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638B1 - 세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638B1
KR100590638B1 KR1019980047561A KR19980047561A KR100590638B1 KR 100590638 B1 KR100590638 B1 KR 100590638B1 KR 1019980047561 A KR1019980047561 A KR 1019980047561A KR 19980047561 A KR19980047561 A KR 19980047561A KR 100590638 B1 KR100590638 B1 KR 100590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urfactant
domains
remover
aqu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5081A (ko
Inventor
이안 가드너 라일
메이비스 클레어 페리라
제이슨 리차드 윌리암스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9723644.2A external-priority patent/GB9723644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723643.4A external-priority patent/GB9723643D0/en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1999004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39Coated compositions or coated components in the compositions, (micro)caps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및 피부로부터의 유성 오물 제거제를 포함하고, 이때 계면활성제 및 유성 오물 제거제가 분리되어 있으나, 별도의 도메인으로서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비율로 함께 분배될 수 있는, 클렌징 및 유성 오물 제거용 수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성 오물 제거제와 계면활성제의 분리는 피부로부터 유성 오물의 제거를 개선시켜 소비자들에게 깨끗하고 신선한 느낌을 준다.

Description

세제 조성물 {Deter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인체로부터 유성 오물의 클렌징 및 제거, 특히 피부, 입술, 머리카락 및 손톱으로부터 메이크업을 지우기 위해 국부 도포하기에 적합한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메이크업을 지우도록 배합되었으면서, 일반적으로 포밍 클렌저와 관련한 깨끗하고 상쾌한 피부 감촉의 유익한 효과를 전달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메이크업을 지우기 위해 배합된 조성물들은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오물의 구성요소인 왁스 및 안료 입자로 이루어진 유성층을 침투하여 분산시키는데 유효한, 화장유와 같은 용매를 높은 수준으로 함유한다. 상기 메이크업 제거제 조성물들은 예를 들면 코튼 패드를 사용하여 문질러서 지우거나 (wipe-off) 물로 헹궈서 지우도록 (rinse-off) 디자인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들은 메이크업 베이스 및 용매 오일의 공에멀젼화를 일으키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오일로서 또는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으로서 배합된 메이크업 제거제는 통상적으로 피부에 기름기있는 느낌으로 남게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또한 비-포밍이거나 헹굼시 아주 적은 비누 거품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소비자들은 주로 클렌징 후 깨끗하고 상쾌한 피부 감촉을 선호한다. 상기 결과를 얻기 위한 욕구, 특히 두텁게 메이크업을 한 경우의 이러한 욕구로 인해 종종 아래의 이중 클렌징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바아 비누, 세안제, 목욕용 품, 샴푸 및 샤워 겔과 같은 종래의 포밍 클렌저는 물과 혼합시 풍부한 비누 거품을 일으키고, 피부 표면으로부터 약간의 오물 (예, 피지)을 제거하여 깨끗하고 상쾌한 피부 감촉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제품들은 메이크업과 같은 과중한 오물을 제거하는데는 효과가 적은 것이 보통이다.
근년에, 효과적인 메이크업 제거라는 유익한 효과와 간편한 헹굼성, 비누 거품성 및 일반적으로 포밍 클렌저와 관련된 피부 감촉 속성을 합한 특성이 있는 것으로 주장하는 새로운 유형의 "투-인-원 (2-in-1)" 클렌저가 생겨났다. 이들 제품들이 뚜렷한 시장 점유율을 얻는데 실패한 것은 그들의 배합물로 제조되어야 한다는 점을 극복하지 못한 결과이다. 따라서, 종래의 안면 폼 배합물로부터 유도된 공지의 "투-인-원" 클렌저들이 메이크업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실패한 반면, 종래의 메이크업 제거제 배합물로부터 유도된 것들은 완벽하게 깨끗하고 상쾌한 피부와 관련된 유익한 느낌을 주는데는 실패하였다.
또한 클렌징 및 보습 효과를 모두 제공하는 또다른 종류의 "투-인-원" 제품을 배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국제 특허 공보 제96/02230호는 계면활성제 및 유용제가 따로 있지만 별도의 도메인으로서 소정의 비율로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함께 분배될 수 있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유용제와 계면활성제의 분리는 유용제의 침착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제 특허 공보 제 96/02230호가 피부상에 물질을 침착시키는 것에 관한 것인데 반해, 본 발명은 피부로부터 물질을 제거하는 반대 효과를 성취하는 것이다.
그러한 이중 목적의 조성물들이 통상적으로 부닥치게 되는 문제들 중 하나는 그들이 불충분한 수준의 제거제 성분을 함유하거나 사용시에 효과적으로 활성이기에는 불충분한 양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기 클렌징 및 보습 또는 우물-제거 조성물과 관련한 또다른 문제는 불안 정성이다. 비-비누 세제, 실리콘유 및 양이온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샤워 겔에 관한 국제 특허 공보 제94/03152호에 따르면, 제품 안정성을 유지하고자 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실리콘유의 최대 평균 소적 크기는 2 미크론이다.
본 발명자들은 유성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포밍 클레저와 관련된 유익한 느낌도 줄 수 있는, 상기 조성물들의 배합 방법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클렌징 및 오물 제거용 이중 제품의 안정성, 및 제거제의 전달 및 유효성이, 클렌징 및 제거 성분들이 별도의 도메인으로서 분리되어 있지만 하나의 포장 수단으로부터 함께 분배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양태는
a)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쪽이온계, 쯔비터이온계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비누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도메인, 및
b) 1종 이상의 유성 오물 제거제를 함유하는, 에멀젼화되지 않은 상태의 수성 또는 비수성 도메인
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도메인들의 크기가 1000 미크론을 초과하며, 별도의 도메인으로서 분리되어 있지만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함께 분배될 수 있는 액상의 클렌징 및 유성 오물 제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조성물은 피부를 완벽하게 클렌징하기에 적합하다. 제거제는 메이크업과 같은 유성 오물을 피부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조성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i) 계면활성제 및 유성 오물 제거제를 포장 수단으로부터 분배하는 단계,
ii) 계면활성제 및 유성 오물 제거제를 인체에 도포하는 단계, 및
iii) 유성 오물 및 클렌징제로 이루어진 생성 혼합물을 물로 헹궈서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클렌징 및 유성 오물 제거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로부터 유성 오물을 제거하는 것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국부 적용 및 사용을 위해 포장된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의 용도에 적합한 포장은 2구획 포장과 같은 다구획 포장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잇점은 사용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액상 조성물에 의해 유성 오물의 제거를 개선시킨다는 것이다. 계면활성제 및 제거제는 조성물 중에 분리되어 있으며, 심지어 조성물 중에서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후자의 상태는 2 성분간에 발생하여 제거제의 무효과 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역상호작용을 피하게 한다.
이론에 얽매임이 없이, 사용시 조성물을 문질러 바르는 동안 제거제가 비교적 큰 소적들로 분배되어, 이들 소적들이 메이크업과 같은 유성 오물을 피부로부터 쉽게 제거한다고 생각된다. 제거제 도메인이 물과 혼합되지 않는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제거제 및 수성 포밍 계면활성제 도메인을 분리함으로써, 에멀젼 기술을 하용하여 초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유성 오물을 제거하는데 있어서는, 조성물을 문질러 바르는 동안 그 자리에서 형성되고 유성 오물 제거상이 단일 상 또는 단일 도메인으로서 분산됨에 따라 촉진되는 비교적 큰 소적들이 비교적 작은 에멀젼 소적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메이크업의 제거는 국부적으로 높은 농도인 메이크업막에 유효 제거제를 전달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그 다음, 비교적 큰 소적들은 사용시에 도포하는 동안의 문지르는 작용에 의해 그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들은 조성물의 수성 계면활성제 상 중에 분산된 상으로서 쉽게 용해된다.
본 발명은 필수적으로 효능과 관련되지는 않으나, 아래의 사항들을 포함하는 배합물의 불안정성의 극복 및 다른 소비자 유익 효과의 전달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부가 잇점을 제공하다.
(a) 성분들을 상이한 도메인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저장하는 동안의 불안정성 및 분리를 야기할 수 있는 배합물 성분의 불혼화성을 피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높은 수준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제거제의 바람직한 성분인 경우, 모든 또는 대부분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다른 유성 오물 제거 도메인으로 배합함으로써 수성 계면활성제의 상분리를 피할 수 있다.
(b) 각 도메인의 요구에 보다 적절히 조절된 2개의 구조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 도메인에 있어서의 최적의 제품 점도, 소비자 만족도 및 외양을 제공할 수 있다.
(c) 각 도메인의 요구에 보다 적절히 조절된 2개의 보존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 도메인에 있어서 최적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d) 유사하게, 각 도메인에 있어서 2개의 염료/안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소비자 유익 효과를 전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품이 효과적이고 진정한 투-인-원 제품이라는 개념을 강화시킬 수 있다.
(e) 배합물 성분들이 반응하여 소비자들이 인식할 수 있는 센세이션, 예를 들면 열 발생, 점도 또는 외양의 변화를 일으킬 경우, 사용시까지 이들을 별도의 도메인에 보관할 수 있다.
(f) 임의의 UV-광 민감성 재료를 UV 여과능을 가진 하나의 챔버에만 담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UV 여과 포장의 양적인 측면에서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다.
(g) 단일 챔버에 비해 다중 챔버 포장의 사용이 제품을 통한 빛의 경로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겉보기 투명도를 증가시킨다.
조성물의 수성 도메인에 담기 위한 계면활성제는 인체의 국부 적용에 적합한 모든 공지의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마일드 계면활성제, 즉 피부의 바깥층인 각질층을 손상시키지 않는 계면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음이온계 세제로는 아래 화학식의 지방 아실 이세티오네이트가 있다.
RCO2CH2CH2SO3M
상기 식에서, R은 7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과 같은 용해성 양이온이다. RCO 기들의 3/4 이상이 12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코넛, 팜 또는 코코넛/팜 블렌드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음이온계 세제로는 아래 화학식의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가 있다.
RO(CH2CH2O)nSO3M
상기 식에서, R은 8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기이고, n은 0.5 내지 10, 특히 1.5 내지 8의 범위이고, M은 앞서와 같은 용해성 양이온이다.
다른 가능한 음이온계 세제로는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술페이트, 술포숙시네이트, 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술포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에톡실화된 포스페이트, 및 아실 락틸레이트, 글리시네이트, 알라니네이트 및 글루타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술포숙시네이트는 화학식 R5O2CCH2CH(SO3M)CO2M의 모노알킬 술포숙시네이트, 및 화학식 R5CONHCH2CH2O2CCH2CH(SO3M)C02M의 아미도-MEA 술포숙시네이트가 있다. 상기 식들에서, R5는 C8-C20 알킬, 바람직하게는 C12-C15 알킬의 범위이고 M은 용해성 양이온이다.
사르코시네이트는 일반적으로 아래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R5CON(CH3)CH2CO2M
상기 식에서, R5는 C8-C20 알킬, 바람직하게는 C12-C15 알킬의 범위이고, M은 용해성 양이온이다.
타우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아래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R5CONR6CH2CH2SO3M
상기 식에서, R5는 C8-C20 알킬, 바람직하게는 C12-C15 알킬의 범위이고, R6은 C1-C4 알킬의 범위이고, M은 용해성 양이온이다.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로는 아래 화학식에 의해 표시되는 아실 알라니네이트, 아실 글리시네이트 및 아실 글루타메이트가 있다.
알라니네이트:
상기 식에서, R은 7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과 같은 용해성 양이온이다. 아실 알라니네이트는 L-알라닌 또는 β-알라닌 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글리시네이트:
상기 식에서, R은 7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과 같은 용해성 양이온이다.
글루타메이트:
상기 식에서, R은 7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과 같은 용해성 양이온이다.
일차 알칸 술포네이트 또는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와 같은 거친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계면활성제가 비누를 포함할 경우, 비누는 바람직하게는 C8 내지 C23의 실질적으로 포화된 탄소쇄를 가진 물질로부터 유도되고, C12 내지 C18의 탄소쇄를 가진 칼륨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비누가 바람직하다.
적합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폴리사카라이드, 락토비온아미드, 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에테르, 폴리히드록시아미드 (글루카미드), 일차 및 이차 알콜 에톡실레이트, 특히 알콜 1몰 당 평균 1 내지 20몰의 에틸렌 옥시드를 가진 에톡실화된 C8-20 지방족 알콜이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화학식 (여기서, R은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n은 1 또는 2이고, M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치환된 암모늄과 같은 용해성 양이온임)으로 표시되는 알킬암포아세테이트, 알킬암포프로피오네이트, 알킬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알킬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알킬 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린의 유도체가 있다.
상기된 임의의 계면활성제로 된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전체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또한 조성물이 폼 부스팅 (foam boosting) 또는 피부-연화 유익 효과를 가진 조계면활성제를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적합한 물질은 7 내지 18개 탄소 원자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가진 쯔비터이온계 세제이고 전체 화학식은 아래와 같다.
상기 식에서, R1은 7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 히드록시알킬 또는 카르복시알킬이고,
m은 2 내지 4이고,
n은 0 또는 1이고,
X는 경우에 따라서 히드록실에 의해 치환된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로 된 알킬렌이고,
Y는 -CO2 - 또는 -SO3 -이다.
상기 화학식의 범위내의 쯔비터이온계 세제로는 화학식 의 단순한 베타인 및 화학식 의 아미도 베타인이 있다.
상기 식들에서, m은 2 또는 3이고, R1, R2 및 R3은 앞서 정의된 것과 같다. 특히 R1은 코코넛으로부터 유도된 C12 및 C14 알킬기의 혼합물일 수 있기에, 기 R1의 절반 이상, 바람직하게는 3/4 이상이 10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이다. R2 및 R3은 메틸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또는 의 술포베타인, 또는 -(CH2)3SO3 -에 의해 치환된 이들의 변형체도 가능하다.
상기 식에서, m은 2 또는 3이고. R1, R2 및 R3은 앞서 정의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 사용된 제거제는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예, 광물성 오일, 이소헥사데칸), 에스테르 (예,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실리콘 (예, 시클로메티콘), 천연 또는 합성 트리글리세라이드 (예,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마카다미아 견과유,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식물 추출물 (예, 위치 헤이즐 (Witch hazel), 수레국화 추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거제는 a)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중합성 폴리올 (예, PEG 200 내지 600),
b)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및 소리비톨과 같은 다가 알콜,
c) 미세화된 폴리에틸렌 또는 실리카와 같은 10 미크론을 초과하는 크기의 고체 미립자 물질,
d) 에탄올과 같은 용매,
e) HLB 수가 10 미만인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f)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PEG-400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제거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거제를 포함하는 도메인은 물을 0 내지 70%의 양으로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이는 배합된 도메인 중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최종 헹굼 단계에서 유중수 에멀젼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포함된, 1종 이상의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제거제는 총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른 가능한 최적의 성분으로는 저장시 안정도를 유지하기 위해 조성물의 상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첨가될 수 있고 분배 및 사용시 적절한 점도를 제공하는 구조제 또는 증점제가 있다.
수성 포밍 계면활성제 상을 구조화하기에 적합한 재료로는 계면활성제 교질입자의 크기 또는 결합 구조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해질, 구조제에 대한 내성을 가진 수용해성 중합체, 및 점토 또는 무정형 실리카와 같은 무기 재료가 있다.
제거제를 포함하는 이차상에 대한 바람직한 증점제의 선택은 이 상이 수성인가 비수성인가 (예, 유성인가 폴리올 기재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수성 또는 폴리올-기재의 상에 대해 적합한 증점제로는 친수성 중합체, 무기 재료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오일-기재의 상에 대한 적합한 증점제로는 오일 용해성 중합체, 왁스, 및 무기 재료, 특히 소수성으로 개질된 것들이 있다.
구조제 및 증점제들의 추가 예로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Fifth Edition, 1993, published by CTFA (The Cosmetic, Toiletry & Fragrance Association)]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들의 다른 통상의 성분들로는 불투명제를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 방부제를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중량%, 및 방향제를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물리적 양상과 관련하여, 유성 오물 제거 용액 및 수성 포밍 계면활성제 용액이 별도로 있으나 포장 수단으로부터 함께 분배될 수 있음이 본 발명의 필수 특징이다. 통상, 후자는 단일 포장 수단일 수 있다. 상기 포장 수단은 2개 이상의 별도의 구획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포함한다. 광범위한 종류의 상기 포장 수단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옆으로 나란하거나 다른 것의 내부에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 형태일 수 있는, 2중 구획 펌프 분배기 및 이중 튜브가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미국 특허 제5,020,694호에 기재되어 있는 다공성 분배 용기 및 미국 특허 제4,964,539호에 기재되어 있는 다실 (multi-chamber) 튜브가 있다.
바람직한 수성 계면활성제 및 제거제는, 예를 들어 의도된 조성물을 용도에 따라 소정의 비율로,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분배할 수 있다. 분배용 계면활성제 및 제거제를 배합시에 분배하는 것의 잇점은 2 성분을 후-혼합하는 불편함을 없앤다는 것이다. 이는 조성물 중의 별도의 성분들을 정교한 비율로 혼합하여서 원하는 효과를 성취하고자 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비록 바람직한 상황에서, 단일 포장 수단이 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성 오물 제거제가 별도로 저장된 2중 구획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더 많은 수의 구획도 가능하고, 심지어 단일 구획 시스템도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별도의 도메인은 계면활성제 및 제거제의 별도 스트립으로서, 또는 한 성분이 다른 성분 중에 현탁된 소적으로서, 경우에 따라서 캡슐에 봉입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및 제거제를 확실히 분리하는 또다른 방법으로는 조성물의 별도 도메인을 공압출 또는 주사에 의해 단일 챔버 포장에 채워서, 개별 스트립 또는 소적이 계면활성제 또는 제거제를 함유하고 있는 현탁된 소적 또는 스트립된 제품을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세척용 제품, 예컨대 안면 또는 손 세척 조성물, 목욕 또는 샤워 겔, 또는 샴푸 제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따를 수 있는 액체 또는 반액체, 예를 들어 겔 또는 페이스트일 수 있다.
아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더 예시한다.
<실시예 1>
2개 도메인의 클렌징 조성물로 이루어진, 아래 2종의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a) 계면활성제 수용액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원료들은 100% 활성임)
화학명 상품명/공급자 중량%
KMAP/DAP + 미량의 성분들 프라이오리 (Priori) B300D (29% a.i. + 9%의 미량 성분)/카오 (Kao)사제 99.95%
염료/안료 패턴트 블로우 (Patent Blau) V80/훽스트 (Hoechst)사제 0.0001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1.5% 수용액) 캐쏜 (Kathon) CG/롬 앤드 하스 (Rohm and Haas)사제 0.05
제조: 먼저 프라이오리 B-300D에 방부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염료/안료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b) 유성 오물 제거제
화학명 상품명/공급자 중량%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라우레쓰 술페이트 (2 EO) 제테졸 (Zetesol)856/쯔심머 & 쉬바르쯔 (Zschimmer & Schwarz)사제 16.00
라우레쓰-4 브리즈 (Brij) 30/시그마사제 6.00
코코 모노에탄올아미드 엠필란 (Empilan) CME/올브라이트 앤드 윌슨 (Albright and Wilson)사제 5.50
침전된 실리카 소르보실 (Sorbosil)TC15/크로스필드 (Crosfield)사제 12.00
향료 피닉스 (Phoenix) 3000OPTFW/기바우단 (Givardan)사제 0.10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1.5% 수용액) 캐쏜 CG/롬 앤드 하스사제 0.05
이산화티탄 티오나 (Tiona) AG/SCM 사제 2.00
마카다미아 견과유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Macadamia Nut Oil)/잔 덱커 (Jan Dekker)사제 58.35
제조: 마카다미아 견과유, 브리즈 30 및 제테졸 856을 먼저 혼합하고 80℃로 가열하였다. 소르보실 TC15를 진공에서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미리 융해시킨 엠필란 CME를 넘치도록 붓고 혼합하였다. 그 다음 이산화티탄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방향제 및 방부제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포장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도입된 미국 특허 제5,020,694호에 기재된 형태의 2중 구획 펌프 분배기이다. 상기 분배기는 2개의 동공 및 별도의 평행한 실린더를 포함하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한쪽 끝이 닫혀 있으며, 끼워넣어서 이동하여 2개의 평행한 피스톤을 조절하는 다른쪽 끝을 가지고, 이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의 내벽을 따라 밀폐시키면서 이동하도록 하여 실린더 및 피스톤을 적절히 압축시킬 때, 그곳에 저장된 액상 제품을 실린더의 제1말단을 향해 흐르도록 하였다. 실린더는 액상 제품이 출구 개구부에서 서로를 향해 흘러서, 단일 밴드형으로 된 혼합되지 않은 제품의 스트립을 형성하는, 인접 출구 개구부 및 수단을 가지는 출구 수단과 통하는 출구 채널을 제공한다. 수성 계면활성제 용액 및 유성 오물 제거 용액을 분배기의 평행한 챔버에 채워서, 분배기 내의 총 조성물이 50 부피%의 제거 용액 및 50 부피%의 계면활성제 수용액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실시예 2>
(a) 계면활성제 수용액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원료들은 100% 활성임)
화학명 상품명/공급자 중량%
라우릴 MAP/DAP (78/22) 포스텐 (Phosten) HLP/니콜 (Nikkol)사제 26.70
트리에탄올아민 A-900/셀 (Shell)사제 13.30
방향제 피닉스 3000 OPTFW/기바우단로우어 (Givaudan Roure)사제 0.20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1.5% 수용액) 캐쏜 CG/롬 앤드 하스사제 0.05
59.75
제조: 물 및 라우릴 인산을 함께 혼합하고 80℃로 가열하였다.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여 산을 pH 7.0으로 중화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방향제 및 방부제를 혼합하면서 첨가하였다.
(b) 유성 오물 제거제
화학명 상품명/공급자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400 PEG 400/산요 카세이 (Sanyo Kasei) 90.00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1.5% 수용액) 캐쏜 CG/롬 앤드 하스사제 0.05
9.95
제조: 물 및 PEG 400을 함께 혼합하였다. 그 다음 방부제를 첨가하고 혼합 하였다.
배합물 도메인 (a) 및 (b)를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형태의 2중 구획 펌프 분배기의 챔버에 따로 채워서, 최종 조성물이 동등한 부피의 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성 오물 제거제 도메인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도메인 (a) 및 (b)을 동등 부로 합한 경우, 총 배합물은 응집 및 점성의 상실로 인해 흐려지고 신속히 상분리되었다. 그러나, 배합물 성분들을 2중 챔버 포장내의 그들의 별도 도메인에 보관할 경우, 안정성 문제를 피하게 되었고, 2개 챔버 모두에서 재료들이 투명한 상태로 남아있었다.
<실시예3>
(a) 계면활성제 수용액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원료들은 100% 활성임)
화학명 상품명/공급자 중량%
K 라우릴 MAP/DAP + 미량 성분 프라이오리 B300D (29% a.i. + 9% 미량 성분)/카오사제 88.85
침전된 실리카 소르보실 TC15/크로스필드사제 11.00
방향제 피닉스 3000 OPTFW/기바우단라우어사제 0.10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1.5% 수용액) 캐쏜 CG/롬 앤드 하스사제 0.05
제조: 소르보실 TC15를프라이오리 B-300D에 첨가하고 진공에서 혼합하였다. 그 다음 방향제 및 방부제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b) 유성 오물 제거제
화학명 상품명/공급자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PEG 400/산요 카세이사제 30.00
글리세롤 마루코 (Maruko) RG/니혼 유시 (NOF)사제 30.00
카르보머 카르보폴 (Carbopol)ETD2020/굿리치(Goodrich)사제 1.33
트리에탄올아민 A-900-셀사제 0.38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1.5% 수용액) 캐쏜 CG/롬 앤드 하스사제 0.05
38.24
제조: 카르보폴 ETD2020을 고전단 혼합하에서 수중에 분산시켰다. 그 다음 PEG 400, 글리세롤 및 방부제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 용액을 진공하에서 계속 교반하면서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여 pH 7.0으로 중화시켰다.
배합물 도메인 (a) 및 (b)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형태의 2중 구획 펌프 분배기의 챔버에 다로 채워서, 최종 조성물이 동등 부피의 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성 오물 제거제 도메인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도메인 (a) 및 (b)를 동등 부로 합하였을 경우, 총 배합물은 침전 및 점성의 상실로 인해 흐려지고 신속히 상분리되었다. 그러나, 배합물 성분들을 2중 챔버 포장내의 그들의 별도 도메인에 보관였경우,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고 챔버 (b)의 물질이 투명한 상태인데 반해 챔버 (a)의 물질은 불투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2 및 3에서의 배합물을 사용하여 분산된 생성물을 시판중인 공지의 "투-인-원" 클렌저에 대해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메이크업을 더 제거하였고 소비자가 느끼기에 깨끗하고 신선한 느낌을 주었다.
<실시예 4>
(a) 계면활성제 수용액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원료들은 약 100% 활성임)
화학명 상품명/공급자 중량%
K MAP/DAP + 미량 성분 프라이오리 B300D (29% a.i. + 9% 미량 성분)/카오사제 55.75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페그 (Peg) 400/피셔 (Flisher)사제 16.00
침전된 실리카 네오실 (Neosil)TC15/클로스필드사제 12.00
글리세롤 마루코 RG/니혼 유시사제 16.00
방향제 피닉스 3000 OPTFW/기바우단라우어사제 0.20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1.5% 수용액) 캐쏜 CG/롬 앤드 하스사제 0.05
제조: 프라이오리 B-300D, PEG 400 및 글리세롤을 함께 혼합하였다. 그 다음 네오실 CT15를첨가하여 진공에서 혼합하였다. 끝으로, 방향제 및 방부제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b) 유성 오물 제거제
화학명 상품명/공급자 중량%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카르보폴 울트레즈 (Ultrez)10/굿리치사제 0.5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PEG 400/산요 카세이사제 16.00
글리세롤 마루코 RG/니혼 유시사제 16.00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1.5% 수용액) 캐쏜 CG/롬 앤드 하스사제 0.05
트리에탄올아민 (90%) A-900/셀사제 0.55
증류수 66.90
제조: 먼저 카르보폴을 고전단 혼합하에서 수중에 분산시켰다. 그 다음 글리세롤, PEG 400 및 방부제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균질한 분산액을 형성하였다.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용액을 pH 7.0으로 중화시키면서, 진공하에서 계속 혼합하였다.
배합물 도메인 (a) 및 (b)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종류의 2중 구획 펌프 분배기의 챔버내에 따로 채워서, 최종 조성물이 동등 부피의 수성 계면활성제 및 유성 오물 제거제 도메인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4의 배합물을 사용하여 분산된 생성물을 시판중인 공지의 "투-인-원" 클렌저에 대해 추가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메이크업을 더 제거하였고 소비자가 느끼기에 깨끗하고 신선한 느낌을 주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수성 계면활성제와 유성 오물 제거제를 별도의 구획에 담아서, 사용시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는 용기를 사용할 경우, 2 성분이 하나의 용기내에 함께 담겨져 있는 제품에 비해 침전 및 점성의 상실로 인한 탁화 및 신속한 상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유성 오물의 제거를 개선시켜 소비자들에게 깨끗하고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다.

Claims (14)

  1. a)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쪽이온계, 쯔비터이온계 및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비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들)를 함유하는 수성 도메인, 및
    b) 중합체 폴리올, 다가 알콜, 10 미크론을 초과하는 크기의 고체 미립재, 용매, HLB 수가 10 미만인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성 오물 제거제(들)를 함유하는 수성 또는 비수성 도메인 (비수성 도메인은 에멀젼화되어 있지 않는 상태임)
    을 포함하고, 상기 도메인들은 그 크기가 1000 미크론을 초과하고 별도의 도메인으로서 분리되어 있지만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함께 분배될 수 있는 것인 클렌징 및 유성 오물 제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단일 포장 수단이 별도의 2구획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들 중 하나가 미세캡슐화된 형태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들이 소정의 비율로 함께 분배될 수 있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성 오물 제거제가 증점제를 사용하여 증점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성 오물 제거제를 1 내지 70 중량%로 함유하는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성 오물이 메이크업 화장품인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도메인이 증점제를 사용하여 증점되는 것인 조성물.
  9. i) 계면활성제 및 유성 오물 제거제를 포장 수단으로부터 분배하는 단계,
    ii) 계면활성제 및 유성 오물 제거제를 인체에 도포하는 단계, 및
    iii) 유성 오물 및 클렌징제로 이루어진 생성 혼합물을 물로 헹궈서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액상의 클렌징 및 유성 오물 제거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로부터 유성 오물의 제거를 향상시키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단일 포장 수단으로부터 분배된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및 유성 오물 제거제가 포장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비율로 분배되는 것인 방법.
  12. 적절한 분배용 포장 중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클렌징 조성물을 포함하는 포장된 국부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포장이 2개 이상의 구획들을 가지는 포장된 국부용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성 오물 제거제를 5 내지 50 중량%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980047561A 1997-11-07 1998-11-06 세제조성물 KR100590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723644.2A GB9723644D0 (en) 1997-11-07 1997-11-07 Detergent compositions
GB9723644.2 1997-11-07
GB9723643.4 1997-11-07
GBGB9723643.4A GB9723643D0 (en) 1997-11-07 1997-11-07 Detergent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081A KR19990045081A (ko) 1999-06-25
KR100590638B1 true KR100590638B1 (ko) 2006-09-22

Family

ID=2631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561A KR100590638B1 (ko) 1997-11-07 1998-11-06 세제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14290A (ko)
EP (1) EP0916334A1 (ko)
JP (1) JPH11199900A (ko)
KR (1) KR100590638B1 (ko)
CA (1) CA2251467A1 (ko)
ID (1) ID212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9646B (en) * 1999-05-05 2004-01-07 Unilever Plc Two-part cleansing composition
US6268322B1 (en) * 1999-10-22 2001-07-31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A Division Of Conopco, Inc. Dual chamber cleansing system, comprising multiple emulsion
US6673755B2 (en) * 2002-01-16 2004-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containing cleansing and skin active phases separated by one or more packaging barriers
US20030228270A1 (en) * 2002-06-10 2003-12-11 Erika Tazberik Foaming clay cleanser composition
US6758411B2 (en) 2002-08-09 2004-07-06 S. C. Johnson & Son, Inc. Dual bottle for even dispensing of two flowable compositions
DE10237735A1 (de) * 2002-08-17 2004-02-26 Beiersdorf Ag Kosmetikum zur Reinigung und Pflege
DE10237736A1 (de) * 2002-08-17 2004-02-26 Beiersdorf Ag Modisches Kosmetikum
DE10239649A1 (de) * 2002-08-29 2004-03-11 Beiersdorf Ag Reinigungszubereitung aus zwei Komponenten
EP1539124B1 (en) 2002-09-05 2018-07-18 Vanderbilt Royalty Sub L.P. Compositions and kits for the removal of irritating compounds from bodily surfaces
US7651989B2 (en) 2003-08-29 2010-01-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ingle phase color change agents
US7820609B2 (en) 2005-04-13 2010-10-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ld, structured, multi-phase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density modifiers
CA2603299A1 (en) * 2005-04-13 2006-10-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ctured multi-phased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branched anionic surfactants
CN101326106A (zh) * 2005-12-08 2008-12-17 宝洁公司 包括邻近表面形貌定位的模内标签的容器
US8067350B2 (en) 2005-12-15 2011-1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lor changing cleansing composition
US20070167338A1 (en) * 2006-01-09 2007-07-19 Mchugh Colin M Multiphase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beads
US8104616B2 (en) 2006-02-11 201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amshell package for holding and displaying consumer products
US8153144B2 (en) 2006-02-28 2012-04-1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Stable multiphase composition comprising alkylamphoacetate
US20090028808A1 (en) * 2007-07-27 2009-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article for sequentially dispensing compositions with variable concentrations of partitioned benefit or suspended benefit agents
US20090028809A1 (en) * 2007-07-27 2009-01-29 Jonathan Robert Cetti Personal care article for sequentially dispensing compositions with variable concentrations of hydrophobic benefit materials
CN102438703A (zh) * 2009-01-13 2012-05-02 宝洁公司 洗去型个人护理组合物
US20110190186A1 (en) * 2010-02-02 2011-08-04 University Of New Brunswick Skin cleansing system and method
CN111073382B (zh) * 2019-12-30 2022-04-05 郑州轻工业大学 一种新型环保清洗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124805A (ko) 2020-04-07 2021-10-15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 캡슐을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116A (ko) * 1987-01-08 1988-09-14 원본미기재 경도제거용 분산된 수성 유기 연화제를 사용한 세정 시스템
WO1997004419A1 (en) * 1995-07-19 1997-02-06 Morphometrix Technologies Inc. Window texture extraction for image analysis
WO1997004420A1 (en) * 1995-07-24 1997-02-0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Processing a video signal so as to modify an image represented thereby
JPH09151113A (ja) * 1995-11-30 1997-06-10 Noevir Co Ltd 皮膚洗浄料
KR970704419A (ko) * 1994-07-19 1997-09-06 알 브이 테이트 세제 조성물(Detergent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38492A (en) * 1963-02-06 1966-08-10 Johnson & Johnson Dispensing containers for detergents
LU57905A1 (ko) * 1969-02-04 1970-08-04
US4335103A (en) * 1977-03-28 1982-06-15 Almay, Inc. Multiphase cosmetic composition
US4348292A (en) * 1980-10-17 1982-09-07 Walton-March, Inc. Multi-layered liquid detergent-builder concentrate compositions which on addition to water produce stable cleaning solutions
US5013473A (en) * 1988-02-25 1991-05-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ncapsulated cosmetic materials and process of making
US5165917B1 (en) * 1988-11-09 2000-03-14 Oreal Eye makeup remover with two separate phases
GB2246363A (en) * 1990-07-23 1992-01-29 Unilever Plc Shampoo compositions.
GB9021417D0 (en) * 1990-10-02 1990-11-14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JPH0651615A (ja) * 1992-07-30 1994-02-25 Brother Ind Ltd 電子写真装置
FR2699404B1 (fr) * 1992-12-18 1995-01-27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biphase pour le démaquillage, le nettoyage ou le soin de la peau contenant du chlorure de benzalkonium.
DE69414131T2 (de) * 1993-12-07 1999-03-11 Unilever Nv Zweiteilige reinigungsmittelzusammensetzung welche mindestens eine peroxidverbindung enthaelt
JPH08157865A (ja) * 1994-12-07 1996-06-18 Lion Corp 洗浄剤組成物
EP0728475A3 (en) * 1995-02-21 1997-03-19 Kao Corp Epidermal cleanser
GB9602611D0 (en) * 1996-02-09 1996-04-10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GB9604972D0 (en) * 1996-03-08 1996-05-08 Disperse Tech Ltd Dispersions
US5929019A (en) * 1997-01-30 1999-07-27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Cleansing composition with separately dispensed cleansing base and benefit base wherein benefit base also comprises surfacta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116A (ko) * 1987-01-08 1988-09-14 원본미기재 경도제거용 분산된 수성 유기 연화제를 사용한 세정 시스템
KR970704419A (ko) * 1994-07-19 1997-09-06 알 브이 테이트 세제 조성물(Detergent Composition)
WO1997004419A1 (en) * 1995-07-19 1997-02-06 Morphometrix Technologies Inc. Window texture extraction for image analysis
WO1997004420A1 (en) * 1995-07-24 1997-02-0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Processing a video signal so as to modify an image represented thereby
JPH09151113A (ja) * 1995-11-30 1997-06-10 Noevir Co Ltd 皮膚洗浄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51467A1 (en) 1999-05-07
US6114290A (en) 2000-09-05
KR19990045081A (ko) 1999-06-25
JPH11199900A (ja) 1999-07-27
EP0916334A1 (en) 1999-05-19
ID21255A (id) 199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638B1 (ko) 세제조성물
KR100511033B1 (ko) 개별적으로분배된세정기재및계면활성제가더포함된유익기재를함유하는세정조성물
US5612307A (en)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eparate stripes of surface active agents and benefit agent
CA2001536C (en) Self-foaming oil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5814323A (en) Cosmetic composition
AU2001276913B2 (en) Self foaming cleansing gel
US20040116544A1 (en) Post foaming compositions
CA2522826A1 (en) Striped liqui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cleansing phase and a separate benefit phase comprising a water in oil emulsion
JPH05506873A (ja) クレンジング製品
US5968496A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n imidazolium derivative and a branched polyethylene glycol
US4931204A (en) Self-foaming oil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and using same
KR101590219B1 (ko) 액체 피부 세제 조성물
KR100706149B1 (ko) 세정제 조성물
WO1990011343A1 (en) Self-foaming oil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and using same
CN1222568A (zh) 洗涤剂组合物
GB2310813A (en) Dispersions
MXPA99006517A (en) Cleansing composition with separately dispensed cleansing base and benefit base wherein benefit base also comprises surfac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