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326B1 -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326B1
KR100700326B1 KR1020050125581A KR20050125581A KR100700326B1 KR 100700326 B1 KR100700326 B1 KR 100700326B1 KR 1020050125581 A KR1020050125581 A KR 1020050125581A KR 20050125581 A KR20050125581 A KR 20050125581A KR 100700326 B1 KR100700326 B1 KR 10070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air
fan
dry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영
Original Assignee
(주)예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네 filed Critical (주)예네
Priority to KR102005012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욕실의 천장 또는 벽체에 매설되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욕실을 건조 및 환기시킬 수 있게 함에 의해 쾌적한 입욕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욕실의 천장 또는 벽체에 매설되며 흡기구들과 배기구들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열을 발생하는 히터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히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욕실을 건조시킬 수 있게 하는 건조용 제1팬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욕실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환기시킬 수 있게 하는 환기용 제2팬과, 상기 욕실의 습기를 감지할 수 있는 습기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습기감지센서와 히터, 제1~제2팬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습기감지센서로부터의 습기를 기초로 상기 히터와 제1~제2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 제1~제2팬, 습기감지센서, 제어부에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조장치, 환기시스템, 욕실, 환기팬, 건조팬, 히터

Description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BATHROOM DRYING SYSTEM USING WI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건조장치에서 욕실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케이스의 일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건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케이스 120 - 히터
130 - 건조용 제1팬 140 - 환기용 제2팬
150 - 제어부 152 - 습기감지센서
본 발명은 욕실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의 천장 또는 벽체에 매설되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하게 하여 습기에 의한 곰팡이가 발생되지 않게 함은 물론 외부 공기의 송풍에 의한 환기나 냄새의 침입을 방지하여 쾌적한 입욕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욕실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욕실에는 통상 환기장치만이 설치되어 있을 뿐 건조장치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 환기장치는 욕실의 공기를 외부로 환기시킬 뿐 욕실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욕실에는 항상 많은 수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분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욕실의 습기에 의해 곰팡이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욕실의 천장 또는 벽체에 매설되어 배기에 의한 환기와 열풍에 의한 건조를 가능하게 하여 습기에 의한 곰팡이가 발생되지 않게 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되는 공기와 혼합하여 송풍되게 함에 의해 신선한 공기의 순환으로 환기나 냄새의 침입을 방지하여 쾌적한 입욕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욕실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욕실의 천장 또는 벽체에 매설되며,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제1,제2공간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공간부와 연락되는 제1흡기구와 제1배기구 및 상기 제2공간부와 연락되는 제3흡기구와 제2배기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제1공간부에 설치되어 제1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제1배기구로 배출하도록 공기를 순환시켜 욕실 내부로 바람을 공급함에 의해 욕실을 건조시킬 수 있게 하는 건조용 제1팬, 상기 케이스의 제2공간부에 설치되어 제3흡기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제2배기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하도록 하는 환기용 제2팬, 상기 케이스의 제1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용 제1팬에 의해 순환되어 욕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열을 발생하는 히터, 상기 욕실의 습기를 감지할 수 있는 습기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습기감지센서와 히터, 제1~제2팬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습기감지센서로부터의 습기를 기초로 상기 히터와 제1~제2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 제1~제2팬, 습기감지센서, 제어부에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용 제1팬에 의해 순환되어 욕실로 공급되는 순환공기에 외부의 공기를 혼합할 수 있게 상기 케이싱의 제1공간부와 외부를 연락되게 형성한 제2흡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건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건조장치에서 욕실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케이스의 일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건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110)는 욕실의 천장 또는 벽체에 어느 일면이 노출되게 매설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은 격벽(112)에 의해 제1,제2공간부(114,116)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제1공간부(114)에는 제1,제2흡기구들(115a,115b)과 제1배기구(115c)가 연락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공간부(116)에는 제3흡기구(117a)와 제2배기구(117b)가 연락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3흡기구(115a,117a)와 제1배기구(115c)는 욕실 측으로 노출되도록 케이스(110)의 일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흡기구(115b)와 제2배기구(117b)는 외부와 연락되게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제2흡기구(115b)의 설치에 의해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히터(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히터(120)는 상기 케이스(110)의 제1공간부(114)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열을 발생한다. 이러한 히터(12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함에 의해 욕실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히터(120)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전기히터를 이용함이 좋은데,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용 제1팬(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건조용 제1팬(130)은 상기 케이스(110)의 제1공간부(114)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제2흡기구들(115a,115b)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제1배기구(115c)로 배출하도록 함에 의해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때, 상기 히터(1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욕실 내부로 공급함에 의해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건조용 제1팬(13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는 제1흡기구(115a)를 통해 욕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순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흡기구(115b)를 통해 외부 공기의 실내 유입도 가능하게 함에 의해 욕실 내부로는 신선한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2흡기구(115b)에 의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1흡기구를 통해 순환되는 실내공기와 혼합함에 의해 욕실 내부의 신선한 공기 순환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환기용 제2팬(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환기용 제2팬(140)은 상기 케이스(110)의 제2공간부(116)에 설치되어 제3흡기구(117a) 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제2배기구(117b)를 통해 실외로 배출한다. 이러한 환기용 제2팬(140)에 의해 욕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에 의해 환기가 이루어지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부(150)는 상기 욕실의 습기를 감지할 수 있는 습기감지센서(152)를 설치하고 이 습기감지센서(152)에 의해 히터(120)와 건조용 제1팬(130) 및 환기용 제2팬(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상기 습기감지센서(152)와 히터(120), 건조용 제1팬(130), 환기용 제2팬(14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습기감지센서(152)로부터의 습기를 기초로 상기 히터(120)와 건조용 제1팬(130), 환기용 제2팬(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50)에 의해 작동하는 본 발명의 욕실 건조장치은, 욕실의 사용 중에는 히터(120)와 건조용 제1팬(130)의 작동은 정지된 상태에서 환기용 제2팬(140)만이 작동되어 환기가 이루어지게 제어하도록 설정함이 좋고, 또 욕실의 사용 후에는 환기용 제2팬(140)의 작동은 정지된 상태에서 히터(120)와 건조용 제1팬(130)의 작동되어 건조가 이루어지게 제어하도록 설정함이 좋다. 이때, 상기 습기감지센서(152)에 의해 습기를 감지하여 습기가 없을 경우에는 히터(120)와 건조용 제1팬(130)의 동작을 정지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를 위해서는 상기 욕실에 구비되는 등(燈)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한 상태에서 습도감지센서(152)로부터의 습기를 기초로 작동되게 함이 좋다. 즉, 상기 욕실에 구비되는 등은 통상 욕실의 사용 중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욕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 함에 의해 이러한 등의 온/오프에 따라 작동되게 설정하여도 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원공급부(160)에 의해 상기 히터(120), 건조용 제1팬(130), 환기용 제2팬(140), 습기감지센서(152), 제어부(150)에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욕실의 습기를 감지하여 히터(120)와 건조용 제1팬(130) 및 환기용 제2팬(140)의 동작을 제어함에 의해 간편한 방법으로 욕실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여름철에는 습기에 의한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여 항상 쾌적한 입욕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욕실의 천장 또는 벽체에 매설되어 배기에 의한 환기와 열풍에 의한 건조를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순환되는 공기와 혼합하여 송풍되게 함으로서, 신선한 공기에 의한 환기나 냄새의 침입을 방지함은 물론 열풍에 의한 건조를 가능하게 하여 습기에 의한 곰팡이를 없애 쾌적한 입욕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욕실의 천장 또는 벽체에 매설되며,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제1,제2공간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공간부와 연락되는 제1흡기구와 제1배기구 및 상기 제2공간부와 연락되는 제3흡기구와 제2배기구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제1공간부에 설치되어 제1흡기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제1배기구로 배출하도록 공기를 순환시켜 욕실 내부로 바람을 공급함에 의해 욕실을 건조시킬 수 있게 하는 건조용 제1팬, 상기 케이스의 제2공간부에 설치되어 제3흡기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제2배기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하도록 하는 환기용 제2팬, 상기 케이스의 제1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용 제1팬에 의해 순환되어 욕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열을 발생하는 히터, 상기 욕실의 습기를 감지할 수 있는 습기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습기감지센서와 히터, 제1~제2팬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습기감지센서로부터의 습기를 기초로 상기 히터와 제1~제2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 제1~제2팬, 습기감지센서, 제어부에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용 제1팬에 의해 순환되어 욕실로 공급되는 순환공기에 외부의 공기를 혼합할 수 있게 상기 케이싱의 제1공간부와 외부를 연락되게 형성한 제2흡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
  2. 삭제
KR1020050125581A 2005-12-19 2005-12-19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 KR100700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581A KR100700326B1 (ko) 2005-12-19 2005-12-19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581A KR100700326B1 (ko) 2005-12-19 2005-12-19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655U Division KR200412322Y1 (ko) 2005-12-19 2005-12-19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326B1 true KR100700326B1 (ko) 2007-03-29

Family

ID=4156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581A KR100700326B1 (ko) 2005-12-19 2005-12-19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3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64B1 (ko) 2008-12-05 2011-06-16 정민우 건축물의 난방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01258U (ko) 2018-12-06 2020-06-16 (주)그렉스 바디 드라이 기능을 가지는 욕실 환기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480Y1 (ko) * 2002-12-09 2003-03-08 박진형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480Y1 (ko) * 2002-12-09 2003-03-08 박진형 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64B1 (ko) 2008-12-05 2011-06-16 정민우 건축물의 난방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01258U (ko) 2018-12-06 2020-06-16 (주)그렉스 바디 드라이 기능을 가지는 욕실 환기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4795B2 (en) Bathroom management system
KR200432444Y1 (ko) 욕실용 환기와 난방기능을 갖는 건조장치
KR100700326B1 (ko)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
KR200412322Y1 (ko) 바람을 이용한 욕실 건조장치
JP2005164113A (ja) 換気装置
JP2004044866A (ja) 浴室暖房乾燥機
JP2002333184A (ja) 浴室用空調機
JP2014001879A (ja) 浴室乾燥機
JP3839707B2 (ja) 浴室暖房乾燥機および全熱交換装置の運転方法
JP2005221178A (ja) 強制同時給排気型換気装置
JP2008151453A (ja) 加湿空調システム
JP5304367B2 (ja) 送風装置
JP2008157529A (ja) 加湿空調システム及び加湿装置
JP2004257605A (ja) 浴室換気暖房乾燥装置
JP3821060B2 (ja) 浴室暖房換気乾燥機
JP2000074446A (ja) 熱交換換気システム
JP3427097B2 (ja) サニタリ換気乾燥システム
JP2009079834A (ja) 空調装置
JP7270568B2 (ja) 浴室乾燥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306480Y1 (ko) 환기장치
JP4026463B2 (ja) 換気装置
JP4720345B2 (ja) 空調装置
JP2001182979A (ja) 高湿度室内の乾燥及び除湿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022989A (ja) 乾燥暖房機
JP2022061082A (ja) 浴室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