)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1 실시형태에 서술된 액체공급관(64)이나 액체유입경로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중심전극(65)에 대하여 고전압 발생회로(67)로부터 전압을 인가함과 동시에, 대향전극(66)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도체 69A 및 69B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체 69A 및 69B로는, 판 스프링(spring) 전극과 같은 접촉형 단자나, 끼워넣는 형의 단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발생회로(67)도 탈착식으로도 좋다. 그 경우, 고전압 발생회로(67)의 1차 측에서의 입력단자로서, 마찬가지로, 접촉형이나 차입형의 단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부(60), 탱크(61) 및 미스트 분사구(70)를 카트리지(7)로서 일체화하고, 헤어드라이어(1)의 본체부(1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한 것에 의해, 탱크(61)에 액체(63)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미스트 분사구(70)에 부착된 먼지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에 의해, 전극부(60)의 중심전극(65) 등에 칼슘(calcium) 등이 석출되기도 하지만, 석출된 칼슘 등도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3에서 카트리지(7)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구성예에서는, 액체 주입구(62)를 탱크(61)의 후단면에 설치하고 있지만, 도 3에 나타낸 구성예에서는, 액체주입구(62)를 탱크(61)의 측면에 설치하고 있다. 카트리지(7)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제조의 용이함 등을 감안하면, 대략 원 형상 또는 대략 장방형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구성예는, 카트리지(7)의 단면이 대략 원형의 경우에 적당하고, 도 3에 나타낸 구성예는, 카트리지(7)의 단면이 대략 장방형의 경우에 적당하다.
도 4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의 본체부(10)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극부(60)가 본체부(10)의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전극부(60), 탱크(61) 및 미스트 분사구(70)가 카트리지(7)로서 일체화되고, 헤어드라이어(1)의 본체부(1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토출구(14)의 격자를 떼어내거나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7)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는, 공기 토출구(14)의 격자를 카트리지(7)의 미스트 분사구(70)보다도, 공기흐름의 상류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카트리지(7)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헤어드라이어(1)의 본체부(10)의 상부, 또는, 하부나 측부 등, 본체부(10)의 외주부에 면한 위치에 카트리지(7)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 경우, 본체부(10)의 상부, 하부 또는 측부 등으로부터 카트리지(7)을 탈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전극부(60) 및 미스트 분사구(70)를 본체부(10)에 고정하고, 탱크(61)만을 탈착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는, 탱크(61)도 본체부(10)에 고정하고, 본체부(10)의 외주면에 액체주입구(62)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전극부(60) 및 미스트 분사구(70)(카트리지(7)의 경우를 포함)를 두 곳 및 세 곳에 설치한 구성예를 나타낸다. 그 경우, 전극부(60) 및 미스트 분사구(70)를 등각도로 배치하여, 헤어드라이어(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 름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탱크(61)로부터의 액체공급 또는 고전압 발생회로(67)로부터의 전압인가 등의 구성상, 2 이상의 전극부(60) 및 미스트 분사구(70)를 인접시킨 것도 고려된다. 그 경우, 대향전극(66)을 공통의 것으로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전극부(60) 및 미스트 분사구(70)의 수에 응하여 복수의 탱크(61)를 설치하여도 좋으나, 1개의 탱크(61)로부터 복수의 액체공급관(64)을 통하여 액체를 전극부(60)로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헤어드라이어(1)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송풍부(4)에 의해 발생된 공기흐름의 일부를 단열재(50)의 내측으로 통하여, 가열부(5)에 의해 가열되지 않게 통과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풍의 내측에 냉풍, 또한 그 내측에 정전무화된 미스트가 발생되는 구조로 된다. 이와 같이, 가열부(5)에 의해 가열되지 않은 냉풍을, 전극부(60)의 외측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온풍에 의한 온도상승에 동반한 액체의 팽창에 의해, 내부의 액체가 액체공급관(64)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극부(60)에서 발생된 미스트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부(60)에 슬릿(slit) 등을 설치하고, 단열재(50)의 내측을 통과하는 냉풍의 일부를 전극부(60) 내로 인입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후자의 경우, 다시 전극부(60) 내로 인입된 공기흐름에 의해, 전극부(60)에서 발생된 미스트가 미스트 분사구(70)로부터 외부로 압출된다. 그 결과, 전극부(60)에서 발생된 미스트 가 대향전극(66) 부근에서 소실되지 않고, 미스트가 헤어드라이어(1)의 본체부(10)의 공기 토출구(1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효율적으로 분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는, 브러시(brush)가 부착된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브러시가 부착된 헤어드라이어(1)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브러시가 부착된 헤어드라이어(1)는, 송풍부(4) 및 가열부(5)가 설치된 본체부(30)에 대하여 브러시부(40)가 어탯치먼트(attachment)로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정전무화장치(6)는, 단열재(50)에 의한 열로부터 차단되도록, 브러시부(4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극부(60) 및 미스트 분사구(70)는, 브러시(41)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극부(60) 및 미스트 분사구(70)의 위치는, 브러시부(40)의 대략 중앙부에 한정되지 않고, 브러시부(40)의 선단부나 근원부(根元部) 등, 단열재(50)에 의해 차단된 부위라면 브러시부(40)의 내부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극부(60) 및 미스트 분사구(70)의 수에 관해서도, 예를 들면, 브러시부(40)의 선단과 근원의 양쪽 등, 복수개소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 나타낸 구성예는, 브러시부(40)의 내부의 대략 중앙에 통 모양의 단열재(50)을 설치하고, 단열재(50)의 내부에 정전무화장치(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30)의 가열부(5)에 대향하는 위치에도 통 모양의 단열재(50)을 설치하고 있고, 송풍부(4)에 의해 발생된 공기흐름의 일부를 단열재(50)의 내측으로 통하 여, 가열부(5)에 의해 가열되지 않게 통과시키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30)로부터 토출되는 냉풍을 브러시부(40) 내의 단열재의 내측으로 도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열재(50)의 내측을 통과하는 공기흐름에 의해 미스트 분사구(70) 부근에서 발생되는 부압(負壓)에 의해, 전극부(60)에서 발생된 미스트가 미스트 분사구(70)로부터 외부로 흡출(吸出)된다. 또한, 전극부(60)에 슬릿 등을 설치하고, 단열재(50)의 내측을 통과하는 냉풍의 일부를 전극부(60) 내로 인입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 경우, 새로이 전극부(60) 내로 인입된 공기흐름에 의해, 전극부(60)에서 발생된 미스트가 미스트 분사구(70)로부터 외부로 압출된다. 그 결과, 미스트 분사구(70)로부터 외부로 분사된 미스트가, 브러시(41)의 사이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효율적으로 분산된다.
도 12에 나타낸 구성예에서는, 본체부(30)의 가열부(5)에 대향하는 위치에 통 모양의 단열재(50)을 설치하고, 단열재(50)의 내부에 정전무화장치(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브러시부(40)는, 브러시(41)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미스트 분사구(70)와, 본체부(30) 측의 단열재(50)의 토출부와 미스트 분사구(70)를 연결하는 대략 J자 모양의 단열재(5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열재(51)에 대전방지재를 도포하거나, 단열재(51)을 접지하거나 하는 등으로, 대전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전무화장치(6)가 본체부(30)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탯치먼트로서 다양한 형상의 브러시부(40)가 사용되는 경우에서도, 미스트가 효율적으로 분산된 공기흐름을 토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장치(10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무화장치(100)의 기본구성을 나타낸다.
정전무화장치(100)의 공기유로(103)을 형성하는 공기유로 하우징(130)은, 예를 들면 대략 원통 모양으로서, 그 일단부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31)가 형성됨과 동시에, 타단부에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31)로부터 토출구(132)까지의 공간이 공기유로(103)로 된다. 또한, 공기유로 하우징(130)의 형상은 대략 원통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또한, 정전무화장치(100)의 외각(外殼) 케이싱(casing)이 직접 공기유로 하우징(130)을 겸하여도 좋다.
공기유로(103)의 상류측, 즉, 흡입구(131)의 근방에는, 송풍팬(141) 및 모터 등의 구동부(142)로 구성된 송풍장치(104)가 배치되어 있고, 흡입구(131)로부터 외부의 공기를 공기유로 하우징(130) 내로 흡입함과 동시에, 토출구(132)로부터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공기유로(103) 중, 송풍장치(104)의 하류측에는, 정전무화부(101)가 배치되어 있다.
정전무화부(101)는, 무화전극(111), 액체공급부(112), 대향전극(113), 전압인가부(114) 등으로 구성되고, 무화전극(111)과 대향전극(113)은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상류측에, 액체공급부(112)의 탱크(112a)와 전압인가부(114)를 일체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112a)를 정전무화용 하우징(102)과는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은 대략 원통 모양이고, 내부에 공기의 유로로 된 공간(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120)에는, 또한 무화전극(111)과 대향전극(113)이 수납된다. 그리고,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은, 그 원통의 축방향이, 공기유로(103) 내의 공기흐름의 방향에 따르도록, 공기유로 하우징(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의 공간(120) 중, 공기유로(103)의 상류측의 내벽면(123)서는, 하류측으로 갈수록 작은 지름으로 되는 테이퍼부(1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125)는 대략 원추형상이고, 공기유로(103) 내의 공기흐름의 하류측 단부가 정수리부(頂部)로 되어 있다. 무화전극(111)은 테이퍼부(125) 정수리부로부터, 공기흐름의 하류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공기흐름의 방향에 있어서의 테이퍼부(125)의 길이는,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상류측의 내벽면(123)으로부터의 무화전극(111)의 돌출길이의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로의 전계집중에 영향을 미쳐 방전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는, 테이퍼부(125)를 대전하기 어려운 재료, 즉 대전한 미스트(M)가 부착하기 어려운 재료로 형성된 경우, 테이퍼부(125)의 길이를 무화전극(111)의 돌출길이의 8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화전극(111)은 침 모양 또는 봉 모양이고, 전체가 다공질재료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액체(L)의 반송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체(L)를 탱크(112a)로부터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에, 액체(L)를 정전무화하여 미스트(M)를 생성시킨다.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의 하류측에는, 대향전극(113)이 배치되어 있다.
대향전극(113)은 대략 원고리 모양이고, 예를 들면 카본(carbon) 등의 도전재(導電材)가 혼입된 합성수지나 SUS와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구성예에서는, 대향전극(113) 자체가, 대략 원통모양을 한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하류측의 벽부로 됨과 더불어, 대향전극(113)의 중앙의 구멍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의 공간(120)으로부터의 미스트(M)의 토출구(122)로 되어 있다. 토출구(122)의 내경을 3 ~ 1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손가락이나 금속조각 등의 이물질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로 삽입되는 것이 어렵게 되어, 감전되거나 누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물질의 삽입에 의해 공기흐름이 어지럽게 되지 않아, 미스트(M)를 효율 좋게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의 공간(120)으로의 공기의 도입구(121)는, 대략 원통 모양을 한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측벽부(124) 위에, 그 원주방향으로 일정의 각도로 복수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로(103)의 공기흐름의 방향에 있어서의 도입구(121)의 위치는,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공간(120)의 상류측 내벽면(123)(테이퍼부(125)의 기단부)과 대략 동일한 위치로부터, 무화전극(11)의 선단부(111a) 또는 그것보다도 상류측의 부위의 범위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1변의 길이가 2 ~ 10mm 정도의 장방형의 도입구(121)가, 대략 원통 모양의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측벽부(124) 상에, 180°간격으로 2개, 120° 간격으로 3개, 90° 간격으로 4개, 72° 간격으로 5개 … 등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액체공급부(112)는, 액체(L)를 저장하는 탱크(112a)와, 탱크(112a)로부터 무 화전극(111)으로 액체(L)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112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내, 공기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 또는 측방향으로(도 13에서는 상류측으로) 액체공급부(112)의 탱크(112a)를일체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112a)를 정전무화용 하우징(102)과는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도 13 중, 부호 112c는 탱크(112a) 내에 액체(L)를 주입하기 위한 삽입구의 덮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예의 경우, 무화전극(111)을 탱크(112a) 측에 길게 형성하여, 액체(L)의 반송부(112b)로서의 기능과 본래의 무화전극의 기능을 합하여 유지시키고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한 예의 경우, 무화전극(111)에 액체(L)를모세관현상에 의해 반송하기 위해, 내경 2mm 이하의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진 반송부(112b)를 무화전극(111)과는 별도로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도입구(121)로부터 공기유로(103)을 흐르는 공기를 도입할 때에, 공기흐름을 방해하여 머무르는 것이 거의 없게 되어, 더 균일하게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로 공기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체공급부(112)로서는, 액체(L)가 물인 경우, 반드시 탱크(112a)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에 공기 중의 수분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흡습제(吸濕劑)나 펠티어트 소자(peltiert element) 등의 냉각수단을 사용하여, 무화전극(11)의 선단부(111a)에 물을 결로(結露)시켜도 좋다. 그 경우,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로의 물의 반송능력은, 탱크(112a)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경우보다도 떨어지기 때문에, 무화전극(111)의 선단 부(111a)가 공기흐름 중에 위치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전압인가부(114)는, 무화전극(111)과 대향전극(113)과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도 13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상류측에 정전무화용 하우징(102)과 일체로 설치하여도 좋고,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와는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이 정전무화장치(10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로는, 액체공급부(112)로부터 액체(L)가 공급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 상태에서, 대향전극(113)을 접지함과 동시에, 무화전극(111)과 대향전극(113)과의 사이에 전압인가부(114)에 의해 수kV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의 물이 강한 전계(電界)에 의해 큰 에너지(energy)를 받아 분열을 되풀이하는 레일레이 분열을 일으켜서, 반응성에 풍부한 활성종을 가진 나노미터 사이즈의 미스트(정전무화 미스트)(M)가 생성된다. 전계는,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로부터 대향전극(113)으로 향하여 형성된다. 또한, 미스트(M)는 정전무화되는 때에 대전되기 때문에,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에서 생성된 미스트(M)는, 전계로부터 받는 정전기력에 의해 다른 극성의 대향전극(11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송풍장치(104)에 의해 공기유로 하우징(130)의 흡입구(131)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공기유로(3)를 흐른다. 이 공기흐름의 일부가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도입구(121)로부터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로 흡입된다. 도입구(121)로부터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로 도입된 공기흐름은,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흐르지만,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상류측의 내벽면(123)에 형성된 테이퍼부(125)에 의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방향이 바뀐다. 그리고,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에서 생성된 미스트(M)는, 대향전극(113)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정전기력과 공기흐름에 의해, 도의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구(122)로부터 효율 좋게 토출된다.
다음으로,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에 도입구(121) 및 테이퍼부(125)를 설치한 경우의 공기의 흐름의 해석결과를 도 14에 나타낸다. 비교예로서,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에 도입구(121) 및 테이퍼부(125)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의 해설결과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구(121) 및 테이퍼부(125)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토출구(122)로부터 공기가 역류하고,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의 부근에서도 공기가 역류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구(121) 및 테이퍼부(125)를 설치한 경우에서는, 도입구(121)로부터 도입된 공기흐름은, 테이퍼부(125)에 의해 방향이 바뀌게 되어, 그대로 토출구(122)로부터 토출되고 있다. 그 때문에, 공기흐름이 역류하지 않고, 효율 좋게 토출구(122)에 의해 토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송풍장치(104)로부터의 공기흐름이 정전무화부(101)(또는 정전무화용 하우징(102))를 통과할 때의 공기흐름의 유속마다, 토출구(122)로부터 토출되는 미스트(M)의 입자지름과 토출된 개수의 관계를 도 16에 나타낸다. 또한, 송풍장치(104)로부터의 공기흐름이 정전무화부(101)(또는 정전무화용 하우징(102))를 통과할 때의 공기흐름의 유속과, 토출구(122)로부터 토출되는 미스트(M)의 개수의 관 계를 도 17에 나타낸다. 계측에 있어서는, DMA(미분형 입자 지름 계측장치)를 사용하여, 토출되는 미스트(M)의 지름 및 개수를 계측했다.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을 통과하는 공기흐름의 속도가 4(m/s)까지는, 토출구(122)로부터 토출되는 미스트(M)의 개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공기흐름의 속도가 4(m/s)까지는,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에서 생성된 미스트(M)가 효율 좋게 토출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공기흐름의 속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미스트(M)가 효율 좋게 토출되도록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공기흐름의 속도가 4(m/s) 이상으로 되면 미스트(M)의 개수가 상승하지 않는 것은,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에서 생성된 미스트(M)의 거의 전부가 효율 좋게 토출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과 같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로 공기의 도입구(121)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에 공기흐름이 도입됨으로써,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에서 생성된 미스트(M)가 토출구(122)로부터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밖으로 효율 좋게 토출된다. 그 결과, 정전무화장치(100)로부터 미스트(M)의 비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입구(121)를, 공기유로(103)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측벽부(124)의 내벽면(123)과 대략 같은 위치에서,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 또는 그것보다도 상류측의 부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 부근에서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공기흐름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를 통과할 때의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내벽면(123)에, 공기흐름의 하류측 으로 갈수록 작은 지름으로 되는 테이퍼부(125)를 설치하여 있음으로써, 도입구(121)로부터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내측에서 도입된 공기흐름을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또한 공기유로(103)를 흐르는 공기흐름의 하류측으로, 부드럽게 바뀔 수 있다. 그 결과, 무화전극(111)의 돌출기부(基部)의 근방에서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정전무화장치(100)에 있어서,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대략 원통모양의 측변부(124)의 외주에 따라, 복수의 도입구(121)를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도입구(121)의 형상을, 적어도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축방향의 길이가 2 ~ 10mm 의 장방형인 것에 의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외주로부터 그 중심축으로 향하여 유입된 공기흐름의 방향을, 테이퍼부(125)에 의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축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또한, 도 18(a) 및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토출구(122)에, 손가락이나 금속조각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침입 방지부재(126)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물질침입 방지부재(126)는,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공기흐름의 하류측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고, 예를 들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토출구(122)보다도 작은 지름(예를 들면, 직경 3 ~ 10mm 정도)의 개구(開口)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는, 이물질침입 방지부재(126)로서, 토출구(122)에 격자부재(도시 생략)를 부착하여도 좋다. 그 경우, 격자부재는 실리콘계, 유기 바론계, 고분자형 수지계 등의 대전하기 어려운 재료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는, 격자부재를 접지 또는 전압인가부(114)에 의한 인가전압보다도 충분히 낮은 전압을 격자부재에 인가하도록 하여, 격자부재가 대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흐름을 차단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격자의 폭을 예를 들면 1 ~ 2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침입 방지부재(12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손가락이나 금속조각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어 감전되거나 누전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이물질의 삽입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어지럽게 되지 않고, 미스트(M)를 효율 좋게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 13에 도시한 예에서는, 대향전극(113)이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의 공간(120)의 하류측 내벽면을 겸하고, 또한 그 중앙 구멍이 토출구(122)를 겸하고 있다. 그렇지만, 도 18(a) 및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물질침입 방지부재(126)을 더 설치하는 경우, 이물질침입 방지부재(126)의 토출구(122)와 대향전극(113)의 중앙 구멍을, 예를 들면 직경 8mm 정도의 대략 같은 크기나, 약간 다른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입구(121)를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측벽부(124)에 형성하고 있는 경우, 도입구(121)로부터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로 도입된 공기흐름은,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에서 중앙부로 집중되어 흐르기 때문에, 토출구(122)의 개구면적을 더욱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입구(121)를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상류측 내측면(123)에 형성하는 것과 같은 경우(도시 생략)에서는, 도입구(121)로부터 도입된 공기흐름은,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에서 넓어지기 때문에, 토출구(122)의 개구면적을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9에 나타낸 구성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한 정전 무화장치(100)에서는,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외면의 도입구(121) 근방에, 공기유로(103)를 흐르는 공기흐름을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로 도입하기 위한 도입 가이드부(127)가 설치되어 있다. 도입 가이드부(127)는,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외주면의 도입구(121) 하류측 단부로부터, 상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유로(103)를 흐르는 공기흐름의 유량이 적지 않은 경우에도, 보다 많은 양의 공기흐름을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로 부터 도입할 수 있어서, 미스트(M)의 토출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의 도입구(121)보다도 공기흐름의 하류측 부위로부터 토출구(122)에 걸쳐, 토출구(122)측으로 갈수록 작은 지름으로 되는 테이퍼 가이드(28)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입구(121)보다도 공기흐름의 하류측에 있어서, 정전무화용 하우징(102)의 벽면부의 토출구(122)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 공기가 닿아서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정전무화장치(100)를 구비한 제품으로서는, 상기 헤어드라이어 외에, 예를 들면 공기청정기 등을 들 수 있다.
도 20은, 정전무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200)를 나타낸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200)의 외각 케이싱이 공기유로 하우징(130)으로 되어 있고, 공기유로(103)에 배치된 송풍장치(104)에 의해, 흡입구(131)에 의해 공기가 공기유로(103) 내로 흡입된다. 공기유로(103)의 송풍장치(104)보다도 상류측에는, 필터(filter)(261) 등으로 구성된 공기청정부(20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유로(103)의 송풍장치(104)보다도 하류측에는, 정전무화부(10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전무화부(101)의 토출구(122)로부터 토출되는 미스트(M)는, 공기청정기(200)의 토출구(232)로부터 토출된다. 이 미스트(M)에 의해, 실내의 공기나 실내벽면 등의 부착물의 탈취가 행해진다.
도 21은, 정전무화장치(100)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헤어드라이어(1)의 경우도, 외각 케이싱이 공기유로 하우징(130)으로 되어 있고, 공기유로(103)의 상류측에 배치된 송풍장치(104)에 의해, 흡입구(131)로부터 공기가 공기유로(103)의 내부로 흡입된다. 공기유로(103)는, 도중에 정전무화장치(100)로 향하는 공기유로(103)와, 가열장치(105)로 향하는 공기유로(103`)로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 각각의 유로에 정전무화장치(100)와 가열장치(105)가 설치되어 있으나, 그것들의 하류측에는, 공기유로 103과 103`가 다시 합류하여, 토출구(132)로부터 미스트(M)가 혼입된 온풍이 토출된다.
이 경우,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로 도입되는 공기흐름을, 가열장치(105)보다도 상류측에 분기되도록 함으로써, 가열된 공기가 정전무화용 하우징(102) 내로 도입되지 않고,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의 액체(L)나 정전무화된 미스트(M)가 증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스트(M)의 토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의 공기흐름의 해석결과를 도 22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무화전극(111)의 선단부(111a)로 공기흐름이 역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2004-280498 및 2005-22167에 근거하고 있고, 그 내 용은,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본원발명으로 합체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의 형태에 의해 충분하게 기재되어 있지만,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한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될 것이다. 그 때문에, 그와 같은 변경 및 변형은, 본원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것이고, 본원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의하면, 미스트 분사구는, 본체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흐름의 유로 중에 설치되어, 미스트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미스트가 공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공기흐름 중에 분산됨으로써, 정전무화장치가 헤어드라이어 본체의 바깥쪽에 설치된 종래의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에 비하여, 헤어드라이어 본체부로부터 토출된 공기흐름 중에 미스트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시간 내에 미스트를 모발에 균일하게 분무할 수 있고, 모발의 트리트먼트 등에 필요한 시간을 짧게 하거나, 국부적인 모발의 과건조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시간 내에 효율 좋게 모발표면에 트리트먼트 효과를 주어, 모발에 윤기와 촉촉함을 주는 것이 가능한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 및 테이퍼부를 설치한 간단한 구성으로, 액체나 전력의 소비량이 증대하거나 오존의 발생량이 증량하지 않게 하면서 정전무화장치의 대형화나 코 스트 업을 초래하지 않고, 정전무화용 하우징 내에서 적당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어, 무화전극의 선단부에서 생성되는 미스트가 대향전극으로 흡착되지 않고 토출구로부터 효율 좋게 토출되어, 정전무화장치로부터의 미스트의 비산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2)

  1. 공기 흡인구 및 공기 토출구를 가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인구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상기 공기 토출구로부터 공기흐름을 토출시키는 송풍수단과,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적어도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정전무화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수단과, 상기 미스트를 토출시키는 미스트 분사구를 가진 정전무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미스트 분사구는,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의 유로 중에 설치되고, 상기 미스트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미스트가 상기 공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흐름 중에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구는,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흐름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와 대략 동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에 이물질침입 방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정전무화장치의 상기 미스트 분사구부가 상기 이물질침입 방지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분사구에, 대전방지처리가 실시된 이물질침입 방지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발생된 공기흐름의 일부가 상기 정전무화장치로 도입되고, 도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미스트를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무화장치에 도입된 공기흐름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기 이전의 공기흐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088048A 2004-09-27 2005-09-22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KR100707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80498A JP4042731B2 (ja) 2004-09-27 2004-09-27 静電霧化ヘアドライヤー
JPJP-P-2004-00280498 2004-09-27
JPJP-P-2005-00022167 2005-01-28
JP2005022167A JP4475126B2 (ja) 2005-01-28 2005-01-28 静電霧化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455A Division KR100707846B1 (ko) 2004-09-27 2006-12-11 정전무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521A KR20060051521A (ko) 2006-05-19
KR100707845B1 true KR100707845B1 (ko) 2007-04-13

Family

ID=354295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048A KR100707845B1 (ko) 2004-09-27 2005-09-22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KR1020060125455A KR100707846B1 (ko) 2004-09-27 2006-12-11 정전무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455A KR100707846B1 (ko) 2004-09-27 2006-12-11 정전무화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50317B2 (ko)
EP (2) EP1639910B1 (ko)
KR (2) KR100707845B1 (ko)
CN (2) CN100425178C (ko)
AT (2) ATE459426T1 (ko)
DE (2) DE602005019713D1 (ko)
HK (1) HK1085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5103A1 (de) * 2002-09-27 2004-04-08 General Electric Co. Schaltschrank für eine Windenergie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indenergieanlage
WO2005102101A1 (ja) * 2004-04-23 2005-11-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静電霧化器を備えた加熱送風装置
DE102004044176A1 (de) * 2004-09-13 2006-03-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ungsverfahren für ein Haushaltsgerät und Haushaltsgerät zur Durchführung des Trocknungsverfahren
EP1685775B1 (en) * 2005-01-28 2009-10-2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Hair dryer with electrostatic atomizing device
JP4655945B2 (ja) * 2006-01-19 2011-03-2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加熱送風装置
US7716849B1 (en) * 2006-07-12 2010-05-18 Neil Hicks Glove dryer
JP4396672B2 (ja) * 2006-08-04 2010-01-1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車両用静電霧化装置
JP4293211B2 (ja) 2006-08-31 2009-07-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ヘアーアイロン
JP4976828B2 (ja) * 2006-11-27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清浄機能付き空気調和機
JP4656051B2 (ja) * 2006-12-15 2011-03-2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
JP2008149244A (ja) * 2006-12-15 2008-07-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静電霧化装置
JP4706632B2 (ja) * 2006-12-22 2011-06-2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
DE112008002168B4 (de) * 2007-04-26 2014-02-13 Panasonic Corporation Kühlschrank und elektrische Vorrichtung
JP4862779B2 (ja) * 2007-08-20 2012-01-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ヘアドライヤー
JP2009072717A (ja) * 2007-09-21 2009-04-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静電霧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加熱送風装置
US20100243767A1 (en) * 2007-11-06 2010-09-30 Panasonic Corporation Refrigerator
JP5221942B2 (ja) * 2007-11-28 2013-06-26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静電霧化装置およびドライヤー
FR2927237B1 (fr) * 2008-02-13 2011-12-23 Oreal Dispositif de pulverisation d'un produit cosmetique avec soufflage d'air chaud ou froid
FR2927240B1 (fr) 2008-02-13 2011-11-11 Oreal Tete de pulverisation comportant une sonotrode, parcourue par un canal d'amenee du produit
FR2927238B1 (fr) 2008-02-13 2012-08-31 Oreal Dispositif de pulverisation comportant une sonotrode
JP5368726B2 (ja) * 2008-04-18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
JP4980998B2 (ja) * 2008-07-31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髪ケア装置
DE202008011605U1 (de) * 2008-08-30 2010-01-07 Wik Far East Ltd. Haarform- und -pflegegerät
EP2338610A4 (en) * 2008-09-25 2013-02-20 Panasonic Corp REDUCED WATER FOG 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AL EQUIPMENT
US7984567B2 (en) * 2008-10-07 2011-07-26 Christ Bill Bertakis Apparatus for cleaning simulated hair articles
US8746597B2 (en) * 2009-09-21 2014-06-10 E-Mist Innovations, Inc. Electrostatic spray system
JP2011067771A (ja) * 2009-09-25 2011-04-07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放電装置
EP2501492B1 (en) * 2009-11-18 2019-12-25 Reckitt Benckiser LLC Ultrasonic surfac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JP5066284B1 (ja) * 2011-05-12 2012-11-07 シャープ株式会社 毛髪の加湿及び損傷軽減方法並びに毛髪の加湿及び損傷軽減装置
JP2014014644A (ja) * 2012-06-13 2014-01-30 Sharp Corp 保湿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電気機器、ならびに保湿方法
KR101892967B1 (ko) * 2013-07-31 2018-08-29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방전을 이용한 제균 장치
US20150122286A1 (en) * 2013-11-05 2015-05-07 Conair Corporation Hair styling apparatus
WO2016051235A1 (en) * 2014-10-01 2016-04-07 Abou Diwan Rabih Hair drying device with integrated spray mechanism
US9635922B2 (en) * 2014-12-18 2017-05-02 Darren Logsdon Humidification assembly
WO2016207821A1 (en) * 2015-06-26 2016-12-29 HOSPISTYLE di Trapani Maria Hairdryer with high electrical safety
US20170135853A1 (en) * 2015-11-18 2017-05-18 Welter's Co., Ltd. Far Infrared Hot Air Type Therapeutic Apparatus with Multiple Functions
US20180042356A1 (en) * 2016-08-12 2018-02-15 Mohawk Innovations Limited Hairdryer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Styling Cartridges
JP6820534B2 (ja) * 2017-03-01 2021-01-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送風装置
EP3612313B1 (de) * 2017-04-21 2023-04-12 J. Wagner GmbH Elektrostatischer zerstäuber für flüssigkeit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elektrostatischen zerstäubers
JP6681575B2 (ja) * 2017-05-24 2020-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液体噴霧装置及び携帯型美容機器
CN207011892U (zh) * 2017-05-31 2018-02-16 杭州乐秀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吹风
CN108970823B (zh) * 2017-05-31 2021-08-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水微粒发生装置
CN206810524U (zh) * 2017-05-31 2017-12-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水微粒发生装置
CN108094378A (zh) * 2017-12-25 2018-06-01 东风农业装备(襄阳)有限公司 静电喷淋装置及其喷淋方法和带有静电喷淋装置的工作车
US10856638B2 (en) 2018-05-08 2020-12-08 Helen Of Troy Hair styling appliance with directional air flow valve and compressed gas
JP6890307B2 (ja) * 2018-08-29 2021-06-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放電装置、及びヘアケア装置
JP6882409B2 (ja) * 2018-10-03 2021-06-02 花王株式会社 被膜の製造装置
US20220161282A1 (en) * 2019-05-31 2022-05-26 Kao Corporation Electrostatic spray device, cartridge, and cover
TWI718591B (zh) * 2019-07-18 2021-02-11 徐士凌 吹風機噴霧結構
CN111700363B (zh) * 2020-07-17 2023-11-21 杭州语诺科技有限公司 节能挂壁式公用吹风机
CN111759070B (zh) * 2020-07-17 2023-11-17 杭州语诺科技有限公司 吹风头无触电风险的挂壁式自助吹风机
CN111802783B (zh) * 2020-07-17 2023-11-21 杭州语诺科技有限公司 基于节能安全的升降式公用吹风机
CN113457869B (zh) * 2021-09-01 2021-11-16 苏州好博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喷射设备的喷头保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0498A (ja) * 2003-03-17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異常事態通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1125A (en) * 1967-01-16 1970-07-21 Robert H Nelson Electrostatic crop dusting apparatus
US3794243A (en) * 1972-04-26 1974-02-26 Nordson Corp Electrostatic spray apparatus and method
JPS5428783B2 (ko) * 1974-02-14 1979-09-19
JPS5827921B2 (ja) * 1976-12-27 1983-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加温式パ−マネント装置
ZA825899B (en) * 1981-08-14 1983-07-27 Edward Rex Raccah Hair drying apparatus
US4635382A (en) * 1986-03-10 1987-01-13 Serge Bourdeau Cordless hand held hot air hair dryer
JPH04220204A (ja) 1990-12-21 1992-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ミストヘアードライヤ
GB9115279D0 (en) 1991-07-15 1991-08-28 Unilever Plc Hair and scalp treatment system
US6449870B1 (en) * 2000-09-15 2002-09-17 Louis Perez Portable hair dryer
JP3831599B2 (ja) 2000-11-13 2006-10-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3402323B2 (ja) 2000-12-25 2003-05-06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ー
KR100446050B1 (ko) * 2001-06-14 2004-08-30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헤어드라이어
JP4089184B2 (ja) * 2001-08-10 2008-05-28 松下電工株式会社 イオン供給装置
JP2003159305A (ja) 2001-09-13 2003-06-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肌ケア装置
JP4004437B2 (ja) * 2002-06-25 2007-11-07 松下電工株式会社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0498A (ja) * 2003-03-17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異常事態通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45716A1 (en) 2007-01-24
KR20060051521A (ko) 2006-05-19
HK1085628A1 (en) 2006-09-01
CN101172270B (zh) 2011-05-25
EP1745716B1 (en) 2010-03-03
US20060064892A1 (en) 2006-03-30
CN101172270A (zh) 2008-05-07
ATE457663T1 (de) 2010-03-15
DE602005019713D1 (de) 2010-04-15
DE602005019359D1 (de) 2010-04-01
EP1639910A2 (en) 2006-03-29
CN100425178C (zh) 2008-10-15
KR100707846B1 (ko) 2007-04-13
US7350317B2 (en) 2008-04-01
EP1639910B1 (en) 2010-02-17
KR20070003739A (ko) 2007-01-05
ATE459426T1 (de) 2010-03-15
EP1639910A3 (en) 2006-09-27
CN1754482A (zh)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845B1 (ko) 정전무화 헤어드라이어
JP4475126B2 (ja) 静電霧化装置
US7337993B2 (en) Electrostatic atomisation device
RU2421665C2 (ru) Аэрозо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KR101856649B1 (ko) 가습기
KR100954402B1 (ko) 정전 무화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송풍기
TW572789B (en) Air cleaner
US795971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electrostatically atomizing function
KR20190116259A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내 에어로졸 발생 요소를 위한 성형된 장착
US7360724B2 (en) Electrostatic spray nozzle with internal and external electrodes
TWI331907B (en) Ion hair dryer
JP2002191426A (ja) ヘアードライヤー
WO2007052583A1 (ja) 静電霧化装置
JP4042731B2 (ja) 静電霧化ヘアドライヤー
CN102032618B (zh) 含有静电雾化器的送风装置
JP4990809B2 (ja) ヘアブラシ
KR20220010761A (ko) 에어로졸 흡입기
CN218483776U (zh) 雾化单元组件及雾化装置
JP5080964B2 (ja) 髪ケア装置
JP5919557B2 (ja) 送風装置
JP5179261B2 (ja) 静電霧化装置
JP2003061736A (ja) ブラシ付きヘアードライ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