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832B1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832B1
KR100703832B1 KR1020010038963A KR20010038963A KR100703832B1 KR 100703832 B1 KR100703832 B1 KR 100703832B1 KR 1020010038963 A KR1020010038963 A KR 1020010038963A KR 20010038963 A KR20010038963 A KR 20010038963A KR 100703832 B1 KR100703832 B1 KR 10070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conductive film
forming
film
pl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211A (ko
Inventor
장헌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3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8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75Electrode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 H01L28/91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made by depositing layers, e.g. by depositing alternating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를 구성하는데 다바이스의 높이를 낮추고, 셀과 주변지역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은 소정의 도전 구조 및 절연 구조가 형성된 기판 상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의 도전 구조를 노출시키는 전하저장전극 콘택홀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전하저장콘택홀이 형성된 전체구조 상부에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을 형성하되, 상기 전하저장전극 콘택홀이 매립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이 형성된 전체 구조 상부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커패시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2 절연막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 전도막과 상기제2 절연막이 형성된 패턴의 측벽에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 표면에 유전체 박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상기 전하저장전극 콘택홀내에 매립된 상기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과 콘택되며 상기 유전체 박막을 덮는 전하저장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루어진다.
커패시터, 이중 플레이트전극, 단차, 공핍, 폭, 센싱마진.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도1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 제조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1 산화막
23 :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
25 : 제2 산화막
27 :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
29 : 유전체박막
30 : 전하저장전극용 전도막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 중 캐패시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미세화에 따른 메모리셀의 커패시터 면적 축소와 안정적인 동작을 확보하기 위한 용량 확보가 포인트이며, 각 사에서 여러 가지 연구를 하고 있는데, 크게 스택 캐패시터(stack capacitor) 구조와 트랜치(trench capacitor) 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스택 캐패시터 구조는 실리콘(Si) 기판상에 3차원 구조의 캐패시터를 만든 것이고, 트랜치 구조는 실리콘 기판에 깊은 홀(hole)을 파서, 캐패시터을 기판 내부에 형성하여, 캐패시터 용량을 얻는 것이다.
트랜치 캐패시터의 이점은 기판내부에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때문에 캐패시터 형성 후에도 평탄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으며, 로직 프로세스에 비해서, 고온 열처리가 필요한 캐패시터 형성을 트랜치스터 형성 전에 실시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트의 고성능화가 쉽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단점으로서는 캐패시터 용량 확보를 위해서 깊고, 큰 어스펙트 비(aspect ratio)의 트랜치의 가운데에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때문에 미세화가 되면 메모리 셀를 안정적으로 만드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점이다.
한편, 스택 캐패시터(stack capacitor)를 이용한 메모리 셀의 장점은, 메모리 셀를 축소하기 쉽다는 것과 만들기 쉽다는데 있다. 트랜지스터 형성 후에 캐패시터 형성을 하기 때문에, 차후 고온 처리가 필요한 BST등의 고유전체 막을 이용한 캐패시터의 도입이 용이하다는 점도 큰 매력이 된다. 그러나 트랜치 캐패시터의 단점은 기판상에 입체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것에 따라 발생하는 메모리 셀 영역과 로직부의 평면 단차가 고밀도 다층배선 형성, 콘택 형성에 대해서 장벽이 된다는 점 이다.
또, 트랜지스터 형성 후에 캐패시터 형성을 하기 때문에 캐패시터 형성에 필요한 열처리가 트랜지스터의 고성능화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서 볼 때 메모리셀을 만들기 쉽고, 셀사이즈를 축소하기 쉬운 스택 캐패시터를 주로 선택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택 커패시터를 형성 공정은 전하저장전극 상에 유전체 박막 및 플레이트전극을 적층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셀 영역과 주변회로 영역 간에 단차가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후속 금속 콘택 공정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은 유전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상, 하부전극들이 하나의 전극만을 이용하므로, 도핑(Doping) 농도에 따라 유전막 사이에서 공핍 폭(depletion width)이 크게 나타나 셀 커패시턴스가 작아지므로 센싱 마진(Sensing Margin)이 떨어지므로 소자의 동작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셀 영역과 주변회로 영역 간의 단차를 줄이고, 셀 커패시턴스를 확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은 소정의 도전 구조 및 절연 구조가 형성된 기판 상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의 도전 구조를 노출시키는 전하저장전극 콘택홀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전하저장콘택홀이 형성된 전체구조 상부에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을 형성하되, 상기 전하저장전극 콘택홀이 매립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이 형성된 전체 구조 상부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커패시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2 절연막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 전도막과 상기제2 절연막이 형성된 패턴의 측벽에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 표면에 유전체 박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상기 전하저장전극 콘택홀내에 매립된 상기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과 콘택되며 상기 유전체 박막을 덮는 전하저장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10)상에 소정영역에 소자분리막(11)을 형성하고, 게이트절연층(12), 게이트전극(13), 게이트하드마스크(14), 스페이서(15) 및 소오스/드레인 영역(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되 는 모스 트랜지스터와, 랜딩 플러그 콘택(19) 및 비트라인(18)를 형성한다. 도면 부호 16은 층간절연막을 나타낸 것이다. 이어서, 전체 구조 상부에 제1 산화막(20) 및 식각베리어층(21)을 차례로 증착한다. 여기서, 제1 산화막(22)으로는 HDP(High Density Plasma), USG(Undoped Silicate Glass), PSG(Phospho Silicate Glass), PE-TEOS(Plasma Enhanced Tetra Ethyl OrthoSilicate), LP-TEOS(Low Pressure Tetra Ethyl Ortho Silicate Glass), BPSG(Boro-Phospho-Silicate Glas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영역을 덮는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사용하여 하부 랜딩 플러그 콘택(19)을 노출시키는 상기 제1 산화막(20) 및 식각베리어층(21)을 건식 식각한다.
이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을 따라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23)을 증착하되, 상기 랜딩 플러그 콘택(19)과 연결되도록 한다.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23)으로는 폴리실리콘이나 금속을 사용한다.
이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산화막(25)을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23)상에 증착한다. 여기서 제2 산화막(25)으로는 HDP(High Density Plasma), USG(Undoped Silicate Glass), PSG(Phospho Silicate Glass), PE-TEOS(Plasma Enhanced Tetra Ethyl OrthoSilicate), LP-TEOS(Low Pressure Tetra Ethyl Ortho Silicate Glass) 또는 BPSG(Boro-Phospho-Silicate Glass)를 이용하여 증착한다.
이어서 커패시터 형성 마스크(26)를 이용하여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23) 및 제2 산화막(25)을 선택적 식각하여 질화막(21) 상부까지 오픈시키는 커패시터 홀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질화막(21)은 식각 장벽 역할을 한다.
이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을 따 전하저장전극용 전도막을 증착한다.
이어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백 공정을 이용하여 스토리지 노드 콘택과 연결된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27)을 커패시터의 홀 측벽에 형성되도록 한다.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으로 폴리(Poly) 또는 메탈(Metal) 계열을 이용하여 증착한다.
도6b는 상기 공정 단계의 평면도이다.
이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박막(29)을 증착한 후에 에치백 공정을 진행하여 커패시터 홀의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 상에 형성한다. 여기서 유전체박막으로 PZT(Pb(Zr,Ti)O3), TiO, STO(SrTiO3), TaO, TaON, ONO(Oxide-Nitride-Oxide), NO(Oxide-Nitride-Oxide) 또는 BST((Ba,Sr)TiO3)를 사용한다.
이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하저장전극용 전도막(30)을 유전체 사이를 매립하여 형성하여 완성한다. 이때 화학기계연마를 이용하여 전하저장전극용 전도막을 이웃한 커패시터와 격리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의 공정은 COB(Capacitor on Bit Line) 구조 또는 박스(Box)형 스택(Stack) 구조의 커패시터 형성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구상화 공정으로 반구형 실리콘 그레인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하저장전극용 전도막으로 금속막을 사용하여 소정의 열처리를 통해 그 표면을 구상화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을 구성하는데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과 전하저장전극용 전도막을 평행하게 형성하여 다바이스의 높이를 낮추고, 셀과 주변지역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후속 산화막을 증착하고 메탈 콘택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소정의 도전 구조 및 절연 구조가 형성된 기판 상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의 도전 구조를 노출시키는 전하저장전극 콘택홀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전하저장콘택홀이 형성된 전체구조 상부에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을 형성하되, 상기 전하저장전극 콘택홀이 매립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이 형성된 전체 구조 상부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커패시터 형성 영역의 상기 제2 절연막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레이트 전도막과 상기제2 절연막이 형성된 패턴의 측벽에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 표면에 유전체 박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하저장전극 콘택홀내에 매립된 상기 제1 플레이트전극용 전도막과 콘택되며 상기 유전체 박막을 덮는 전하저장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20010038963A 2001-06-30 2001-06-30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70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963A KR100703832B1 (ko) 2001-06-30 2001-06-30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963A KR100703832B1 (ko) 2001-06-30 2001-06-30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211A KR20030002211A (ko) 2003-01-08
KR100703832B1 true KR100703832B1 (ko) 2007-04-05

Family

ID=2771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963A KR100703832B1 (ko) 2001-06-30 2001-06-30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8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255A (ko) * 1992-06-25 1994-01-11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02001A (ja) * 1996-06-15 1998-01-06 Okajima Kogyo Kk グレーチング
JPH101994A (ja) * 1996-06-17 1998-01-06 Naoya Suzuki 腰掛便器での男子用排尿介助器
KR20010037364A (ko) * 1999-10-15 2001-05-07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255A (ko) * 1992-06-25 1994-01-11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02001A (ja) * 1996-06-15 1998-01-06 Okajima Kogyo Kk グレーチング
JPH101994A (ja) * 1996-06-17 1998-01-06 Naoya Suzuki 腰掛便器での男子用排尿介助器
KR20010037364A (ko) * 1999-10-15 2001-05-07 윤종용 반도체 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4-1255
10-2001-3736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211A (ko)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227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682984B1 (en) Method of making a concave capacitor
US2008006135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93879B1 (ko) 비대칭 비트 라인들을 갖는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방법
US2019022157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456577B1 (ko)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6403431B1 (en) Method of forming in an insulating layer a trench that exceeds the photolithographic resolution limits
KR101168606B1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구조물 및 이의 형성 방법
US684422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orage electrode of capacitor
KR100667653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787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3832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US6586312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DRAM capacitor and device made
KR20070019134A (ko)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90840B1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CN219437502U (zh) 半导体器件
KR10044925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70038225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80108697A (ko) 커패시터의 형성 방법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02210A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866707B1 (ko) 반도체소자의 저장전극 형성방법
KR20030002226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CN116801613A (zh) 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
KR100266020B1 (ko) 캐패시터및그의형성방법
KR100250683B1 (ko)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