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831Y1 -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831Y1
KR0114831Y1 KR2019950031348U KR19950031348U KR0114831Y1 KR 0114831 Y1 KR0114831 Y1 KR 0114831Y1 KR 2019950031348 U KR2019950031348 U KR 2019950031348U KR 19950031348 U KR19950031348 U KR 19950031348U KR 0114831 Y1 KR0114831 Y1 KR 0114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ust
inlet
vacuum clea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186U (ko
Inventor
박준상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31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831Y1/ko
Publication of KR970016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입체의 저면과 전면으로 흡입구를 각각 형성한 다음 넓은 바닥은 청소의 저면의 흡입구를 개방시켜 먼지를 흡입하고 또한 모서리 부분의 청소시 전면의 흡입구를 개방시켜 먼지를 흡입함으로서, 모서리 부분의 먼지 흡입력이 향상되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에 내장된 흡입모터의 구동으로 실내 바닥에 놓은 흡입체를 통하여 먼지가 흡입되어 상기 본체의 먼지봉투로 집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의 저면과 전방으로 각각 형성된 흡입구 및 전방흡입구, 상기 흡입구와 전방흡입구가 교차되는 곳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차단판, 그리고 상기 차단파은 강제로 승강시켜 상기 흡입구와 전방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흡입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흡입장치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흡입장치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먼지봉투
12 : 흡입모터 20 : 흡입체
21 : 흡입구 22 : 전방흡입구
30 : 개폐수단 31 : 차단판
31a : 힌지 33 : 힌지
34 : 나사축 35 : 너트부
36 : 안내봉 37 : 힌지
38 : 받이부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체의 저면과 전방으로 흡입구를 각각 형성한 다음 저면과 전방쪽의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먼지를 흡입함으로서, 모서리 부분의 흡입력이 향상되도록한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내부에 먼지봉투(11)와 흡입모터(12)가 설치되어 흡입모터(12)의 구동으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면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가 먼지봉투(11)에서 걸러진 상태로 배기된다. 또한 실내바닥에 놓이는 흡입체(15)가 연장관(14)과 호스(13)를 통하여 본체(10)와 연결된다. 그리고 흡입체(15)의 저면에는 흡입구(16)가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이를 통하여 흡입체(15) 내부로 흡입된 다음 연장관(14)과 호스(13)를 통하여 본체(10)내부로 흡입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흡입모터(12)가 구동되면 실내바닥의 먼지가 흡입구(16)를 통하여 흡입된 다음 연장관(14)과 호스(13)를 통하여 먼지봉투(11) 내부로 흡입된다. 한편 먼지봉투(11)는 부직포 형태로서, 먼지는 걸러지고 흡입된 공기는 실내로 배기됨으로 실내바닥의 먼지가 먼지봉투(11)에 집진되면서 실내바닥이 청소된다.
그러나 흡입구(16)가 흡입체(15)의 저면에 형성됨으로 넓은 바닥의 청소는 가능한 반면에 모서리 부분 처럼 구석진 곳의 청소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즉 흡입체(15)를 모서리 부분에 근접시키면 흡입체(15)의 전면이 모서리 부분에 닿기 때문에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6)와 모서리 사이에 간격이 발생된다. 따라서 흡입구(16)의 흡입력이 모서리 부분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여 모서리 부분의 먼지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는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흡입체의 저면과 전면으로 흡입구를 각각 형성한 다음 넓은 바닥의 청소시 저면의 흡입구를 개방시켜 먼지를 흡입하고 또한 모서리 부분의 청소시 전면의 흡입구를 개방시켜 먼지를 흡입하므로서, 모서리부분의 먼지 흡입력이 향상되도록한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에 내장된 흡입모터의 구동으로 실내바닥에 놓인 흡입체를 통하여 먼지가 흡입되어 상기 본체의 먼지봉투로 집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의 저면과 전방으로 각각 형성된 흡입구 및 전방흡입구, 상기 흡입구가 교차되는 곳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차단판, 그리고 상기 차단판을 강제로 승강시켜 상기 흡입구와 전방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흡입장치의 사시도 이고 제3도는 본 고안 흡입장치의 측단면도로서, 제1도와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상부에 연장관(14)의 하단이 연결된 흡입체(20)의 저면으로 흡입구(21)가 형성된다. 또한 흡입체(20)의 전방으로 전방흡입구(22)가 형성되고 흡입구(21)와 전방흡입구(22)는 개폐수단(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즉 개폐수단(30)은 흡입구(21)와 전방흡입구(22)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힌지(31a)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차단판(31)이 설치된다.
이때 차단판(31)과 접하는 흡입구(21)와 전방흡입구(22)에 패킹(39)이 설치되어 차단판(31)과 접하는 곳의 밀폐력이 증가된다. 또한 흡입체(20)의 하부 일측에 힌지(33)를 중심으로 각운동 되는 모터(32)를 설치하고 또한 모터(32)로 구동되는 나사축(34)을 마련한다. 이때 차단판(31)의 일축으로 나사축(34)과 체결되도록 너트부(35)가 형성되고 또한 흡입체(20)하부의 타측에 힌지(37)를 중심으로 각운동 되는 안내봉(36)이 형성된다. 또한 안내봉(36)에 끼워져 승강 안내되도록 차단판(31)의 타측으로 받이부(38)가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35a, 38a는 너트부(35)와 받이부(38)가 차단판(31)과 결합된 상태에서 헛돌 수 있도록 형성된 핀을 나타낸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31)이 흡입구(21)의 상부를 막고있는 상태에서 흡입체의 전방으로 형성된 전방흡입구(22)가 개방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흡입모터(12)의 구동으로 본체(10)내부가 진공 상태로 변하면 개방된 전방흡입구(22)를 통하여 먼지가 포함된 실내공기가 흡입체(20) 내부로 흡입된 다음 연장관(14)과 호스(13)를 통하여 본체(10)내부로 흡입되고 이때 먼지봉투(11)에서 먼지가 걸러진 상태로 흡입된 공기는 배기된다. 이때 가상선으로 도시된 모서리(40)와 흡입체(20)이 전방에 형성된 전방흡입구(22)가 서로 근접된 상태이므로 모서리(40)에 누적된 먼지가 전방흡입구(22)쪽으로 직접 흡입된 다음 흡입체(20)내부를 거쳐 먼지봉투(11)에서 걸러진다.
한편 모터(32)를 정회전 시키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31)이 힌지(31a)를 중심으로 상승되어 전방흡입구(22)의 후방쪽을 밀폐하게 된다. 이때 패킹(39)과 접한 상태에서 전방흡입구(22)의 후방이 밀폐됨으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이고 이때 흡입구(21)가 자연적으로 개방된다. 즉 모터(32)가 정회전되면 나사축(34)이 회전되면서 이의 나사선을 타고 너트부(35)가 상승된다. 한편 너트부(35)는 차단판(3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이므로 차단판(31)이 함께 상승되며 또한 차단판(31)의 타측에 형성된 받이부(38)가 안내봉(36)을 따라 상승됨에 따라 차단판(31)이 원활하게 상승된다.
한편 차단판(31)이 승강될때 모터(32)와 안내봉(36)은 각각 힌지(33)(37)를 중심으로 각운동 되고 또한 너트부(35)와 받이부(38) 역시 핀(35a)(38a)을 중심으로 헛돌기 때문에 차단판(31)의 회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모터(32)가 역회전 되면 차단판(31)이 힌지(31a)를 중심으로 하강되어 흡입구(21)의 상부가 밀폐되고 이때 전방흡입구(22)가 개방되면서 모서리(40)의 흡입이 가능해 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흡입체의 저면과 전방으로 흡입구를 각각 형성한 다음 모터로 승강되는 차단판으로 이들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서, 특히 모서리 부분의 먼지 흡입시 차단판을 하강시켜 저면에 있는 흡입구의 상부를 밀폐하면 전방 흡입구가 개방되어 모서리의 먼지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에 내장된 흡입모터의 구동으로 실내바닥에 놓인 흡입체를 통하여 먼지가 흡입되어 상기 본체의 먼지봉투로 집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20)의 저면과 전방으로 각각 형성된 흡입구(21) 및 전방흡입구(22), 상기 흡입구(21)와 전방흡입구(22)가 교차되는 곳에 각운동 되도록 설치된 차단판(31), 그리고 상기 차단판(31)을 강제로 승강시켜 상기 흡입구(21)와 전방흡입구(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30)을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30)은 상기 차단판(31)의 일측으로 형성된 너트부(35)와 체결된 나사측(34), 상기 흡입체(20)의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어 힌지(31a)를 중심으로 각운동 되고 상기 나사축(34)을 정역회전 시키는 모터(32), 그리고 상기 흡입체(20)의 하부 타측으로 형성되어 힌지(37)를 중심으로 각운동 되고 상기 차단판(31)의 타측으로 형성된 받이부(38)에 끼워지는 안내봉(3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19950031348U 1995-10-31 1995-10-31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0114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348U KR0114831Y1 (ko) 1995-10-31 1995-10-31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348U KR0114831Y1 (ko) 1995-10-31 1995-10-31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186U KR970016186U (ko) 1997-05-23
KR0114831Y1 true KR0114831Y1 (ko) 1998-04-16

Family

ID=1942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348U KR0114831Y1 (ko) 1995-10-31 1995-10-31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8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186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9653Y1 (ko) 청소기의 흡입구체
KR10101237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707354B1 (ko) 로봇청소기 시스템
KR0114831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0579518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공기흐름 전환장치 및 이를구비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WO2021109415A1 (zh) 具有空气净化功能的排污桶及护理系统
KR960007462B1 (ko) 진공청소기집진실의먼지역류방지장치
KR101573740B1 (ko) 다중 흡입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수단 및 상기 흡입수단을 구비한 진공청소기
CN215914466U (zh) 一种集尘盒、清洁设备及清洁系统
KR2003003030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0135988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CN216797562U (zh) 尘盒结构、清洁设备及清洁系统
JPH01166729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000007489A (ko) 진공청소기의 침구용 흡입구체
KR200150899Y1 (ko)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JPH0723882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
KR0136731Y1 (ko)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200144892Y1 (ko) 진공청소기
KR19990029151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0158386B1 (ko) 흡입구가 2개인 진공청소기
KR100730959B1 (ko) 진공청소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890006592Y1 (ko) 진공 청소기의 공기 분사 장치
JPS6324850Y2 (ko)
JPH01141635A (ja) タービンノズル
KR200344845Y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실 커버 닫힘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