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986B1 -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986B1
KR100700986B1 KR1020050073750A KR20050073750A KR100700986B1 KR 100700986 B1 KR100700986 B1 KR 100700986B1 KR 1020050073750 A KR1020050073750 A KR 1020050073750A KR 20050073750 A KR20050073750 A KR 20050073750A KR 100700986 B1 KR100700986 B1 KR 10070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light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819A (ko
Inventor
민현진
블라디미르 프로토포포브
조성훈
정재현
이석원
이태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986B1/ko
Priority to CNB2005101339926A priority patent/CN100416335C/zh
Publication of KR2007001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2Optical design, e.g. procedures, algorithms, optimisation rout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083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2B2006/12114Pr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프리즘을 갖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는 백색 광원과; 상기 프리즘과 상기 백색 광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백색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 대역의 빛을 추출하는 파장선택필터와; 상기 파장선택필터로부터 추출된 빛을 상기 프리즘으로 집광하는 집광렌즈와; 상기 프리즘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테이지와;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프리즘을 통과한 빛의 간섭현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복수의 프리즘의 광로장을 일치시킬 수 있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의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즘의 광로장을 설명하기 위한 프리즘 유닛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백색 광원 20 : 파장선택필터
30 : 광량조절부 40 : 집광렌즈
50 : 스테이지 51, 55 : 그리퍼
53, 57 : 구동부 60 : 광유도부
70 : 표시부 100 : 프리즘 유닛
110 : G 프리즘 120 : B 프리즘
130 : R 프리즘 111, 121, 131 : 반사거울
본 발명은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프리즘을 사용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을 촬상하여 재현하는 광학디바이스에 사용되는 CCD는 1-CCD에서 3-CCD로 발전되어 왔다. 입력 영상에 대하여 명암 및 형태만을 표시할 수밖에 없었던 기존의 1-CCD의 경우 컬러를 재현하기 위하여 CCD에 컬러필터를 사용하였다. 컬러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컬러의 재현이 가능해졌으나 하나의 픽셀은 하나의 RGB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색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이미지의 명확한 표시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전술한 점을 해결하고 실제에 가까운 영상을 재현하기 위하여 RGB 색분해를 수행하는 3 개의 특수 코딩된 프리즘과 3개의 CCD를 포함하는 프리즘 모듈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 영상은 RGB 3개의 영상으로 분해 되었다가 하나로 합성되므로 하나의 픽셀에 3개의 색정보를 담을 수 있다. 이처럼 3-CCD를 사용함으로써 선명하고 구체적인 영상의 재현이 가능하다.
이미지가 3개로 분해 되었다가 하나로 정확히 합성되기 위해서는 3개의 프리즘을 통과하는 빛 경로의 길이(이하 광로장이라 함)가 동일해야 한다. 광로장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3개의 프리즘을 정렬하고 이들에 부착되는 CCD를 제대로 부착하기 위해서는 각 프리즘 및 CCD를 6개의 자유도로 구동시키기 위한 6개의 지지구조물 및 테스트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마스터 프로젝터(master projector)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비는 고가이므로 프리즘 모듈을 정렬하는데 많은 비용이 필요하고, 또한 이미지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프리즘의 정렬과 하나의 영상으로 정확히 합성하기 위한 CCD 배열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복수의 프리즘의 광로장을 일치시킬 수 있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백색 광원과; 상기 프리즘과 상기 백색 광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백색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 대역의 빛을 추출하는 파장선택필터와; 상기 파장선택필터로부터 추출된 빛을 상기 프리즘으로 집광하는 집광렌즈와; 상기 프리즘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테이지와;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프리즘을 통과한 빛의 간섭현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간섭현상을 보다 명확히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파장선택필터로부터 추출된 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장선택필터는 460 ~ 620 nm 대역의 빛을 보다 바람직하게는 470 ~ 490 nm 대역 및 540 ~ 580 nm 대역의 빛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프리즘을 지지하는 그리퍼와; 상기 그리퍼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로부터 반사된 빛을 상기 표시부로 유도하는 광유도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집광렌즈의 초점거리는 상기 집광렌즈로부터 상기 프리즘의 출사면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프리즘을 갖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에 반사거울을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리즘을 가고정시키는 단계와; 원시광으로부터 소정 파장 대역의 빛을 추출하여 상기 프리즘으로 조사하는 파장추출단계와; 상기 프리즘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반사거울로부터 반사된 빛의 간섭현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간섭현상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프리즘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장추출단계에서 470 ~ 490 nm 대역의 빛을 추출하는 경우, 청색 프리즘을 이동시킨다. 470 ~ 490 nm 대역의 빛이 추출되는 경우 녹색 및 청색의 빛이 모두 추출되므로 고정되어 있는 녹색 프리즘과 유동적인 청색 프리즘 내부의 광로장 차이를 통해 빛의 간섭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간섭현상이 일어나면, 청색 프리즘을 고정시킨다.
상기 파장추출단계에서 540 ~ 580 nm 대역의 빛을 추출하는 경우, 적색 프리즘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540 ~ 580 nm 대역의 빛이 추출되는 경우 녹색 및 적색의 빛이 모두 추출되므로 고정되어 있는 녹색 프리즘과 유동적인 적색 프리즘 내부의 광로장 차이를 통해 빛의 간섭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간섭현상이 일어나면, 적색 프리즘을 고정시킨다.
상기 프리즘의 가고정은 자외선 경화수지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이 경우 상기 프리즘의 고정은 상기 자외선 경화수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짧은 가간섭거리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원시광은 백색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장추출단계는, 추출된 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장추출단계는, 상기 원시광으로부터 추출된 빛을 집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즘에 CCD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으로써 프리즘 모듈 제작이 완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프리즘 배열을 위한 빛의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3은 프리즘의 광로장을 설명하기 위한 프리즘 유닛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1)는 백색광원(10), 파장선택필터(20), 광량조절부(30), 집광렌즈(40), 프리즘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테이지(50), 광유도부(60) 및 간섭현상을 표시하는 표시부(70)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프리즘 유닛(100)은 RGB 색분해 특수 필름을 갖는 3개의 프리즘(110, 120, 130), 즉 R 프리즘(130), G 프리즘(110), B 프리즘(120)으로 구성되며, 각 프리즘의 출사면에는 입사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거울(111, 121, 131)이 마련되어 있다.
백색광원(10)은 원시광으로 백색광을 출사한다. 백색광원(10)으로는 텅스텐-할로겐 램프 등이 사용된다.
기준광에 대한 측정부의 상대변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으로 간섭계를 이용하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즘을 통과하는 빛의 경로차를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켈슨 간섭계를 사용한다. 마이켈슨 간섭계는 빛의 파장의 정밀한 측정을 비롯해 얇은 막의 두께나 스펙트럼 측정 및 고분해능 분광계들에 널리 응용되는 간섭계이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원시광 중 50%는 투과하고, 남은 50%의 광은 90도 만큼 경로가 변경되어 반사된다. 경로를 달리한 광은 각각 다시 반사되어 하나의 장소로 수렴되는데, 이때 외부의 영향이 없으면 두 광의 경로차는 일정하기 때문에 간섭무늬는 변함없다. 그러나 반사거울의 이동과 같은 외부의 환경이 변화하면 파장의 위상이 변경되기 때문에 상쇄 또는 보강의 간섭무늬를 나타낸다. 간섭무늬의 길이를 통해 이동시편을 측정할 수 있다.
단파장을 출사하는 레이저의 경우 간섭이 일어날 수 있는 가간섭거리가 길기 때문에 넓은 영역에 걸쳐 간섭현상을 구현할 수 있지만, 백색광과 같이 여러 대역에 걸친 파장이 섞여 있는 경우 가간섭거리가 짧기 때문에 약 3~4㎛의 상대 거리차에서 간섭무늬를 관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프리즘 내부를 통과하는 광의 길이 즉, 프리즘의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면까지의 거리인 광로장(optical path length)을 약 5㎛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시키기 위하여 가간섭거리가 짧은 백색광을 이용한다.
파장선택필터(20)는 백색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특정 파장 대역의 빛만을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G 프리즘(110)을 고정한 상태에서 B 프리즘(120)을 움직이면서 G 프리즘(110) 및 B 프리즘(120)으로부터 반사된 빛의 간섭을 관찰하고, R 프리즘(130)을 움직이면서 G 프리즘(110) 및 R 프리즘(130)으로부터 반사된 빛의 간섭을 관찰한다. 간섭현상은 파장 및 세기가 유사한 빛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G 프리즘(110) 및 B 프리즘(120)으로부터 반사된 빛의 간섭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청색 및 녹색이 모두 공존하는 파장 대역의 빛이 필요하며, G 프리즘(110) 및 R 프리즘(130)으로부터 반사된 빛의 간섭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녹색 및 적색이 모두 공존하는 파장 대역의 빛이 필요하다.
도 2는 파장별 광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로 460nm를 중심으로 청색광, 500nm를 중심으로 녹색광 그리고 620nm를 중심으로 적색광이 분포되어 있다. 청색광 및 녹색광은 460 ~ 500nm 대역, 특히 약 470 ~ 490 nm 대역(제 1 파장대역; A)에서에서 공존하고 있으며, 녹색광 및 적색광은 500 ~ 620 nm 대역 특히 540 ~ 580 nm 대역(제 2 파장대역; B)에서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G 프리즘(110) 및 B 프리즘(120)으로부터 반사된 빛의 간섭을 관찰하기 위해서 A 에 해당하는 영역의 빛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가 사용되며, G 프리즘(110) 및 R 프리즘(130)으로부터 반사된 빛의 간섭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B 영역의 빛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가 사용된다.
광량조절부(30)는 파장선택필터(20)로부터 추출된 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간섭현상은 파장 및 진폭이 비슷한 빛에서 잘 나타나므로, 광량조절부(30)는 파장선택필터(20)를 통해 추출된 유사한 파장 대역의 빛을 진폭 즉, 세기가 일정하도록 조절한다. 광량조절부(30)로는 출사된 광의 양을 줄이는 광감쇠기(optical attenuator) 또는 광 밀도를 원하는 양으로 필터링하는 광밀도필터(neutral density filter)가 사용된다.
집광렌즈(40)는 광량조절부(30)로부터 세기가 조절된 광을 집광하여 프리즘 유닛(100)으로 전달한다. 집광렌즈(40)는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빛을 모아주는 볼록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집광렌즈(40)는 고유의 초점거리를 가지는데, 프리즘 유닛(100)은 집광렌즈(40)의 초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집광렌즈(40)의 초점거리(f)는 집광렌즈(40)로부터 프리즘(110, 120, 130)의 출사면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프리즘 유닛(100)을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고, 집광렌즈(40)의 초점거리(f)에 프리즘 유닛(100)이 배열함으로써 집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스테이지(50)는 프리즘(110, 120, 130)의 위치를 조절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50)는 B 프리즘(120)을 지지하는 제 1 그리퍼(51), R 프리즘(130)을 지지하는 제 2 그리퍼(55), 제 1 그리퍼(51)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53) 및 제 2 그리퍼(55)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5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1)는 G 프리즘(110)은 고정되어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다른 프리즘(120, 130)의 위치를 조절한다. 하지만, G 프리즘(110)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G 프리즘(110)을 지지하는 그리퍼 및 그리퍼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 그리퍼(51, 55)는 프리즘(120, 130)을 지지하고 프리즘(120, 130)이 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부(53, 57)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퍼(51, 55)는 일반적으로 기구의 가공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한 보조용 기구인 지그(jig)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53, 57)는 프리즘(120, 130)의 접촉면에 도포되어 있는 자외선 경화수지의 점성으로 인한 유동성을 이용하여 프리즘(120, 130)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부(53, 57)는 모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밀하게 움직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프리즘(110, 120, 130)의 출사면에는 입사된 빛을 다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거울(111, 121, 131)이 마련되어 있다. 3개의 프리즘(110, 120, 130)이 접촉되어 있는 프리즘 유닛(100)은 한 모서리가 약 10~15 mm 정도인 육면체의 부피를 갖는다. 각 프리즘(110, 120, 130)은 가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각 접촉면에는 투명한 자외선 경화수지가 도포되어 있다. 자외선 경화수지는 이 후 프리즘(120, 130)을 완전히 고정시키는 단계에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다.
광유도부(60)는 프리즘 유닛(100)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표시부(70)로 유도하며, 삼각 프리즘이 사용된다. 프리즘 유닛(100)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일괄적으로 간섭현상을 표시하는 표시부(70)로 유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표시부(70)가 집광렌즈(40)의 정면에 마련된다면 광유도부(60)는 구비되지 않아도 되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이다.
광유도부(60)는 빛의 경로를 변경하는 것으로 프리즘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사거울도 가능하고, 표시부(70)의 위치에 따라 프리즘 또는 반사거울의 위치가 유동적이다.
표시부(70)는 프리즘 유닛(100)으로부터 반사된 빛의 간섭현상을 촬상하여 표시한다. 표시부(70)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70)에 표시되는 간섭무늬의 상이 선명해지면 보강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간섭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 및 광 경로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프리즘(110, 120, 130)의 각 출사면에 반사거울(111, 121, 131)을 부착시킨다(S10). 반사거울(111, 121, 131)은 프리즘 유닛(100)으로 입사된 광이 반사되어 입사되었던 경로로 다시 출사되도록 한다.
고정되어 있는 G 프리즘(110)의 입사면에는 무반사 코팅물질이 도포되어 있어 프리즘 유닛(100)으로 입사되는 광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 프리즘(110)과 B 프리즘(120), B 프리즘(120)과 R 프리즘(130)을 자외선 경화수지를 사용하여 서로 접촉시켜 가고정시킨다(S20). 자외선 경화수지는 자외선 에 노출되면 경화되면서 프리즘(110, 120, 130)을 완전히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프리즘과 같은 광학디바이스를 접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착제는 컬러가 없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투명하면서도 점성으로 인한 유동성이 있는 자외선 경화수지가 접착제로서 적합하다. 자외선 경화수지가 도포되어 있는 접촉면은 경화수지의 끈적거리는 점성으로 인해 약간의 접착력을 유지하면서 구동부(53, 57)에 의해 프리즘(120, 1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그 외에 프리즘(110, 120, 130)을 배열하기 위한 도 1의 구성요소들을 소정의 위치에 배열한다.
백색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백색광은 제 1 파장선택필터에 의해 제 1 파장대역(A; 470 ~ 490 nm)의 빛으로 추출된다(S30).
추출된 빛은 광량조절부(30)에 의하여 그 광량이 조절되고 집광렌즈(40)에 의해 집광되어 프리즘 유닛(100)의 입사면으로 입사된다.
제 1 파장선택필터에 의해 추출된 광을 청색 및 녹색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입사광 중 녹색광(Ⅰ)은 G 프리즘(110)과 B 프리즘(120)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는 G 색분해 특수 필름에 의해 G 프리즘(110) 내부로 반사되고, 청색광(Ⅱ)은 B 프리즘(120)으로 투과한다. G 프리즘(110)의 내부를 경유한 빛(Ⅰ)은 G 프리즘(110)의 출사면에 마련되어 있는 반사거울(111)에 의해 다시 동일한 경로를 통해 프리즘 유닛(100)으로부터 출사된다. 출사된 녹색광(Ⅰ)은 집광렌즈(40) 및 광유도부(60)를 거쳐 표시부(70)에 마련된 CCD에 의해 촬상 된 후 표시부(70)에 표시된다.
입사된 청색광(Ⅱ)은 B 프리즘(120)과 R 프리즘(130)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는 B 색분해 필름에 의해 G 프리즘(110) 내부로 반사되고, 입사광 중 적색광이 포함되어 있었다면 R 프리즘(130)으로 투과한다. B 프리즘(120)의 내부를 경유한 빛(Ⅱ) 역시 B 프리즘(120)의 출사면에 마련되어 있는 반사거울(121)에 의해 다시 동일한 경로를 통해 프리즘 유닛(100)으로부터 출사된다. 출사된 청색광(Ⅱ) 또한 표시부(70)에 표시된다.
영상이 정확하고 선명하게 재현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녹색광(Ⅰ) 및 청색광(Ⅱ)이 프리즘(120, 130) 내부를 경유한 각각의 길이는 같아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약 ±5㎛ 의 오차범위에서 광로장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3~4㎛의 간섭거리를 갖는 백색광을 이용하고 있다. 각각 다른 경로를 거쳐 하나의 위치에 도달한 녹색광(Ⅰ) 및 청색광(Ⅱ)은 이동한 거리에 대한 차이만큼 위상이 변하게 되고, 변화된 위상의 차이에 해당하는 다양한 간섭무늬를 형성한다. 여기서 이동거리의 차이는 광로장의 차이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B 프리즘(120)을 이동시키면서(S40), 표시부(70)에 상이 선명하게 나타나는 여부를 관찰한다(S50). 상이 선명해 진다는 것은 보강간섭이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광로장의 차이가 약 3~4㎛ 정도인 것을 의미한다.
간섭현상이 관찰되지 않으면 다시 B 프리즘(120)을 이동시켜 조절하고, 간섭현상이 관찰되면 B 프리즘(120)의 위치를 고정한다(S60).
그런 다음, R 프리즘(13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즉, 제 2 파장대역(B; 540 ~ 580 nm)에서 추출된(S70) 광은 광량조절부(30) 및 집광렌즈(40)를 거쳐 프리즘 유닛(100)의 입사면으로 입사된다.
프리즘 유닛(100)으로 입사된 광은 녹색광(Ⅰ) 및 적색광(Ⅲ)이며, 녹색광(Ⅰ)은 G 프리즘(110)의 출사면에서, 적색광(Ⅲ)은 R 프리즘(130)의 출사면에서 각각 반사된다.
R 프리즘(130)을 이동시켜(S80), 녹색광(Ⅰ) 및 적색광(Ⅲ)의 간섭현상을 관찰한 다음 간섭현상이 표시부(70)에 표시되면(S90), R 프리즘(130)을 고정시킨다(S100).
프리즘(120, 130)을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프리즘 유닛(10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수지를 경화시킨다.
마지막으로, 프리즘 유닛(100)의 각 프리즘(110, 120, 130)에 CCD를 부착시킴으로써 프리즘 모듈의 제조가 완성된다(S110). CCD의 부착은 표시부(7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합성여부를 판단하여 조절한다.
본 발명은 프리즘과 CCD가 결합되어 있는 프리즘 모듈을 조립함에 있어 이를 하나의 단계에서 조립하지 않고 프리즘만을 간섭계를 이용하여 먼저 조립하는 것이다. 정밀하고 작은 크기의 광학디바이스를 동시에 조립하는 과정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간섭계를 이용하여 소정의 오차 범위에서 광로장의 길이를 일치시킨다.
본 발명에 기술된 오차범위 및 가간섭거리에 대한 수치는 광원의 종류 및 요구되는 광로장의 길이에 따라 가변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간섭계를 이용하여 삼색 프리즘의 광로장을 일치시키는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이하게 복수의 프리즘의 광로장을 일치시킬 수 있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6)

  1. 복수의 프리즘을 갖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백색 광원과;
    상기 프리즘과 상기 백색 광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백색 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 대역의 빛을 추출하는 파장선택필터와;
    상기 파장선택필터로부터 추출된 빛을 상기 프리즘으로 집광하는 집광렌즈와;
    상기 프리즘의 위치를 조절하는 스테이지와;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프리즘을 통과한 빛의 간섭현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선택필터로부터 추출된 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선택필터는 460 ~ 620 nm 대역의 빛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선택필터는 470 ~ 490 nm 대역의 빛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선택필터는 540 ~ 580 nm 대역의 빛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프리즘을 지지하는 그리퍼와;
    상기 그리퍼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로부터 반사된 빛을 상기 표시부로 유도하는 광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의 초점거리는 상기 집광렌즈로부터 상기 프리즘의 출사면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9. 복수의 프리즘을 갖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에 반사거울을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리즘을 가고정시키는 단계와;
    원시광으로부터 소정 파장 대역의 빛을 추출하여 상기 프리즘으로 조사하는 파장추출단계와;
    상기 프리즘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반사거울로부터 반사된 빛의 간섭현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간섭현상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프리즘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추출단계에서 470 ~ 490 nm 대역의 빛을 추출하는 경우,
    청색 프리즘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추출단계에서 540 ~ 580 nm 대역의 빛을 추출하는 경우,
    적색 프리즘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의 가고정은 자외선 경화수지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프리즘의 고정은 상기 자외선 경화수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광은 백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추출단계는,
    추출된 광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추출단계는,
    상기 원시광으로부터 추출된 빛을 집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에 CCD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디바이스의 제조방법.
KR1020050073750A 2005-08-11 2005-08-11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0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750A KR100700986B1 (ko) 2005-08-11 2005-08-11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B2005101339926A CN100416335C (zh) 2005-08-11 2005-12-30 光学装置的制造设备及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750A KR100700986B1 (ko) 2005-08-11 2005-08-11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819A KR20070019819A (ko) 2007-02-15
KR100700986B1 true KR100700986B1 (ko) 2007-03-29

Family

ID=3772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750A KR100700986B1 (ko) 2005-08-11 2005-08-11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0986B1 (ko)
CN (1) CN10041633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6282A (zh) * 2020-01-02 2020-03-24 北京理工大学重庆创新中心 一种基于光学集光器的可变色温及色彩的灯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366A (ko) * 1992-08-21 1994-03-15 가츠오 마츠시타 액정용 셀집합체 및 액정셀의 제조방법
KR19990030018A (ko) * 1997-09-22 1999-04-26 히가시 데쓰로 다층막 형성 방법
KR20040098116A (ko) * 2003-05-13 2004-11-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산소 플라즈마 급속 열처리를 이용한 강유전체 게이트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655B2 (ja) * 1990-03-26 1999-08-03 ミノルタ株式会社 色分解プリズム及びそのプリズムを用いた多板式撮像装置
JP2785492B2 (ja) * 1990-12-13 1998-08-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色分解プリズ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30581B2 (ja) * 1992-02-21 1998-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色分解プリズム装置
JP3206150B2 (ja) * 1992-11-09 2001-09-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3板式撮像ブロックの組立装置
JP3615565B2 (ja) * 1994-04-30 2005-02-02 株式会社飯山コシナ 色分解プリズムの光路長調整方法および装置
CN1083134C (zh) * 1998-01-07 2002-04-17 索尼精密部件(惠州)有限公司 光学拾取装置物镜光轴的实时调整装置和方法
JP2001242311A (ja) * 2000-03-01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ズム組立方法とプリズム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366A (ko) * 1992-08-21 1994-03-15 가츠오 마츠시타 액정용 셀집합체 및 액정셀의 제조방법
KR19990030018A (ko) * 1997-09-22 1999-04-26 히가시 데쓰로 다층막 형성 방법
KR20040098116A (ko) * 2003-05-13 2004-11-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산소 플라즈마 급속 열처리를 이용한 강유전체 게이트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40004366
1019990030018
1020040098116
10200470031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16335C (zh) 2008-09-03
KR20070019819A (ko) 2007-02-15
CN1912676A (zh)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9739B1 (en) Polarized light separa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ojection display
JP6449429B2 (ja) 光合波器の製造方法
KR960011399B1 (ko) 광학 소자 조립 장치
KR100485562B1 (ko) 광학 소자의 검사 장치 및 광학 소자의 검사 방법
US7004590B2 (en) Production method for optical device, optical device produced by this method and projector provided with this optical device
JP2002517796A (ja) カラー分離プリズム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04668B1 (ko)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00986B1 (ko) 광학디바이스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02069019A1 (fr) Dispositif et procede permettant un reglage de la position d'un modulateur de lumiere
KR100496083B1 (ko) 광 변조 장치의 위치 조정 장치 및 광 변조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
JP2003131098A (ja) 色合成光学系の製造方法、こ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色合成光学系、およびこの色合成光学系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JP3764446B2 (ja) 光伝送モジュールの接続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光導波路におけるコア位置検出方法
JPH10186195A (ja) 光学素子の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
JP3320249B2 (ja) 光電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電検出装置
WO2002004990A2 (en) Technology for the mounting of microdisplays on a prism assembly
JP2023080540A (ja) 光通信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光通信モジュール製造装置
KR20220113480A (ko) 전자 광학 시스템을 조절, 조립 및/또는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이러한 장치의 용도
JP4214623B2 (ja) ホログラムカラーフィルター液晶素子の製造方法
JP2003084379A (ja) 色合成光学系の製造装置、色合成光学系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色合成光学系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
CN113520594A (zh) 一种双光路3d成像模组的装配方法
JP2009162833A (ja) 光学装置の組立方法、光学装置の組立装置及び光学装置
JP2003149628A (ja) 液晶表示装置の取付構造
JP2004341396A (ja) 光学デバイスの組立製造方法及び投射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