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189B1 - 열 유도반사체 - Google Patents

열 유도반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189B1
KR100704189B1 KR1020050066560A KR20050066560A KR100704189B1 KR 100704189 B1 KR100704189 B1 KR 100704189B1 KR 1020050066560 A KR1020050066560 A KR 1020050066560A KR 20050066560 A KR20050066560 A KR 20050066560A KR 100704189 B1 KR100704189 B1 KR 100704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duction part
heat source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321A (ko
Inventor
이상무
Original Assignee
이상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무 filed Critical 이상무
Priority to KR102005006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18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불판과 열원 사이에 마련되어 열원에서 직 상방으로 공급되는 열기를 측방향으로 유도하거나 반사시켜 상측에 위치한 불판의 중앙 즉, 열 유도반사체 상면을 제외한 측면 360°전체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는 열 유도반사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열 유도반사체는 열원에서 직 상방으로 공급되는 열기를 측방향으로 유도 및 반사시키는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를 열원과 불판 사이에 마련되도록 유도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부, 지지봉, 수용틀, 고리, 결합구

Description

열 유도반사체{OBJECT FOR GUIDING AND REFLECTING OF HEA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열 유도반사체의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에서 유도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 내지 도9는 본 발명에서 유도부가 지지되는 지지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도부 20: 지지봉
120: 수용틀 121: 지지다리
220: 고리 320: 지지대
30: 열원 31: 결합구
40: 불판 C: 숯통
본 발명은 열 유도반사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불판과 열원 사이에 마련되어 열원에서 직 상방으로 공급되는 열기를 측방향으로 유도하거나 반사시켜 상측에 위치한 불판의 중앙 즉 열 유도반사체 상면을 제외한 360°전체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는 열 유도반사체에 관한 것이다.
불판은 여러 가지 종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제안된 구이용 불판에 고기를 굽기위해서는 식탁 중앙에 안치되는 화구에 불판이 올려져, 화구내에 마련된 가스, 숯불, 연탄(이하, '열원'이라 함) 등에서 가해지는 열기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어 불판에 올려진 고기가 구워진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불판에 고기를 굽게 되면, 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이 중간 차단 없이 직 상방으로 올라가 불판 중앙을 집중적으로 가열시키게 되므로, 불판의 중앙에 놓여진 고기는 과열에 의해 쉽게 타고, 불판의 주변에 놓여진 고기는 열 전달이 늦어져 덜 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이 불판을 직접 가열시켜 이로 인해 불판이 급속하게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고기가 불판에 눌러 붙어 타게 되어 먹기가 곤란해지고, 또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대량으로 생성되어 실내를 혼탁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열원에서 직 상방으로 공급되는 열기를 측방향으로 유도하거나 반사시켜 상측에 위치한 불판의 중앙부를 제외한 측면 360˚ 전체적으로 가열시키는 열 유도반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열원에서 직 상방으로 공급되는 열기를 측방향으로 유도 및 반사시키는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를 열원과 불판 사이에 마련되도록 유도 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유도반사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는 원뿔, 반구, 또는 사각뿔 형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유도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열원에 장착되는 지지봉, 상기 유도부가 삽입되어 걸쳐지며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수용틀 또는 유도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불판에 걸수 있는 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열 유도반사체의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 내지 도4는 본 고안에서 유도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 유도반사체는 유도부(10)와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도부(10)의 재질은 크게 한정되지 않지만 내구성이 크고 연전달효율이 좋으며 고열에서 반복사용하여도 변형이 없는 스테인리스와 황동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도부(10)는 내열성이 좋고 경도가 강하며, 내마멸성이 좋은 세라믹 재질로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10)는 하측에 위치한 열원(30)에서 발생되어 직 상방으로 공급 되는 열기를 측방향으로 유도하거나 반사시켜 분산되게 함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불판(40)에 열기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공급시킨다.
유도부(10)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마련되어 열원(30)에서 발생된 열기가 유도되거나 반사되어 측방향으로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유도부(10)는 예시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형상 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뿔 또는 반구형상으로 마련된 유도부(10)로 인해, 열원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유도부(10)의 외면을 따라 유도되거나, 외면에 부딪혀 반사되어 측방향으로 분산된다.
또한, 유도부(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각뿔형상의 유도부(10)는 상측에 위치한 불판이 사각 형상일때 불판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유도부(10)를 열원(30)과 불판(40) 사이에 마련되도록 유도부(1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유도부를 열원과 불판 사이에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지지수단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부(10)의 하단에 마련되어 열원(30)에 장착되는 지지봉(2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봉(20)의 상단은 유도부(10)의 하단에 접합 고정되고, 지지봉(20)의 하단은 열원(30)에 마련된 결합구(31)에 장착되게 하여 상기 유도부(10)를 열원(30)과 불판(40) 사이에 마련되게 할 수 있다. 특히, 지지봉이 숯통에 장착되는 경 우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숯통(C) 내부 중앙에 결합구(31)를 마련하여 지지봉(20)의 하단을 결합구(31)에 장착시킴으로써 지지봉(2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수단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부(10)가 삽입되어 걸쳐지며 지지다리(121)를 포함하는 수용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다리(121는 적어도 세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수용틀(120)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틀(120)의 형상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도부가 사각뿔 형상일때는 수용틀의 형상도 사각형로 구성할 수 있다. 지지수단을 수용틀(120)로 구성하면, 열원(30)의 상측에 수용틀(120)을 놓아 두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유도부(10)를 열원(30)과 불판(40) 사이에 마련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수단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부(10)의 상단에 고리(220)로 마련되어 상측에 위치한 불판(40)에 걸어 유도부(10)를 열원(30)과 불판(40)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지지봉이나 수용틀을 마련하여 유도부를 지지할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유도부를 열원과 불판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지지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적어도 3개 이상이 균등한 간격으로 장착되어 유도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 유도반사체의 작용 및 효과를 알아본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30)에서 직 상방으로 공급되는 열기는 유도부(10)에 의해 차단되어, 유도부(10)의 외면을 따라 유도되거나, 외면에 부딪혀 반사되어 측방향으로 분산되게 된다. 또한, 열원(30)에서 공급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된 유도부(10)는 복사열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열원(30)에서 직 상방으로 집중 공급되는 열기가 유도부(10)에 의해 측방향으로 분산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상측에 위치한 불판(40)을 불판의 중심을 제외한 측면 360°전체적으로 가열시키고, 또한 불판(40)은 유도부(20)의 복사열로 인해 가열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급격하게 가열되지 않고 서서히 가열되게 된다.
따라서, 불판(40)에는 너무 강하지 않은 열기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전달되어 불판(40)의 중앙을 제외한 주변에 놓여진 고기가 모두 골고루 익게 된다. 또한, 불판(40)이 복사열로 인해 가열되기 때문에 급격하게 가열되지 않고 서서히 가열되어, 고기가 불판(40)에 눌러 붙거나 타는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되며, 고기속까지 은은하게 익어 고기맛이 좋아지는 잇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판과 열원 사이에 마련된 열 유도반사체에 의해 열원에서 직 상방으로 공급되는 열기를 측방향으로 유도하거나 반사시켜 상측에 위치한 불판의 중앙 즉. 열 유도반사체 상면을 제외한 측면 360°전체적으로 가열시키 때문에 불판의 중앙을 제외한 주변에 놓여진 고기가 모두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복사열로 불판이 서서히 가열되기 때문에 고기가 불판에 눌러 붙거나 타지 않으면서 맛있게 구워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열원에서 직 상방으로 공급되는 열기를 반사시켜 불판의 측방향으로 유도시키도록 원뿔, 반구 또는 사각뿔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유도부와;
    상기 유도부를 열원과 불판 사이에 마련되도록 유도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유도반사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유도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열원에 장착되는 지지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유도반사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유도부가 삽입되어 걸쳐지며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수용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유도반사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유도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불판에 걸수 있는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유도반사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유도부의 상단에 장착되는 지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유도반사체.
KR1020050066560A 2005-07-22 2005-07-22 열 유도반사체 KR100704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560A KR100704189B1 (ko) 2005-07-22 2005-07-22 열 유도반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560A KR100704189B1 (ko) 2005-07-22 2005-07-22 열 유도반사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128U Division KR200389930Y1 (ko) 2005-04-29 2005-04-29 열 유도반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21A KR20060113321A (ko) 2006-11-02
KR100704189B1 true KR100704189B1 (ko) 2007-04-06

Family

ID=3765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560A KR100704189B1 (ko) 2005-07-22 2005-07-22 열 유도반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1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509Y1 (ko) * 1999-11-19 2000-04-15 오세호 고기 구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509Y1 (ko) * 1999-11-19 2000-04-15 오세호 고기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21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9930Y1 (ko) 열 유도반사체
KR101444863B1 (ko) 전기 구이기
JP5462937B2 (ja) 改良両方向加熱調理器
US5735260A (en) Tile for use with a cooking grill
KR20140002962U (ko) 상부발열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열 조리기
KR20120121660A (ko)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20010046965A (ko) 복사열판으로 구성된 구이장치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100704189B1 (ko) 열 유도반사체
AU2011101307C4 (en) A burner assembly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100610055B1 (ko) 구이판
KR20070082496A (ko) 구이기에 적용하는 원적외선 방사열 유도반사체
KR101713432B1 (ko) 다기능 불판
KR20090015234A (ko) 조리구이판
KR200478216Y1 (ko) 전선 고정 수단이 구비된 가열 조리기
KR102053551B1 (ko) 조리용 솥
KR101819384B1 (ko) 석쇠받침 보조불판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200415454Y1 (ko) 구이기에 적용하는 원적외선 방사열 유도반사체
KR20160145418A (ko) 상 방향 가열 조리기
KR101694156B1 (ko) 다기능 구이기
KR200474189Y1 (ko) 복사열과 직화를 이용한 바베큐 그릴
JP2020029984A (ja) 調理器
KR200185547Y1 (ko) 고기 구이기 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