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731Y1 -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 Google Patents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731Y1
KR0136731Y1 KR2019960040791U KR19960040791U KR0136731Y1 KR 0136731 Y1 KR0136731 Y1 KR 0136731Y1 KR 2019960040791 U KR2019960040791 U KR 2019960040791U KR 19960040791 U KR19960040791 U KR 19960040791U KR 0136731 Y1 KR0136731 Y1 KR 0136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ag
cardboard
leaka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827U (ko
Inventor
이남호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40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731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8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7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36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 A47L9/1445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with closur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먼지가 가득찬 먼지봉투를 교체하는 경우에, 카드보드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먼지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 실내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먼지의 누출을 방지한다. 후면에 먼지봉투(16)가 부착되며, 먼지 흡입구(20a)를 중심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안내홈(22), (24)이 형성되어 있는 카드보드(20)에는 접힘부를 통해, 안내홈(22), (24)을 따라 이동되는 러그(32), (34)에 의해 인출되면서 먼지 흡입구(20a)를 막는 먼지 차단막(28)을 일체로 형성하여 먼지의 누출을 방지하였다.

Description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봉투가 부착된 카드보드와 일체로 먼지 차단막을 형성한 다음, 먼지봉투를 교체할 때에는 먼지 차단막을 인출하여 카드보드의 먼지 흡입구를 차단함으로써, 먼지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 실내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외부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은 집진실 내에 장착된 집진봉투에서 포집되며, 깨끗한 공기는 구동실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에 따라 구석 청소 및 이동이 편리하고 브러시나 노즐의 교체가 용이한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과 넓은 공간의 청소가 용이하며 보관이 편리한 업라이트 타입(Upright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먼지봉투의 장착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통상, 진공청소기의 본체(1)내부는 격벽에 의해 구동실과 집진실로 분리되어 있으며, 집진실 내에는 브러시 헤드를 통해 흡인된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봉투(6)가 설치된다. 먼지봉투(6)는 버튼(2)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본체(1)로부터 대략 90°의 각도로 회동하면서 개방되도록 장착된 커버(3)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또한, 먼지봉투(6)는 중앙에 먼지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카드보드(5)에 부착되어 있으며, 작동레버(4)에 의해 집진실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청소를 마친 다음, 먼지봉투(6)에 먼지가 가득찬 경우에는 작동레버(4)를 눌러 카드보드(5)를 집진실로부터 인출한 후에, 먼지봉투(6)를 새것으로 교체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진공 청소기의 먼지봉투에서는 충만된 먼지봉투(6)를 집진실로부터 꺼내어 새것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카드보드(5)의 먼지 흡입구로부터 새어나와 바닥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먼지봉투를 새것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먼지봉투를 집진실로부터 분리하기에 앞서, 카드보드와 일체로 형성한 먼지 차단막을 인출하여 카드보드의 먼지 흡입구를 막아 먼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먼지 차단막을 지닌 먼지봉투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먼지 차단막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먼지봉투 20 : 카드보드
20a : 먼지 흡입구 22,24 : 안내홈
26 : 접힘부 28 : 먼지 차단막
28a : 개방구멍 30 : 손잡이
32,34 : 러그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한 다음, 흡입된 먼지는 집진실 내의 먼지봉투에서 집진함과 동시에, 깨끗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후면에 먼지봉투가 부착되며, 먼지 흡입구를 중심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카드보드와, 접힘부를 통해 카드보드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러그에 의해 인출되어 먼지 흡입구를 막는 먼지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먼지 차단막을 지닌 먼지봉투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먼지 차단막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접힘부(26)를 통해 먼지봉투가 부착되는 카드보드(20)에 먼지 차단막(28)을 일체로 형성한 구성을 지닌다. 카드보드(20)에는 먼지 흡입구(20a)를 중심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2개의 안내홈(22), (24)을 형성하였으며, 먼지 차단막(28)의 양단에는 안내홈(22), (24)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2개의 러그(lug)를 형성하였다.
또한, 먼지 차단막(28)의 상부에는 인출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30)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먼지 차단막(28)은 접힘부(26)를 통해 접은 상태에서 양단의 러그(32), (34)를 먼지봉투(16)에 형성된 안내홈(22), (24)에 끼워 결합한다. 이를 다음의 도 3에서 설명한다.
다음에, 도 3은 본 고안의 먼지 차단막이 장착되어 있는 카드보드의 정면도로, 먼지 차단막(28)을 인출한 상태는 가상선으로 도시하였다.
먼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봉투(16)의 사용 중에는 먼지 차단막(28)의 양단에 형성된 러그(32), (34)를 안내홈(22), (24)의 하부에 끼운 상태에서, 접힘부(26)를 접어 결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먼지 차단막(28)에 형성된 개방구멍(28a)과 카드보드(20)에 형성된 먼지 흡입구(20a)가 일치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에 의해 흡입된 먼지는 먼지봉투(16)내에 차게된다.
이와 같은 결합상태에서, 먼지가 가득찬 경우에는 손잡이(30)를 화살표(P)방향으로 당겨 먼지 차단막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한다. 이때, 접힘부(26)가 전개되면서 먼지 차단막(28)에 형성된 러그(32), (34)는 카드보드(20)의 안내홈(22), (24)을 따라 상승하면서 먼지 차단막(28)에 의해 카드보드(20)의 먼지 흡입구(20a)를 막게 된다. 따라서, 먼지봉투(16)의 교체시에 먼지 흡입구(20a)로부터 먼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먼지봉투를 새것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먼지봉투를 꺼내 이동하는 과정에서 먼지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 바닥이 오염되는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한 다음, 흡입된 먼지는 집진실 내의 먼지봉투에서 집진함과 동시에, 깨끗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후면에 상기 먼지봉투(16)가 부착되며, 먼지 흡입구(20a)를 중심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안내홈(22), (24)이 형성되어 있는 카드보드(20)와, 접힘부(26)를 통해 상기 카드보드(20)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안내홈(22), (24)을 따라 이동되는 러그(32), (34)에 의해 인출되어 상기 먼지 흡입구(20a)를 막는 먼지 차단막(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2019960040791U 1996-11-19 1996-11-19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0136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791U KR0136731Y1 (ko) 1996-11-19 1996-11-19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791U KR0136731Y1 (ko) 1996-11-19 1996-11-19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27U KR19980027827U (ko) 1998-08-05
KR0136731Y1 true KR0136731Y1 (ko) 1999-10-01

Family

ID=1947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791U KR0136731Y1 (ko) 1996-11-19 1996-11-19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7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662B1 (ko) * 2016-05-31 2022-11-04 에이치디씨폴리올 주식회사 연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27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6099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RU2249425C2 (ru) Пылесос для влажной и сухой уборки
KR100701177B1 (ko) 캐니스터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본체장착구조
EP1838194B1 (en) Cleaner head for a cleaning appliance
GB2288322A (en)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US7208024B2 (en) Floor care appliance with filter cleaning system
JP2003180581A (ja) サイクロン式電気掃除機
KR0136731Y1 (ko)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20060019740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구조
JPH0458921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JP4557840B2 (ja) 電気掃除機
KR19980027833U (ko)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19980018886U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KR19980027832U (ko)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200150899Y1 (ko)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100603207B1 (ko) 공기분출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9980013972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력 조절스위치
KR101300955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H04322625A (ja)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CA2273104C (en) Vacuum cleaner with dust bag retention flaps
KR200147251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실 청소장치
KR20240000978A (ko) 청소기
JP2000135182A (ja) 電気掃除機用付属品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00067144A (ko) 진공청소기의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60040778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사각 메쉬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