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354B1 - 로봇청소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봇청소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354B1
KR100707354B1 KR1020060031413A KR20060031413A KR100707354B1 KR 100707354 B1 KR100707354 B1 KR 100707354B1 KR 1020060031413 A KR1020060031413 A KR 1020060031413A KR 20060031413 A KR20060031413 A KR 20060031413A KR 100707354 B1 KR100707354 B1 KR 10070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robot cleaner
docking station
magnet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훈
에듀어드 쿠르기
함정윤
정진하
주재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354B1/ko
Priority to EP08019873A priority patent/EP2027806A1/en
Priority to US11/653,251 priority patent/US7861366B2/en
Priority to EP07100609A priority patent/EP1842474A3/en
Priority to CN2007100072230A priority patent/CN10104921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형성되는 먼지의 이동 경로 상에서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 도킹 스테이션은 전자석을 구비하고, 로봇청소기는 전자석과 상호 작용하는 자력 작용 부재를 구비하는데, 이는 로봇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전자석과 자력 작용 부재 사이의 인력에 의해 먼지 배출구와 먼지 흡입구 간의 밀봉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전자석은 먼지 흡입구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자력 작용 부재는 전자석에 대응하여 먼지 배출구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는 전자석에서 자력이 발생될 때 전자석 쪽으로 이동하며 먼지 흡입구와 연통되는 이동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봇청소기 시스템{ROBOT CLEANER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로봇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전자석이 자기화되어 자력이 발생되고 있을 때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로봇청소기 114, 161 : 먼지 배출구
120 : 제1집진장치 140 : 자력 작용 부재
150 : 개폐장치 160 : 이동관
163 : 연결구 200 : 도킹 스테이션
211 : 먼지 흡입구 213 : 도킹 스테이션의 유입구
240 : 전자석 260 : 흡입관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봇청소기 내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가지는 로봇청소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저압부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진공청소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근래에는 사용자의 노동력 없이도 자동 주행 기능을 통해 스스로 이동하면서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로봇청소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로봇청소기가 스스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자동 청소'라 하고, 사용자가 청소기를 가지고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수동 청소'라 한다.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는 실내의 특정 장소에 위치되어 로봇청소기의 충전이나 로봇청소기 내에 저장된 먼지를 비우는 기능을 담당하는 스테이션(이하 '도킹 스테이션'이라 한다)과 함께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어 사용된다.
이러한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예는 미국 공개특허 제2005/0150519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로봇청소기와,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 유닛을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한다. 로봇청소기의 하부에는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마련되고, 이 흡입구에는 먼지를 쓸 수 있도록 브러쉬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킹 스테이션에는 로봇청소기가 올라설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받침대가 구비되고, 그 경사면의 일측에는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마련된다. 따라서 로봇청소기가 경사면을 따라 올라와서 도킹 위치에 이르면 경사면의 흡입구와 로봇청소기의 흡입구가 서로 마주보게 되고, 이 때 흡입 유닛이 동작하여 로봇청소기 내에 저장된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로봇청소기의 흡입구가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구와 단순히 마주보는 상태에서 먼지의 흡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 흡입구 사이의 밀봉 상태가 불량하여 흡입 유닛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는 도킹 시 로봇청소기의 하부를 통해 먼지를 제거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도킹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가 올라탈 수 있도록 받침대를 가질 수 밖에 없게 되는데, 이러한 받침대는 도킹스테이션에 이동 기능을 부여하여 별도의 진공청소기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불리한 구조물로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형성되는 먼지의 이동 경로 상에서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봇청소기 내의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한 로봇청소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집진장치 내에 저장된 먼지를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구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와, 상기 로봇청소기가 도킹되었을 때 상기 먼지 배출구와 연통되는 먼지 흡입구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자석과 상호 작용하는 자력 작용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자석과 자력 작용 부재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먼지 배출구와 먼지 흡입구 간의 밀봉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자석은 전자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은 상기 먼지 흡입구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력 작용 부재는 상기 자석에 대응하여 상기 먼지 배출구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먼지 흡입구의 바깥쪽 둘레에 설치되는 개스킷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석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먼지 흡입구와 연통되는 이동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관은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먼지 흡입구에 밀착되는 먼지 배출구와, 상기 이동관이 상기 자석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이동관과 상기 집진장치를 연통시키는 연결구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수동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을 통해 전달되는 먼지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로봇청소기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은 먼지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111)가 형성된 로봇본체(110)와 유입된 먼지의 저장을 위해 로봇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집진장치(120)를 가지는 로봇청소기(100)와, 이 로봇청소기(100)가 도킹된 상태에서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킹 스테이션(200)을 구비한다. 로봇청소기(100)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자동 청소를 하다가 제1집진장치(120) 내에 일정 수준 이상의 먼지가 쌓이면 먼지의 제거를 위해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복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100)는 로봇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장치(130)를 가지는데, 제1송풍장치(130)는 흡입모터(미도시)와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로봇본체(110)의 내부에는 제1집진장치(120) 내에 쌓인 먼지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량 감지센서(미도시)가 마련된다.
로봇본체(110)의 하부에는 로봇청소기(100)의 이동을 위한 한 쌍의 구동륜(112)이 설치되는데, 한 쌍의 구동륜(112)은 그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로봇청소기(100)가 필요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로봇청소기(100)는 청소 구역의 바닥(B)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로봇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구(111)와, 제1송풍장치(130)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흐름을 로봇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구(113, 도 1참조)와, 로봇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결합되었을 때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를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로봇본체(110)의 측면(110a)에 형성되는 먼지 배출구(114)를 가진다.
로봇본체(110)의 유입구(111)에는 바닥(B)의 먼지를 쓸어 올리기 위한 브러 쉬(1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유입구(111)와 제1집진장치(120)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유입관(116)이 마련되고, 제1집진장치(120)와 먼지 배출구(114) 사이에는 먼지 배출유로(117)가 마련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200)은 도킹 스테이션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스테이션 본체(210)와, 스테이션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먼지의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장치(220)와, 흡입된 먼지의 저장을 위해 스테이션 본체(2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2집진장치(230)를 가진다.
스테이션 본체(210)에서 로봇청소기(100)의 먼지 배출구(114)에 대응하는 곳에는 로봇청소기(100)가 도킹되었을 때 제1집진장치(120)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먼지 배출구(114)와 연통되는 먼지 흡입구(211)가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도킹 스테이션(200)은 자석(240)을 가지고, 로봇청소기(100)는 상기 자석(240)의 자력과 상호 작용하는 자력 작용 부재(140)를 가진다.
이는 로봇청소기(100)가 도킹된 상태에서 자석(240)과 자력 작용 부재(140)의 상호 작용에 의한 인력에 의해 먼지 흡입구(211)와 먼지 배출구(114)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여 이들(211, 114) 간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자석(240)은 전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하에서는 도킹 스테이션(200)에 전자석이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킹 스테이션(200)의 전자석(240)은 먼지 흡입구(211)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봇청소기(100)의 자력 작용 부재(140)는 전자석(240)에 대응하여 먼지 배출구(114)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또 도킹 스테이션(200)은 전자석(240)를 감싸도록 먼지 흡입구(211) 주위에 설치되는 개스킷(gasket, 201)을 가질 수 있는데, 개스킷(201)은 전자석(240)과 자력 작용 부재(140)가 서로 밀착될 때 이들(240, 140)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막아 먼지의 흡입 시에 제2송풍장치(220)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100)는 자동 청소를 할 때에는 먼지 배출구(114)를 폐쇄하고,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될 때에는 먼지 배출구(114)를 개방하는 개폐장치(150)를 가진다. 즉 개폐장치(150)는 로봇청소기(100)가 자동 청소를 할 때에는 먼지 배출구(114)를 폐쇄하여 제1송풍장치(130)의 흡입력이 먼지 배출구(114)를 통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로봇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 도킹되어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가 제거될 때에는 먼지 배출구(114)를 개방하여 제1집진장치(120)내의 먼지가 도킹 스테이션(20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킹 스테이션의 먼지 흡입구(211)는 항상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개폐부재(미도시)를 통해 로봇청소기(100)가 도킹될 때에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청소가 시작되면 로봇청소기(100)는 자율적으로 이동하면서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 때 로봇청소기(100)의 개폐장치(150)는 먼지 배출구(114)를 폐쇄하여 제1송풍장치(130)에 의한 흡입력이 먼지 배출구(114)에서 손실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바닥(B)의 먼지는 유입구(213) 및 유입관(116)을 통해 흡입되어 제1집진장치(120)에 수집된다. 제1집진장치(120)에 일정 수준 이상의 먼지가 쌓이면 로봇청소기(100)는 청소를 중단하고 먼지의 제거를 위해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복귀한다. 로봇청소기(100)가 정해진 위치로 복귀하여 로봇청소기(100)의 먼지 배출구(114)와 도킹 스테이션(200)의 먼지 흡입구(211)가 서로 마주 보게 되면 전자석(240)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한다.
이 때 전자석(240)에 전류를 인가하는 시점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로봇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에서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전류를 인가할 수도 있는데, 그러면 전자석(240)과 자력 작용 부재(140)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이 로봇청소기(100)의 도킹 동작을 가이드 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전자석(240)에서 자력이 발생하면 로봇청소기(100)의 자력 작용 부재(140)가 전자석(240)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먼지 배출구(114)와 먼지 흡입구(211) 간의 틈새가 밀봉된 상태에서 먼지 배출구(114)와 먼지 흡입구(211)가 서로 연통된다. 그러면 제2송풍장치(220)가 동작하여 로봇청소기(100)의 제1집진장치(120)에 저장되어 있던 먼지를 제2집진장치(230) 쪽으로 흡입하여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를 제거한다.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가 제거되면 제2송풍장치(220)의 동작은 정지되고, 전자석(240)에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며, 로봇청소기(100)는 도킹 스테이션(200)에서 분리되어 다시 자동 청소를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전자석이 자기화되어 자력이 발생되고 있을 때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와 공통되는 구성은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사항만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 본체(210)는 로봇청소기(100)가 도킹 스테이션(200)으로 복귀하였을 때 로봇청소기(1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그 하면에 먼지 흡입구(211)가 형성된 돌출부(210a)를 가진다. 도킹 스테이션(200)의 내부에서 먼지 흡입구(211)에 인접한 곳에는 전자석(240)이 설치된다.
로봇청소기(100)에는 진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자석(240)에 의한 자력과 상호 작용하여 인력이 생길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이동관(160)이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이동관(160)은 자력 작용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동관(160)은 전자석(240)에서 자력이 발생될 때 인력에 의해 전자석(240) 쪽으로 이동하며 먼지 흡입구(211)와 연통된다.
이동관(160)의 일단에는 전자석(240)의 자력에 의해 먼지 흡입구(211)에 밀착되는 먼지 배출구(161)가 마련된다. 이 때 이동관(160)은 먼지 배출구(161)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62)를 가지고, 먼지 흡입구(211)의 바깥쪽 둘레에는 이동관의 플랜지부(162)에 대응하는 접촉부(21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162)와 접촉부(212)를 자성체로 형성하여 이동관(160)이 먼지 흡입구(211)에 연통될 때 플랜지부(162)와 접촉부(212)가 밀착되도록 하면 먼지 흡입구(211)와 먼지 배출구(161) 간의 밀봉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 또 먼지 흡입 구(211)의 주위에 개스킷(202)를 설치하면 접촉부(212)와 플랜지부(162)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관(160)의 타단 쪽에는 이동관(160)이 전자석(240) 쪽으로 이동하여 먼지 흡입구(211)에 연통될 때에 이동관(160)과 제1집진장치(120)를 연통시키는 연결구(163)가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청소가 시작되면 로봇청소기(100)는 자율적으로 이동하면서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 때 로봇청소기(100)의 이동관(160)의 외측면(164)은 먼지 배출유로(117)를 폐쇄하여 제1송풍장치(130)에 의한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와 같이 로봇청소기(100)가 먼지의 제거를 위해 도킹 위치로 복귀하면, 도킹 스테이션(200)의 전자석(240)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한다. 그러면 도 6과 같이 이동관(160)이 전자석(240) 쪽으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이동에 따라 이동관(160)의 먼지 배출구(161)가 먼지 흡입구(211)가 밀착되고, 연결구(163)가 먼지 배출유로(117)와 연통되어 제1집진장치(120)에서 제2집진장치(230)에 이르는 먼지 이동 경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도킹 동작이 완료되면 제2송풍장치(220)의 흡입력에 의해 제1집진장치(120) 내의 먼지가 제거되고, 먼지 제거 동작이 끝나면 전자석(240)에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된다. 그러면 이동관(160)은 자중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먼지 배출유로(117)는 이동관(160)의 외측면(164)에 의해 다시 폐쇄되며, 로봇청소기(100)는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다시 자동 청소를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에서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먼지 제거를 위한 도킹 스테이션을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로 활용하는 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요소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사항만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시스템의 도킹 스테이션(200)은 바닥(B)의 먼지나 이물질 등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체(250)와, 제2송풍장치(220)에서 발생한 흡입력이 흡입체(25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흡입체(250)와 스테이션 본체(210)를 연결하는 흡입관(260)을 가진다.
흡입관(260)은 제1흡입관(261)과 제2흡입관(262)으로 구성되며, 제1흡입관(261)과 제2흡입관(262) 사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각종 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263)가 마련된다. 제1흡입관(261)는 신축성이 있는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이 스테이션 본체(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263)에 연결된다. 제2흡입관(262)은 그 일단이 흡입체(2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손잡이(263)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바닥의 이물질을 수동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스테이션 본체(210)의 상부에는 흡입관(261)과 연통되어 흡입관(260)을 통해 전달되는 먼지가 도킹 스테이션(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213)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213)와 먼지 흡입구(211) 사이에는 제1흡입유로(214)가 마련되고, 이 제1흡입유로(214)와 제2집진장치(230)의 사이에는 제1흡입유로(214)에 연통되어 제1흡입유로(214)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제2집진장치(230)로 안내하는 제2흡입유로(215)가 마련된다. 제1흡입유로(214)는 제2흡입유로(215)가 연통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유입구(213) 쪽에 위치되는 제1유로부(214a)와, 먼지 흡입구(211) 쪽에 위치되는 제2유로부(214b)로 구분된다.
제1흡입유로(214)에는 제2흡입유로(215)가 제1유로부(214a)와 제2유로부(214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유로전환장치(270)가 설치된다. 유로전환장치(270)가 제1유로부(214a)를 제2흡입유로(215)에 연통시킬 때에는 제2송풍장치(220)의 흡입력이 유입구(213)를 통해 흡입체(250) 쪽으로 작용하므로 도킹 스테이션(200)을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로 활용할 수 있다. 또 로봇청소기(100) 내의 먼지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유로전환장치(270)는 먼지 유입구(213)와 연통되어 있는 제2유로부(214b)를 제2흡입유로(215)에 연통시킴으로써 제2송풍장치(220)의 흡입력이 먼지 흡입구(211), 먼지 배출구(161)를 통해 제1집진장치(120) 쪽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위에서는 편의상 도킹 스테이션에 전자석이 구비되고 로봇청소기에 자력 작용 부재가 구비되는 예를 보였으나, 반대로 로봇청소기에 전자석에 설치하고 도킹 스테이션에 자력 작용 부재를 설치하여 먼지 배출구와 먼지 흡입구 간의 밀봉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석의 자력을 통해 로봇청소기의 먼지 배출구와 도킹 스테이션의 먼지 흡입구 간의 밀봉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도킹 스테이션의 흡입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킹 스테이션은 실내 바닥을 자유롭게 이동하는데 있어 장애물이 되는 구조물을 가지지 않으므로 도킹 스테이션을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로 활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Claims (7)

  1. 집진장치 내에 저장된 먼지를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구를 가지는 로봇청소기와, 상기 로봇청소기가 도킹되었을 때 상기 먼지 배출구와 연통되는 먼지 흡입구를 가지는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자석과 상호 작용하는 자력 작용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될 때 상기 자석과 자력 작용 부재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먼지 배출구와 먼지 흡입구 간의 밀봉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먼지 흡입구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력 작용 부재는 상기 자석에 대응하여 상기 먼지 배출구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먼지 흡입구의 바깥쪽 둘레에 설치되는 개스킷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석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먼지 흡입구와 연통되는 이동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은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먼지 흡입구에 밀착되는 먼지 배출구와, 상기 이동관이 상기 자석을 향해 이동할 때 상기 이동관과 상기 집진장치를 연통시키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수동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을 통해 전달되는 먼지가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KR1020060031413A 2006-04-04 2006-04-06 로봇청소기 시스템 KR100707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413A KR100707354B1 (ko) 2006-04-06 2006-04-06 로봇청소기 시스템
EP08019873A EP2027806A1 (en) 2006-04-04 2007-01-16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11/653,251 US7861366B2 (en) 2006-04-04 2007-01-16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EP07100609A EP1842474A3 (en) 2006-04-04 2007-01-16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CN2007100072230A CN101049218B (zh) 2006-04-04 2007-01-25 具有机器人清洁器和停靠站的机器人清洁器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413A KR100707354B1 (ko) 2006-04-06 2006-04-06 로봇청소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354B1 true KR100707354B1 (ko) 2007-04-13

Family

ID=3816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413A KR100707354B1 (ko) 2006-04-04 2006-04-06 로봇청소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3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6228B4 (de) * 2007-08-02 2013-10-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Sicherstellung einer Verbindung zwischen einem mobilen Gerät und einem stationären Gerät, insbesondere zwischen einem akkumulatorbetriebenen Staubsammelroboter und einer Akkumulator-Ladestation
CN107205605A (zh) * 2015-12-18 2017-09-26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集尘装置
CN112401765A (zh) * 2020-12-05 2021-02-26 曲阜信多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机器人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001587A (zh) * 2015-03-09 2021-06-22 沙特阿拉伯石油公司 用于移动机器人的场地可布置对接站
US11452417B2 (en) 2019-07-02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st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587A (ja) 2001-12-19 2003-07-02 Sharp Corp 親子型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587A (ja) 2001-12-19 2003-07-02 Sharp Corp 親子型電気掃除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6228B4 (de) * 2007-08-02 2013-10-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Sicherstellung einer Verbindung zwischen einem mobilen Gerät und einem stationären Gerät, insbesondere zwischen einem akkumulatorbetriebenen Staubsammelroboter und einer Akkumulator-Ladestation
CN113001587A (zh) * 2015-03-09 2021-06-22 沙特阿拉伯石油公司 用于移动机器人的场地可布置对接站
CN107205605A (zh) * 2015-12-18 2017-09-26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集尘装置
CN107205605B (zh) * 2015-12-18 2019-11-29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集尘装置及集尘系统
US11096533B2 (en) 2015-12-18 2021-08-24 Toshiba Lifestyle Products & Services Corporation Dust-collecting device
US11452417B2 (en) 2019-07-02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station
CN112401765A (zh) * 2020-12-05 2021-02-26 曲阜信多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机器人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734B1 (ko)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KR20070074146A (ko) 청소기 시스템
EP1961358B1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CN111432704B (zh) 机器人清洁器
KR100707354B1 (ko) 로봇청소기 시스템
JP4618060B2 (ja) 電気掃除機
KR20070103248A (ko) 청소기 시스템
KR20070094288A (ko) 로봇청소기 시스템
KR20070099763A (ko) 로봇청소기와 도킹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시스템
JP2020048981A (ja) 自律走行型清掃装置
CN106175595A (zh) 可反向冲洗的空气过滤器
KR20070102844A (ko)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시스템
KR100765208B1 (ko)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KR20070095558A (ko)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 구조를 개선한 청소기시스템
CN215914466U (zh) 一种集尘盒、清洁设备及清洁系统
KR20210055572A (ko)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CN216256941U (zh) 尘盒结构、清洁设备及清洁系统
KR101256103B1 (ko) 로봇청소기 시스템
KR101573740B1 (ko) 다중 흡입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수단 및 상기 흡입수단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KR960007462B1 (ko) 진공청소기집진실의먼지역류방지장치
KR100509360B1 (ko) 바닥용 흡입구
JP3495387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
EP4298969A1 (en) Ground cleaning device
KR101290095B1 (ko)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KR0114831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