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899Y1 -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 Google Patents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899Y1
KR200150899Y1 KR2019960040792U KR19960040792U KR200150899Y1 KR 200150899 Y1 KR200150899 Y1 KR 200150899Y1 KR 2019960040792 U KR2019960040792 U KR 2019960040792U KR 19960040792 U KR19960040792 U KR 19960040792U KR 200150899 Y1 KR200150899 Y1 KR 200150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bag
rubber plate
board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828U (ko
Inventor
이남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0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89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8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8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36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 A47L9/1445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with closure means
    • A47L9/1454Self-sealing closures, e.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먼지가 가득찬 먼지봉투를 교체하는 경우에, 판자에 형성된 먼지 흡입구로부터 먼지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 실내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먼지 흡입구(20a)를 지니며 먼지봉투가 부착되는 판자(20)와, 판자(20)의 전방에 부착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가늘고 긴 틈새(24a)가 형성된 제1고무판(24)과, 제1고무판(24)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1가늘고 긴 틈새(24a)와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늘고 긴 틈새(26a)가 형성된 제2고무판(26)으로 구성되어 먼지를 차단하게 된다.

Description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봉투가 부착된 판자와 일체로 먼지 차단막을 형성한 다음, 먼지봉투를 교체할 때에는 먼지 차단막을 인출하여 판자의 먼지 흡입구를 차단함으로써, 먼지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 실내의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외부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은 집진실 내에 장착된 먼지봉투에서 포집되며, 깨끗한 공기는 구동실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에 따라 구석 청소 및 이동이 편리하고 브러시나 노즐의 교체가 용이한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과 넓은 공간의 청소가 용이하며 보관이 편리한 업라이트 타입(Upright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도는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먼지봉투의 장착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진공청소기의 본체(1) 내부는 격벽에 의해 구동실과 집진실로 분리되어 있으며, 집진실 내에는 브러시 머리부를 통해 흡인된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봉투(6)가 설치된다. 먼지봉투(6)는 버튼(2)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본체(1)로 부터 대략 90°의 각도로 회동하면서 개방되도록 장착된 덮개(3)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또한, 먼지봉투(6)는 중앙에 먼지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판자(5)에 부착되어 있으며, 작동레버(4)에 의해 집진실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청소를 마친 다음, 먼지봉투(6)에 먼지가 가득찬 경우에는 작동레버(4)를 눌러 판자(5)를 집진실로부터 인출한 후에, 먼지봉투(6)를 새것으로 교체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 진공 청소기의 먼지봉투에서는 충만된 먼지봉투(6)를 집진실로부터 꺼내어 새것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판자(5)의 먼지 흡입구로부터 새어나와 바닥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먼지봉투를 새것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먼지봉투를 집진실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먼지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먼지 누출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 차단막을 지닌 먼지봉투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 차단막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먼지 봉투 20 : 판자
20a : 먼지 흡입구 24 : 제1고무판
24a : 제1가늘고 긴 틈새 26 : 제2고무판
26a : 제2가늘고 긴 틈새 28 : 연결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한 다음, 흡입된 먼지는 집진실 내의 먼지봉투에서 집진함과 동시에 깨끗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먼지 흡입구를 지니며 먼지봉투가 부착되는 판자와, 판자의 후방에 부착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가늘고 긴 틈새가 형성된 제1 고무판과, 제1고무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1 가늘고 긴 틈새와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늘고 긴 틈새가 형성된 제2고무판을 포함하는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 차단막을 지닌 먼지봉투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 차단막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본 고안에서는 먼지봉투(16)로부터 먼지가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판자(20)의 전방에 2개의 제1 고무판(24) 및 제2 고무판(26)을 각각 부착하였다. 이들 제1 및 제2 고무판(24), (25)에는 각기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늘고 긴 틈새(24a), (2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 가늘고 긴 틈새(24a), (26a)에 의해 먼지봉투(16)로부터 먼지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의 구성을 보면, 먼지 흡입구(20a)를 지니며 먼지봉투(16)가 부착되는 판자(20)와, 이 판자(20)의 후방에 배치되며,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가늘고 긴 틈새(24a)가 형성된 제1 고무판(24)과, 제1 고무판(24)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1 가늘고 긴 틈새(24a)와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늘고 긴 틈새(26a)가 형성된 제2 고무판(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제1고무판(24)에 형성된 제1 가늘고 긴 틈새(24a)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기 구멍(2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고무판(26)에 형성된 제2 가늘고 긴 틈새(26a)의 좌, 우측에도 각기 구멍(26b)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4b), (26b) 각각은 연결관(28)의 장착시에 제1 및 제2 가늘고 긴 틈새(24a), (24b)가 벌어질 때 응력집중을 막아 가늘고 긴 틈새(24a), (26a)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누출 기능을 갖는 먼지봉투의 장착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가상선으로 도시한 먼지봉투(16)는 먼지 흡입구(20a)를 지닌 판자(20)에 부착되어 있으며, 판자(20)에는 본 고안의 제1 고무판(24)과 제2 고무판(26)이 나란히 배치된다. 여기에서, 연결관(28)은 먼지 흡입구(20a)와 제1 가늘고 긴 틈새(24a) 및 제2 가늘고 긴 틈새(26a)에 차례로 삽입된다.
이때, 제1 가늘고 긴 틈새(24a)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구멍(24b)을 통해 누출되는 먼지는 제2 가늘고 긴 틈새(26a)에 의해 차단되며, 마찬가지로, 제2 가늘고 긴 틈새(26a)의 좌, 우측에 형성된 구멍(26b)을 통한 먼지누출은 제1 가늘고 긴 틈새(24a)에 의해 미리 차단되어 밀봉효과가 높아진다.
이와 같은 상태로 청소기를 사용하는 중에 먼지가 가득차서 먼지봉투(16)를 교체하는 경우, 연결관(28)을 분리하면 제1 고무판(24)과 제2 고무판(26)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제1 가늘고 긴 틈새(24a)와 제2 가늘고 긴 틈새(26a)는 제3도와 같은 상태로 밀착됨으로써, 먼지봉투(16)로부터 먼지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먼지봉투를 새것으로 교체하기 위하여 먼지봉투를 집진실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먼지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 바닥이 오염되는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한 다음, 흡입된 먼지는 집진실 내의 먼지봉투에서 집진함과 동시에 깨끗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먼지 흡입구(20a)를 지니며 상기 먼지봉투가 부착되는 판자(20)와, 상기 판자(20)의 후방에 부착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가늘고 긴 틈새(24a)가 형성된 제1 고무판(24)과, 상기 제1 고무판(24)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늘고 긴 틈새(24a)와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늘고 긴 틈새(26a)가 형성된 제2 고무판(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늘고 긴 틈새(24a) 및 제2 가늘고 긴 틈새(26a) 각각의 상하 및 좌우 끝부분에는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24b), (26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2019960040792U 1996-11-19 1996-11-19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200150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792U KR200150899Y1 (ko) 1996-11-19 1996-11-19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792U KR200150899Y1 (ko) 1996-11-19 1996-11-19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28U KR19980027828U (ko) 1998-08-05
KR200150899Y1 true KR200150899Y1 (ko) 1999-07-15

Family

ID=1947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792U KR200150899Y1 (ko) 1996-11-19 1996-11-19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8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4749A1 (en) 2020-08-10 2022-02-16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Of Sejong University Sulfide phosphor and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4749A1 (en) 2020-08-10 2022-02-16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Of Sejong University Sulfide phosphor and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28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1760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2004113760A (ja) 湿乾式掃除機
WO2019013378A1 (ko) 진공 청소기
WO2017213362A1 (ko) 로봇청소기
KR200150899Y1 (ko)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100707354B1 (ko) 로봇청소기 시스템
KR100730944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구조
KR100445479B1 (ko) 진공청소기의 모터하우징
KR19980027832U (ko)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0136731Y1 (ko)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20040056525A (ko) 송풍 진공청소기
KR19980018886U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CN219206788U (zh) 用于表面清洁设备的尘盒
KR0114831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44892Y1 (ko) 진공청소기
KR960007462B1 (ko) 진공청소기집진실의먼지역류방지장치
KR880001903Y1 (ko) 전기 소제기의 상용 흡입구
KR200149362Y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실링구조
JP3034259U (ja) フィルタ清掃装置
KR200323286Y1 (ko) 진공청소기
KR200144883Y1 (ko)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0131702Y1 (ko) 청소기
JP3447208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19980027833U (ko) 먼지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한 먼지봉투
KR19990029151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