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323B1 -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323B1
KR100707323B1 KR1020000028969A KR20000028969A KR100707323B1 KR 100707323 B1 KR100707323 B1 KR 100707323B1 KR 1020000028969 A KR1020000028969 A KR 1020000028969A KR 20000028969 A KR20000028969 A KR 20000028969A KR 100707323 B1 KR100707323 B1 KR 10070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change
management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979A (ko
Inventor
가또준지
나까노다께히꼬
미즈따니마사오
아오끼유끼히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들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버스 시스템 내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와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하는 포착 수단과; 포착 수단에 의해 포착된 접속 상태 변동에 기초하여 포착된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한다. 포착 수단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속성 정보를 포착하는데에 사용되며, 실행 수단은 상기 디바이스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한 것인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의 결과에 따라 할당을 실행한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를 할당하는 루틴이 신속히 종료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 정보 처리 장치, 기록 매체, 버스 시스템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버스 시스템의 구조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제어기(11)로서 텔레비젼 수상기(41)의 구조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제어기(11)로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61)의 구조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도 1의 제어기(11)가 보유한 NUID 정보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버스 시스템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디바이스 드라이버 할당의 처리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7은 NUID 정보 테이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버스 시스템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케이블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디바이스 드라이버 할당의 다른 처리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1은 버스 시스템의 다른 구조적 일례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12a 내지 도 12c는 NUID 정보 테이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의 버스 시스템에서 제어기(11)가 디바이스 드라이버(D13)를 다시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14a 및 도 14b는 기록 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제어기
13, 14 : 타겟 디바이스
31 : 고-성능 시리얼 버스
41 : 텔레비젼 수신기
51 : 튜너
52 : 프로세서
53 :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에 접속된 각각의 타켓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제어기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기에 적합한 상기한 장치, 방법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IEEE1394 고성능 시리얼 버스(이하 1394 버스로 인용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1394 버스에는 최대 64개 디바이스가 접속될 수 있으며, 이러한 1394 버스를 거쳐 상호 접속된 디바이스로 데이타가 디지탈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1394 버스를 통해 접속된 버스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구별되고, 그 동작이 제어되는 타켓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타켓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기로서 식별된다. 제어기는 제어가능한 타켓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갖는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갖지않는 디바이스는 원하는 타켓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갖는 제어기를 통해 타켓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1394 버스에서는, 시스템 파워가 스위치 온되는 경우, 또는 새로운 디바이스가 시스템에 추가로 접속되거나 기존 디바이스가 시스템으로부터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 버스 리세트가 발생한다. 이러한 버스 리세트가 발생하면, 제어기에 보유될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할당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재배치 루틴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공지된 시스템에서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재배치 루틴이 전체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관해 실행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재배치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재배치를 신속하게 실행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와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하는 포착 수단과; 포착 수단에 의해 포착된 접속 상태 변동에 기초하여 포착된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포착 수단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디바이스 속성 정보를 포착하는데에도 사용되며; 실행 수단은 포착 수단에 의해 포착된 디바이스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한 것인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의 결과에 따라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한다.
저장 수단은 전자 디바이스와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을 보유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상호 대응 관계를 관리 정보로써 저장하며; 실행 수단은 저장 수단에 저장된 관리 정보에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 다음, 그 판정 결과에 따라 할당을 실행한다.
포착 수단은 버스가 리세트될 때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한다.
상기한 버스 시스템에서, 버스는 IEEE1394 고성능 시리얼 버스이고, 포착 수단은 버스 리세트 전후에 IEEE1394 버스에 존재하는 노드 고유 ID의 차이에 따라 접속 상태 변동을 포착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와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하는 포착 단계와; 포착 단계에서 포착된 접속 상태 변동에 기초하여 포착된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가 하기의 루틴을 실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루틴은,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와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하는 포착 단계와; 포착 단계에서 포착된 접속 상태 변동에 기초하여 포착된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에 포함된 프로그램에서는, 먼저,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관리 정보를 저장한 다음, 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와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한다. 이렇게 포착된 접속 상태 변동에 따라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이 실행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보면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들을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버스 시스템의 구조적 일례를 도시한다. 버스 시스템에서, 제어기(12), 타겟 디바이스(13, 14)가 IEEE1394 고-성능 시리얼 버스(31)를 경유하여 제어기(11)에 접속된다. 제어기(11)는 노드 고유 ID로서 NUID11을 갖고, 제어기(12)는 노드 고유 ID로서 NUID12를 갖는다. 유사한 방식으로, 타겟 디바이스(13, 14)는 각각 노드 고유 ID로서 NUID13과 NUID14를 갖는다.
제어기(11)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텔레비젼 수신기(41)로 구성된다. 튜너(51)는 도시되지 않은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된 미리 판정된 채널의 신호를 복조한 후, 그 중간 주파수 신호를 프로세서(52)로 출력한다. 프로세서(52)는 튜너(51)로부터 얻어진 중간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여,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53)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이로부터 사운드를 방출하기 위해 스피커(54)로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유닛(55)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데, 버튼, 스위치, 또는 원격 제어기로 구성된 입력 유닛(56)으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각 섹션을 제어한다. 메모리(57)는 예를 들면 EPROM등으로 구성되고,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미리 판정된 정보를 그 안에 저장한다. 1394 인터페이스(IF)(58)는 1394 버스(31)로 인터페이싱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타겟 디바이스(13)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61)로 구성된다. CPU(71)는 ROM(7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한편, RAM(73)에서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해 CPU(71)에서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74)는 버튼 스위치, 및 원격 제어기 등으로 구성된 입력 유닛(75)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비디오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출력 터미널 등으로 구성된 출력 유닛(76)에 출력한다. 기록/재생 유닛(77)이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74)에 접속되어, 기록/재생 유닛(77)에 로드된 비디오 카세트(도시되지 않음)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 혹은 비디오 카세트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1394 인터페이스(78)는 1394 버스(31)로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제어기(12)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되고, 타겟 디바이스(14)는 예를 들면 CD 플레이어 등으로 구성된다.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어기(11)로서의 기능을 하는 텔레비젼 수신기(41)의 메모리(57)에서, 1394 버스 시스템에서의 타켓 디바이스와, 타켓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디바이스 드라이버(가상 디바이스)와 같은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를 갖는 제어기간의 상호 대응 관계를 유지하는 테이블이 이미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1)는 타겟 디바이스(14)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D14)를 갖고, 제어기(12)는 타겟 디바이스(13)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D13)를 갖는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고유 ID로서 제공되는 제어기(12)의 NUID12가 타겟 디바이스(13)의 노드 고유 ID로서 제공되는 NUID13에 대응하여 저장되고, 제어기(11)의 노드 고유 ID로서 제공되는 NUID11는 타겟 디바이스(14)의 노드 고유 ID로서 제공되는 NUID14에 대응하여 저장된다.
이제, 상술된 상태에서, 버스 시스템에서의 접속이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기(81)와 타겟 디바이스(82)가 제어기(12)에 1394 버스(31)를 경유하여 접속되고, 타겟 디바이스(83)는 타겟 디바이스(14)에 접속된다. 제어기(81), 타겟 디바이스(82), 및 타겟 디바이스(83)는 각각 노드 고유 ID로서 제공되는 NUID81, NUID82, 및 NUID83을 갖는다.
임의의 새로운 디바이스가 1394 버스(31)에 접속될 때, 버스의 리세트가 발생하게 되고, 1394 버스 내의 버스 마스터[예를 들면, 제어기(11)]는 각 디바이스로의 노드 ID 할당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디바이스 드라이버 할당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다음, 이러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할당(제1 실시예)은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단계 S1에서, 제어기(11)[텔레비젼 수신기(41)]의 제어 유닛(55)은 1394 버스(31)에 접속된 노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예를 들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61)[타겟 디바이스(13)]가 선택된다. 단계 S2에서, 제어 유닛(55)은 단계 S1에서 선택된 노드[비디오 카세트 레코더(61)]에게 노드 고유 ID(NUID)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61)가 타겟인지(제어기인지)의 여부를 물어본다. 즉, 이러한 경우의 제어 유닛(55)은 1394 인터페이스(58)를 제어하여 커맨드 패킷을 선택된 노드[비디오 카세트 레코더(61)]로 1394 버스(31)를 경유하여 출력함으로써 질문을 실행한다.
각각의 노드는 적절한 노드가 다른 노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로서의 기능 또는 다른 노드에 의해 제어된 타겟 디바이스로서의 기능을 갖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구성 ROM를 포함한다. 타겟 디바이스(13)[비디오 카세트 레코더(61)]는 이러한 구성 ROM을 ROM(72) 내에서 유지한다. 이러한 질문 커맨드(inquiry command)를 1394 인터페이스(78)를 통해 수신하자마자, CPU(71)는 구성 ROM으로부터 셀프 플래그를 판독한 후, 1394 인터페이스(78)로부터의 응답으로서 출력한다.
응답 패킷을 1394 인터페이스(58)를 경유하여 수신하자마자, 텔레비젼 수신기(41)의 제어 유닛(55)은 플래그를 추출하여, 단계 S3에서 플래그가 타겟 디바이스를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플래그가 노드의 타겟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경우, 동작은 단계 S4로 속행하는데, 여기서 제어 유닛(55)은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갖는 제어기가 메모리(57)에 저장된 NUID 정보 테이블에 이미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버스 리세트 상태에서도, 각각의 제어기는 버스 리세트의 발생 이전에 유지된 선행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여전히 유지한다. 따라서, 타겟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테이블 부분을 변경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동작은 단계 S6으로 속행하는데, 여기서 제어 유닛(55)은 모든 노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러한 판정이 선택되지 않은 노드가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 동작은 단계 S1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상에 타겟 디바이스(13)에 대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유지하는 제어기가 제어기(12)라는 것이 이미 저장되므로, 동작은 단계 S1으로 복귀한다.
순차적으로 단계 S1에서, 제어 유닛(55)은 예를 들면 타겟 디바이스(14)를 선택한 후, 상술된 경우와 동일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타겟 디바이스(14)에 대한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도 4에 도시된 테이블 상에 이미 저장되므로, 상술된 경우에서와 동일한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다음, 예를 들면 제어기(12)가 하나의 노드로서 선택되는 경우, 이러한 노드가 타겟 디바이스가 아니므로(제어기이므로) 단계 S3에서 판정된 결과는 아니오이고, 동작은 단계 S6으로부터 단계 S1으로 복귀한다. 제어기(81)가 노드로서 선택될 때에도 동일한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타겟 디바이스(82)가 하나의 노드로서 선택되는 경우, 이러한 타겟 디바이스에 대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유지하는 제어기가 아직 테이블 상에 저장되지 않았다. 따라서, 단계 S4에서의 판정 결과는 아니오이고, 동작은 단계 S5로 속행하는데, 여기서 제어 유닛(55)은 미리 판정된 룰에 따라 선택된 타겟 디바이스[이러한 경우, 타겟 디바이스(82)]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유지하기 위해 제어기를 지정한다.
이러한 지정은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전체 제어기 중에서 최소한의 노드 고유 ID로 제어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5의 일례에서, NUID11, 즉 제어기(11)의 노드 고유 ID는 전체 노드의 노드 고유 ID 중 최소한의 노드이고, 이러한 노드(11)[텔레비젼 수신기(41)]는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57)를 가지므로, 제어기(11)는 타겟 디바이스(82)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82)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기로서 지정된다. 즉, 이 때 제어 유닛(55)은 스스로를 지정한다. 제어 유닛(55)은 디바이스 드라이버(D82)를 생성하여 메모리(57)에 저장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55)은, 타겟 디바이스(82)의 노드 고유 ID인 NUID82에 대응하여, 타겟 디바이스(82)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82)를 유지하기 위한 노드 고유 ID11을 저장한다.
단계S6로부터 단계 S1으로 동작이 복귀함으로써 타겟 디바이스(83)가 하나의 노드로서 선택되고,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기(11)는 메모리(57) 내에 타겟 디바이스(83)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D83)를 생성하여 유지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디바이스(83)의 노드 고유 ID인 NUID83에 대응하여, 타겟 디바이스(83)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D83)를 유지하는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인 NUID11를 저장한다.
단계 S6에서 상술된 절차의 완료 후에 전체 노드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때, 단계 S7에서 제어 유닛(55)은 테이블 상에 이미 저장된 타겟 디바이스가 있는지의 여부와 이 때 단계 S1에서 선택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한다. 단지 새로운 노드가 서브 시스템에 추가된 경우, 이러한 판정 결과는 아니오가 되고, 처리 루틴이 종료된다.
한편,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접속된 타겟 디바이스(83)가 도 8에 도시된 버스 시스템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단계 S7에서의 판정 결과는 예가 된다. 다음, 제어 유닛(55)은 단계 S8에서 테이블 상에 저장되었으나 이 때 선택되지 않은 타겟 디바이스를 테이블로부터 제거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적절한 타겟 디바이스는 테이블에 한번 저장되었으나, 버스 시스템으로부터 접속되지 않은 디바이스이므로, 이 때 노드로서 선택되지 않게 되어, 테이블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테이블이 도 7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9에 도시된 디바이스로 재기록된다. 본 일례에서, 타겟 디바이스(83)의 노드 고유 ID로서 NUID83,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D83)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로서 NUID11가 제거된다.
이 때, 제어기(11)의 디바이스 드라이버(D83)도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된다.
다음, 도 1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 할당(제2 실시예)의 다른 처리 루틴이 설명된다. 본 일례는 도 5의 버스 시스템에서의 접속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한 예시적인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접속된 디바이스가 1394 버스(31)로부터 접속되지 않을때(예를 들면, 제어기(12)와 타겟 디바이스(83)가 접속되지 않을때), 상술된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버스가 리세트되고, 버스 시스템 내의 버스 마스터[예를 들면, 제어기(11)]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할당의 루틴을 실행한다.
버스 시스템이 HAVi(Home Audio/Video initiative) 구조에 기초한 구성을 갖는 경우, 제어기(11)는 설치 주도권을 갖고, DCM(Device Control Module) 또는 FCM을 할당할 수 있는 DCM 관리기에 대응한다.
단계 S31에서, 제어기(11)[텔레비젼 수신기(41)]의 제어 유닛(55)은 셀프 노드 고유 ID(NUID11)을 메모리(57)에 저장된 구성 ROM으로부터 판독한 후, 노드 고유 ID를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전체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러한 루틴에서 버스 리세트 이후의 노드 고유 ID의 전송이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전체 디바이스[도 11의 일례에서, 제어기(11, 81), 및 타겟 디바이스(13, 14, 82)]에 대하여 실행된다.
단계 S32에서, 제어 유닛(55)은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을 유지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따라서,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이, 예 를 들면 이하 설명될 단계 S35에서 생성될 때,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이 여전히 유지된다.
본 일례에서, 제어 유닛(55)은 NUID 정보 테이블을 유지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데,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디바이스(13)의 노드 고유 ID(NUID13) 및 제어기(12)의 노드 고유 ID(NUID12)가 서로 대응하게 설정되고, 타겟 디바이스(14, 82)의 노드 고유 ID(NUID14, NUID82) 및 제어기(11)의 노드 고유 ID(NUID11)가 서로 대응하여 설정된다.
단계 S33에서, 제어 유닛(55)은 커맨드 패킷(이하, 제어기 존재 통지 커맨드라함)을 송신하는데, 이는 유닛(55)이 제어기임을 버스 리세트 발생 후 1초 간격 이내에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전체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유사하게,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제어기 각각은(도 11의 예에서는 제어기11 및 81) 또한 그러한 제어기 존재 통지 커맨드를 전송한다.
이후 단계 S34에서, 제어 유닛(55)은 단계 S31에서 그곳에 전송된 노드 고유 ID를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전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이후에 단계 S35에서는, 도 12a에 도시된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이 수신된 노드 고유 ID에 따라서 생성된다. 특히, 단지 타겟 디바이스의 노드 고유 ID만이 전체 수신된 노드 고유 ID로부터 설정되는 경우 NUID 정보 테이블이 생성된다.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는 아래 언급되는 제어기용 NUID 테이블을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이 예에서, 이전에 도 5의 상태에 접속되어 있던 타겟 디바이스(83)는 도 11의 상태에 있지 않으므로(즉, 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되므로), 제어기(11)는 타겟 디바이스(83)로부터 노드 고유 ID(NUID83)를 수신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NUID83은 여기서 생성된 NUID 정보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는 단계 S36에서, 제어 유닛(55)이 단계 S32에서 보유하고 있는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 및 단계 S35에서 생성된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각각 설정된 타겟 디바이스들의 노드 고유 ID를 상호 비교한다.
계속해서 단계 S37에서는, 제어 유닛(35)이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는 설정되어 있으나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는 설정되어 있지 않은 노드 고유 ID(삭제된 노드 고유 ID)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을 한다. 이러한 판정 결과가 그러한 노드 고유 ID가 존재함을 나타내면, 동작은 단계 S38로 진행한다. 즉, 여기서는 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된 임의 타겟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지며, 이 판정의 결과가 그러한 타겟 디바이스가 존재함을 나타내면, 동작은 단계 S38로 진행한다.
타겟 디바이스(83)가 이 예에서 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되므로, 앞서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도 7)에 설정된 NUID(83)은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도 12a)에 설정되어 있지 않아 동작은 단계 S38로 진행한다.
이후 단계 S38에서는, 제어 유닛(55)이 전체의 삭제된 노드 고유 ID로부터 하나의 노드 고유 ID를 선택하고 나서, 그 자신이 선택된 노드 유닛 ID를 갖고 있는 타겟 디바이스(즉, 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된 타겟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을 한다. 이 판정의 결과가 긍정이면, 동작은 단계 S39로 진행하여 관련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삭제한다.
이 예에서, NUID83이 선택되고, 제어기(11)에 의해 보유되어 NUID83을 갖고 있는 타겟 디바이스(83)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83)가 제거된다.
한편, 단계 S38에서 제어 유닛(55)에 의해 이루어진 판정의 결과가 그 자신이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보유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면, 동작은 단계 S40으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는 삭제를 실행하기 위한 커맨드 패킷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보유하고 있는 제어기에 전송된다. 이렇게 수신된 커맨드 패킷에 응답하여, 제어기는 보유해온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삭제한다.
그 자신이 단계 S39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삭제한 후,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삭제를 위한 커맨드 패킷이 단계 S40에서 전송된 후, 제어 유닛(55)의 동작은 단계 S41로 진행한다.
단계 S41에서, 제어 유닛(55)은 제거된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단계 S39 또는 단계 S40에서의 처리에 의해 완전히 삭제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이러한 판정의 결과가 어떤 삭제되지 않은 타겟 디바이스가 존재함을 나타내면, 동작은 단계 S38로 진행하고 다음의 처리들이 실행된다. 특히, 단계 S38 내지 단계 S40의 처리는 제거된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전체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버스 시스템으로부터 완전히 삭제될 때까지 반복 실행된다.
단계 S37에서의 판정 결과가 제거된 타겟 디바이스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면, 또는 단계 S41에서의 판정의 결과가 제거된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전체 디바이스 드라이버들이 완전히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면, 동작은 단계 S42로 진행한다.
단계 S42에서는, 제어 유닛(55)이 단계 S33에서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다른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제어기 존재 통지 커맨드(즉, 버스 리세트 상태의 발생 후 1초 경과 이내에 전송된 커맨드 패킷)의 수신 결과에 응답하여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기 NUID 테이블을 생성하며, 그러한 제어기 유닛(55)은 제어기 NUID 테이블을 이용하여, 단계 S35에서 생성된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도 12a)을 갱신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을지라도,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제어기들의 노드 고유 ID는 제어기 NUID 테이블에 설정되어있다. 이 예에서, 제어기(11 및 81)의 노드 고유 ID(NUID11 및 NUID81)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처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어기 존재 통지 커맨드를 전송한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즉, 제어기 NUID 테이블에 설정된 노드 고유)가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이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관련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에 대응하게 설정된 타겟 디바이스의 노드 고유 ID가 검출된다.
이후에, 검출된 타겟 디바이스의 노드 고유 ID가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판정이 이루어진다. 이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소스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는 관련 타겟 디바이스의 노드 고유 ID에 대응되게 설정된다.
상기 판정 결과가, 제어기 존재 통지 커맨드를 전송한 소스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가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면, 소스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는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지 않다.
한편, 상기 판정 결과가, 소스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가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는 설정되어 있으나 소스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에 대응되게 설정된 타겟 디바이스의 노드 고유 ID가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면, 관련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는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지 않다.
셀프(제어기 11) 노드 고유 ID(NUID11)가 유사하게 입증되며, 그러한 입증 결과에 따라서, 셀프 노드 고유 ID가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설정된다.
이 예에서,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신된다. 제어기(11)는 제어기(81)로부터 (버스 리세트 상태의 발생후 1초 경과 이내에) 제어기 존재 통지 커맨드를 수신하지만, 제어기(81)의 노드 고유 ID(NUID81)은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지 않다(도 7). 그러므로, NUID81은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지 않다(도 12a).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도 7)에는, 제어기(11) 셀프 노드 고유 ID(NUID11)가 타겟 디바이스의 노드 고유 ID(UID14, NUID82, NUID83)에 대응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NUID11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고유 ID(NUID14, NUID82)가 대응되도록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도 12a)에 설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단계 S43에서는, 제어 유닛(55)은 단계 S42에서 갱신된 포스-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도 12b)을 참조하여,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가 대응되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타겟 디바이스의 노드 고유 ID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가, 그러한 노드 고유 ID가 존재함을 나타내면, 동작은 단계 S44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하나의 노드 고유 ID가 선택되고 선택된 노드 고유 ID를 갖고 있는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보유할 제어기가 판정된다.
이러한 판정은 예를 들어 도 6의 단계 S5에서와 같은 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제어기(11)가 DCM 관리기인 경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보유할 제어기가 타겟 디바이스를 보유할 수 있는 제어기의 우선 순위(priority order)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DCM 관리기 선택(DCM manager preference)에 따라서 판정된다.
이 예에서,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는 단계 S41에서 갱신된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도 12b)상에 NUID13(타겟 디바이스 13의 노드 고유 ID)에 대응되게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타겟 디바이스(13)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D13을 보유할 제어기가 판정된다. 이 경우에, 제어기(11)는 디바이스 드라이버(D13)를 보유하는 역할을 한다.
단계 S45에서는, 제어 유닛(55)은 단계 S43에서 검출된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발생하는 커맨드 패킷을 단계 S44에서 판정된 제어기에 출력한다. 이후에, 제어 유닛(55)은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가 대응되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타겟 디바이스의 노드 고유 ID에 대응되게, 커맨드 패킷을 전송한 소스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를 설정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발생하는 커맨드 패킷에 응답하여, 제어기는 지정된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발생한 후 이를 저장한다.
이 예에서, 제어기(11) 그 자신은 타겟 디바이스(13)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D13)를 발생하고(예를 들어, 타겟 디바이스(13)로부터 업로드하고), 이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한다. 이후, 제어 유닛(55)은,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에,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NUID11)를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디바이스(13)의 노드 고유 ID(NUID13)에 대응되게 설정한다.
단계 S45에서의 처리 후에, 동작은 단계 S43으로 복귀하여 다음 처리가 실행된다. 즉, 단계 S43 내지 단계 S45의 처리는 단계 S43의 판정 결과가, 제어기의 노드 고유 ID에 대응되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타겟 디바이스의 노드 고유 ID가 NUID 정보 테이블에 전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낼 때까지 반복해서 실행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할당이 완료되면, 단계 S32에서의 처리에 의해 보유되고 있는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이 소거되고, 디바이스 드라이버 할당의 종료시 단지 포스트-버스 리세트 NUID 정보 데이타만이 보유된다. 즉, 버스가 다시 리세트될 때, 이 NUID 정보 테이블은 프리-버스 리세트 NUID 정보 테이블로서 보유된다.
상기 설명은 하나의 디바이스가 버스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된(즉, 버스 상태가 도 5로부터 도 11로 변경된) 예시적인 경우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타겟 디바이스가 새롭게 부가된 경우에, 요구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상기와 같은 식으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할당 방법의 루틴에 따르면, 버스 리세트 상태가 발생된 때, 그러한 버스 리세트의 발생 전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들은 각각의 제어기들에 연속해서 보유되고, 임의 타겟 디바이스가 버스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된 때, 관련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삭제된다. 한편, 임의 타겟 디바이스가 버스 시스템에 새롭게 부가된 때, 부가된 타겟 디바이스에 관련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만이 새롭게 생성되어 저장된다. 그래서, 미리 판정되어 있는 규칙에 따라서 각각의 버스 리세트시 전체 타겟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들을 할당하는 공지된 처리에 비교해 볼 때, 보다 빠른 할당을 완전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버스 시스템은 스타 접속(star connection) 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버스 시스템이 시리얼 데이지 체인 구성(serial daisy chain configuration)을 갖고 있을지라도, 동일한 처리 루틴에 따라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할당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a 및 14b를 참조하여, 상기 처리 루틴을 실행하기 위해 준비된 프로그램을 텔레비젼 수신기(또는 어떤 다른 장치)에 설치하여 이 프로그램이 텔레비젼 수신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게 해주는데 사용되는 매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은 미리 하드 디스크(102)에 설치된 상태로 또는 기록 매체로서 텔레비젼 수신기(101)내에 포함되어 있는 반도체 메모리(103)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111), CD-ROM(Compact Disk-Read Only Disk)(112), MO(Magneto-Optical) 디스크(113), DVD(Digital Versatile Disk)(114), 자기 디스크(115) 또는 반도체 메모리(116)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저장된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매체"는 넓은 의미의 개념에 포함되는 매체 모두를 함축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매체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들은 규정되어 있는 순서대로 순차 실행되는 모든 시계열 처리 뿐만아니라 그러한 시계열 처리 대신에 병렬로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것들을 함축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은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전체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 매체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르면, 먼저 전자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속성 정보가 습득되고, 이후 이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의 관리 정보가 저장되며, 계속해서 버스에 대한 각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 변화가 습득된다. 이렇게 습득된 접속 상태 변화에 따라서, 그러한 접속 상태 변화에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가 셀프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에 할당됨으로써,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위한 루틴이 빠르게 완료될 수 있다.
앞서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지라도, 본 발명이 그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할 것이다.

Claims (12)

  1. 복수의 전자 기기가, 다른 기기로부터 그 동작이 제어되는 타겟 디바이스로서의 전자 기기 또는 다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전자 기기 중 하나로 구분되어 상호 접속되는 버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와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하는 포착 수단과;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의 두 가지 유형의 관리 정보, 즉, 접속 변동 이전의 관리 정보 및 접속 변동 이후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포착 수단에 의해 포착된 접속 상태 변동에 기초하여, 포착된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 수단은, 관리 정보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과 이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을 보유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간의 상호 대응 관계를 저장하고,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 다음, 그 판정 결과에 따라 할당을 실행하고,
    상기 접속 변동 이전의 관리 정보는 삭제되어 상기 접속 변동 이후의 관리 정보로 대체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수단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디바이스 속성 정보를 포착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포착 수단에 의해 포착된 디바이스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셀프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한 것인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착 수단은 상기 버스가 리세트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는 IEEE1394 고성능 시리얼 버스이고, 상기 포착 수단은 버스 리세트 전후에 IEEE1394 버스에 존재하는 노드 고유 ID의 차이에 따라 접속 상태 변동을 포착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는 IEEE1394 고성능 시리얼 버스이고, 상기 포착 수단은 버스 리세트 전후에 존재하는 HAVi 글로벌 고유 ID의 차이에 따라 접속 상태 변동을 포착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는 IEEE1394 고성능 시리얼 버스이고, 상기 장치는 HAVi DCM 관리기(manager)의 최종 리더(final leader)인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는 IEEE1394 고성능 시리얼 버스이고, 상기 실행 수단은 HAVi DCM 관리기의 선택에 따라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는 IEEE1394 고성능 시리얼 버스이고, 상기 실행 수단은 전체 정보 처리 장치의 복수의 노드 고유 ID중 최소 노드 고유 ID를 갖는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을 보유하도록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복수의 전자 기기가, 다른 기기로부터 그 동작이 제어되는 타겟 디바이스로서의 전자 기기 또는 다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전자 기기 중 하나로 구분되어 상호 접속되는 버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위한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와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하는 포착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의 두 가지 유형의 관리 정보, 즉, 접속 변동 이전의 관리 정보 및 접속 변동 이후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과 이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을 보유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간의 상호 대응 관계를 포함함 - ; 및
    상기 포착 단계에서 포착된 접속 상태 변동에 기초하여, 포착된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하는 실행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 다음, 그 판정 결과에 따라 할당을 실행하고,
    상기 접속 변동 이전의 관리 정보는 삭제되어 상기 접속 변동 이후의 관리 정보로 대체되는 정보 처리 방법.
  10. 복수의 전자 기기가, 다른 기기로부터 그 동작이 제어되는 타겟 디바이스로서의 전자 기기 또는 다른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전자 기기 중 하나로 구분되어 상호 접속되는 버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도록 컴퓨터가 하기의 루틴을 실행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포함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루틴은,
    상기 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와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하는 포착 단계;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의 두 가지 유형의 관리 정보, 즉, 접속 변동 이전의 관리 정보 및 접속 변동 이후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들과 이 전자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을 보유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 간의 상호 대응 관계를 포함함 - ; 및
    상기 포착 단계에서 포착된 접속 상태 변동에 기초하여, 포착된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의 할당을 실행하는 실행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 단계는, 상기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 다음, 그 판정 결과에 따라 할당을 실행하고,
    상기 접속 변동 이전의 관리 정보는 삭제되어 상기 접속 변동 이후의 관리 정보로 대체되는 기록 매체.
  11. 하나 이상의 피제어 장치(controlled apparatus),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controlling apparatus), 및 관리 장치가 버스를 통해 접속되는 버스 시스템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버스와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하는 포착 단계;
    상기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의 두 가지 유형의 관리 정보, 즉, 접속 변동 이전의 관리 정보 및 접속 변동 이후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피제어 장치와, 상기 관리 장치에 의한 상기 피제어 장치의 제어에 관한 정보 간의 상호 대응 관계를 포함함 - ;
    상기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상기 피제어 장치와, 상기 접속 상태의 변동에 기초한 상기 피제어 장치의 제어에 관한 정보에 대한 상호 대응 관계를 갱신하는 갱신 단계; 및
    상기 상호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의 할당을 실행하는 실행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변동 이전의 관리 정보는 삭제되어 상기 접속 변동 이후의 관리 정보로 대체되는 정보 처리 방법.
  12. 하나 이상의 피제어 장치(controlled apparatus),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controlling apparatus), 및 관리 장치가 버스를 통해 접속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버스와의 접속 상태의 변동을 포착하는 포착 수단;
    상기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의 두 가지 유형의 관리 정보, 즉, 접속 변동 이전의 관리 정보 및 접속 변동 이후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피제어 장치와, 이 피제어 장치의 제어에 관한 정보 간의 상호 대응 관계를 포함함 - ;
    상기 접속 상태의 변동과 관련된 상기 피제어 장치와, 상기 접속 상태의 변동에 기초한 상기 피제어 장치의 제어에 관한 정보에 대한 상호 대응 관계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 및
    상기 상호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의 할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변동 이전의 관리 정보는 삭제되어 상기 접속 변동 이후의 관리 정보로 대체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000028969A 1999-05-28 2000-05-29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KR100707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031499 1999-05-28
JP1999-150314 1999-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979A KR20010014979A (ko) 2001-02-26
KR100707323B1 true KR100707323B1 (ko) 2007-04-13

Family

ID=1549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969A KR100707323B1 (ko) 1999-05-28 2000-05-29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38835B1 (ko)
EP (1) EP1056242B1 (ko)
KR (1) KR100707323B1 (ko)
DE (1) DE6002609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3894B2 (ja) * 1999-06-01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被制御装置
KR100677069B1 (ko) * 1999-07-29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기들간의 커넥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명령 구조
US7032024B1 (en) 1999-07-29 2006-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for devices connected digital interface and command structure therefor
JP2002033750A (ja) * 2000-07-18 2002-01-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媒体
US6959440B1 (en) * 2000-08-02 2005-10-25 Intel Corporation Dynamic removal of a driver stack when a parent driver uses a child driver
CN1252968C (zh) * 2001-02-14 2006-04-19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数字网中的重配置
US20020156692A1 (en) * 2001-04-20 2002-10-24 Squeglia Mark R.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upply of replacement parts of a piece of equipment
KR100940635B1 (ko) * 2002-10-19 2010-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웍에 연결되는 피제어기기에 따라 기기 매니저를 가변적으로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4363029B2 (ja) * 2002-11-06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分割波長板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US8078298B2 (en) 2004-03-26 2011-12-1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 for node structure discovery in an audio-related system
US20060069813A1 (en) * 2004-09-30 2006-03-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configuring peripheral interface system, peripheral device therefor and interface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130A (ko) * 1994-05-16 1995-12-30 김광호 다기능 홈 버스 제어 시스템
JPH08241264A (ja) * 1995-03-07 1996-09-17 Fujitsu Ltd オプション装置およびそれが接続される情報処理装置
KR20000006189A (ko) * 1998-06-16 2000-01-25 이데이 노부유끼 정보처리장치와방법및그제공매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3696B1 (en) * 1996-10-15 2003-02-2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realizing uniform service providing environment
JP3601950B2 (ja) * 1997-09-16 2004-12-15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情報提示方法
US6349352B1 (en) * 1998-01-06 2002-02-19 Sony Corporation Of Japan Home audio/video network with both generic and parameterized device control
US6460030B1 (en) * 1998-03-09 2002-10-0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through descriptive data in the AV/C protocol
US6233611B1 (en) * 1998-05-08 2001-05-15 Sony Corporation Media manager for controlling autonomous media devices within a network environment and managing the flow and format of data between the devices
US6456892B1 (en) * 1998-07-01 2002-09-24 Sony Electronics, Inc. Data driven interaction for networked control of a DDI target device over a home entertainment network
US6199136B1 (en) * 1998-09-02 2001-03-06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w data-rate network to be represented on and controllable by high data-rate 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
US6366964B1 (en) * 1998-10-22 2002-04-02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enumerating objects representing devices within an IEEE 1394 serial bus networking
US6202103B1 (en) * 1998-11-23 2001-03-13 3A International, Inc. Bus data analyzer including a modular bus inte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130A (ko) * 1994-05-16 1995-12-30 김광호 다기능 홈 버스 제어 시스템
JPH08241264A (ja) * 1995-03-07 1996-09-17 Fujitsu Ltd オプション装置およびそれが接続される情報処理装置
KR20000006189A (ko) * 1998-06-16 2000-01-25 이데이 노부유끼 정보처리장치와방법및그제공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56242B1 (en) 2006-02-22
EP1056242A3 (en) 2003-07-16
DE60026091T2 (de) 2006-08-31
EP1056242A2 (en) 2000-11-29
US6738835B1 (en) 2004-05-18
KR20010014979A (ko) 2001-02-26
DE60026091D1 (de)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366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thereof, network system, record medium, and program
JP4245670B2 (ja) 消費者電子システムの機能の管理
KR100614426B1 (ko) 소비자 전자 시스템에서의 기능 관리
CN102263782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系统
KR100707323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기록 매체
JP2002525732A (ja)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753316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701804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broadcast programs by tracking change of broadcasting time
JPH1125209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4529478B2 (ja) 情報再生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0866785B1 (ko) 모듈라 시스템의 모듈 관련 정보 관리 방법
JP200105193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647447B1 (en) Allocating isochronous channel numbers to devices on an IEEE-1394 bus
JP3559957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排他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763716B1 (ko) 정보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제어 시스템
KR20050013158A (ko) 홈 네트워크 관리
JP2002374268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排他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278770A (ja) 被制御機器、制御用機器、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2008116994A (ja)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11283A (ja) ネットワーク接続可能なコントローラ機器
JP3701150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設置状況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152210A (ja) コントロール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機器認識方法及び記録媒体
JP411478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JPH11353792A (ja) 機器制御コマンドの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4229079A (ja) 被制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