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238B1 -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238B1
KR102223238B1 KR1020190061229A KR20190061229A KR102223238B1 KR 102223238 B1 KR102223238 B1 KR 102223238B1 KR 1020190061229 A KR1020190061229 A KR 1020190061229A KR 20190061229 A KR20190061229 A KR 20190061229A KR 102223238 B1 KR102223238 B1 KR 10222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oil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665A (ko
Inventor
남윤석
최수정
강병하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23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카본 오일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2층상 구조의 제형을 가지며 별도의 2차 세안 없이도 메이크업을 깔끔하게 지워주고 산뜻한 마무리감을 가지므로, 메이크업 클렌징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ion surfactant for cleansing}
본 발명은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을 지우는 화장료를 통칭하여 클렌저라고 하며, 클렌저는 크게 유화 타입인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로션 등, 오일 타입인 클렌징 오일, 및 워터 타입의 클렌징 워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모두 화장을 지워내는 목적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점은 없지만, 클렌징력의 차이 및 소비자들에 따른 사용감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크림은 유분기가 다소 많고 무거운 느낌이 나는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클렌징 크림을 쓰면 티슈 등으로 닦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클렌징 로션은 유분기가 조금 적고 가볍게 지울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클렌징 로션 역시 티슈 등으로 한번 닦아내는 것이 세안 시 조금 더 편리하다. 클렌징 오일은 오일(식용유와 비슷함) 타입으로 만들어져 있어 세안하고 나면 클렌징 크림이나 로션보다 촉촉하다는 느낌이 든다고 한다.
상기의 제품들은 메이크업을 지우는 1차 클렌징 제형으로 메이크업을 지운 후에 별도로 2차 세안을 필요로 한다. 즉, 클렌징 폼 등을 이용한 2차 세안을 통해 1차 세안 후 남은 화장료를 깨끗하게 씻어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별도의 2차 세안이 필요 없이도 메이크업을 깔끔하게 지워주는 2층상 구조의 클렌징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74315호
본 발명자들은 별도의 2차 세안이 필요 없이도 메이크업을 깔끔하게 지워주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하이드로카본 오일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2차 세안이 필요 없는 2층상 구조의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드로카본 오일(Hydrocarbon oil)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Anion surfactant)를 포함하는 클렌징(Cleansing)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렌징(Cleansing)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별도의 2차 세안이 필요 없이도 메이크업을 깔끔하게 지워주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하이드로카본 오일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2차 세안이 필요 없는 2층상 구조의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카본 오일(Hydrocarbon oil)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Anion surfactant)를 포함하는 클렌징용(Cleansing)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이드로카본 오일(Hydrocarbon oil)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Anion surfactant)를 포함하는 클렌징(Cleansing)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예를 들어, 아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및/또는 C13-15 알케인(Alkan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0-4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세정력이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내용물 분리 등의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PSG) 및/또는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Alkylpolyglucoside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는 예를 들어,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또는 라우릴 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1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거품이 너무 금방 꺼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내용물의 층분리 등 안정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올(Polyol) 및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예를 들어, 글리세린(Glycerin),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및/또는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가장 적합한 정도의 부드러운 사용감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있다.
상기 유화제는 예를 들어,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Caprylyl/Capryl Glucosid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형의 내용물 층 분리 등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및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 hexyl glycerin) 등과 같은 방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2층상으로 내용물이 형성되어, 사용 시 소비자가 내용물을 흔들어 균일하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균일하게 혼합된 상기 조성물을 거품 용기를 통해 토출하면 거품이 형성되고, 이를 화장이 된 얼굴에 문지르면 피부에 도포된 화장료와 피부 노폐물이 녹아서 제거된다. 또한, 이를 바로 물로 헹구면 산뜻하게 마무리되므로, 추가적인 2차 세안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파우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분체부와 오일부의 배합 비율을 변화시키거나 특정 용매나 에멀젼이 첨가된 형태의 여러 종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이 파우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과 담체 성분 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Cleansing)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상부 및 유상부를 각각 70-75 ℃에서 교반하는 교반 단계;
상기 수상부에 상기 유상부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1 혼합 단계;
40-45 ℃까지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Anion surfactant)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2 혼합 단계.
상기 수상부는 폴리올(Polyol) 및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는 하이드로카본 오일(Hydrocarbon oi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PSG) 및/또는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Alkylpolyglucoside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상부, 유상부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 50.0-70.0, 20.0-40.0 및 5.0-1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및 혼합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호모믹서(Homo mixer)와 같은 혼합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및 혼합에서의 시간 및 속도(rpm) 등은 작업장의 주변온도 및 혼합기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교반 및 혼합은 당업자에게는 경험적으로나 또는 혼합기의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한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카본 오일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2층상 구조의 제형을 가지며 별도의 2차 세안 없이도 메이크업을 깔끔하게 지워주고 산뜻한 마무리감을 가지므로, 메이크업 클렌징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2층상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 용기에 담은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2층상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을 흔든 후 거품 용기로 토출하였을 때의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 형성 및 유지력을 평가한 사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한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거품 형성 및 유지력을 평가한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본원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수상부를 진공 유화조 내에 투입하고, 온도를 72℃로 유지하면서 호모 믹서(Homo mixer)로 교반(2000rpm, 10분)하여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유상부를 별도로 유상 용해조에 투입하여 72℃로 가온, 교반(2000rpm, 5분)하여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상기 유상부를 진공 유화조의 수상부에 투입하여 호모믹서로 교반(2,800rpm, 5분)한 후, 45℃까지 냉각시켰다. 방부제부를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교반(2,000rpm, 3분)하였다. 계면활성제부를 투입하고 패들믹서로 교반(25-30 rpm, 5분)하였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수상부 정제수 58.2 56.2 56.2
글리세린 5 5 5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1.2 1.2 1.2
유상부 아이소헥사데칸 25 25 25
C13-15 알케인 5 5 5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 - -
에틸헥실팔미테이트 - -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 -
디메치콘 - - -
방부제부 페녹시에탄올 0.4 0.4 0.4
에틸헥실글리세린 0.2 0.2 0.2
계면활성제부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5 5 5
데실글루코사이드 - 2 -
라우릴글루코사이드 - - 2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 - -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 - -
비교예 1 내지 5. 일부 성분 변화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들의 함량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수상부 정제수 58.2 58.2 63.2 56.2 56.2
글리세린 5 5 5 5 5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1.2 1.2 1.2 1.2 1.2
유상부 아이소헥사데칸 25 25 25 - -
C13-15 알케인 5 5 5 - -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 - - 25 -
에틸헥실팔미테이트 - - - 5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 - - 25
디메치콘 - - - - 5
방부제부 페녹시에탄올 0.4 0.4 0.4 0.4 0.4
에틸헥실글리세린 0.2 0.2 0.2 0.2 0.2
계면활성제부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 - - 5 5
라우릴글루코사이드 - - - 2 2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5 - - - -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 5 - - -
실험예 1. 거품 형성 및 유지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거품 형성 및 유지력을 평가하였다.
도 3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거품 용기로 토출 시에 풍성한 거품이 형성되었으며, 거품이 쉽게 꺼지지 않았다. 특히,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및 알킬폴리 글루코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3의 경우 거품 유지력이 보다 향상되었다.
반면, 도 3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 내지 5의 경우 거품이 잘 생성되지 않으며, 빠른 속도로 소포 현상이 나타났다.
실험예 2.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거품 유지력, 사용후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25-35세 여성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2개군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를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사용할 때 느끼는 거품 유지력, 사용후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때, 거품 유지력은 거품 용기로 토출 후 거품이 유지되는 정도를 의미하며, 사용후감은 클렌징 후 물로 세안한 후의 산뜻한 느낌을 의미한다.
거품 유지력 사용후감 전반적인 만족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X X X
비교예 4 X X
비교예 5 X X X
[평가기준]
- 15명 이상이 우수하다고 판정:
- 10~14명이 우수하다고 판정:
- 6~10명이 우수하다고 판정:
- 5명 이하가 우수하다고 판정: X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는 비교예 1 내지 5에 비해 거품 유지력, 사용후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우수하였다. 특히,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및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3의 거품 유지력, 사용후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매우 우수하였다.

Claims (9)

  1. 하이드로카본 오일(Hydrocarbon oil)인 아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C13-15 알케인(Alkane); 음이온성 계면활성제(Anion surfactant)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Alkylpolyglucosides); 폴리올(Polyol);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클렌징(Cleansing)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Cleansing)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폴리올(Polyol), 유화제를 포함하는 수상부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Hydrocarbon oil)인 아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C13-15 알케인(Alkane)을 포함하는 유상부를 각각 70-75 ℃에서 교반하는 교반 단계;
    상기 수상부에 상기 유상부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1 혼합 단계;
    40-45 ℃까지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Anion surfactant)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Alkylpolyglucosides)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2 혼합 단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 유상부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 50.0-70.0, 20.0-40.0 및 5.0-15.0 중량%로 포함된 것인, 방법.
KR1020190061229A 2019-05-24 2019-05-2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229A KR102223238B1 (ko) 2019-05-24 2019-05-2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229A KR102223238B1 (ko) 2019-05-24 2019-05-2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665A KR20200135665A (ko) 2020-12-03
KR102223238B1 true KR102223238B1 (ko) 2021-03-09

Family

ID=7377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229A KR102223238B1 (ko) 2019-05-24 2019-05-24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6810B (zh) * 2021-12-16 2024-02-06 科玛化妆品(无锡)有限公司 一种卸妆干巾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96442A1 (en) * 2013-11-13 2016-10-13 L'oreal Foaming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glycinate type surfacta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5509A (ja) * 1983-11-28 1985-06-22 Sunstar Inc 皮膚クレンジング用透明ゲル組成物
KR100869155B1 (ko) 2007-02-08 2008-11-19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화타입의 2층상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1441360B1 (ko) * 2007-12-26 2014-09-17 (주)아모레퍼시픽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9627B1 (ko) * 2011-01-17 2017-10-25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제거와 개운한 거품 세안이 가능한 오일-투-솝 타입 세안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96442A1 (en) * 2013-11-13 2016-10-13 L'oreal Foaming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glycinate type surfac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665A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6395C (zh) 非加压施用后膨胀组合物
US20060217283A1 (en) Foaming O/W emulsion and use thereof in cosmetics
KR100869155B1 (ko) 유화타입의 2층상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US20080241204A1 (en) Wetting solution for wet wipes for cosmetic, personal hygiene, dermatological and/or cleaning purposes
US20060223737A1 (en) Foaming O/W emulsion and use thereof in cosmetics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877141A1 (en) Three-layered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and consumer product
KR102033017B1 (ko) Mq 실리콘 레진 및 프로필실세스퀴옥산 수지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1213682A (ja) 泡沫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9990045081A (ko) 세제 조성물
KR20150015089A (ko)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KR102223238B1 (ko)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CN107737028A (zh) 一种温和的三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101895875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273854A (ja) 起泡性o/w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の化粧品における使用
JP2006273855A (ja) 起泡性o/w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の化粧品における使用
KR102607078B1 (ko) 오일을 고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KR20110084053A (ko) 보습효과를 가지는 이층상 클렌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73646B1 (ko) 세제 조성물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안정화 방법
JP2002241263A (ja) 水性洗浄料
JP2003192535A (ja) 二層分離型クレンジング料
JP6770339B2 (ja) ミコナゾール硝酸塩含有組成物
KR100706149B1 (ko) 세정제 조성물
JP3508243B2 (ja) クレンジング料
KR102063179B1 (ko)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