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187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187B1
KR100705187B1 KR1020057006874A KR20057006874A KR100705187B1 KR 100705187 B1 KR100705187 B1 KR 100705187B1 KR 1020057006874 A KR1020057006874 A KR 1020057006874A KR 20057006874 A KR20057006874 A KR 20057006874A KR 100705187 B1 KR100705187 B1 KR 10070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absorber
absorbers
sides
disposable di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9284A (ko
Inventor
타카오 카사이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three-dimensional; with split absorbent core
    • A61F2013/457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three-dimensional; with split absorbent core connected by elast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액체 투과성의 표면시트(2),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시트(3) 및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액체 유지성의 흡수체(41∼43)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1)로서, 복수의 흡수체(41∼43)가, 등측 부분(B)으로부터 가랑이 부분(A)을 지나 복부측 부분(C)에 이르는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흡수체가 늘어서는 방향의 양측에 탄성부재가 신장(伸張)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흡수체(41∼43)는, 기저귀를 평면모양으로 펼치면 인접하는 흡수체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또한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흡수체들이 밀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의 표면시트,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시트, 액체 유지성의 흡수체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착용 중에 흡수체의 헐렁거림이 발생하기 어렵고, 피트성이 우수한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단일의 성형체인 세로로 긴 흡수체가, 기저귀의 등측 부분으로부터 가랑이 부분을 지나 복부측 부분에 이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리 주변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리 주변에 배치되는 부위에 탄성부재를 배치하여, 다리 주변의 피트성을 높이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다리 주변에 배치되는 부위가 탄성부재에 의해 수축하는 한편, 흡수체는 그 강성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그다지 수축하지 않기 때문에, 기저귀 착용 상태에 있어서는, 흡수체의 길이가 남은 분량만큼, 흡수체의 헐렁거림(기저귀 외표면측으로 불룩해지는 것)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것이 원인이 되어, 가랑이 부분에의 액체의 고임이나, 습기, 누설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이른바 전개형(테이프 고정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접혀지고, 그 상태로 포장 주머니에 압축 충전되어서 유통, 시판되기 때문에, 흡수체에 이상한 주름이 잡혀져, 기저귀 착용시에 흡수체 의 헐렁거림이 한층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회용 기저귀로서, 흡액성(吸液性) 코어를, 기저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따라서 분할함과 아울러 이 가상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가상선을 따라서도 분할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평11-216161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 흡액성 코어의 분할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주체로 하는 입자층과 그 아래에 존재하는 섬유층을 갖는 흡수성 코어에 있어서, 그 입자층이 흡액(吸液)해서 겔 블록(gel blocking)을 발생시키면 섬유층으로의 액체의 이행이 방해되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섬유층에 코어 측면으로부터 직접 흡액시키는 것, 혹은 코어의 총 흡수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위해서, 코어를 분할한 부분의 틈새가 기저귀 착용 중에 있어서도 유지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 일회용 기저귀에 의해서는, 기저귀 착용 중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헐렁거림, 및 그것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체의 헐렁거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트성이 우수한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시트,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시트 및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액체 유지성의 흡수체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복수의 흡수체가, 등측 부분으로부터 가랑이 부분을 지나 복부측 부분에 이르는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복수의 흡수체가 늘어서는 방향의 양측에 탄성부재가 신장(伸張)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흡수체는 기저귀를 평면모양으로 펼치면 인접하는 흡수체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또한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흡수체들이 밀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로서의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회용 기저귀를 평면모양으로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X선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 도 5c는 흡수체들의 인접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입체 개더(gather)의 고정단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도 1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의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 및 도 5c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투과성의 표면시트(2)와,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시트(3) 및 이들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액체 유지성의 흡수체(41∼43)를 구비하고 있고,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 부분에 배치되는 가랑이 부분(A)을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가지며, 그 전후에 등측 부분 (B) 및 복부측 부분(C)을 갖고 있다.
기저귀(1)는 이른바 전개형(테이프 고정형)의 기저귀로서, 등측 부분(B)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착테이프(fastening tape;5)가 형성되며, 복부측 부분(C)의 외표면에, 접착테이프(5)를 부착해서 고정하기 위한 랜딩 존(landing zone;6)이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는, 가랑이 부분(A)의 양측 가장자리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로서, 길이방향 중앙부가 잘록한 모래시계 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면시트(3)는 기저귀의 외형형상에 일치하는 모래시계 모양의 외형을 갖고 있다. 표면시트(2)는 복수의 흡수체(41∼43)를 개재시킨 형태로, 이면시트(3)의 폭방향 중앙부에 적층되어 있다. 이면시트(3)의 길이방향의 양측부는, 표면시트(2)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연장부분에는 후술하는 입체 개더 형성용의 시트재(92)가 적층 접착되어 있다.
기저귀(1)는 3개의 흡수체(41∼4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흡수체(41∼4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측 부분(B)으로부터 가랑이 부분(A)을 지나 복부측 부분(C)에 이르는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등측 부분(B)으로부터 가랑이 부분(A)을 지나 복부측 부분(C)에 이르는 방향이란, 복부측 부분(C)으로부터 가랑이 부분(A)을 지나 등측 부분(B)에 이르는 방향과 같은 의미이며, 기저귀(1)와 같은, 실질적으로 세로로 길게 형성된 전개형(테이프 고정형)의 기저귀에서는 기저귀 길이방향과 같은 의미이다.
3개의 흡수체(41∼4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평면으로 봤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두께 및 기저귀 폭방향의 길이가 거의 동일하다. 기저귀 길이방향의 길이는, 흡수체(41)가 가장 길고, 흡수체(43), 흡수체(42)의 순으로 짧아지고 있다. 흡수체(41)와 흡수체(42)의 경계부는, 가랑이 부분(A)의 거의 중앙부(기저귀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흡수체(42)와 흡수체(43)의 경계부는, 가랑이 부분(A)의 상기 중앙부보다도 약간 복부측 부분(C)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흡수체(41∼43)가 늘어서는 방향, 즉 기저귀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탄성부재(7)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7)는 기저귀 길이방향의 좌우 양측에 각각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7)는 이면시트(3)와 시트재(92) 사이에 접착제를 통하여 고정된 상태로, 흡수체(41∼43)의 각 측부 가장자리(side edge)의 위치보다도 기저귀 폭방향의 약간 외측의 위치에, 각 흡수체의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7)는 등측 부분(B)측의 허리 가장자리단(11)에 가장 가까운 흡수체(41)와 복부측 부분(C)측의 허리 가장자리단(12)에 가장 가까운 흡수체(43) 사이에 이르는 길이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탄성부재(7)는 레그 개더(leg gather) 형성용의 탄성부재를 겸하고 있다. 즉, 탄성부재(7)는 착용자의 다리 주변에 배치되는 레그부(leg portions)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레그부에 레그 개더를 형성한다.
복수의 흡수체(41∼43)는, 기저귀를 평면모양으로 펼치면 인접하는 흡수체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또한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흡수체들이 밀착하도 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를 평면모양으로 펼친 상태에 있어서는, 흡수체(41)와 흡수체(42) 사이 및 흡수체(42)와 흡수체(43) 사이에 틈새(P)가 생기고 있으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7)의 수축력에 의해, 흡수체(41)와 흡수체(42)가 밀착하고, 흡수체(42)와 흡수체(43)가 밀착한다.
한편,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흡수체들이 밀착한다는 것은, 기저귀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시 밀착하고 있는 것까지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흡수체가 섬유집합체 및/또는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들이 직접 접촉하고 있어도 되지만, 이들을 피복하는 부직포(8)나 대지(臺紙), 또는 다른 시트재가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형태로 밀착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에 따르면, 다리 주변에 배치되는 레그부가 탄성부재(7)에 의해 수축해서 착용자의 다리 주변에 양호하게 피트하는 한편, 흡수체(41∼43)가 배치된, 기저귀 폭방향의 중앙 영역이, 흡수체의 헐렁거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 부분에 양호하게 피트한다. 그 때문에, 가랑이 부분에의 액체의 고임이나, 습기, 누설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흡수체들이 밀착하기 때문에, 복수의 흡수체가, 단일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세로로 긴 흡수체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흡수성능이나 누설 방지성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효과를 확실하게 이루게 한다는 관점에서, 기저귀를 평면모양으로 펼 친 상태에 있어서의 흡수체들간의 틈새의 폭 L1, L2(도 2참조)는 3∼20mm, 특히 5∼1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인접하는 흡수체의 상대향(相對向)하는 가장자리부는, 서로 거의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탄성부재(7)는 적어도 흡수체(41)의 일부로부터 흡수체(43)의 일부에 이르는 범위에 있어서, 각 흡수체(41∼43)와 포개지도록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각 흡수체(41∼43)에 근접시켜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접시켜서 배치하는 경우, 각 흡수체의 측부 가장자리의 위치와 탄성부재(7) 사이의 최단 거리 L3(도 3참조)는 50mm 이내, 특히 30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의 각 흡수체(41∼43)는, 섬유집합체 및/또는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흡수체의 기저귀 폭방향의 양측부(44) 및 피부 접촉면(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면측의 면)(45)이, 복수의 흡수체에 걸치도록 배치된 부직포(8)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며, 이 부직포(8)는 각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45)을 피복하는 부분의 일부(도면중 점선으로 나타내는 기저귀 폭방향 중앙부분)(81)가 친수성(親水性)이고, 다른 부분, 즉, 각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45)을 피복하는 부분 중의 상기 일부(81)를 제외한 부분과, 각 흡수체의 양측부(44)를 피복하는 부분이 발수성(撥水性)이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흡수체 사이의 영역이 탄성부재의 신축에 따라 신축하기 때문에, 복수의 흡수체에 걸쳐 배치되는 재료에는 강도와 유연성이 요구된다. 섬유집합체 및/또는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피복하는 피복재료로서, 종이제의 대지(臺紙)가 아니라 부직포를 사용함으로 써, 이와 같은 요구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와 같이, 부직포의 발수성 부분이 흡수체의 양측부로부터 피부 접촉면의 사이드 부분을 덮고 있으면, 한번 흡수한 액체를 다시 흘러나오게 하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단, 배뇨 속도가 빠른 나이가 많은 유아의 경우에는, 흡수가 따라붙지 않게 되는 경우도 고려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형태는 나이가 어린 유아용의 기저귀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부직포(8)를 대신해서, 각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45)을 피복하는 부분의 전체가 친수성이며 또한 각 흡수체의 상기 양측부(44)를 피복하는 부분이 발수성인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형태에서는, 발수성을 갖는 부분이 흡수체의 양측부만을 피복하고 있기 때문에, 친수성 부분의 폭을 넓게 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으며, 그 때문에, 오줌량이 비교적 많은, 나이가 많은 유아 또는 성인용의 기저귀로서 적합하다. 한편, 기저귀(1)에 있어서는, 각 흡수체의 피부 비접촉면(46)이, 복수의 흡수체에 걸치도록 배치된 제 2 부직포(8´)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친수성 부분과 발수성 부분을 갖는 부직포는, 예를 들면, 소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일부에 각종 공지의 친수화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일부에 각종 공지의 발수화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한편, 피복재료로서 사용하는 부직포는, 각종 제법에 의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강도와 유연성의 양립의 관점 등에서,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의 양면에 스판본드 부직포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적층 부직포(SMS 부직포), 스판본드 부직포(spun-bonded nonwoven), 히트롤 부직포(heat-rolled nonwoven)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는, 등측 부분(B)으로부터 가랑이 부분(A)을 지나 복부측 부분(C)에 이르는 방향의 양측, 즉 기저귀 길이방향의 양측에 입체 개더(9, 9)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 개더(9)는, 각각, 탄성부재(91)를 갖는 입체 개더 형성용의 시트재(92)를, 표면시트(2)의 양측 가장자리의 내외에 이르도록, 기저귀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배치 고정해서 형성되어 있다. 각 시트재(92)는, 기저귀 폭방향의 소정 부위에 있어서, 히트실(heat seal), 접착제 등의 공지의 접합수단(93)에 의해, 표면시트(2)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접합수단(93)에 의해 고정된 부위가 입체 개더의 고정단(94)이 되고 있다. 각 시트재(92)는 고정단(94)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표면시트(2) 또는 이면시트(3)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기저귀의 길이방향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단(94)보다도 기저귀 폭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표면시트(2)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의 각 입체 개더(9)의 고정단(9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물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단(94)의 일부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들의 인접부의 근방 D, E에 있어서, 기저귀 폭방향 중앙측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체 개더(9)의 고정단(94)은, 대략, 기저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기저귀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체(41)와 흡수체(42)의 인접부의 근방 D 및 흡수체(42)와 흡수체(43)의 인접부의 근방 E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단의 위치가 기저귀 폭방향 중앙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기저귀를 평면모양으로 펼쳐서 표면시트(2)측에서 봤을 때의 상기 고정단의 일부의 형상은, 기저귀 폭방향 중앙측을 향해서 볼록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물결형상은, 엄밀한 정현파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현파와 유사한 형상도 포함된다.
복수의 흡수체를 직렬로 배치한 기저귀에 있어서는, 기저귀 폭방향으로의 액체의 확산이 조장되어, 입체 개더의 누설 방지성에 대한 요구가 엄격해진다. 또한, 흡수체의 측부 가장자리와 입체 개더 사이를 기저귀 길이방향을 따라서 액체가 확산하기 쉬워진다. 입체 개더의 고정단을 물결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일부를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저귀 폭방향으로 흐른 액체를 기저귀 폭방향 내측으로 되돌리는 것에 더하여,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흐르려고 하는 액체를 한번 체류시키고, 배설부 근방에서의 흡수를 조장하므로, 기저귀 가로방향(폭방향)으로부터의 누설과 함께 세로방향(길이방향)으로부터의 누설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입체 개더(9)의 고정단(94)의 일부가, 인접하는 흡수체들 사이, 즉, 흡수체(41)와 흡수체(42) 사이 및 흡수체(42)와 흡수체(43) 사이에 각각 들어가 있다. 그 때문에, 각 흡수체의 폭 내의 영역을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흐르려고 하는 액체의 흐름을, 좌우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입체 개더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누설 방지성능, 특히 길이방향으로부터의 누설 방지성능이 한층 우수하다. 한편, 인접하는 흡수체들 사이에 들어가는 고정단(94)의 길이 L4(도 5a참조)는, 기저귀 양측의 상기 길이의 합계(예를 들면 L4×2)가 상기 흡수체의 폭(기저귀 폭방향의 폭)의 0% 초과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형성재료에 대해서 설명하면, 표면시트(2), 이면시트(3), 입체 개더(9) 형성용의 탄성부재(91) 및 시트재(92)로서는,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각각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41∼43)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집합체의 형태는, 부직포여도 섬유웨브(fiber web)여도 되고, 그 구성 섬유로서는, 펄프섬유, 레이온,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축합계 섬유, 폴리염화비닐, 폴리초산비닐 등의 비닐 모노머 중합체의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일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형 또는 심초형(sheath-core) 등의 복합 섬유여도 된다.
흡수체(41∼43)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하는 고흡수성 폴리머로서는, 각종 공지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가교체,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및 그 비누화물(saponification product), 폴리아스파라긴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복수의 흡수체는, 각각, 섬유집합체만 또는 고흡수성 폴 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지만, 섬유집합체 및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의 존재 형태는, 섬유집합체의 섬유 간극으로 분산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어도 되고,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섬유웨브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어도 된다.
탄성부재(7)의 형성 소재로서는, 합성고무, 천연고무, 스판덱스 등을 들 수 있으며, 탄성부재(7)의 형태는, 실형상 외에, 띠형상, 필름형상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기저귀(1)에 있어서는, 3개의 흡수체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었으나, 2개 혹은 4개 이상의 흡수체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흡수체는 기저귀 길이방향의 치수가 모두 동일해도 되고, 복수 중의 일부의 흡수체 또는 전부의 흡수체의 치수가 서로 달라도 된다. 두께나 기저귀 폭방향의 치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흡수체들의 인접부 근방에 위치하는, 입체 개더의 고정단의 일부의 형상은, 도 5a에 나타내는 형상을 대신해서, 도 5b나 도 5c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인접하는 흡수체들이 보다 확실하게 밀착하도록, 기저귀 길이방향 양측의 탄성부재(7)에 더하여, 기저귀 폭방향 중앙부에, 기저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 2 탄성부재를 신장 상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기저귀 길이방향 양측에 배 치하는 탄성부재의 개수는 좌우에 각각 한개씩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팬티형의 일회용 기저귀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 중에 흡수체의 헐렁거림이 발생하기 어렵고, 피트성이 우수한 것이다.

Claims (5)

  1. 액체 투과성의 표면시트,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시트 및 양 시트 사이에 개재된 액체 유지성의 흡수체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로서,
    복수의 흡수체가 등측 부분으로부터 가랑이 부분을 지나 복부측 부분에 이르는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흡수체가 늘어서는 방향의 양측에 탄성부재가 신장(伸張)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흡수체는 기저귀를 평면모양으로 펼치면 인접하는 흡수체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또한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흡수체들이 밀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흡수체는 섬유집합체 및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각 흡수체의 기저귀 폭방향의 양측부 및 피부 접촉면이, 복수의 흡수체에 걸치는 부직포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며, 상기 부직포는 각 흡수체의 피부 접촉면을 피복하는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가 친수성(親水性)이고 또한 각 흡수체의 상기 양측부를 피복하는 부분이 발수성(撥水性)인 일회용 기저귀.
  3. 제 1 항에 있어서, 등측 부분으로부터 가랑이 부분을 지나 복부측 부분에 이르는 방향의 양측에 입체 개더(gather)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체 개더는, 각각, 탄성부재를 갖는 입체 개더 형성용의 시트재를, 상기 표면시트의 각 측부 가장 자리의 내외에 이르도록, 기저귀 길이방향의 양측부에 배치 고정해서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4. 제 1 항에 있어서, 등측 부분으로부터 가랑이 부분을 지나 복부측 부분에 이르는 방향의 양측에 입체 개더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입체 개더의 고정단은 물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단의 일부는 상기 흡수체들의 인접부의 근방에 있어서, 기저귀 폭방향 중앙측을 향해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일회용 기저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의 일부가, 인접하는 흡수체들 사이에 들어가 있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057006874A 2002-10-22 2003-10-10 일회용 기저귀 KR100705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7537A JP4082980B2 (ja) 2002-10-22 2002-10-22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02-00307537 2002-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284A KR20050059284A (ko) 2005-06-17
KR100705187B1 true KR100705187B1 (ko) 2007-04-06

Family

ID=3217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874A KR100705187B1 (ko) 2002-10-22 2003-10-10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81203B2 (ko)
JP (1) JP4082980B2 (ko)
KR (1) KR100705187B1 (ko)
CN (1) CN100352409C (ko)
AU (1) AU2003272976A1 (ko)
WO (1) WO2004037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6090A (ja) * 2009-09-11 2011-03-24 Livedo Corporation 吸収パッド
US8115050B2 (en) * 2009-12-07 2012-02-14 The Natural Baby Company, LLC Soaker pad for cloth diaper
TWI569789B (zh) * 2011-11-22 2017-02-11 優你 嬌美股份有限公司 Disposable disposable diaper
TWI569788B (zh) * 2011-11-22 2017-02-11 優你 嬌美股份有限公司 用後即棄式紙尿布
JP5200179B1 (ja) 2012-03-30 2013-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243641B1 (ja) * 2012-04-27 2013-07-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249461B1 (ja) 2012-11-09 2013-07-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213877B2 (ja) * 2014-09-29 2017-10-18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213878B2 (ja) * 2014-09-30 2017-10-1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6138403A1 (en) * 2015-02-26 2016-09-01 Curt G. Jo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modifying webs of material with plasma
JP6781577B2 (ja) 2016-06-22 2020-11-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物品
JP7011900B2 (ja) * 2017-05-24 2022-01-27 倉敷紡績株式会社 繊維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7220539B2 (ja) * 2018-09-28 2023-02-1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9062900A (ja) * 2018-12-10 2019-04-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物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461A (ko) * 2001-04-06 2002-10-19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KR20020079462A (ko) * 2001-04-06 2002-10-19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2426U (ko) * 1986-12-24 1988-07-04
JPH03121069A (ja) 1989-10-05 1991-05-23 Shiseido Co Ltd 使い捨ておしめ
EP0563224B2 (en) * 1990-12-19 1998-05-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transversely segmented core
US5716351A (en) * 1996-07-25 1998-0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adjustable absorbent assemblies
US6315765B1 (en) * 1997-01-17 2001-1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ized absorbent pad
JP3406214B2 (ja) 1998-01-30 2003-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6287286B1 (en) 1998-08-25 2001-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duced viability of candida albicans
US6878139B2 (en) * 2000-10-05 2005-04-12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including lateral side cores
US20030093045A1 (en) * 2001-11-13 2003-05-15 Erdman Carol L. Absorbing article having zoned areas of hydrophilic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461A (ko) * 2001-04-06 2002-10-19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KR20020079462A (ko) * 2001-04-06 2002-10-19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기저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79461
10200200794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7144A1 (ja) 2004-05-06
US20060122570A1 (en) 2006-06-08
US7381203B2 (en) 2008-06-03
AU2003272976A1 (en) 2004-05-13
KR20050059284A (ko) 2005-06-17
CN100352409C (zh) 2007-12-05
JP4082980B2 (ja) 2008-04-30
CN1705465A (zh) 2005-12-07
JP2004141270A (ja)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2751C (en) Absorbent product
JP5566596B2 (ja)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WO2014147879A1 (ja) 吸収性物品
JP2518953Y2 (ja) 使い捨ておむつ
NL2020925A (en)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s
KR100705187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06116036A (ja) 吸収性物品
KR20030011614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2003070842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吸収用積層体および該吸収用積層体を備えた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7255626B2 (ja) 吸収性物品
JP6922249B2 (ja) 吸収性物品
CA2395818C (en) Incontinent pad
AU2508399A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component layer having a hindrance to fluid flow across the layer
JP2017217257A (ja) 吸収性物品
JP6960219B2 (ja) 吸収性物品
JP6972590B2 (ja) 吸収性物品
JP5515536B2 (ja) 吸収性物品
JP6834081B2 (ja) 吸収性補助パッド
JP6848156B2 (ja) 吸収性補助パッド
JP6878754B2 (ja) 吸収性補助パッド
JP2021159111A (ja)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2019041875A (ja)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TW201832745A (zh) 吸收性物品
WO2015141063A1 (ja) 吸収性物品
JP2019080805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