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701B1 -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701B1
KR100700701B1 KR1020040086754A KR20040086754A KR100700701B1 KR 100700701 B1 KR100700701 B1 KR 100700701B1 KR 1020040086754 A KR1020040086754 A KR 1020040086754A KR 20040086754 A KR20040086754 A KR 20040086754A KR 100700701 B1 KR100700701 B1 KR 100700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dixanol
raw material
salt
solv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715A (ko
Inventor
최경석
이승화
Original Assignee
동국정밀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정밀화학(주) filed Critical 동국정밀화학(주)
Priority to KR102004008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7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1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arbox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2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6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6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7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7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amino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오딕사놀의 제조시 염기성 용매를 반응용매로 적용하여 이오딕사놀 원료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이오딕사놀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이오딕사놀의 제조에 있어서, 출발물질의 용매로 염기성 용매를 적용하고, 출발물질을 용매에 보다 완전히 용해시키기 위해 무기염 또는 유기염의 염기성물질을 첨가한 후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의 에피할로히드린을 투입하여 반응시킴으로서 산업적으로 현장 적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출발물질의 잔존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높은 수율향상을 통한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은 (1)원료물질로서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를 염기성 용매에 첨가한 다음 염기를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와,
(2)원료물질이 용해된 용액에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와,
(3)상기 (2)단계의 반응 후 미반응된 원료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4)미반응된 원료물질을 제거한 다음, 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iodixanol}
본 발명은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오딕사놀의 제조시 염기성 용매를 반응용매로 적용하여 이오딕사놀 원료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이오딕사놀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오딕사놀은 비이온성 X-선 조영제로의 하나로서 하기 구조식(1)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정식 화학명칭은 1,3-비스-(아세트아미도)-N,N'-비스[3,5-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2,4,6-트리요오드페닐]-2-히드록시프로판 이다.
Figure 112004049724868-pat00001
......구조식(1)
비이온성 조영제는 낮은 독성, 낮은 점도(viscosity), 신장에 대한 낮은 독성, 고농도의 용액에 비해 낮은 삼투압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비이온성 조영제로는 상기에서 언급한 이오딕사놀 이외에 이오파미돌, 이오헥솔, 이오프로마이드, 이오트롤란, 이오버솔 등이 있다.
이오딕사놀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가 시행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많은 선행기술이 있다.
이오딕사놀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이오딕사놀에 대한 발명이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특2001-0102005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특히 기존의 특허 제조방법 등에 관한 내용 및 이옥딕사놀 제조시 사용하는 원료물질의 회수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오딕사놀은 제조시 원료물질을 용해시키는 용매의 차이에 따라 부가생성물의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오딕사놀의 원료물질이 다량 남게되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오딕사놀의 용해성 및 특성을 파악하여 기존의 제시된 선행기술과 차별화 된 방법으로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미합중국특허(US 2002/0010368)와 WO 00/47549 및 유럽특허(EP 1,150,943)에서는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구조식 2로 나타낼 수 있는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화합물 A)를 원료물질로 하여 이를 수산화나트륨과 2-메톡시에탄올에 용해한 후 염산을 가한 후 에피클로로히드린 (Epichlorohydrin)을 가하여 반응을 진행시킨 뒤 46시간 뒤 이오딕사놀을 얻고, 출발물질인 화합물 A를 다시 회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현장에서 반응시간이 매우 느려서 현장적용에의 어려움이 있으며, 원료물질인 화합물 A가 50% 이상 남아 이오딕사놀의 생성 수율이 너무 낮은 문제가 있다.
Figure 112004049724868-pat00002
......구조식(2)
Figure 112004049724868-pat00003
......반응식(1)
또한 유럽특허(EP 108,638)는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화합물 A)를 물에 용 해한 다음 수산화나트륨(NaOH)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첨가한 뒤 3일 동안 반응시킨 다음 염산으로 중성화시켜 약 17%의 이오딕사놀을 얻는 내용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반응시간이 너무 느려서 현장에서 적용하기가 매우 힘들고, 매우 낮은 이오딕사놀의 수율로 인해서 경제성이 약한 문제가 있다.
Figure 112004049724868-pat00004
......반응식(2)
이밖에 미국특허(USP 6,232,499)는 위의 반응식 1과 같이 반응을 이용하여 이오딕사놀을 얻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 방법 역시 이오딕사놀의 수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의 선행특허들은 이오딕사놀을 얻기 위한 출발물질(화합물 A)이 과다하게 잔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오딕사놀의 수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이오딕사놀의 얻는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오딕사놀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을 연구하던 중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이오딕사놀의 제조에 있어서, 이 출발물질을 용해하는 용매로서 염기성 용매를 적용하면 출발물질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높은 수율의 이오딕사놀을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를 출발물질로 하여 이오딕사놀의 제조에 있어서, 출발물질의 용매로 염기성 용매를 적용하고, 출발물질을 용매에 보다 완전히 용해시키기 위해 무기염 또는 유기염의 염기성물질을 첨가한 후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의 에피할로히드린을 투입하여 반응시킴으로서 산업적으로 현장 적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출발물질의 잔존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높은 수율향상을 통한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은 (1)이오딕사놀의 원료물질로서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를 염기성 용매에 첨가한 다음 염기를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와,
(2)원료물질이 용해된 용액에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와,
(3)상기 (2)단계의 반응 후 미반응된 원료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4)미반응된 원료물질을 제거한 다음, 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옥딕사놀 제조시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는 종래 이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한국특허공개공보 특2001-0102005호).
본 발명에서 이오딕사놀 제조시 원료물질을 용해시키는 용매는 원료물질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이오딕사놀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염기성 용매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염기성 용매의 일예로서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또는 피리딘(Pyridin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염기는 염기성 용매에 용해시킨 이오딕사놀의 원료물질을 보다 완벽하게 용해시키기 위해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역할을 하는 염기는 무기염 또는 유기염 형태의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기염은 수산화리튬(LiOH),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수산화칼륨(KOH)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염은 메톡시나트륨(NaOMe), 에톡시나트륨(NaOEt), 메톡시칼륨(KOMe) 또는 에톡시칼륨(KOEt)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물질이 서로 반응하여 목적하는 이오딕사놀을 얻기 위해 첨가물로서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 등의 에피할로히드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료물질 및 첨가물들의 반응시 원료물질 1몰을 1∼2리터(L)의 염기성 용매에 넣어 용해한 후, 원료물질 1몰에 대하여 염기 0.3∼0.8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0.1∼0.5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 0.1∼0.5몰 첨가하여 0∼50℃에서 24∼48시간 동안 반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양함 함량의 원료물질, 염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을 다양한 온도와 시간 동안 적용한바 전술한 수치 범위의 함량과 온도 및 시간으로 원료물질과 첨가물을 반응시 목적하는 이오딕사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염기성 용매 내에서 원료물질, 염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을 반응시킨 후 염기성 용매를 농축하고 물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여과하여 미반응된 원료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염기성 용매는 10%(v/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v/v) 정도 농축시 미반응된 원료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다. 염기성 용매를 농축한 후 물을 가하여 반응시키고 여과하여 남아있는 원료물질을 제거한다.
상기에서 미반응된 원료물질을 제거한 다음, 염을 제거하여 목적하는 이오딕사놀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염을 제거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하여 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염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HPLC 또는 멤브레인(membrane)을 이용하여 염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염을 제거한 후 결정화 용매로 결정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오딕사놀을 결정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결정화 용매는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오딕사놀 원료물질 1몰에 대하여 3∼7L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양한 함량의 결정화 용매를 적용한바 이오딕사놀 원료물질 1몰에 대하여 결정화 용매를 3∼7L 사용시 용이하게 이오딕사놀 결정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오딕사놀의 원료물질로서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 250g(0.334몰, 순도 98.5%)에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500mL를 가한 뒤 수산화리튬 4.0g(0.167몰)을 첨가하고 20℃에서 15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상기의 원료물질이 용해된 용액에 에피클로로히드린 15.45g(0.167몰)을 투입하고 실온에서 40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수율이 80%인 이오딕사놀을 얻었음을 HPLC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이오딕사놀의 원료물질로서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 250g(0.334몰, 순도 99.1%)에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450mL를 가한 뒤 수산화리튬 4.01g(0.167몰)을 첨가하고 15℃에서 15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상기의 원료물질이 용해된 용액에 에피클로로히드린 15.45g(0.167몰)을 투입하고 실온에서 35시간 동안 반응시켜 반응을 완결시켰다.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10%(v/v)까지 진공농축한 후 5℃에서 증류수 250mL를 가하여 5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한 다음 생성된 고체를 제거하였다. 고체를 제거한 후 남은 여액은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염을 제거하였다.
염을 제거한 후 이소프로필 알콜 2000mL을 사용하여 결정화시킨 다음 이오딕사놀 194.5g(수율 75 %, 순도 97.5 %)을 얻었다.
<실시예 3>
이오딕사놀의 원료물질로서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 250g(0.334몰, 순도 99.1%)에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480mL를 가한 뒤 수산화리튬 4.0g(0.167몰)을 15℃에서 15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상기의 원료물질이 용해된 용액에 에피클로로히드린 15.45g(0.167몰)을 투입하고 실온에서 35시간 동안 반응시켜 반응을 완결시켰다.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10%(v/v)까지 농축하고, 물을 800∼1,000 mL 투입하여 5℃ 이하로 냉각하고, 여과함으로써 미반응된 원료물질을 제거하고 남은 여액은 이온교환수지로 염을 제거하였다.
염을 제거한 후 에탄올 2,000mL를 사용하여 결정화시킨 다음 에탄올로 세척해서 이오딕사놀 199.7g(수율 77 , 순도 98.7%)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에 의해 얻은 이오딕사놀은 종래 기술에 비해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오딕사놀을 얻은 후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프로판올과 같은 알콜 용매로 결정화하여 산업적으로 합성이 용이한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을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1)원료물질로서 N,N'-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2,4,6-트리요오드-5-아세틸아미도 이소프탈아미드를 염기성 용매인 피리딘에 첨가한 다음 염기를 첨가하여 용해하는 단계와,
    (2)원료물질이 용해된 용액에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와,
    (3)상기 (2)단계의 반응 후 미반응된 원료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4)미반응된 원료물질을 제거한 다음, 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염기는 무기염 또는 유기염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무기염은 수산화리튬(LiOH),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수산화칼륨(KOH)이고, 유기염은 메톡시나트륨(NaOMe), 에톡시나트륨(NaOEt), 메톡시칼륨(KOMe) 또는 에톡시칼륨(KOEt)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염의 제거단계에서 염은 HPLC 또는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원료물질 1몰을 1∼2리터(L)의 염기성 용매에 넣어 용해한 후, 원료물질 1몰에 대하여 염기 0.3∼0.8몰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0.1∼0.5몰 또는 에피브로모히드린 0.1∼0.5몰 첨가하여 0∼50℃에서 24∼48시간 동안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미반응된 원료물질 제거는 염기성 용매를 농축하고 물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여과하여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염을 제거한 후 결정화 용매로 결정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결정화 용매는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필 알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KR1020040086754A 2004-10-28 2004-10-28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KR10070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754A KR100700701B1 (ko) 2004-10-28 2004-10-28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754A KR100700701B1 (ko) 2004-10-28 2004-10-28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15A KR20060037715A (ko) 2006-05-03
KR100700701B1 true KR100700701B1 (ko) 2007-03-28

Family

ID=3714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754A KR100700701B1 (ko) 2004-10-28 2004-10-28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7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4821A (en) 1997-02-07 1998-10-20 Nycomed Imaging A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odinated contrast agents and intermediates therefor
KR20010102005A (ko) * 1999-02-11 2001-11-15 조오지 디빈센조, 토브 아스 헬지, 에바 요한손 요오딕사놀의 제조
KR20040087044A (ko) * 2003-04-04 2004-10-13 주식회사태준제약 아이오디사놀 유도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4821A (en) 1997-02-07 1998-10-20 Nycomed Imaging A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odinated contrast agents and intermediates therefor
KR20010102005A (ko) * 1999-02-11 2001-11-15 조오지 디빈센조, 토브 아스 헬지, 에바 요한손 요오딕사놀의 제조
US20020010368A1 (en) 1999-02-11 2002-01-24 Homestad Ole Magne Preparation of iodixanol
KR20040087044A (ko) * 2003-04-04 2004-10-13 주식회사태준제약 아이오디사놀 유도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럽특허공보 제108638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715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553B1 (ko) 이오프로마이드의 신규한 제조방법
EP0773923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halosubstituted aromatic acid
US11472767B2 (en) Process for the monotopic preparation of intermediate organo-iodinated compounds for the synthesis of ioversol
RU2493146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йодированного контрастного агента
US11192864B2 (en) Method for producing calcobutrol
KR100700701B1 (ko) 이오딕사놀의 제조방법
KR20060041207A (ko) 요오헥솔의 제조 방법
KR102167614B1 (ko) 가도부트롤의 제조방법
ES2538090T3 (es) Proceso para la producción de una carbodiimida
CN115160172A (zh) 一种碘普罗胺的制备工艺
CN111065629A (zh) 钆布醇中间体和使用钆布醇中间体的加多酚生产方法
US5728877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iodinated contrast agents
EP387545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lcobutrol
RU2795091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трастного агента йомепрола
ES2386079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tricianometanuros de metal alcalino o alcalintérreo
JP5380743B2 (ja) 光学活性な4−アミノ−3−置換フェニルブタン酸の製造方法
KR20200077744A (ko) 조영제 중간체의 신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영제의 제조방법
EP3854780B1 (en) Method for preparing contrast agent iomeprol
KR20170123748A (ko) 신규 중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이오메프롤의 제조방법
JP2835231B2 (ja) 芳香族ジアミ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960007801B1 (ko) 비이온성 요오드 치환 x선 조영물의 제조방법
KR20190119299A (ko) X선 조영제 이오버솔의 제조방법
CN115894285A (zh) 碘佛醇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80097716A (ko) 아캄프로세이트 칼슘의 제조방법
JP2000128838A (ja) 結晶(s,s)−エチレンジアミン−n,n′−ジコハク酸及び(s,s)−エチレンジアミン−n,n′−ジコハク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