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164B1 -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 Google Patents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164B1
KR100706164B1 KR1020060100077A KR20060100077A KR100706164B1 KR 100706164 B1 KR100706164 B1 KR 100706164B1 KR 1020060100077 A KR1020060100077 A KR 1020060100077A KR 20060100077 A KR20060100077 A KR 20060100077A KR 100706164 B1 KR100706164 B1 KR 10070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er pipe
clamps
support rod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06010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는 하수관의 일단부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분할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1 클램프와; 상기 하수관에 다른 하나의 하수관을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엘보형 하수관의 중앙부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지지로드가 고정되어 있는 제2 클램프와; 상기 다른 하나의 하수관의 일단부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3 클램프; 및 상기 제1 및 제3 클램프가 상기 제2 클램프의 지지로드에 고정되도록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3 클램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로드에 체결되어 있는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수관, 클램프, 엘보, 지지봉

Description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ANCHOR STRUCTURE FOR WATER ELBOW-PI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가 설치된 상태 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수관 10 : 제1 클램프
20 : 제2 클램프 30 : 제3 클램프
40 : 지지봉
본 발명은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수관의 연결부위가 하수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돗물은 취수장에서 강이나 호수 또는 댐과 같은 상수원에서 원수를 취수하여 정화시킨 후, 대형 상수관을 통하여 공장이나 일반 가정에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장이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대형 하수관을 통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취합된 후, 여과되어 강이나 호수로 방류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수 및 하수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상하수도관은 지상의 공간확보 및 생활환경미화를 위해 땅에 매설하여 설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하수관들은 매설되는 부위의 주변 환경에 따라서 굴곡지게 매설될 수밖에 없으며, 하수관이나 상수관을 수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엘보형 하수관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그런데, 엘보형 하수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하수관이나 상수관의 부위는 그 연결구조가 취약하여 하수관 또는 상수관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그 연결 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수관의 연결부위가 하수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는 하수관의 일단부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분할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1 클램프와; 상기 하수관에 다른 하나의 하수관을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엘보형 하수관의 중앙부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지지로드가 고정되어 있는 제2 클램프와; 상기 다른 하나의 하수관의 일단부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3 클램프; 및 상기 제1 및 제3 클램프가 상기 제2 클램프의 지지로드에 고정되도록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3 클램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로드에 체결되어 있는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은, 일단에 상기 제1 및 제3 클램프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로드에 고정되도록 나사산 및 상기 지지로드에 접촉되는 고정테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클램프의 내면에는 상기 하수관 및 엘보형 하수관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완충패드가 더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패드의 내면에는 상기 하수관 및 엘보형 하수관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제2, 제3 클램프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곡관 이탈 방지 앵커구조는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수관로의 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제2 및 제3 클램프(10, 20, 30)와, 상기 제1 및 제3 클램프(10, 30)를 제2 클램프(20)에 지지하는 지지봉(40)을 포함한다.
제1 클램프(10)는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하수관(1)의 일단부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클램프(10)는 상기 어느 하나의 하수관(1)의 외면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상호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부는 외측으로 벤딩되어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하수관(1)에 결합되어 있다.
제3 클램프(30)는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하수관(1)의 일단부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 하나의 하수관(1)의 외면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상호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3 클램프(30)의 양단부는 외측으로 벤딩되어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하수관(1)에 결합되어 있다.
제2 클램프(20)는 상기 어느 하나의 하수관(1)과 상기 다른 하나의 하수관(1)이 수직을 이루면서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엘보형 하수관(3)의 중앙부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클램프(20)는 엘보형 하수관(3)의 외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호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엘보형 하수관(3)에 결합되어 있다. 제2 클램프(20)의 양측에는 제1 및 제3 클램프(10, 30)와 제2 클램프(20)를 상호 지지시킬 수 있도록 지지로드(21)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로드(21)에는 지지봉(40)이 삽입되도록 지지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봉(40)은 제1 및 제3 클램프(10, 30)가 제2 클램프(20)의 지지로드(21) 에 고정되도록 일단은 제1 및 제3 클램프(10, 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로드(21)의 지지구멍(21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지지봉(40)은 일단에 상기 제1 및 제3 클램프(10, 30)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결합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는 리브(4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로드(21)에 고정된다. 지지로드(21)의 타단부에는 나사산 및 상기 지지로드(21)에 접촉되는 고정테(4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제2, 제3 클램프(30)의 내면에는 상기 하수관(1) 및 엘보형 하수관(3)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완충패드(50)가 더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패드(50)의 내면에는 상기 하수관(1) 및 엘보형 하수관(3)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제2, 제3 클램프(30)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돌기(51)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에 의하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수관로의 연결부위가 하수관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서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하수관(1)의 일단부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분할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제1 클램프(10)와; 상기 하수관(1)에 다른 하나의 하수관(1)을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엘보형 하수관(3)의 중앙부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지지로드(21)가 고정되어 있는 제2 클램프(20)와; 상기 다른 하나의 하수관(1)의 일단부 외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도록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3 클램프; 및 상기 제1 및 제3 클램프(10, 30)가 상기 제2 클램프(20)의 지지로드(21)에 고정되도록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3 클램프(10, 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로드(21)에 체결되어 있는 지지봉(40)을 포함하여 구성된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40)은, 일단에 상기 제1 및 제3 클램프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결합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너트에 의하여 상기 지지로드(21)에 고정되도록 나사산 및 상기 지지로드(21)에 접촉되는 고정테(43)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클램프의 내면에는 상기 하수관(1) 및 엘보형 하수관(3)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완충패드(50)가 더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패드(50)의 내면에는 상기 하수관(1) 및 엘보형 하수관(3)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제2, 제3 클램프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KR1020060100077A 2006-10-14 2006-10-14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KR100706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77A KR100706164B1 (ko) 2006-10-14 2006-10-14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77A KR100706164B1 (ko) 2006-10-14 2006-10-14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164B1 true KR100706164B1 (ko) 2007-04-13

Family

ID=3816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077A KR100706164B1 (ko) 2006-10-14 2006-10-14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1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052B1 (ko) 2008-09-30 2011-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절곡부 엘보 연결을 위한 파이프 절단방법
KR20160088193A (ko) * 2015-01-15 2016-07-25 광웅종합기술 주식회사 관 지지 이송 장치
CN111705893A (zh) * 2020-07-02 2020-09-25 郭庆业 一种市政道路排水系统建立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195B1 (ko) * 2005-02-07 2005-10-14 (주)픽슨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527640B1 (ko) * 2005-03-28 2005-11-15 백충원 하수관 연결구
KR100633283B1 (ko) * 2005-04-06 2006-10-12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수도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195B1 (ko) * 2005-02-07 2005-10-14 (주)픽슨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527640B1 (ko) * 2005-03-28 2005-11-15 백충원 하수관 연결구
KR100633283B1 (ko) * 2005-04-06 2006-10-12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수도관 연결구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522195 *
10-0527640
10-0633283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052B1 (ko) 2008-09-30 2011-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절곡부 엘보 연결을 위한 파이프 절단방법
KR20160088193A (ko) * 2015-01-15 2016-07-25 광웅종합기술 주식회사 관 지지 이송 장치
KR101692068B1 (ko) 2015-01-15 2017-01-03 광웅종합기술 주식회사 관 지지 이송 장치
CN111705893A (zh) * 2020-07-02 2020-09-25 郭庆业 一种市政道路排水系统建立施工方法
CN111705893B (zh) * 2020-07-02 2021-05-25 武汉市市政工程机械化施工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排水系统建立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1258A1 (en) Flexible drainage trap
KR100706164B1 (ko)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KR102058301B1 (ko) 원형수로관
KR100698886B1 (ko) 연약지반의 하수관 지지구조물
KR20110133208A (ko) 배수장치를 구비한 방수형 맨홀
JP4395858B2 (ja) 集合住宅における要排水設備の排水ヘッダーの設置構造
CN101605944A (zh) 将保护罩固定在家具上的装置及配备有该固定装置的家具
KR100635233B1 (ko) 도로의 침하방지용 맨홀
KR100706163B1 (ko) 연약지반 하수관 보강구조
KR200209862Y1 (ko)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
KR20150112616A (ko)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KR100657178B1 (ko) 상수도 이음부 이탈방지장치
JP2007063908A (ja) 排水管継手
KR100497536B1 (ko) 경사면에 설치되는 하수관의 이탈 방지장치
CN217874697U (zh) 一种建筑外墙排水管道快速连接装置
CN214425286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管固定安装装置
KR200389659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20080112005A (ko) 배수관 고정장치
KR20080005369U (ko) 오수 및 우수 혼합 배수관
KR102297291B1 (ko) 배수관로 연결구
KR100667582B1 (ko) 상수도 곡선관 고정장치구조
CN215488179U (zh) 一种市政工程用排水管道连接装置
KR200291457Y1 (ko) 볼트-너트를 이용한 곡관의 교량 배수관 오물제거 장치
CN213038534U (zh) 一种便于拆装的组合式排水管道
KR101309211B1 (ko)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와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