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624B1 -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624B1
KR100705624B1 KR1020030096457A KR20030096457A KR100705624B1 KR 100705624 B1 KR100705624 B1 KR 100705624B1 KR 1020030096457 A KR1020030096457 A KR 1020030096457A KR 20030096457 A KR20030096457 A KR 20030096457A KR 100705624 B1 KR100705624 B1 KR 100705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insulating
insulating film
exposure
exposed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4854A (ko
Inventor
정봉관
최현묵
김기용
최승진
Original Assignee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624B1/ko
Priority to US10/834,476 priority patent/US6927017B2/en
Priority to TW093112200A priority patent/TWI257024B/zh
Priority to JP2004137726A priority patent/JP4276975B2/ja
Priority to CNB2004100476279A priority patent/CN100345042C/zh
Publication of KR2005006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반사각도의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하지층이 형성된 유리기판 상에 네가티브형의 유기절연막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절연막을 소프트 베이크(soft bake)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절연막의 표면 전체가 가교 결합(cross linking)되도록 노광마스크의 사용없이 상기 유기절연막을 1차 노광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노광된 유기절연막을 노광된 부분만 가교결합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한 노광마스크를 사용하여 2차 노광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및 2차 노광된 유기절연막을 포스트 베이크(post bake)하여 경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2차 노광되지 않은 유기절연막 부분으로 상기 유기절연막 내에 존재하는 솔벤트(solvent)의 아웃개싱(outgassing)이 일어나는 것을 통해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유기절연막의 1차 노광은 최적 노광량 이하의 에너지인 3000∼5000mJ의 에너지로 수행하고, 상기 유기절연막의 2차 노광은 최적 노광량인 7000∼10000mJ의 에너지로 수행한다.

Description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reflective type LCD}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리기판 2 : 하지층
3 : 유기절연막 3a,3b : 가교 결합된 유기절연막 부분
4 : 엠보싱 10 : 노광마스크
본 발명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솔벤트(solvent)의 아웃개싱(outgassing)을 이용한 엠보싱(embossing)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이 요구되는 휴대용 표시 소자에 매우 유용하며, 휴대 전화와 휴대 기기의 시장이 넓어짐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한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입사경로 및 반사경로를 갖기 때문에 하나의 경로만을 갖는 통상의 LCD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과도가 낮으며, 특히, 주시야각 방향에서의 투과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이에, 종래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부족한 투과도를 보상하기 위해서 표면 요철을 갖는 반사판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반사판을 형성하기 위해 그 하부층 표면에 요철, 즉, 엠보싱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에는 유기절연막을 도포한 후, 이에 대한 하프톤(half tone) 노광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하프톤 노광의 경우, 엠보싱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은 최적노광량(optinum energy: 이하, Eop) 이상의 에너지가 조사되어 유기절연막이 완전히 빛과 반응하게 되는 반면, 엠보싱을 형성하는 부분은 Eop 이하의 에너지가 조사됨으로써 유기절연막의 일정 부분만 반응하게 된다.
그러나, 하프톤 노광을 통해 엠보싱을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은 입사된 빛의 반사각도를 노광시의 조사 에너지량으로 조절하게 되는데, 미세한 공정 조건의 변화에도 상기 반사각도의 변화량이 크므로, 공정상 많은 제약이 따른다.
특히, 기판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반사각도를 얻지 못할 경우, 필연적으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화면품위 저하가 초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반사각도의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하지층이 형성된 유리기판 상에 네가티브형의 유기절연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기절연막을 소프트 베이크하는 단계; 상기 유기절연막의 표면 전체가 가교 결합되도록 노광마스크의 사용없이 상기 유기절연막을 1차 노광하는 단계; 상기 1차 노광된 유기절연막을 노광된 부분만 가교 결합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한 노광마스크를 사용하여 2차 노광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및 2차 노광된 유기절연막을 포스트 베이크하여 경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2차 노광되지 않은 유기절연막 부분으로 상기 유기절연막 내에 존재하는 솔벤트의 아웃개싱이 일어나는 것을 통해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절연막의 1차 노광은 Eop 이하의 에너지인 3000∼5000mJ의 에너지로 수행하고, 상기 유기절연막의 2차 노광은 Eop인 7000∼10000mJ의 에너지로 수행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적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유기절연막에 존재하는 솔벤트 제거시에 발생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엠보싱을 형성한다.
이 경우, 노광 에너지를 조절하여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미세한 공정 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반사각도가 변할 뿐만 아니라 기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반사각도의 조절이 어렵지만, 상기 솔벤트의 아웃개싱을 이용하여 엠보싱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공정 조건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반사각도의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를 참조하면, 유리기판(1) 상에 공지의 공정에 따라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하지층(2)을 형성한다. 그런다음, 상기 하지층(2)을 덮도록 기판 전면 상에 대략 2㎛의 두께로 유기절연막(3)을 도포한 후, 이를 소프트 베이크(soft bake)한다.
다음으로, 노광마스크의 사용없이 상기 유기절연막(3)을 1차로 전면 노광한다. 이때, 상기 1차 노광은 유기절연막(3)의 표면만 가교 결합(cross linking)이 일어나도록 Eop 이하의 에너지, 즉, 3000∼5000mJ의 에너지로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 노광을 수행하는 이유는 후속하는 포스트 베이크(post bake)시 유기절연막(3) 내에 존재하는 솔벤트가 표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부호 3a는 전면 노광되어 가교 결합된 유기절연막 부분을 나타낸다.
도 1b를 참조하면, 1차 노광된 유기절연막(3)을 크롬 패턴에 의해 개구부가 한정된 노광마스크(10)를 사용하여 Eop, 즉, 7000∼10000mJ의 에너지로 2차 노광한다. 이때, 유기절연막(3)에는 영역 별로 노광량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노광된 유기절연막 부분에서 가교 결합이 일어나게 되는 바, 노광된 부분과 노광되지 않은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도면부호 3b는 2차 노광시에 가교 결합된 유기절연막 부분을 나타낸다.
도 1c를 참조하면, 1차 및 2차 노광된 유기절연막(3)을 포스트 베이크(post bake)한다. 이때, 상기 유기절연막(3) 내에는 소프트 베이크시에 제거되지 못한 솔벤트 성분이 남아 있으므로, 상기 포스트 베이크시, 솔벤트 성분의 아웃개싱이 일어나는데, 2차 노광된 유기절연막 부분은 이미 가교 결합되었기 때문에 이 부분으로의 아웃개싱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2차 노광되지 않은 부분으로 아웃개싱이 몰리게 된다. 그런데, 상기 유기절연막(3)의 상부 표면도 이미 가교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 부분으로의 아웃개싱도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결국, 솔벤트 가스들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유기절연막(3)의 상부 표면에 빈공간(void)을 발생시켜 볼록한 형태, 즉, 엠보싱(4)을 만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4)은 2차 노광되지 않은 유기절연막 부분들 각각에 열공정을 통해 형성하게 되는 바, 기판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며, 특히, 균일한 반사각도를 갖게 된다.
즉, 상기 2차 노광은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 노광마스크(10)를 이용해 수행하므로, 개구부의 크기, 형태 및 개수 등을 조절하면, 엠보싱(4)의 크기, 형태 및 개수의 조절 또한 가능하다. 다시말해, 노광마스크(10)에서의 개구부의 크기, 형태 및 개수 등을 조절하면, 2차 노광되는 영역들의 크기, 형태 및 개수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때,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의 2차 노광된 영역들에서 발생되는 아웃개싱량 또한 동일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기판 전체에 걸쳐 엠보싱(4)의 크기, 형태 및 개수 등을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엠보싱 각도를 갖도록 할 수 있으므로, 결국, 균일한 반사각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면에 엠보싱(4)이 형성된 유기절연막(3) 상에 반사판을 형성하고, 그런다음, 배향막을 형성하여 하부기판을 완성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하부기판을 공지의 기술에 따라 제조된 상부기판과 액정층의 개재하에 합착시켜 본 발명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를 완성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2회에 걸친 유기절연막의 선택적 노광 및 열공정에 의한 아웃개싱을 통해 엠보싱을 형성하므로, 노광 에너지의 조절을 통해 엠보싱을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기판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반사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낮은 투과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반사각도 제어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바, 공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당업자에 의하여 이에 대한 수정과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에 속하는 한 모든 수정과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Claims (2)

  1.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한 하지층이 형성된 유리기판 상에 네가티브형의 유기절연막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기절연막을 소프트 베이크하는 단계;
    상기 유기절연막의 표면 전체가 가교 결합되도록 노광마스크의 사용없이 상기 유기절연막을 1차 노광하는 단계;
    상기 1차 노광된 유기절연막을 노광된 부분만 가교 결합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한 노광마스크를 사용하여 2차 노광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및 2차 노광된 유기절연막을 포스트 베이크하여 경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2차 노광되지 않은 유기절연막 부분으로 상기 유기절연막 내에 존재하는 솔벤트의 아웃개싱이 일어나는 것을 통해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절연막의 1차 노광은 최적 노광량 이하의 에너지인 3000∼5000mJ의 에너지로 수행하고, 상기 유기절연막의 2차 노광은 최적 노광량인 7000∼10000mJ의 에너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30096457A 2003-12-24 2003-12-24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705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457A KR100705624B1 (ko) 2003-12-24 2003-12-24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10/834,476 US6927017B2 (en) 2003-12-24 2004-04-29 Method for fabricating reflective-type LCD
TW093112200A TWI257024B (en) 2003-12-24 2004-04-30 Method for fabricating reflective-type LCD
JP2004137726A JP4276975B2 (ja) 2003-12-24 2004-05-06 反射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B2004100476279A CN100345042C (zh) 2003-12-24 2004-05-26 反射型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457A KR100705624B1 (ko) 2003-12-24 2003-12-24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854A KR20050064854A (ko) 2005-06-29
KR100705624B1 true KR100705624B1 (ko) 2007-04-11

Family

ID=3469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457A KR100705624B1 (ko) 2003-12-24 2003-12-24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27017B2 (ko)
JP (1) JP4276975B2 (ko)
KR (1) KR100705624B1 (ko)
CN (1) CN100345042C (ko)
TW (1) TWI2570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99235B (zh) * 2007-09-27 2010-06-0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Ffs透射反射型阵列基板及制造方法
CN112166039B (zh) * 2018-04-06 2023-09-05 聚合-医药有限公司 用于光致聚合增材制造的方法和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1207B2 (ja) * 1998-03-04 2007-07-04 凸版印刷株式会社 拡散反射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反射型液晶ディスプレイ
JP2001067017A (ja) * 1999-08-30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2350841A (ja) * 2001-05-29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反射型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82394B2 (en) * 2002-05-30 2005-04-19 Fujitsu-Display Technologies Corporation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a step of applying charged particles on the organic resin and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JP2004037520A (ja) * 2002-06-28 2004-02-05 Hitachi Chem Co Ltd 表面凹凸形成方法、それにより得られる光学フィルム及び拡散反射板並びに拡散反射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854A (ko) 2005-06-29
TWI257024B (en) 2006-06-21
CN100345042C (zh) 2007-10-24
TW200521593A (en) 2005-07-01
JP4276975B2 (ja) 2009-06-10
US20050142498A1 (en) 2005-06-30
US6927017B2 (en) 2005-08-09
JP2005189796A (ja) 2005-07-14
CN1637534A (zh)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333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반사판 및 그 제조 방법
CN1438529A (zh) 增强反射的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20080102387A1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KR100705624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11309374B2 (en) Mask component
US6716680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reflective TFT-LCD with rough diffuser
KR20050079138A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2156651A (ja)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080024702A1 (en) Pixel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2296586A (ja) モアレ現象を除去するための反射型液晶表示装置アセンブリでの照明方法、これを適用した反射型液晶表示アセンブリ、これらに適用される光供給ユニット、これに適用される光分布変更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0866082B1 (ko) 반사 또는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와 반사층 및 제조방법
JP2002014477A (ja) 基板表面の平坦化方法
JP2004157552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044344B2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0428000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6173B1 (ko) 렌즈 형성용 원판 제조 방법 및 렌즈 형성용 원판을 이용한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 방법
JP3869678B2 (ja) 表示用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フォトマスク
JPH1096802A (ja) マイクロレンズ基板
JP200333001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1519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반사판 제조 방법
KR20050063575A (ko) 액정표시소자
JP4138452B2 (ja) 液晶表示装置用基板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4009656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2003255111A (ja) 反射型光拡散器の製造方法
KR20080098238A (ko) 표시기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