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149B1 -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149B1
KR100706149B1 KR1020000023877A KR20000023877A KR100706149B1 KR 100706149 B1 KR100706149 B1 KR 100706149B1 KR 1020000023877 A KR1020000023877 A KR 1020000023877A KR 20000023877 A KR20000023877 A KR 20000023877A KR 100706149 B1 KR100706149 B1 KR 100706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urfactant
component
remover
g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684A (ko
Inventor
요시하루 아시자와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2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6Mixtures of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a)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쯔비터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들), 비누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도메인을 함유하는 제1 성분 (이 계면활성제 함유 조성물은 유효량의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를 함유한다); 및
b) 1종 이상의 기름때 제거제(들)를 함유하는, 수성 도메인 또는 비유화 상태의 비수성 도메인을 함유하는 제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도메인들은 크기가 1000 미크론 이상이며, 분리되어 있지만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별개의 도메인으로 함께 분배될 수 있는, 2성분계 세정 및 기름때 제거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2성분계 세정 및 기름때 제거용 조성물,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 기름때 제거제 성분, 2구획 포장 수단.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 {Deter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인체를 세정하고 기름때를 제거하기 위해, 특히, 피부로부터 메이크업을 제거하기 위해 국소용으로 적합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로 얼굴에서 메이크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일반적으로 거품성 클렌저(foaming cleanser)와 관련되는 깨끗하고 상쾌한 피부 느낌의 잇점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서 메이크업을 제거하도록 제제화된 조성물은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때를 이루는 왁스와 안료 입자들의 유성층에 침투하여 이를 분산시키는데 효과적인, 화장품용 오일과 같은 용제를 다량 함유한다. 이러한 메이크업 리무버(make-up remover)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면 패드를 사용하여 닦아내도록 고안되거나, 물로 씻어내도록 고안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조성물은 메이크업 기재와 용제 오일의 동시유화를 위해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오일로서 또는 유중수형 또는 수중유형 에멀젼으로서 제제화된 메이크업 리무버는 피부에 기름기있는 사후 느낌을 남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들은 씻어내는 동안 거품을 형성하지 않거나 매우 적은 거 품만을 형성할 수 있다. 소비자는 주로 세정후 깨끗하고 상쾌한 피부 느낌을 선호한다.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 특히 두꺼운 메이크업을 했을 경우, 종종 이중 세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
잘 알려져 있는 비누 바, 세안용 화장수(facial wash), 목욕용 거품(bath foam), 샴푸 및 샤워 젤과 같은 통상의 거품 형성 클렌저는 물과 혼합했을 때 풍부한 거품을 형성하고, 피부로부터 가벼운 때(예, 피지)을 제거하며, 깨끗하고 상쾌한 피부 느낌을 남긴다. 그러나, 이들 제품은 메이크업과 같은 두터운 때를 제거하는데는 오히려 비효과적일 수 있으며, 또한 피부를 지나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최근, 효과적인 메이크업 제거의 잇점과 일반적으로 거품 형성 클렌저와 관련되는 용이한 헹굼성, 거품 형성 및 피부 느낌 속성들을 배합하는 것으로 주장된 새로운 유형의 "투-인-원(2-in-1)" 클렌저가 나오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제품이 큰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데 실패한 것은 제제화에 있어서 절충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즉, 통상적인 훼이셜 폼(facial foam) 제제로부터 유래된 공지된 "투-인-원" 클렌저는 메이크업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었으며, 통상적인 메이크업 리무버 제제로부터 유래된 "투-인-원" 클렌저는 충분히 깨끗하고 상쾌한 피부와 관련된 감각적인 잇점을 제공할 수 없었다.
상이한 제품 상들로부터 세정과 보습 잇점을 모두 제공하는 또다른 종류의 "투-인-원" 제품을 제제화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었다. 예를 들면, 국제 출원 공개 제WO 96/02230호에서는 계면활성제와 유용제가 분리되어 있지만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별개의 도메인으로 예정된 비율로 함께 분배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와 유용 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였다. 유용제를 계면활성제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유용제의 침적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국제 출원 공개 제WO 96/02230호는 주로 피부 상에 물질을 침적시키는 데 중점을 둔 반면, 본 발명은 피부로부터 물질을 제거하는 반대 효과를 달성하였다.
이러한 2용도 조성물에서 대개 당면할 수 있는 문제점 중 하나는 리무버 성분 함량이 불충분하거나 사용 중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양이 불충분하여, 메이크업 조성물과 같은 두터운 때의 제거가 만족스럽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2용도 세정과 보습용 또는 때 제거용 조성물과 관련된 또다른 문제점은 불안정성이다. 비-비누 세정제, 실리콘 오일 및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샤워 젤에 관한 국제 출원 공개 제WO 94/03152호에 따르면, 제품 안정성을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실리콘 오일의 최대 평균 액적 크기는 2 미크론이다. 그러나, 제품이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할 때 어떠한 변질의 징후도 보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안정성 개념은 염료 및 항균 안정성을 포함한 제제의 모든 측면으로 확대된다.
선행 기술의 세정 조성물과 관련된 또다른 문제점은 그들의 낮은 거품 형성능이다. 우수한 거품 품질과 함께 거품이 많이 형성되는 것은 제품의 품질과 효과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속성이다.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인 기름때 제거, 특히 우수한 메이크업 제거를 제공하면서, 거품 형성 클렌저와 관련되는 감각적인 잇점을 여전히 제공할 수 있는 조성 물을 제제화하는 방법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세정 성분과 제거제 성분이 분리되어 있지만 포장 수단으로부터 별개의 도메인으로 함께 분배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세정 및 때 제거용의 2용도 제품의 안정성 및 제거제 전달과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a)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쯔비터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비누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도메인을 함유하는 제1 성분 (이 계면활성제 함유 조성물은 유효량의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를 함유한다); 및
b) 1종 이상의 기름때 제거제를 함유하는, 비유화 상태의 수성 또는 비수성 도메인을 함유하는 제2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두 성분들이 크기가 1000 미크론 이상이며 분리되어 있지만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별개의 도메인으로 함께 분배될 수 있는 도메인들을 제공하는, 2성분계 세정 및 기름때 제거용 액체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를 완전히 세정하기에 적합하다. 기름때 제거제는 피부로부터 메이크업과 같은 기름때를 제거하기 위해 조성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i) 포장 수단으로부터 계면활성제 및 기름때 제거제를 분배하는 단계;
ii) 계면활성제 및 기름때 제거제를 인체에 도포하는 단계; 및
iii) 생성된 기름때와 세정제의 혼합물을 물로 헹구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언급한 세정 및 기름때 제거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로부터 기름때를 제거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다른 양태에서 국소 용도와 사용을 위한 포장된 세정 조성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사용하기 적합한 포장은 2구획 포장과 같은 다구획 포장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점은 사용 중에 계면활성제 함유 수성 액체 조성물에 의해 기름때를 보다 잘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2성분계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에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를 비교적 소량 포함시킴으로써, 메이크업 제거능이 우수하며, 특히 조성물 안정성과 관련된 종래의 2성분계 거품 형성 세정 조성물의 단점을 갖지 않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에 바람직한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를 사용하는 것은,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모노알킬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계면활성제와 조화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조성물의 제2 성분에 함유된 기름때 제거제는 사용시 조성물을 문지르는 동안 비교적 큰 액적으로 분산되며, 이들 액적이 메이크업과 같은 기름때를 피부로부터 쉽게 제거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와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에 혼입되는 단쇄 폴리올의 양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가 수불혼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초기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유화 기술을 사용할 필요가 제거된다. 또한, 조성물을 문지르는 동안 현장에서 형성되고, 기름때 제거상을 단일 상 또는 도메인으로서 분산시킴으로써 촉진된, 조성물의 제2 성분으로부터의 기름때 제거제의 비교적 큰 액적은 비교적 작은 에멀젼 액적보다 기름때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믿어진다.
유효제를 메이크업 막에 국소적으로 고농도로 전달함으로써 메이크엄 제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비교적 큰 액적은 사용 동안 크기가 감소되지만, 도포시 이용되는 문지르는 행동으로 인해 조성물의 수성 계면활성제 상에 분산상으로서 이들의 용해가 촉진될 것이다.
계면활성제 상에 특정 유형의 기름때 제거제를 비교적 소량 사용하면, 메이크업 제거 효과를 더욱 더 증가시키면서,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의 안정성을 비롯한, 종래에 기름때 제거제를 계면활성제 함유 상으로 혼입시키는 경우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던 단점들을 제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조성물 중 기름때 제거제의 존재는 물리적 안정성과 항균 안정성을 비롯한,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성분의 다른 속성들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메인들은 제1 성분 및 제2 성분 조성물들의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를 취하는 것이 편리하며, 이들을 조성물의 제1 성분과 제2 성분을 사용 전에 별도의 챔버 내에 서로 단리된 상태로 보관하는 2구획 포장으로부터 나란히 (즉, 혼합되지 않은 채) 편리하게 동시압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자체로 효능과 반드시 관련되지는 않지만 제제 불안정성을 제거하고 다른 소비자 잇점을 전달하는 문제와 더 관련되는 다음과 같은 추가의 잇점을 제공한다:
(a) 성분들을 상이한 도메인들 내에 분할함으로써, 저장 중에 불안정성과 분리를 일으킬 수 있는 제제 성분들 간의 불상용성을 피할 수 있다.
(b) 2가지 상이한 구조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 도메인에 대해 최적 제품 점도, 소비자 느낌과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들 구조화 시스템은 각 도메인의 조건에 보다 밀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c) 각 도메인에 대한 최적 안정성을 위해 2가지 상이한 보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보존 시스템은 각 도메인의 조건에 보다 밀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d) 유사하게, 각 도메인에 2가지 염료/안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제품이 효과적이고 진정한 투-인-원 제품이라는 생각을 확고하게 하는 소비자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
(e) 제제 성분들을 사용시까지 별도의 도메인 내에 유지시킬 수 있어서, 이들이 배합되거나 반응하였을 때 발열, 점도 또는 외관의 변화와 같은 소비자가 인지할 수 있는 감각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과 기름때 제거제 함유 성분이 혼합되는 경우 배합된 조성물이 묽어져서 피부 상에 조성물의 분포를 향상시키고 기름때 제거를 개선시킬 수 있다.
(f) 임의의 UV광 감광 물질을 UV 여과능을 갖는 1개의 챔버 내에만 보유시킴 으로써, 이러한 UV 여과 포장의 양에 대해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g) 단일 챔버 포장보다 다챔버 포장을 이용하여 제품을 통과하는 빛의 경로 길이를 줄일 수 있음으로써 겉보기 투명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국소용 조성물 중에 조성물의 제1 성분과 제2 성분은 전형적으로 서로 20:80 내지 80:20, 바람직하게는 60:40 내지 40:60의 부피비로 존재할 수 있다. 포장 배치의 단순화를 위해, 국소용 조성물은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과 제2 기름때 제거제 성분을 서로 50:50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수성 도메인에 함유될 계면활성제는 인체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공지된 계면활성제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온화한 계면활성제, 즉, 피부 최외층인 각질층(stratum corneum)을 손상시키지 않는 계면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음이온성 세정제로는 하기 화학식의 지방 아실 이세티오네이트가 포함된다:
RCO2CH2CH2SO3M
상기 식에서, R은 C7-21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 암모늄과 같은 가용화 양이온이다. RCO기들의 3/4 이상이 12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코넛, 야자 또는 코코넛/야자 블렌드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음이온성 세정제는 하기 화학식의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이다:
RO(CH2CH2O)nSO3M
상기 식에서, R은 C8-22의 알킬기이고, n은 0.5 내지 10, 특히 1.5 내지 8이며, M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가용화 양이온이다.
다른 가능한 음이온성 세정제로는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술페이트, 술포숙시네이트, 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술포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에톡실화 포스페이트; 및 아실 락틸레이트, 글리시네이트, 알라니네이트 및 글루타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술포숙시네이트는 화학식 R5O2CCH2CH(SO3M)CO2M의 모노알킬 술포숙시네이트; 및 화학식 R5CONHCH2CH2O2CCH2CH(SO3M)CO 2M (여기에서, R5는 C8-C20 알킬, 바람직하게는 C12-C15 알킬이고, M은 가용화 양이온이다)의 아미도-MEA 술포숙시네이트일 수 있다.
사르코시네이트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R5CON(CH3)CH2CO2M (여기에서, R5는 C8-C20 알킬, 바람직하게는 C12-C15 알킬이고, M은 가용화 양이온이다)으로 나타내어진다.
타우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R5CONR6CH2CH2SO3M (여기에서, R5는 C8-C20 알킬, 바람직하게는 C12-C15 알킬이고, R6은 C1-C4 알킬이고, M은 가용화 양이온이다)으 로 나타내어진다.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로는 하기 화학식들로 나타내어지는 아실 알라니네이트, 아실 글리시네이트 및 아실 글루타메이트가 있다.
알라니네이트:
Figure 112000008974305-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C7-21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 암모늄과 같은 가용화 양이온이다. 아실 알라니네이트는 L-알라닌:
Figure 112000008974305-pat00002
또는 ∃-알라닌:
Figure 112000008974305-pat00003
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글리시네이트:
Figure 112000008974305-pat00004
상기 식에서, R은 C7-21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 암모늄과 같은 가용화 양이온이다.
글루타메이트:
Figure 112000008974305-pat00005
상기 식에서, R은 C7-21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 암모늄과 같은 가용화 양이온이다.
1급 알칸 술포네이트 또는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와 같은 경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제외될 것이다.
계면활성제가 비누를 포함하는 경우, 비누는 실질적으로 포화 C8-C22 탄소쇄를 갖는 물질로부터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C12-C18 탄소쇄를 갖는 칼륨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비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에 혼입시키기에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폴리글루코시드 계면활성제와 모노알킬 및(또는) 디알킬 포스페이트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폴리사카라이드, 락토비온아미드, 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에테르, 폴리히드록시아미드 (글루카미드), 1급 및 2급 알콜 에톡실레이트, 특히, 알콜 1몰 당 평균 1 내지 20몰의 에틸렌 옥시드로 에톡실화된 C8-20 지방족 알콜이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하기 화학식들로 나타내어지는 알킬암포아세테이트, 알킬암포프로피오네이트, 알킬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알킬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알킬 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린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Figure 112000008974305-pat00006
Figure 112000008974305-pat00007
상기 식들에서, R은 C8-20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n은 1 또는 2이며,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 암모늄과 같은 가용화 양이온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의 10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수준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거품 증강제 또는 피부 연화 유용제와 함께 보조 계면활성제를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의 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적합한 물질은 하기 화학식의 전체 구조식을 갖는 C7-18 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쯔비터이온성 세정제이다:
Figure 112000008974305-pat00008
상기 식에서, R1은 C7-18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C1-3의 알킬, 히드록시알킬 또는 카르복시알킬이며, m은 2 내지 4이며, n은 0 또는 1이며, X는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렌이며, Y는 -CO2 - 또는 -SO3 -이다.
상기 화학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쯔비터이온성 세정제로는 하기 화학식의 단순 베타인:
Figure 112000008974305-pat00009
및 하기 화학식의 아미도 베타인:
Figure 112000008974305-pat00010
(여기에서, m은 2 또는 3이다)을 포함한다
상기 식들에서 R1, R2 및 R3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특히, R1은 R1기의 1/2 이상, 바람직하게는 3/4 이상이 10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도록 코코넛으로부터 유도된 C12 및 C14 알킬기의 혼합물일 수 있다. R2 및 R3은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다.
하기 화학식들의 술포베타인이 또한 가능하다.
Figure 112000008974305-pat00011
또는
Figure 112000008974305-pat00012
상기 식들에서, m은 2 또는 3이고, 치환기들 중 -(CH2)3SO3 -
Figure 112000008974305-pat00013
로 치환될 수 있으며, R1, R2 및 R3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계 조성물 중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은 또한 비교적 소량의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는 2개 이상의 폴리올기를 함유하고, 탄소쇄 길이가 C4 이하이며, 분자량이 약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 특히 프로필렌 글리콜이 있다.
국소용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성분 중 이러한 단쇄 기름때 제거제의 유효량은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의 약 0.5 내지 약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이다. 어떤 경우에는 10 내지 15 중량% 수준의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가 바람직하지만, 몇몇 환경 하에서는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 수준이 약 12% 이상이면 조성물의 점도가 바람직하지 않게 감소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수준에서는, 2성분계 조성물의 메이크업 제거 효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성분의 안정성과 관련하여 역효과는 없었다. 이러한 수준으로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를 함유한 조성물은 고온 또는 저온 안정성 면에서의 조성물의 물리적 안정성 및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염료에 대한 안정성에 또한 기 여할 수 있다.
특히 단쇄 기름때 제거제가 프로필렌 글리콜인 경우, 조성물 중에 프로필렌 글리콜 수준이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의 약 6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인 경우 계면활성제 함유 조성물의 항균 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종류인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또는 모노- 및(또는) 디알킬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프로필렌 글리콜을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 중의 기름때 제거제로서 사용하면 또한 조성물의 제1 성분의 안정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계면활성제 함유 상은 어떠한 폴리에틸렌 글리콜도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의 약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들은 특히 모노- 및(또는) 디알킬 포스페이트 계면활성제 또는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계면활성제 함유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불리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조성물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또한 다른 경우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 중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많은 염료와 상용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계 조성물의 제2 성분에 사용되는 제거제는 액체 또는 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며,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예를 들면, 광유, 이소헥사데칸), 에스테르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실리콘 (예를 들면, 시클로 메티콘), 천연 또는 합성 트리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피마자유, 해바라기 기름, 마케다미아 견과유,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식물 추출물 (예를 들면, 조롱나무(Witch hazel), 선옹초(Cornflower)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거제는 편의상
(a)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고분자 폴리올 (예를 들면, PEG 200-600);
(b)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솔비톨과 같은 다가 알콜;
(c) 에탄올과 같은 용제;
(d) HLB 값이 10 미만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f)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성분에서 특히 바람직한 제거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이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2 성분 중의 제거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의 서로 1:3 내지 3:1 비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이 비율에서 최적의 메이크업 제거를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우수한 안정성, 특히, 저온 안정성을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거제를 포함하는 도메인은 또한 물을 0 내지 70%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1종 이상의 친수성 계면활성제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최종 헹굼 단계 동안 수중유상 에멀젼의 형성을 촉진하도록 포함되며, 단 이러한 에멀젼은 제제화된 도메인 중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거제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중에 조성물의 제거제 성분의 1 내지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전해질 민감성 계면활성제이고, 조성물의 기름때 제거제 성분은 전해질을 함유하여, 혼합시 묽어지는 조성물의 계면활성제를 제공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기름때 제거를 보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은 또한 편의상 평균 입자 크기가 10 미크론 이상인 실리카를 함유한다. 실리카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의 3 내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중량%, 최적으로는 약 10 중량% 수준으로 포함된다.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 중에 대략 이 정도 수준으로 실리카가 존재하면 조성물의 메이크업 제거 능력에는 긍정적으로 기여하지만, 보다 높은 수준에서는 조성물의 가공성이 손상될 수 있다.
실리카는 또한 조성물의 제2 기름때 제거제 성분에 유사한 수준으로 혼입될 수 있다.
입자 크기가 10 미크론 이상인 미세화 폴리에틸렌과 같은 다른 미세한 분말이 또한 국소용 조성물 중에 유용하게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단쇄 1가 알콜, 예를 들면, 에탄올을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함유하여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약 5 중량% 미만의 단쇄 1가 알콜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 환경에서는 소량 (예를 들면, 2% 이상)의 단쇄 1가 알콜의 존재가 조 성물의 항균성에 유익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추가 성분으로는 구성제 또는 증점제가 있으며, 이들은 저장 중에 안정성을 유지시키고 분배 또는 사용 중에 적절한 점도를 제공하도록 조성물의 2가지 상들 중 하나에 또는 둘 모두에 첨가될 수 있다.
수성 거품 형성 계면활성제 상을 구성하는데 적합한 물질은 계면활성제 미셀의 크기 또는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해질; 계면활성제에 대한 내성이 있는 수용성 중합체; 및 점토 또는 비결정질 실리카와 같은 무기 물질을 포함한다.
제거제를 포함하는 제2 상에 바람직한 증점제를 선택하는 것은 이 상이 수성인지 또는 비수성인지 (예를 들면, 유성 또는 폴리올 기재)에 좌우된다. 수성 또는 폴리올-기재 상에 적합한 증점제로는 친수성 중합체, 무기 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유성상에 적합한 증점제로는 유용성(油溶性) 중합체, 왁스 및 무기 물질, 특히 소수성으로 개질된 것들이 포함된다.
구성제와 증점제의 추가 예는 문헌["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5판 1993, CTFA (The Cosmetic, Toiletry & Fragrance Association) 발간]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 인용됨)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성물의 다른 전형적인 성분들로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의 불투명화제;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중량%의 보존제; 및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의 향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물리적 외양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은 기름때 제거제 용액과 수성 거품형성 계면활성제 용액이 분리되어 있지만 포장 수단으로부터 함께 분배될 수 있는 것이다. 대개, 포장 수단은 단일 포장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포장 수단에는 2개 이상의 분리된 구획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포함된다.
나란하게 배치된 구획들 또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배치된 구획들의 구조를 갖는 2구획 펌프 분배기 및 2중 튜브를 비롯한 다양한 포장 수단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미국 특허 제5,020,694호에 개시된 다중공 분배 용기와 동 제4,964,539호에 개시된 다챔버 튜브가 있다.
수성 계면활성제 및 제거제는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예를 들면, 조성물이 의도된 용도에 따라 예정된 비율로 분배될 수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와 제거제를 배합 상태로 분배하는 잇점은 두 성분들을 사후 혼합해야 하는 불편함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조성물의 별도의 성분들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한 상황에서는 단일 포장 수단이 수성 계면활성제와 기름때 제거제가 분리되어 담겨있는 2구획 구조를 포함할 수 있지만, 더 많은 수의 구획들이 가능하며, 단일 구획 시스템도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일 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분리된 도메인들은 계면활성제와 제거제의 별도의 스트라이프로 또는 한 성분의 액적 (임의로 캡슐화 형태로서)이 다른 하나에 현탁된 시스템으로 실현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와 제거제를 분리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개개의 스트라이프들 또는 액적들이 계면활성제 또는 제거제를 함유하는 현탁된 액적 또는 스트라이프 생성물이 생성되도록, 조성물의 별도의 도메인들을 공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단일 챔버 팩에 충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편의상 피부 세척용 제품, 예를 들면, 세안용 또는 손 세정용 조성물로서 제제화할 수 있지만, 목욕 또는 샤워 젤 또는 모발 세정용 제품으로 제제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부을 수 있는 액체 또는 반액체, 예를 들면, 젤 또는 페이스트일 수 있다.
실시예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더 예시할 것이다.
다음 조성물들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용 조성물의 성분을 나타낸다. 조성물 1 내지 5는 국소용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에 적합한 것을 나타내며, 조성물 6 내지 10은 조성물의 제2 기름때 제거제 함유 성분에 적합한 것을 나타낸다. 국소용 조성물의 성분들은 배합되어, 앞서 언급한 미국 특허 제5,020,694호 또는 동 제4,964,539호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유형의 트윈(twin) 실린더 팩에 포장되고 상기 팩으로부터 분배시키기에 적합하다.
조성물들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조성물의 경우, 실리카, 폴리에틸렌 분말, 향수 및 보존제를 제외한 조성물의 성분들을 함께 혼합한 다음, 실리카 및 폴리에틸렌 분말을 첨가하고 진공 하에 혼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향수 및 보존제를 첨가하고 혼합한다. 제2 성분의 경우, 아크릴레이트 보조중합체를 고 전단 하에 물에 분산시키고, 기름 때 제거제 및 보존제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균일한 분산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나머지 성분들을 진공 하에 교반하면서 첨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성분들을 2구획 포장의 챔버들에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 포장은 조성물의 2개 성분들을 동일한 부피로 분배시킨다.
실시예 1 2 3 4 5
알킬 글리코사이드 (1) 20 20 20 -- --
라우릴 모노포스페이트 (2) 40 38 30 -- --
코코일 아미드 프로필디메틸 글리신 용액 (3) 2.0 1.0 2.0 -- --
SLES -- -- -- 30 40
CAPB -- -- -- 10 10
프로필렌 글리콜 12 10 8 8 10
글리세롤 -- -- 2 -- 5
실리카 10 10 5 8 10
폴리에틸렌 분말 2.0 2.0 2.0 5.0 1.0
폴리옥세틸렌 (160 EO) 소르비탄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4) 0.5 0.5 0.5 0.5 0.5
4나트륨 에덴테이트 0.05 0.05 0.05 0.05 0.05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0.5 0.5 0.5 0.5 0.5
100 까지
(1) Mydol 12, ex. Kao
(2) Priory B-300D, ex. Kao
(3) Nissan Anon BDF-H, ex. NOF Corporation
(4) Rheodol TWIS399C, ex. Kao
실시예 6 7 8 9 1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 중합체 0.6 0.4 0.5 0.4 0.6
프로필렌 글리콜 10 20 24 16 30
글리세롤 40 30 24 32 20
메틸 파라히드록시 벤조에이트 0.3 0.2 0.1 0.3 0.2
그린 No 201 (염료) 0.0005
2나트륨 에덴테이트 0.05
KOH 0.1
폴리옥시에틸렌 0.3
폴리옥시프로필렌 2 데실 테트라데실 에테르 (5) 0.3
향수 1.0
100 까지
(5) PEN-4630, ex. Nikko Chemicals
본 발명은 인체를 세정하고 기름때를 제거하기 위해, 특히, 피부로부터 메이크업을 제거하기 위해 국소용으로 적합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로 얼굴에서 메이크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일반적으로 거품성 클렌저와 관련되는 깨끗하고 상쾌한 피부 느낌의 잇점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된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29)

  1. a)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쯔비터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들), 비누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도메인을 함유하는 제1 성분 (이 계면활성제 함유 조성물은 유효량의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를 함유한다); 및
    b) 1종 이상의 기름때 제거제(들)를 함유하는, 수성 도메인 또는 비유화 상태의 비수성 도메인을 함유하는 제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도메인들은 크기가 1000 미크론 이상이며, 분리되어 있지만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별개의 도메인으로 함께 분배될 수 있는, 2성분계 세정 및 기름때 제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포장 수단이 2개의 분리된 구획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들 중 하나가 미세캡슐화 형태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들이 예정된 비율로 함께 분배되는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때 제거제가 고분자 폴리올; 다가 알콜; 크기가 10 미크론보다 큰 고체 입상 물질; 용제; HLB 값이 10 미만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이 전해질 민감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조성물의 제2 기름때 제거제 성분이 전해질을 함유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과 제2 기름때 제거제 성분을 혼합할 때 묽어지는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가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의 0.5 내지 15 중량% 수준으로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성분에 존재하는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가 2개 이상의 폴리올기를 갖는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의 분자량이 100 미만인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의 탄소쇄 길이가 C4 이하인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쇄 폴리올 기름때 제거제가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롤인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모노알킬 포스페이트 계면활성제인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지 않거나 0 초과 내지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2 기름때 제거제 성분이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대 글리세롤의 비가 1:3 내지 3:1인 조성물.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실리카를 조성물의 제1 계면활성제 함유 성분의 3 내지 15 중량% 더 포함하는 조성물.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쇄 1가 알콜을 전체 조성물의 0중량% 초과 내지 5중량% 미만의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때 제거제가 증점제에 의해 증점된 조성물.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2 기름때 제거제 성분이 기름때 제거제를 제2 성분의 1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때가 화장품 메이크업인 조성물.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도메인이 증점제에 의해 증점된 조성물.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적합한 분배 포장 중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세정 조성물을 포함하는 포장된 국소용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이 2개 이상의 구획을 갖는 포장된 조성물.
  29. 제27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1 성분과 제2 성분이 서로 50:50의 부피비로 존재하는 포장된 조성물.
KR1020000023877A 1999-05-05 2000-05-04 세정제 조성물 KR100706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10387A GB2349646B (en) 1999-05-05 1999-05-05 Two-part cleansing composition
GB9910387.1 1999-05-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684A KR20010029684A (ko) 2001-04-06
KR100706149B1 true KR100706149B1 (ko) 2007-04-11

Family

ID=1085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877A KR100706149B1 (ko) 1999-05-05 2000-05-04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04540B2 (ko)
KR (1) KR100706149B1 (ko)
CN (1) CN1240365C (ko)
GB (1) GB2349646B (ko)
ID (1) ID258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7515B1 (fr) * 2001-07-20 2005-06-03 Oreal Composition moussante a base de silice et de polymere cationique
US6673755B2 (en) * 2002-01-16 2004-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containing cleansing and skin active phases separated by one or more packaging barriers
US7053029B2 (en) * 2002-03-27 2006-05-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se indicating soap
FR2915373A1 (fr) * 2007-04-27 2008-10-31 Oreal Composition de soin et/ou de demaquillage de matiere(s) keratinique(s)
JP2009191098A (ja) * 2008-02-12 2009-08-27 Diversey Ip Internatl Bv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0223A1 (en) * 1994-06-24 1996-01-04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es for production of quinoline or quinazoline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therefor
WO1996002230A1 (en) * 1994-07-19 1996-02-01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5917B1 (en) * 1988-11-09 2000-03-14 Oreal Eye makeup remover with two separate phases
DE4100490C1 (ko) * 1991-01-10 1992-03-05 Goldwell Ag, 6100 Darmstadt, De
JPH09151113A (ja) * 1995-11-30 1997-06-10 Noevir Co Ltd 皮膚洗浄料
EP0916334A1 (en) * 1997-11-07 1999-05-19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0223A1 (en) * 1994-06-24 1996-01-04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rocesses for production of quinoline or quinazoline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therefor
WO1996002230A1 (en) * 1994-07-19 1996-02-01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910387D0 (en) 1999-07-07
JP4704540B2 (ja) 2011-06-15
ID25811A (id) 2000-11-09
JP2001019620A (ja) 2001-01-23
CN1240365C (zh) 2006-02-08
GB2349646A (en) 2000-11-08
GB2349646B (en) 2004-01-07
CN1279063A (zh) 2001-01-10
KR20010029684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638B1 (ko) 세제조성물
AU2001276913B2 (en) Self foaming cleansing gel
CA1266439A (en) Mild cleansing mousse with skin feel and moisturization benefits
KR100511033B1 (ko) 개별적으로분배된세정기재및계면활성제가더포함된유익기재를함유하는세정조성물
JP2536800B2 (ja) 洗剤組成物
US5002680A (en) Mild skin cleansing aerosol mousse with skin feel and moisturization benefits
EP1267825B1 (en) Extrudable multiphase composition comprising a lamellar phase and an isotropic phase
US20030003069A1 (en) Multiple phase foaming personal cleansing products
US20010006088A1 (en) Multilayered foaming spray product
CA2522826A1 (en) Striped liqui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cleansing phase and a separate benefit phase comprising a water in oil emulsion
ZA200207067B (en) Extrudable multiphase composition comprising lamellar phase inducing structurant in each phase.
JP2001509162A (ja) 洗浄製品
JPH0920618A (ja) 皮膚洗浄用品
JP2007169248A (ja) 液体皮膚洗浄剤組成物
CN105686973A (zh) 一种卸妆乳液及湿巾
EP0896523B1 (en) Cleansing composition
KR100706149B1 (ko) 세정제 조성물
JP4348022B2 (ja) 洗浄剤組成物
JP3562015B2 (ja) 皮膚洗浄用品
JPH08165235A (ja) 皮膚洗浄用品
KR101590219B1 (ko) 액체 피부 세제 조성물
KR102223238B1 (ko)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192535A (ja) 二層分離型クレンジング料
KR20180017722A (ko)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GB2523337A (en) Dry powder cleaning compositions and packing method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