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324B1 -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324B1
KR100699324B1 KR1020040001544A KR20040001544A KR100699324B1 KR 100699324 B1 KR100699324 B1 KR 100699324B1 KR 1020040001544 A KR1020040001544 A KR 1020040001544A KR 20040001544 A KR20040001544 A KR 20040001544A KR 100699324 B1 KR100699324 B1 KR 100699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ung
collagen
protein
protein hydrolyzat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598A (ko
Inventor
나카가와모모키
Original Assignee
나카가와모모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가와모모키 filed Critical 나카가와모모키
Publication of KR2004007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나 담수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껍질에 부착되어 있는 비늘(魚鱗)로부터 콜라겐성분을 가수분해하여 분자량 500∼10,000 정도의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으로 제조되는 가수분해물은 가용성이 우수하고, 소화흡수가 용이하며, 또한 기포성, 보습성, 보호콜로이드성 등으로 착색성이 뛰어나고, 제품팽창을 방지하는 효과와 음식물의 저작감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어린단백질가수분해물, 어린, 콜라겐, 바실루스 리케니포르미스, 알칼라아제(Alcalase), 어퍼타이트(apatite), 콜라겐펩타이드

Description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Method of producing protein hydrolysates from fish scale}
본 발명은 해수나 담수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껍질에 부착되어 있는 비늘 (이하 "어린(魚鱗)"이라고 한다)을 이용하여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단백질 중 콜라겐을 추출하여 효소나 산성용액 및 염기용액으로 가수분해하여 분자량 약 500∼10,000정도가 되도록 하여 미용, 건강음료, 건강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원료나 첨가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동물의 체내에서 세포와 세포사이를 메우고 있는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섬유상의 경단백질로서, 단세포 생물에서는 만들어지지 않고 다세포동물에서 만들어진다. 단백질의 일종이고 가늘고 긴 섬유 모양을 하고 있으며, 분자량 약 10만 가량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3개 모여 나선구조로 이루어진 고분자 단백질이다. 피부의 진피층과 결합조직의 주성분이며 피부의 7할, 뼈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 중 90%, 뼈중량의 20%, 그리고 신체를 구성하는 대략 500만 종류의 단백질 중 1/3을 점유하고 있는 성분으로서 신체의 결합조직에 특히 많이 분포하고 있다.
콜라겐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글리신, 프롤린, 혹은 하이드록시프롤린과 같은 아미노산 잔기(殘基) 3개로 이루어져 있는데, 다른 단백질에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프로린과 하이드록시프로린은 비틀림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이 서로 비틀려서 나선모양으로 결합하여 콜라겐이 만들어진다. 또한, 콜라겐의 주요 아미노산인 글리신, 프로린 및 알라닌은 전체 아미노산 함량 중 약 7할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중 글리신은 콜레스테롤을 배설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콜라겐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프롤린과 하이드록시프로린은 체내에서 콜라겐 생성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콜라겐의 기능을 요약하면 세포의 접착제, 몸과 장기의 지지제, 세포기능의 활성화, 세포의 증식작용, 지혈작용, 면역의 강화 등으로서 콜라겐은 신체를 형성하고 60조개의 세포가 서로 결합되어 유기적인 기능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며, 신체를 본래의 상태로 유지하고 노화를 예방한다고 할 수 있다.
콜라겐이 부족하면 피부의 수분이 줄어들어 팽팽함과 윤기를 잃어 피부의 젊음을 유지할 수 없고, 뼈의 칼슘이 정착하기 어렵게 되어 최근에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골다공증 등과 같은 병에 걸리기 쉽게 되어 버린다. 또한, 위장이나 심장, 간장, 폐 등의 모든 장기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콜라겐을 적극적으로 섭취함으로서 미용이나 건강뿐만 아니라 병을 예방, 개선하는 등에 기여할 수 있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의약품, 화장품 및 건강식품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콜라겐은 대부분이 소, 돼지 등 축산물의 껍질과 뼈에서 추출한 고분자 단백질을 효소 등으로 저분자화하여 분자량 약 2,000∼30,000 정도로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제품은 젤라틴의 특성인 겔화능력은 없으며, 소화흡수율을 높인 일종의 콜라겐 펩티드 형태의 제품을 사용해 오고 있다.
종래, 소 및 그 외 유사 반추동물의 뼈나 껍질 유래의 콜라겐이나 그 단백질가수분해물이 화장품 및 식품용 원료로 이용되어 왔지만 광우병 (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의 발병 계기로 우리나라의 식품의약안전청에서나 일본후생성 등에서 광우병 발병 위험이 높은 나라의 해당 원료의 수입이나 반입 및 사용을 금지시켰다. 또한, 앞으로 소나 돼지 등의 가축을 이용한 콜라겐의 사용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광우병이 없는 안전한 천연의 해양원료나 식물로부터 콜라겐 대체소재의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어류에서는 연어, 대구, 참치, 뱀장어 및 잉어의 어피 등을 이용하여 초산용액으로 추출하여 콜라겐을 효율적으로 획득하였으며, 연체류에서는 오징어, 조개에서 펩신으로 처리하여 콜라겐을 추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어류 및 해양 연체류는 어획 직후 냄새가 적게 나지만, 미생물의 작용이나 자기소화작용에 의하여 어획 후 시간경과에 따라 생체성분의 분해로 저분자의 휘발성 성분이 발생하여 불쾌한 냄새를 풍기게 되어, 추출한 콜라겐에서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다. 세균에 대해서는 연안해역에서 어획된 어류에는 103∼108/g 의 세균을 보유하고 있어 어류에서 추출한 콜라겐의 세균오염이 문제로 되고 있다.
어류 유래 콜라겐은 어취와 세균에 대한 대책이 곤란한 문제가 있고, 또한 어류에서 추출한 콜라겐은 지질이나 변성온도의 영향으로 투명도가 나쁘기 때문에 품질이 저하되어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소재분야에서 사용하기 곤란한 점도 있다.
상기의 어류 유래 원료에 미치는 세균과 냄새 및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콜라겐을 추출하기 위한 원료로서 어린을 사용하면 어피보다 세척 및 건조처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세균과 냄새의 제거에 더욱 유효하다.
종래, 어린에서 콜라겐을 얻는 기술로서는 일본특개평 (日本特開平) 11-266803호에 의하면, 어린을 탈회하여 염화칼슘 용액으로 처리하고 나서, 물을 첨가한 후 자비하여 가수분해 단백질을 용출제거하여 어린 형태를 유지하는 경질 콜라겐 연화체를 얻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경질콜라겐 연화체는 목이버섯과 같이 저작감이 좋은 식용재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가용성 보습제로서 화장품 및 식품용으로 첨가하여 보습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특개평 (日本特開平) 05-93000호에서는 어린을 탈회공정에 의해서 에틸렌디아민4초산, 에틸렌디아민4초산2나트륨, 에칠렌디아민4초산4나트륨 등의 염류용액을 이용하여 어린의 칼슘성분을 제거하고, 다음으로 산처리 공정에서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pH 2∼4로 처리한 후, 회수공정에서는 잔사를 분리하여 pH 7.5로 조절한 다음, 투석에 의해 산가용성 콜라겐을 회수하고 있다. 상기의 공정을 15℃ 이하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산가수분해법에 의한 콜라겐의 추출액은 갈색으로 착색하기 때문에 착색성에 의해서 화장품, 의약품 및 식품용 등으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또한 에틸렌디아민착체를 인산칼슘의 제거제로 사용하여 배수하는 것은 작업환경 및 폐기환경에 좋지않다.
일본특개평 (日本特開平) 05-125100에 의하면, 정어리 어린을 이용하여 에칠렌디아민4초산, 에칠렌디아민4초산2나트륨, 에칠렌디아민4초산4나트륨을 이용하여 어린의 성분인 인산칼슘을 제거하고, 다음으로 펩신효소를 이용하여 콜라겐을 분해추출하고, 그 후 잔사를 분리하여 pH 7.5로 조절하여 투석한다. 상기 공정을 15℃ 이하에서보다 좋게는 4∼5℃ 에서 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도 에칠렌디아민착체를 인산칼슘 제거제로 사용하여 배수하는 것은 작업환경 및 폐기환경에 좋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나 담수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비늘(어린)로부터 전처리 공정을 통하여 근기질 단백질 성분을 분리추출하여 효소나 산용액 및 염기용액 등으로 분자량 500∼10,000 정도로 저분자화함으로써 가용성이 우수하고, 소화흡수가 용이하며, 또한 기포성, 보습성, 보호콜로이드성 등으로 착색성이 뛰어나고, 제품의 팽창을 방지하는 효과와 용해온도가 육상동물의 콜라겐보다 낮은 특성을 이용하여 식품첨가제, 미용, 건강음료, 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어피 콜라겐이나 에틸렌디아민착체를 인산칼슘 제거제로 이용하는 어린유래 콜라겐에 비하여 세균과 냄새 를 현저히 제거하고 투명한 제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효소 중에서 적합한 것을 찾아내서 신규한 효소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신규한 효과를 얻은 펩티드를 제조하는 한편, 육상동물유래광우병이 전혀 없는 해양으로부터 천연물을 제조하고, 폐수처리 문제를 해소하는 환경친화적 기술이며, 또한 수산폐기물을 이용함으로서 자원을 재활용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어린으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어린을 수세한 후 염기처리하여 어린으로부터 근기질 단백질 이외의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염기처리된 어린을 산처리하여 어린으로부터 칼슘성분을 제거하고 콜라겐을 회수하는 단계 및 회수된 콜라겐을 가수분해하여 저분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제품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은 전처리 공정, 탈회(칼슘성 분제거) 공정 및 가수분해 공정을 포함한다. 이 공정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처리 공정은 원료인 어린으로부터 근기질 단백질 이외의 성분을 추출하여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전처리공정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우선 원료인 어린을 채취하여 먼저 깨끗이 수세하여 미생물의 오염원을 차단하고, 부패하기 쉬운 어취성분을 제거한다. 수세후에 농도가 0.01∼10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염기용액에서 50℃ 이하, 바람직하게 4∼50℃의 온도로 2∼48시간동안 침지처리하여 어린 속에 결합된 색소, 지방, 다당류 및 근세포외 단백질 등을 제거할 수도 있다.
시험예로서 0.01 ∼ 0.5 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원료비늘(鱗)의 10배량을 첨가하여 35℃로 24시간처리하였을 경우, 용출하는 콜라겐과 콜라겐 이외의 단백질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1로 나타낸다. 염기처리액에 의한 콜라겐의 용출은 1중량%에 불과하지만 콜라겐 이외의 단백질은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어취의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용액 (N)
0.01 0.05 0.10 0.20 0.30 0.50
콜라겐이외의 단백질(중량 %) 30.2 33.8 37.3 37.1 36.1 36.7
콜라겐 (중량%) 0.75 0.87 0.92 1.13 0.98 1.05
특히, 원료 어린은 백색육 어류의 어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 유는 정어리, 고등어, 참치 등의 적색육 어류는 지질 및 히스타민 함량이 많고, 타우린이 적으며, 투명한 가수분해물을 얻는 것이 어려운 반면에 백색육 어류의 어린을 사용하면 투명성이 뛰어난 제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백색육 어류의 예로는 참돔, 감성돔, 구갈돔, 헤다이, 아오부다이, 후에후키다이 등 돔류, 강이나 호수 등에서 서식하는 농어류, 초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돔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전처리에서 또한 고려할 것은 단백질의 변성온도이다. 단백질의 변성온도는 어류의 서식해역에 의해 차이가 있다. 한류역에 서식하는 것은 약 20℃ 이하로서 대구 16℃ , 백연어 16℃ 부근이다. 난류해역에 서식하는 것은 약 20℃ 이상으로서 상어 28℃ , 가다랑어 31℃ 부근이다. 이러한 변성온도를 고려하여 전처리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탈회공정은 전처리된 어린으로부터 칼슘성분을 용출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탈회공정은 어린의 근기질 단백질의 수율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분리정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농도가 0.01∼10중량%의 염산용액에 침지시켜 4∼45℃ 에서 1∼48시간 처리하면 칼슘성분을 효과적으로 용출제거하고 근기질 단백질의 수율을 높일 수 있다.
실험예로서 염산농도에 따른 칼슘제거율을 35℃ 에서 24시간동안 처리한처리액의 결과를 표2로 나타내었다. 염산 0.6중량%에서는 처리액중의 칼슘량은 2.8중량%이나 염산 5.9중량%에서는 처리액중의 칼슘량은 19중량%로 증가해 있다. 잔사(鱗)중의 칼슘량은 0.9중량%로 저감되어 있다.
염 산 % 처리액중의 칼슘농도% 잔사중의 칼슘농도%
0.60 2.8 17.1
1.20 4.7 14.3
1.97 11.5 9.1
3.00 13.5 7.5
3.94 18.5 1.6
5.91 19.0 1.0
7.88 19.8 0.9
9.85 19.8 0.9
어린속에서 대부분 탄산칼슘으로 존재하는 칼슘성분을 산용액으로 처리하면 탄산칼슘이 분해되면서 염화칼슘으로 용해되므로 용이하게 칼슘을 용출제거할 수 있게 된다. 칼슘을 제거하면 반투명한 어린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의 어린에는 근기질(筋基質) 단백질인 콜라겐 함량이 높아 목적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가수분해공정에서는 효소,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공정에서 1만∼30만의 근기질 단백질이 분자량 10,000 이하, 바람직하게 분자량 500∼10,000의 어린 단백질 가수분해물(또는 콜라겐 펩타이드 형태)이 될 때까지 가수분해한다.
효소가수분해의 경우, 단백질 분해효소가 사용되며, 특히 엔도형 단백질 분해효소(endo-protease)가 효과적이다. 탈회공정을 거친 어린을 효소가수분해하는 데에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20∼70℃ 에서 6∼48시간 동안 가수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효소가수분해하면 분자량 10,000이하의 어린단백질가수분해물이 얻어진다. 엔도형 가수분해효소에는 펩신, 레닌, 트립신, 카텝신, 파파인, 피신, 콜라게나제, 브로멜라인 등이 있으며, 폴리펩타이드의 중간결합부에 작 용하여 아미노산 잔기(殘基)를 절단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에 의해 만들어진 효소인 알칼라아제(Alcalase)로서 어린콜라겐의 가수분해시 아미노산에까지 분해하지 않도록 하고 가수분해물인 펩티드의 수율을 80%이상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자량 500 ∼ 10,000의 펩티드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 알칼라아제에 의해 얻어진 펩티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아미노산에 특이성이 있고 사람에게 복용하여 미용과 건강에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서는 알칼라아제 0.05 ∼ 0.6 중량%액으로 pH 7로 조절하여 40∼70℃ 로 1∼48시간동안 칼슘을 제거한 어린을 처리하는 것에 의해 분자량 500 ∼ 10,000의 펩티드를 얻을 수 있었다. 엑소펩티다제(exo-peptidase)와 같이 N-말단에서 또는 C말단에서 작용하는 분해효소는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다.
산가수분해의 경우, 산농도가 0.01∼10중량%의 염산, 황산, 질산, 포름산, 초산 등의 무기산 용액이나 초산, 아세트산, 인산, 구연산 등의 유기산 용액을 사용하여 pH 1∼4로 조절하여 200∼300℃ 의 고온에서 4∼48시간동안 가열분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산가수분해하면 농도 0.1∼15중량% 용액이 얻어지며, 이를 염기성 용액에 의해 중화시키면 분자량 500∼10,000정도의 가수분해물이 얻어진다. 산농도가 0.01중량% 이하에서는 목적하는 가수분해물이 효과적으로 얻어지지 않고, 10중량% 이상의 산농도에서는 단시간에 진한 갈색으로 착색되어 좋지 않다. 산가수분해방법에 의하면 목적하는 가수분해물이 단시간에 추출되지만 갈변이 일어나기 쉬워서 급격한 처리조건은 피하는 것이 좋다. 장시간 가열분해하 여도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를 요한다.
염기가수분해의 경우, 농도 0.1∼10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200∼300℃ 의 고온에서 4∼48시간동안 가열분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염기가수분해하고 산용액으로 중화시키면 분자량 500∼10,000정도의 가수분해물이 얻어진다. 염기농도가 0.01중량% 이하에서는 목적하는 가수분해물이 효과적으로 얻어지지 않고, 10중량% 이상에서는 변색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산가수분해나 염기가수분해에서 중화할 때 생성된 염이나, 근기질 단백질을 정제하기 위하여 염석할 목적으로 사용한 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투석막이나 이온교환수지 및 전기분해에 의한 탈염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수분해공정을 거친 후에는 가수분해하여 용출시킨 추출액을 중화시켜 여과한 후, 탈염한 추출물을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농축하고, 농축물을 동결진공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품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어퍼타이트(apatite)를 함유한 상태의 어린을 염산처리하지 않고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을 알칼라아제(Alcalase)를 포함하는 액에 의해 콜라겐을 효소분해하여 분자량 500 ∼ 10,000의 펩티드를 추출할 수 있다. 처리시간은 어린의 분말화정도에 따라 상이하지만 2 ∼ 6시간으로 충분하며 처리액을 여과함에 따라 목적물의 펩티드와 어퍼타이트(Apatite)를 분리회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효과 및 바람직한 용도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사용하여 밥을 지을 때 배합하면 부드럽게 부풀려지고, 건조를 막고 밥이 딱딱하게 되지 않게 되며, 주먹밥에 사용해서 냉동 건조한 후 사용시에 해동하고 나서 원래 나타나는 감촉이 복원되고, 밥의 내부 수분의 증발이 억제되며, 두부에 배합하여 푸딩과 같이 저작감을 제공할 수 있고, 빵이나 해물볶음밥에 배합하면 건조를 방지하고, 단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곶감, 건포도, 건제품 등의 건과실류 제조시에 사용하면 딱딱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기를 머금은 것처럼 촉촉하고 유연하게 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식품에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화장품에 보습성분으로 사용되면 피부에 흡착하여 수세에도 견디기 때문에 지구성과 윤활성이 우수한 보습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비누나 세정젤에 첨가하여 피부에 사용하면 잘 씻어진 후에도 피부에 윤활성의 보습효과가 지속된다. 또한, 보습제 성분으로서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배합할 수 있지만 화장수로서 정제수에 용해하여 사용하면 피부의 근육이 땡기는 것을 막고 윤기가 나타난다. 클린싱이나 물티슈 및 두발용으로 린스에 사용하여도 피부의 윤기가 나타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단독으로 화장품이나 식품에 첨가하여 보습성을 얻을 수 있지만, 키토산 또는 올리고 키토산의 수용성염이나 세리신과 배합해서 화장품이나 식품에 사용하여 보습성을 한층 향상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분자량 기준으로 분리제조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화장품용으로서는 피부의 각질에 침투시켜 윤기를 요구하는 경우나, 두발보호에 이용되는 경우는 분자량 400∼1,000 정도, 건조피부를 보호하는데는 2,000∼4,000 정도, 식품용에 있어서도 취반이나 빵에 첨가해서 보습을 요구하는데는 1,000 정도, 건과에서는 400 정도, 두부에 첨가하여 푸딩제품을 제조하는데는 3,000∼4,000 정도가 효과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이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열대지방에서 어획된 돔류의 어린을 교반기가 부착된 세정기에 넣어 수세를 수회 반복한 후, 원료중량당 10배량의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투입하여 30℃ 에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어린을 세정하였다. 세정한 어린을 염산 0.2중량% 용액에 침지하여 35℃ 에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탈회처리를 실시하고, 수세하여 원심탈수하였다. 그 다음으로 0.5N 초산을 가하여 분자량 10,000∼300,000의 단백질 획분에 파파인 효소 0.1중량%를 첨가하여 40℃ 에서 24시간 효소분해처리를 실시하였다. 처리액을 여포로서 여과하고, 염화나트륨을 5중량%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원심탈수에 의하여 분리정제한 다음, 0.02M 인산완충용액으로 pH 7.4로 조정한 다음 투석막으로 투석하여 평균분자량 3000의 농도 2.8중량%의 투명한 단백질가수분해물 용액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액이라고 한다)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 용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농도를 0.3중량%로 조절하여 피부의 보습성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은 24세 여성의 왼팔의 내측에 시료액을 분무하여 피부표면의 수분을 「피부수분측정기」(일본 적수화학공업주식 회사제)에 의해 측정하는 방법으로 행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시료로서 정제수, 돼지 유래 프로테인 (평균분자량 3000)의 0.3중량% 용액, 정어리 어린유래 프로테인 0.3중량% 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제시된다. 시료액을 피부에 분무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피부표면의 수분건조상태를 측정하기 때문에 표 3에 나타낸 측정치는 숫자가 클수록 보습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하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피부에 사용하여도 종래의 돼지유래의 프로테인이나 정어리 어린유래의 프로테인보다도 우수한 보습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과시간 (분) 정제수 본 발명의 프로테인 돼지유래의 프로테인 정어리 어린유래의 프로테인
0(분무전) 54 54 54 54
5 69 81 78 75
10 62 78 73 70
20 55 72 66 63
30 53 71 64 60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액을 분무건조기에 의해 분말화하였다. 분말을 비누에 0.2중량% 배합하여 1개당 125그램의 화장비누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장비누로 목욕탕에서 신체를 씻은 후, 목욕탕에 들어갔다 나와서 타월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종래의 비누와 비교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어린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화장비누는 사용후 촉촉해지고 윤 기가 있는 피부로 매끄럽게 되었다. 한편, 종래의 비누의 경우에는 피부가 거칠어지게 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함유시키면 화장비누의 보습효과가 개선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열대지방에서 어획된 흑돔류의 어린을 교반기가 부착된 세정기에 넣어 수세를 수회 반복한 후, 원료중량당 10배량의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투입하여 30℃ 에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어린을 세정하였다. 세정한 어린을 염산 0.1중량% 용액에 침지하여 35℃ 에서 24시간 교반한 다음, 산처리를 실시하고 수세하여 원심탈수하였다. 다음으로 10배량의 염산 2중량%액에 투입하여 24시간 가열분해한 후 산추출액 농도 6.2중량%액을 회수하였다. 다음으로 0.5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중화시킨 단백질 획분 10,000∼100,000의 회수액에 트립신효소 0.1중량%을 첨가하여 40℃ 에서 24시간 효소분해처리를 행하였다. 처리액을 여포로 여과하여 염화나트륨을 3.5중량% 첨가하여 원심탈수하여 불순물을 분리제거한 후, 0.02M 인산완충용액으로 pH 7.4로 조정한 다음 투석막으로 투석하여 평균분자량 4,000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이 농도 3중량%로 함유된 투명한 어린 단백질 가수분해물 용액 (이하, "실시예 3의 추출액"이라고 한다)을 얻었다.
실시예 3의 추출액의 농도가 0.1중량%가 되도록 밥물에 첨가하여 밥을 지었다. 또 한편으로는 상기 추출액의 첨가없이 밥을 지었다. 추출액을 첨가하지 않고 지은 밥은 하루 경과하면 건조되어 딱딱하게 되지만, 추출액을 첨가하여 지은 밥은 2일 경과하여도 딱딱하게 되지 않고 부드럽게 부풀어져 있었으며, 맛도 좋고 이취는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밥에 광택이 나서 호평이었다.
[실시예 4]
실시에 3의 추출액을 동결건조에 의해 -40℃ 로 동결하여 40℃ 에서 진공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이 분말을 두부에 0.2중량%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한 결과, 제조된 두부는 부드럽고 탄력이 있으며, 맛이 개선되어 호평이었다.
[시험예 1]
실시예 1의 수세한 어린 중에 함유된 근기질외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염기용액 처리를 실시하였다. 농도 0.01∼0.5중량%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원료 중량당 10배량을 가하여 35℃ 에서 24시간동안 처리하여 염기가용성 조단백질과 염기용액중용출되는 콜라겐 함량을 표 4에 나타내었다. 0.10N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24시간 처리하였을 때 염기가용성 조단백질이 37.3% 정도로 가장 높게 나타나서 근기질외 단백질이 많이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염기용액 중에 콜라겐 성분도 다량 용출되는지 그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콜라겐 함량을 측정해 본 결과, 염기용액중에는 거의 용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화나트륨용액(N)
0.01 0.05 0.10 0.2 0.3 0.5
단백질(%) 30.2 33.8 37.3 37.1 36.1 36.7
콜라겐(%) 0.75 0.87 0.92 1.13 0.98 1.05
[시험예 2]
실시예 1의 수세한 어린을 염산농도별 탈회처리를 행하여 수율을 시험하였다. 0.5∼10중량%의 염산용액을 가한 후, 35℃ 의 항온기에서 24시간 처리한 후 회수된 비율을 살펴본 결과, 전처리시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영향을 받겠지만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0.5중량%의 염산을 첨가하였때 84%의 수율을 얻었지만, 염산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율이 급격히 떨어져 8% 염산용액중에서는 수율이 30%이었다.
염 산 시료량(g) 수율 (g) 수율 (%)
% N
0.595 0.06 1.99 1.6733 84.09
1.19 0.12 2.01 1.5338 76.31
1.785 0.18 2.01 1.3473 67.37
1.97 0.2 2.00 1.1632 58.16
2.83 0.24 2.00 1.1668 58.34
2.975 0.3 1.99 0.9483 47.65
3.57 0.36 2.00 0.7875 39.38
3.94 0.4 2.00 0.6523 32.62
5.91 0.6 2.00 0.3682 18.41
7.88 0.8 2.00 0.6064 30.32
9.85 1.0 2.00 0.2565 12.83
[시험예 3]
실시예 1의 수세한 어린을 염산농도별로 탈회처리를 행하여 여액과 고형분 중에 함유된 칼슘의 함량변화를 실험하였다. 0.5∼10중량% 염산용액을 가한 후, 35℃ 의 항온기에서 24시간동안 산처리한 후, 원심분리하여 여액과 고형분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칼슘함량을 측정한 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산농도가 높을수록 불순물이 제거되는 양도 증가하여 0.6% 염산용액에서는 여액 중 칼슘함량이 2.8%인 것이 9.9% 염산용액의 여액에서 20%의 칼슘함량이 나타났다. 반면에 고형분에서 염산농도가 증가할수록 잔존하는 칼슘의 량은 1%이하로 나타났다.
염산(%) 시료량(g) 칼슘농도
여액 잔사
(㎎%) (㎎%)
0.595 1.99 2811.12 17158.35
1.19 2.01 4757.27 14332.27
1.785 2.01 9064.04 13222.02
1.97 2.00 11483.28 9147.50
2.83 2.00 11906.64 8625.75
2.975 1.99 13514.98 7468.93
3.57 2.00 16614.41 2927.01
3.94 2.00 18557.01 1610.25
5.91 2.00 18996.61 1051.36
7.88 2.00 19866.69 908.38
9.85 2.00 19848.45 923.16
[시험예 4]
실시예 1의 수세한 어린을 염산농도별로 탈회처리를 행하여 고형분 중에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변화를 실험하였다. 0.5∼10%의 염산용액을 20배량을 가하여 35℃ 로 고정한 항온기에서 24시간 전처리를 행한 후, 원심분리하여 여액과 고형분으로 나눈 다음, 고형분 중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산농도가 높을수록 탈회되어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0.6% 염산용액에서 전처리한 어린의 단백질함량이 56.1%인 것이 9.9% 염산용액으로 처리한 후에는 어린 중의 단백질 함량이 약 98%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산(%) 시료량(g) 단백질량(%)
0.595 1.99 56.10
1.19 2.01 56.92
1.785 2.01 57.90
1.97 2.00 72.63
2.83 2.00 66.64
2.975 1.99 83.64
3.57 2.00 92.82
3.94 2.00 98.10
5.91 2.00 98.56
7.88 2.00 97.11
9.85 2.00 98.23
[시험예 5]
실시예 1의 수세한 어린을 염산용액으로 탈회처리시 처리시간에 따른 수율과 제거된 칼슘의 함량을 실험하였다. 수세한 어린에 3중량% 염산용액을 가한 후, 35℃ 의 항온교반기에서 24시간동안 전처리하였다. 각각의 처리시간마다 시료를 취하여 원심분리하여 여액과 고형분으로 나눈 다음, 분리한 고형분의 회수율과 여액중의 제거된 칼슘의 함량을 표 8에 나타내었다. 처리시간에 따라 수율은 감소하고, 여액중의 칼슘농도는 증가하여 처리시간에 따라 고형분의 수율과 염산용액중의 칼슘 함량과의 관계은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24시간 처리한 후에도 수율은 50%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처리시간에 대한 각각의 여액중 칼슘의 함량은 12시간 이후에는 거의 일정하였으며, 약 16%의 칼슘이 용출되었다.
시간(hr) 시료량(g) 회수량(g) 수율(%) 칼슘(mg%)
1/6 2.0118 1.37 68.1 12264
2/6 2.0120 1.3 64.6 14669
0.5 2.00 1.32 66.0 14717
1 2.00 1.26 63.0 15663
2 2.00 1.3 65.0 15791
3 2.01 1.31 65.2 15430
6 2.00 1.26 63.0 15807
9 2.00 1.23 61.5 15895
12 2.00 1.21 60.5 16032
15 2.01 1.22 60.7 16093
18 2.00 1.19 59.5 16192
21 2.00 1.16 58.0 16032
24 2.03 1.21 59.6 16192
[시험예 6]
실시예 2의 어린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TSKgel G2500PWx l 칼럼을 이용)로 분자량을 정하였다. 본 발명에 대한 크로마토그램과 검량선(분자량과 용출시간과의 관계식)에 의하여 피크면적비로 계산한 결과, 분자량 10,000이상이 36%, 3,000∼10,000이 55%, 1,000∼3,000이 7%, 500∼1,000이 1%, 500이하가 1%을 차지하는 성분조성으로 이루고 있었다.
[시험예 7]
실시예 2의 어린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조성을 측정하였다. 시료는 염산으로 가수분해하여 아미노산분석기로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요 단백질은 글리신, 프로린, 알라닌이 각각 23.5, 12.0 및 10.9g/100g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무기질 성분으로서는 DDTC-Ag 흡광광도법 에 준하여 비소(AS2O3로서) 성분은 불검출이었고, 원자흡광분광법에 따른 납 함량은 0.26ppm, 카드뮴 함량은 0.02ppm으로 나타났다.
종류 함량 (g/100g) 종류 함량 (g/100g) 종류 함량 (g/100g)
알기닌 7.61 이소류신 1.07 글루타민산 9.15
라이신 3.48 메치오닌 2.07 세린 3.07
히스티딘 1.09 발린 2.22 트레오닌 2.69
페닐알라닌 1.92 알라닌 10.09 아스파라긴산 5.10
타이로신 0.60 글리신 23.5 트립토판 -
류신 2.23 프로린 12.0 시스틴 0.05
[실시예 5]
태국에서 채취한 비늘돔의 어린을 물로 씻어서 비늘중량의 10배량인 0.1N수산화나트륨용액에 35℃로 24시간 교반하면서 처리하여 물로 씻었다. 이어서 3중량%의 염산용액에 35℃로 24시간 처리하여 로터리회전식처리기로 칼슘을 제거하였다. 탈칼슘후에 미세하게 분쇄하고 물을 주입하여 60℃로 하여 pH7로 조절했다. 이것에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에 의해 만들어진 효소인 알칼라아제(Alcalase) 2.4 LFG(NOVOZYMES사제품) 0.1중량%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10시간 처리를 행하였다. 처리후 0.5㎛필터 및 멤브레인필터를 통해서 분무건조에 의해 백색분말상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얻었다.
[검색결과]
1.분자량
얻어진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에 대하여 GPC법(Ultrahydagel TM 120.78×30 0Column Part No.11520)에 따라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여 표10으로 나타내었다. 분자량은 500 ∼ 5000의 것이 91.5%이고 평균분자량은 989이다.
분자량 분포량(%)
10,000이상 0
5,000∼10,000 0.1
1,000 ∼ 5,000 35.9
500∼1,000 55.9
500이하 8.1
합계 100
평균분자량 989
2. 아미노산 구성
실시예 5에 의해 얻어진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구성 아미노산을 대조하여서 각종 단백원인 돼지콜라겐 및 멸치비늘(이하 "약린"이라 한다)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구성아미노산을 표 11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 실시에 5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콜라겐 유래때문에 글리신, 아라신, 프로닌이 높은 비율을 점유하는 것은 돼지나 약린의 것과 공통하지만 히그록신프로린과 세린이 현저히 적어진 것을 알았다.
아미노산 돼지유래콜라겐 약린유래콜라겐 실시예 5의 가수분해물
아스파라긴산 45 53 43
글루타민산 70 75 85
세린 36 44 13
히스티신 7 7 -
글리신 328 324 229
알긴산 47 52 53
드레오닌 17 25 19
히드록시프롤린 125 71 25
알라닌 99 122 98
프롤린 112 117 103
티로신 3 2 3
바린 22 18 23
메티오닌 4 6 16
이소로이신 12 9 25
로이신 25 21 25
페닐알라닌 13 15 15
리신 30 29 15
3. 랫트(rat)에 의한 콜레스테롤 등 시험
실시예 5에 의한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에 대하여 한국 밀양대학 생물공학연구실에서 랫트를 이용하여 식이(食餌)시켜서콜레스테롤, 혈당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했다.
(1)시료식이의 블랭크(blank)배합을 카제인(Casein) 200부, DL-메치오닌 (DL-methionine)3부, 옥수수전분(Corn starch) 150부, 수크로스 (Sucrose_ 490부, 셀룰로스 파우더(Cellulose powder)50부, 미네랄 혼합물(Mineral mixture) 35부, 비타민혼합물(Vitamine mixture) 10부, 콜린 바이타트레이트(Choline bitartrate) 2부, 라드(Lard) 50부, 콜레스테롤(Cholesterol)7.5부, 소듐콜레이트 (Sodium cholate) 2.5부로 하였다.
(2)본 발명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배합은 상기 배합에 있어서의 수크로스(Sucrose) 490부를 390부로 하고, 남은 100부로서 실시예 5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첨가하였다. 랫트를 31일간 사육하고, 31일경 후 혈청중의 총 콜레스테롤치, 유리(遊離)콜레스테롤치, 중성지질, 혈당농도 등을 측정했다.
①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
31일간 실험사육한 랫트의 혈청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A.L.)에 미치는 영향을 표 12로 나타낸다.
mg/dL
시 료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A. L.
블랭크 133.8 ±4.2 20.4 ±0.8 5.6
본발명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 114.0 ±3.0 22.1 ±1.7 4.2
②LDL-콜레스테롤치
31일간 실험사육한 랫트의 혈청중 LDL-콜레스테롤 저밀도 리포프로테인(Low density Lipo protein)에 미치는 영향을 표13으로 나타낸다.
mg/dL
시 료 LDL 콜레스테롤 저밀도 리포프로테인
블랭크 81.7 ±2.0 233.4 ±5.7
본발명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 72.7 ±1.7 207.7 ±4.9
③ 유리(遊離) 콜레스테롤 등에 미치는 영향
31일간 실험사육한 랫트의 혈청중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에 미치는 영향을 표14로 나타낸다.
mg/dL
시 료 유리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에스테르 비율
블랭크 27.5 ±1.0 106.3 ±3.2 79.4
본발명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 25.8 ±0.6 88.2 ±2.4 77.4
④중성지질 등의 미치는 영향
31일간 실험사육한 랫트의 혈청중 중성지질 및 인(燐)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표15로 나타낸다.
mg/dL
시 료 중성지질 (Triglyceride) 인지질 (Phospholipid)
블랭크 117.7 ±2.1 131.1 ±2.0
본발명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 98.5 ±2.3 124.1 ±1.6
⑤혈당농도
31일간 실험사육한 랫트의 혈청중 혈당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표16으로 나타낸다.
mg/dL
시 료 혈 당 (Blood glucose)
블랭크 187.3 ±3.1
본발명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 150.7 ±3.9
⑥알칼린 탈인산가수분해효소 활성(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31일간 실험사육한 랫트의 혈청중 알칼린 탈인산가수분해효소 활성(Alkaline phosphatase activity)에 미치는 영향을 표17로 나타낸다.
시 료 탈인산가수분해효소활성
블랭크 29.4 ±0.8
본발명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 25.2 ±1.1
본 발명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콜레스테롤 저감 및 혈당치 저감에 효과를 가지는 것이고, 건강식품으로서 유효함을 알았다.
[실시예 6]
말레이지아에서 채취한 후에후키다이의 비늘(鱗)을 실시예5의 방법에 의하여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했다. 정제수(精製水)에 의해 펩티드 농도를 0.3중량%로 조절하여 피부에 부여한 경우의 보습성 경시적 변화를 측정하여 표18로 나타낸다.
측정은 24세 여성의 왼팔 내측에 상기 시료액을 분무하여 피부표면의 보습성을「피부수분측정기」(일본국 세키스이카가구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에 의하여 측정했다. 비교를 위하여 브랭크로서 정제수뿐인 경우와, 돼지(豚) 유래 콜라겐(평균분자량 10,000)의 0.3중량% 용액을 이용하여 비교했다. 측정치가 클수록 보습성과 윤택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펩티드가 돼지(豚)나 약린 유래 콜라겐보다도 보습성 및 특구성(特久性)이 우수함을 알았다. 이 효과는 그 펩티드의 기능성과 함께 그 펩티드에서 얻어진 경피 흡수효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과시간 정제수 (精製水) 본발명의 펩티드 돈(豚)유래 콜라겐 약린의 콜라겐
분무전(噴霧前) 54 54 54 54
5분 69 83 75 70
10분 62 80 71 68
20분 55 75 66 62
30분 53 73 63 58
[결과의 총괄]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화장비누에 0.2중량% 배합하여 피부에 사용한 결과, 사용후에 피부가 촉촉하여 윤택해지며 피부가 거칠어짐의 예방에 유효하다.
또 상기 실시예6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로 밥을 지을 때에 0.1중량%첨가한 결과, 하루만 지나도 브랭크의 밥은 딱딱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첨가한 것은 2일이 지나도 딱딱해지지 않고 부드러움이 유지되어 미각도 개선되었다.
실시예 6에서 얻은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두부에 0.2중량%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한 결과, 탄력이 있는 푸딩(pudding)상의 두부가 만들어져 미각이 개선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은 어린속에 결합되어 있는 근기질 단백질인 콜라겐을 추출하여 단백질분해효소나, 산성용액 및 염기용액에 의하여 가수분해한 분자량 약 500∼10,000 정도의 저분자 콜라겐으로서 일종의 콜라겐 펩티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담황색 또는 백색의 분말상태의 저분자 콜라겐 소재로서 가용성이 뛰어나고, 장에서의 소화흡수가 용이하다. 또한, 기포성, 보습성, 보호콜로이드성 등으로 착색성이 뛰어나고, 제품팽창을 방지하는 효과와 용해온도가 낮은 관계로 씹는 맛이 부드러워 지는 효과가 있어 건강식품, 건강음료, 미용, 의약품 및 화장품소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분자 펩티드를 화장품에 사용했을 경우 보습성과 윤택함이 우수하고 건강식품에 사용했을 경우 콜레스테롤 저감, 혈당치 저감의 효과가 있고, 식품첨가물로서는 미각개선에 유효하다. 본 발명은 온난구역에 생존하는 어류의 비늘(鱗)을 자원으로 하여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용이하게 공업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글리신, 프로린, 알라닌이 중요한 아미노산 성분으로서 콜레스테롤 배설작용을 하는 글리신과 체내에서 콜라겐을 생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하이드록시프로린 함량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최근 광우병 파동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육류에 대하여 그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바, 광우병의 영향이 없는 해양생물로부터 천연 콜라겐을 추출 시도하였다. 해양생물 유래 콜라겐 생산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경우, 콜라겐 시장의 규모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급속한 신장세를 보이고 있어 경제·산업적으로 매우 유망한 분야이며, 종래 해양산업폐기물이었던 어린을 자원으로 하는 실용적 바이오맥스기술로서 폐기물의 제로미션화와 고도 이용을 실현할 수 있으며 금후 산업에 크게 공헌할 것이 기대된다. 현재 국내에서 소비되는 콜라겐이 거의 수입품임을 감안 할 때 국내는 물론 외국에도 경쟁력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분석되며, 경제적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6)

  1. 어린으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어린을 수세한 후 어린을 염기처리하여 어린으로부터 근기질단백질 이외의 성분을 용출제거하는 단계, 염기처리된 어린을 산처리하여 어린으로부터 칼슘성분을 제거하고 콜라겐을 회수하는 단계 및 회수된 콜라겐을 가수분해하여 저분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수분해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us Licheniformis)에 의해 만들어진 알칼라아제에 의한 가수분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처리는 농도 0.01~10중량%의 염기용액에 침지시켜 4~50℃에서 2~48시간동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가 알카리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 수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칼슘성분 제거를 위한 산처리가 0.01∼10중량%의 염산용액에 침지시켜 4∼45℃ 에서 1∼48시간 처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가수분해시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에 의해 만들어진 효소인 알칼라아제(Alcalase)에 의해 가수분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라아제에 위한 처리가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Bacillus Licheniformis)에 의해 만들어진 효소인 알칼라아제(Alcalase) 0.05 ∼ 0.6중량%액에 의해 pH 7, 40 ∼ 70℃ , 1∼48시간 처리하여 가수분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40001544A 2003-02-19 2004-01-09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KR100699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267 2003-02-19
KR20030010267 2003-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598A KR20040074598A (ko) 2004-08-25
KR100699324B1 true KR100699324B1 (ko) 2007-03-23

Family

ID=3736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544A KR100699324B1 (ko) 2003-02-19 2004-01-09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312B1 (ko) * 2008-04-07 2011-03-08 주식회사 키토라이프 어류비늘 콜라겐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1415367B1 (ko) 2013-02-22 2014-07-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프물범 콜라겐 펩티드, 그 제조방법 및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153B1 (ko) * 2003-06-16 2005-11-30 주식회사 이제 어류 비늘을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WO2006101301A1 (en) * 2005-03-03 2006-09-28 No, Young Run Calcium binding amino acid
JP4369969B2 (ja) 2007-10-26 2009-11-25 株式会社アールビーエス 生体適合性材料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103315305B (zh) * 2012-03-23 2016-01-20 尹载胜 含有鱼鳞胶原蛋白及可食用植物提取物的年糕组合物及面条组合物
KR101971291B1 (ko) * 2012-12-07 2019-04-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피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0361B1 (ko) * 2016-02-05 2019-08-28 아미코젠주식회사 콜라겐 트리펩타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KR102240111B1 (ko) * 2019-06-26 2021-04-14 주식회사 팜스메틱 나노콜라겐펩타이드 킬레이트 미네랄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화장품 조성물
KR102160726B1 (ko) * 2019-06-26 2020-09-28 주식회사 팜스메틱 나노콜라겐펩타이드 킬레이트 아연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및 피부 보습 화장품 조성물
KR102406037B1 (ko) * 2019-06-27 2022-06-1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삼치가수분해물의 항노화 효과 및 삼치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22269B1 (ko) * 2019-06-28 2021-11-05 주식회사 리앤씨바이오 Ca-콜라겐 펩타이드의 킬레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3548B1 (ko) * 2019-12-02 2021-12-01 주식회사 밸리스 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80493A (zh) * 2021-02-04 2021-04-20 海南华研胶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鱼鳞酶解提取大分子胶原蛋白肽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312B1 (ko) * 2008-04-07 2011-03-08 주식회사 키토라이프 어류비늘 콜라겐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1415367B1 (ko) 2013-02-22 2014-07-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프물범 콜라겐 펩티드, 그 제조방법 및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598A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1646T3 (es) Hidrolizados de proteinas producidos con utilizacion de proteasas marinas.
KR100699324B1 (ko) 어린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CN101289507B (zh) 一种胶原蛋白及胶原多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34721B1 (ko) 혈관 확장성 약제학적 제조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
KR100862979B1 (ko) 화장품용 콜라겐 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8450100B2 (en) Collagen peptide having immune-enhancing activity from Cyanea nozakii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CN101568552A (zh) 胶原肽组合物以及含有其的饮食品
US20030068670A1 (en) Bioactive peptides, uses thereof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ame
KR100827389B1 (ko) 식품용 콜라겐펩타이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1211895A (ja) 生理活性ペプチドの製造法
US6342252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bio-organic calcium composition and nutrient agent containing the same
JP2006151847A (ja) コラーゲンペプチド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化粧料組成物
KR101229783B1 (ko) 칼슘흡수율을 높이는 오징어 껍질의 콜라겐 조성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콜라겐 조성물을 함유하는 전두부
Mora et al. Meat by-products: New insights into potential technical and health applications
KR20080086751A (ko) 오징어 외피 유래 콜라겐 및 이를 함유한 미용 마스크 팩
JP2003245055A (ja) 肌改善用食品組成物及び肌改善方法
JP6143218B2 (ja) 腱および靱帯機能改善剤ならびにこれを含む医薬組成物、食品および飼料
KR20040108147A (ko) 어류 비늘을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JP2003246741A (ja) 経口用肌改善剤及び肌改善用食品組成物、並びに肌改善方法
Vázquez et al. Tailor-made process to recover high added value compounds from fishery by-products
KR20230013710A (ko) 콜라겐 분해효소 생성능을 나타내는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nis-1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1307093B (zh) 从鲨鱼皮分离纯化生物医药用胶原蛋白的方法
Chuaychan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gelatin and gelatin hydrolysate powder from scales of spotted golden goatfish
KR102240111B1 (ko) 나노콜라겐펩타이드 킬레이트 미네랄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화장품 조성물
RU278934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ллагена из чешуи якутского карас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