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640B1 - 하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640B1
KR100527640B1 KR10-2005-0025291A KR20050025291A KR100527640B1 KR 100527640 B1 KR100527640 B1 KR 100527640B1 KR 20050025291 A KR20050025291 A KR 20050025291A KR 100527640 B1 KR100527640 B1 KR 100527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ewer pipe
fastening band
insertion hole
bolt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850A (ko
Inventor
백충원
Original Assignee
백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2391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2764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백충원 filed Critical 백충원
Priority to KR10-2005-0025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6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피이(PE) 하수관이 연결되어 긴 하수관로를 형성할 때 상기 하수관의 단부를 서로 수밀되게 연결시키는 연결구로서, 직경의 변화가 큰 PE 하수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체결밴드에 신축홈이 형성되고, 체결밴드의 단부에 압지편을 고정하는 체결구가 압지편의 단위로 절취되어, 각각의 압지편이 독립적으로 조임 기능을 하므로써 하수관의 연결단부의 직경이 다르거나 일정각으로 휘어져 시설되더라도 수밀되게 연결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둥글게 감겨진 체결밴드와, 압지편삽입공간이 형성되고 볼트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밴드의 단부에 부착된 체결구와, 체결밴드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가지고 상기 볼트삽입공과 통하도록 형성된 볼트삽입공이 관통되어 상기 압지편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된 압지편과, 상기 볼트삽입공에 끼워져 너트로 체결되어 체결밴드를 조여주는 볼트로 구성된 하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압지편은 각각 하나의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토막으로 구성되고, 압지편이 삽입된 체결구는 각각의 압지편의 토막과 같은 길이 단위로 절결홈에 의해 나누어지며, 체결밴드에는 신축홈이 형성된 하수관 연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수관 연결구{A clamp for connecting drain pipe}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피이(PE) 하수관이 연결되어 긴 하수관로를 형성할 때 상기 하수관의 단부를 서로 수밀되게 연결시키는 연결구로서, 직경의 변화가 큰 PE 하수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체결밴드에 신축홈이 형성되고, 체결밴드의 단부에 압지편을 고정하는 체결구가 압지편의 단위로 절취되어, 각각의 압지편이 독립적으로 조임 기능을 하므로써 하수관의 연결단부의 직경이 다르거나 일정각으로 휘어져 시설되더라도 수밀되게 연결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로는 PE 재질의 하수관이 일정 형상으로 길게 이음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하수관은 단부에서 연결구에 의해 수밀되게 체결된다.
이와 같은 하수관의 연결구는 하수관의 외면을 감싸는 체결밴드와, 체결밴드의 폭과 같은 길이의 압지편이 삽입되고 상기 체결밴드의 양단부에 부착된 체결구와, 상기 압지편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체결밴드를 조여주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구는 체결밴드의 폭과 같은 압지편에 의해 하수관의 연결부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는 정확하게 수밀작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PE 하수관은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양단부의 직경이 큰 오차범위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단부에서도 위치에 따라 직경이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직경의 차이에 의해 두개의 PE 하수관을 연접시켜 연결구로 체결하고자 할 경우는 체결구 전체가 하나의 구성으로 작용을 하게 되어 긴밀하게 수밀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연결구가 체결밴드의 폭과 같은 압지편에 의해 체결밴드 전체가 일정한 방향으로 조여지기 때문에 부분부분 직경이 다른 경우에는 직경이 작은 부분에서 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수밀성의 불량은 하수의 누출로 이어져, 심한 악취는 물론이고 토양의 오염 및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단부의 직경이 다른 하수관끼리의 연결에서도 완전한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으로, 압지편이 다수개의 토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지편이 삽입된 체결구 또한 압지편의 토막과 같은 길이 단위로 절결홈에 의해 나누어지며, 체결밴드에는 신축홈이 형성되어, 직경이 다른 부분에서도 각각의 압지편에 의해 조임되고, 일정각으로 휘어지는 하수관의 설치에서는 신축홈에 의해 용이하게 구부려 설치할 수 있는 하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둥글게 감겨진 체결밴드(1)와, 압지편삽입공간(2)이 형성되고 볼트삽입공(3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밴드(1)의 단부에 부착된 체결구(4)와, 체결밴드(1)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가지고 상기 볼트삽입공(3a)과 통하도록 형성된 볼트삽입공(3b)이 관통되어 상기 압지편삽입공간(2)에 각각 삽입된 압지편(5)과, 상기 볼트삽입공(3a)(3b)에 끼워져 너트(6)로 체결되어 체결밴드(1)를 조여주는 볼트(7)로 구성된 하수관 연결구(100)에 있어서, 압지편(5)은 각각 하나의 볼트삽입공(3b)이 형성된 다수개의 토막으로 구성되고, 압지편(5)이 삽입된 체결구(4)는 각각의 압지편(5)의 토막과 같은 길이 단위로 절결홈(8)에 의해 나누어지며, 체결밴드(1)에는 신축홈(9)이 환형으로 형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
물론 각각의 압지편(5)에는 볼트삽입공(3b)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절결홈(8)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체결구(4) 부분에도 하나씩의 볼트삽입공(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에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 그 작용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PE 하수관(10)의 직경이 다르더라도 두개의 하수관(10)을 완전한 수밀을 가지도록 연결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토막으로 다수개 형성된 압지편(5)과, 각각의 압지편(5)이 삽입되는 체결구(4) 또한 압지편(5)의 길이만큼씩 절결홈(8)으로 나누어지며, 체결밴드(1)에는 신축홈(9)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하수관(10)의 이음부를 완벽한 수밀로 연결함으로써, 하수의 유출에 의한 토양의 오염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와 재시공 등의 불편함을 극복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두개의 하수관(10)의 단부를 맞대고, 이의 이음부를 압착하여 연결하게 되는데, 체결밴드(1)의 내측과 하수관(10)의 사이에는 수밀을 위한 패킹(11)이 삽입된다.
압지편(5)은 절결홈(8)에 의해 구획된 체결구(4)의 각 부분에 각각 하나씩 삽입되어 있어, 하수관(10)을 연결할 때에는 압지편(5)의 갯수만큼의 볼트(7)와 너트(6)가 소요된다. 이와 같이 볼트(7)를 체결구(4)의 볼트삽입공(3a)과 체결구(4)에 삽입된 압지편(5)의 볼트삽입공(3b)에 끼우고, 너트(6)로써 체결하면 도 3의 단면도와 같이 패킹(11)이 하수관(10)의 이음부를 수밀시키게 된다.
서로 이음되는 하수관(10)의 단부는 직경이 다른 경우가 대부분인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경우에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볼트(7)가 하나의 구획된 체결구(4)의 한 부분과, 구획된 부분의 체결구(4)에 삽입된 각각의 토막난 압지편(5)에 체결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체 체결밴드(1)의 폭이 하나로 작용하지 않고, 각각의 구획된 체결구(4)에 의해 따로따로 작용을 함으로써, 하수관(10)의 단부에서 그 직경이 다르더라도 각각의 볼트(7)로써 죄는 정도를 달리하면 그 각각의 차이나는 직경을 보완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수관(10)이 일정각도를 가지면서 이음될 때도 완전히 수밀을 가지면서 이음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체결밴드(1)에 형성된 신축홈(9)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둥글게 감긴 체결밴드(1)에 환형 즉 체결밴드(1)가 굽은 방향으로 다수개의 신축홈(9)이 형성되어, 플렉시블관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하수관(10)이 곡률을 가지면서 이음될 때에는 바깥쪽의 신축홈(9)은 벌어지고 내측의 신축홈(9)은 좁혀지게 되므로, 체결밴드(1)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체결밴드(1)의 신축성과 다수개의 압지편(5) 및 압지편(5)의 길이만큼 절결홈(8)에 의해 구획된 체결구(4)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직경이 다른 하수관(10)의 이음이나 곡률을 가지고 이음되는 하수관(10)의 경우라도, 완벽한 수밀을 이룰 수 있게 되어 하수의 누출로 인한 악취나 토양의 오염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결밴드 2 : 압지편삽입공간
3a, 3b : 볼트삽입공 4 : 체결구
5 : 압지편 6 : 너트
7 : 볼트 8 : 절결홈
9 : 신축홈 10 : 하수관
11 : 패킹
100 : 연결구

Claims (1)

  1. 둥글게 감겨진 체결밴드(1)와, 압지편삽입공간(2)이 형성되고 볼트삽입공(3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밴드(1)의 단부에 부착된 체결구(4)와, 체결밴드(1)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가지고 상기 볼트삽입공(3a)과 통하도록 형성된 볼트삽입공(3b)이 관통되어 상기 압지편삽입공간(2)에 각각 삽입된 압지편(5)과, 상기 볼트삽입공(3a)(3b)에 끼워져 너트(6)로 체결되어 체결밴드(1)를 조여주는 볼트(7)로 구성된 하수관 연결구(100)에 있어서, 압지편(5)은 각각 하나의 볼트삽입공(3b)이 형성된 다수개의 토막으로 구성되고, 압지편(5)이 삽입된 체결구(4)는 각각의 압지편(5)의 토막과 같은 길이 단위로 절결홈(8)에 의해 나누어지며, 체결밴드(1)에는 신축홈(9)이 형성되어, 상기 절결홈(8)과 신축홈(9)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지거나 직경을 달리하여 조임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연결구.
KR10-2005-0025291A 2005-03-28 2005-03-28 하수관 연결구 KR10052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91A KR100527640B1 (ko) 2005-03-28 2005-03-28 하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91A KR100527640B1 (ko) 2005-03-28 2005-03-28 하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850A KR20050035850A (ko) 2005-04-19
KR100527640B1 true KR100527640B1 (ko) 2005-11-15

Family

ID=3723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291A KR100527640B1 (ko) 2005-03-28 2005-03-28 하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164B1 (ko) * 2006-10-14 2007-04-13 주식회사 삼안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KR100764842B1 (ko) * 2006-12-11 2007-10-09 김학건 하수관 연결용 커플링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922A (ko) * 2007-01-06 2008-07-10 백충원 합성수지관체 연결구
KR100883643B1 (ko) * 2008-10-23 2009-02-18 강순남 균일하고 강한 연결이 가능한 커플링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164B1 (ko) * 2006-10-14 2007-04-13 주식회사 삼안 하수곡관 이탈방지 앵커구조
KR100764842B1 (ko) * 2006-12-11 2007-10-09 김학건 하수관 연결용 커플링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850A (ko)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730B2 (en) Clamping ring for connecting thin-walled tubes
US4480860A (en) Transition coupling and clamp assembly containing same
AU2010313681B2 (en) Pipe coupling with seal pressing device
KR101424730B1 (ko) 호스밴드를 이용한 배관의 부분 보수장치
US5104159A (en) Threadless coupling for pipes and an air-tight inner cylinder therefor
KR100527640B1 (ko) 하수관 연결구
US20080284162A1 (en) Pipe coupling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100486920B1 (ko) 용수관 설치용 분기구
KR20070070335A (ko) 파이프연결구
KR200413764Y1 (ko) 수도관 연결 장치
JP2001177964A (ja) 接続部への埋設管の接合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接合構造
KR20050117511A (ko) 합성수지관체 연결구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KR100497535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439127Y1 (ko) 배관 조인트용 체결 압착 홀더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200283812Y1 (ko) 이음관 및 이음관 연결기구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050113587A (ko) 용수관 설치용 분기구
KR200318467Y1 (ko) 밸브 연결플랜지
JP3211058U (ja) 管継手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200268456Y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023

Effective date: 2009042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1115

Effective date: 2011040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503

Effective date: 201112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