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114B1 - 소형 전자계전기 - Google Patents

소형 전자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114B1
KR100699114B1 KR1020040068063A KR20040068063A KR100699114B1 KR 100699114 B1 KR100699114 B1 KR 100699114B1 KR 1020040068063 A KR1020040068063 A KR 1020040068063A KR 20040068063 A KR20040068063 A KR 20040068063A KR 100699114 B1 KR100699114 B1 KR 10069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fixed
spring
branched
movable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934A (ko
Inventor
요시푸미 치다
케이 치바
Original Assignee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엔이씨 도낀 이와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엔이씨 도낀 이와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02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particular to three-phase 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0Contact arrangements moving contac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01H50/28Parts movable due to bending of a blade spring or r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전자계전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된 3개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114)들을 가지고, 3개의 가동 콘택트들(107)을 가진 가동 접촉 스프링 어셈블리(111)를 포함한다. 접극자(110)는 코일 어셈블리(103)에 여기전류를 온 및 오프함으로써 스윙이 유도되어 통상 개방(normally-open) 접촉부가 개폐된다. 가동 접촉 스프링 어셈블리의 가동 스프링(108)은 일단측에서 3개의 부분들로 분기되고, 각각의 분기된 부분들에 실질적으로 U형 슬릿(120)이 형성되어, 각각의 분기된 부분에 스프링 탄성부(121) 및 통전 경로부(122)가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통전 플레이트(109)는 3개의 통전 경로부들에 접합되어 3개의 가동 접촉부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소형 전자계전기{MINIATURIZABLE ELECTROMAGNETIC RELAY}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예시된 전자계전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선 A-A 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선 B-B 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예시된 가동 스프링 및 힌지 스프링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예시된 전자계전기의 응용 형태의 하나의 예시를 설명하는 회로 다이어그램이다.
본 출원은 일본특허출원 JP2003-303801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은 본 발명에 참조된다.
본 발명은 전자계전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량에 장착되어 적용되는 3상 모터를 제어하기에 적당한 전자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용 파워스티어링(power steering)은 연료소비를 개선하기 위해서 유압식에서 전동식으로 바뀌였다. 대부분의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DC 모터로 구동되는 형태이지만, 그러나 3상 모터로 구동되는 형태의 시스템이 고-배기량 차량들로의 적용에 따라 증가하였다. 3상 모터로 구동되는 형태의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경우에, 3상을 동시에 제어하는 스위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전자계전기는 3상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스타결선(star connection)의 중점(연결점)에서 3상을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 유용하다. 상기 경우에, 상기 형태의 전자계전기는 높은 통전(current-carrying) 성능 및 높은 차단(interruption) 성능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고, 작은 크기가 또한 요구된다.
종래에, 3상 모터의 제어는 다음의 제 1 또는 제 2 방법에 의해서 실행되었다. 제 1 방법에서, 한 쌍의 가동 접촉부 및 고정 접촉 단자를 각각 가지는 다수의 전자계전기들을 사용한다. 가동 스프링이 가동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가동 스프링에는 가동 콘택트 및 인출단자가 제공된다. 또한, 다수의 전자계전기들은 회로기판 상에 장착된다. 제 2 방법에서, 3상 제어 전자계전기가 사용된다. 3상 제어 전자계전기는 고정 접촉부를 각각 가지는 2개의 고정 접촉 단자들, 및 2개의 고정 접촉 단자들을 동시에 단락시키 위한 2개의 가동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가동 스프링이 2개의 가동 접촉부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가동 스프링에는 2개의 가동 콘택트들 및 1개의 인출단자가 제공된다. 3상 제어는 3개의 단자들, 즉 인출단자 및 2개의 고정 접촉 단자들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제 1 및 제 2 방법들에서 사용된 전자계전기들의 각각의 고정 접촉 단자들은 플레이트형 베이스 부재를 가공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제 1 방법에서, 다수의 전자계전기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전자계전기들은 회로 기판 상에서 큰 비율을 차지하게 된다. 이는 가능한 한 많은 공간을 절약하기 위한 고객의 요청에 역행하는 것이다.
다른 한 편으로, 제 2 방법에서 사용된 전자계전기의 경우에, 2개의 고정 접촉 단자들 사이 및 2개의 고정 접촉 단자 중 하나와 인출단자 사이의 컨덕터 저항값들에서의 차이가 존재하여, 전자계전기가 동작하는 동안에 상기 3개의 단자들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또한, 통전 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 고정 접촉 단자는 단면적이 증가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고정 접촉 단자는 플레이트형 형태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베이스 상에 배치될 수 없고, 이는 전자계전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방법들에서 사용된 각각의 전자계전기들의 가동 스프링을 통해서 가동 콘택트로부터 인출단자까지의 컨덕터 저항값을 줄이기 위해서, 가동 스프링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것 이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 그러나, 가동 스프링은 요구되는 스프링 상수와 관련하여 제한되고, 그 결과 상기 관점에서 가동 스프링의 단면적은 크기에 있어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면서 통전 성능(current-carrying performance) 및 차단(interruption) 성능이 뛰어난 3상 제어 전자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계전기는 주위에 코일이 감겨진 코어, 상기 코어의 일단측에 고정된 실질적으로 L형인 요크, 상기 코어의 타단측과 대향 배치되고 코어가 여기될 때 상기 코어에 흡인되는 접극자(armature), 및 상기 접극자를 스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hinge) 스프링을 포함한다. 전자계전기는 또한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3개 이상의 가동 콘택트들을 가지며, 상기 접극자의 스윙 모션에 응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접극자에 결합된 가동 스프링, 및 가동 콘택트들의 수와 같은 수의 고정 콘택트들을 가지는 고정 단자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가동 콘택트들은 힌지 스프링에 의한 상기 접극자의 지지부로부터 떨어진 측 상의 가동 스프링의 일단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고정 콘택트들은 각각 가동 콘택트들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 때문에, 전자계전기에서 가동 콘택트들 및 고정 콘택트들은 접극자의 스윙 모션에 응답하여 거의 동시에 개폐된다.
가동 접촉부들의 수가 3개 일 때, 가동 스프링은 스프링의 일단부에서 3개 부분으로 분기된다. 각각의 분기된 부분들에는 분기된 부분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실질적으로 U형 슬릿이 형성되어, 스프링 탄성부가 슬릿 양쪽에 형성되고, 통전 경로부가 슬릿 안쪽으로 형성된다. 가동 콘택트들은 상기 분기된 부분의 전방 단부에서 분기된 부분에 각각 부착된다. 3개의 통전 경로부들에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통전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상기 3개의 가동 콘택트들이 통전 플레이트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다.
전자계전기에 전술한 각각의 컴포넌트들이 장착된 베이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단자들은 원통 형태를 각각 가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단자들의 수가 3개 일 때, 3개의 고정 단자들 각각은 고정 콘택트가 부착된 원통형 트렁크부, 및 베이스 상에 장착된 원통형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우에, 단자부는 트렁크부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다. 3개의 고정 단자들 중에서 중간에 위치한 고정 단자의 트렁크부의 길이와 단자부의 길이의 비율은 다른 고정 단자들 각각의 트렁크부의 길이와 단자부의 길이의 비율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전기가 설명된다. 도 1 은 전자계전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예시된 전자계전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에서,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전기는 전자계전기 몸체(101) 및 그것을 덮기 위한 커버(102)를 포함한다. 전자계전기 몸체(101)는 자석 어셈블리(106), 가동 접촉 스프링 어셈블리(111), 3개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114), 2개의 백스톱(backstop) 단자들(115), 및 전술한 각각의 컴포넌트들이 그 위에 장착되는 수지재의 베이스(116)를 포함한다.
도 2 에서, 자석 어셈블리(106)는 코일 어셈블리(103), 실질적으로 L형 요크(104), 코어(105), 및 코일 어셈블리(103)에 부착된 2개의 코일 단자들(123)(단지 하나만 도시됨)을 포함한다. 가동 접촉 스프링 어셈블리(111)는 가동 스프링(108), 가동 스프링(108)의 일단측 상에 나란히 배치된 3개의 가동 콘택트들(107), 그 하부측 상에서 가동 스프링(108)에 고정된 직사각형 통전 플레이트(109), 및 접극자(110; armature)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114)는 고정 콘택트(112) 및 고정 단자(113)를 포함한다. 고정 콘택트(112)는 고정 단자(113)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베이스(116)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된 3개의 구멍들(116a)이 형성된다. 3개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114)은 베이스(116)의 구멍들(116a)속으로 각각 압입(press-fit)된다. 고정 단자(113)는 원통형 트렁크부(118) 및 원통형 단자부(119)를 가진다. 트렁크부(118)는 높은 통전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증가한 직경을 가지는 반면에 단자부(119)는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과의 결합에 의하여 감소한 직경을 가진다. 또한, 고정 단자(113)은 정사각형 트렁크부 및 정사각형 단자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및 4 를 참조하여, 3개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114) 중에서, 중간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114)의 트렁크부(118) 및 단자부(119)의 길이는 양 측 상에서 각각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114)의 트렁크부(118) 및 단자부(119)의 길이와 다르게 설정된다. 특히, 중간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114)의 트렁크부(118)의 길이는 각각의 양측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114)의 트렁크부(118)의 길이보다 더 작게 설정된다. 다른 한 편으로, 중간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114)의 단자부(119)의 길이는 각각의 양측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114)의 단자부(119)의 길이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상기 구성 때문에, 양측의 고정 단자들(113) 사이의 저항값, 및 중간 고정 단자(113)와 양측의 고정 단자들(113) 중 하나 사이의 저항값은 전자계전기가 동작하는 동안에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성이 전자계전기가 동작하는 동안에 통전 플레이트(109)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 경로에 있어서의 차이에 의해서 유발된 저항값의 차이를 정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가동 접촉 스프링 어셈블리(111)의 일단부에는 3개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114)의 고정 콘택트(112)와 대향하는 가동 접촉부(117)가 구비되어 있다. 접극자(110)는 힌지 스프링(124)과 결합되어, 접극자(110)는 코일 어셈블리(103)에 여기전류(exciting current)를 온오프함으로써 생성된 전자기력으로 인해 스윙이 유도된다. 힌지 스프링(124)은 요크(104) 상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들(104-1)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힌지 스프링(124)은 가동 스프링(108)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힌지 스프링(124)은 가동 스프링(108)과 별개로 형성되어 가동 스프링(108)에 고정될 수도 있다. 가동 스프링(108)은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접극자(110) 상에 형성된 3개의 돌출부들(110-1)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동 스프링(108)은 힌지 스프링(124)으로부터 가동 콘택트들(107)을 향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열된 3개 포인트들에서 접극자(110)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특히, 상기 3개 포인트들은 아래 설명될 분기된 부분들의 길이 방향으로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를 참조하면, 가동 스프링(108)은 일단측 상에서 3개 부분들로 분기된다. 각각의 분기된 부분들의 전방 단부에 가동 콘택트(107)가 제공된다. 각각의 분기된 부분에는 실질적으로 U형 슬릿(120)이 더 형성된다. 슬릿(120)은 분기된 부분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U형의 바닥부는 가동 스프링(108)의 타단측을 향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각각의 분기된 부분은 슬릿(120)의 양측 상에 형성된 스프링 탄성부(121; spring flexible portion)를 각각 가지고, 슬릿(120)의 안쪽에 형성된 통전 경로부(122)를 가진다. 통전 플레이트(109)(도 2 참조)는 3개의 통전 경로부들(122)의 하측에 접합된다. 상기 경우에, 스프링 탄성부(121)을 통해서 2개의 가동 콘택트들(107) 사이에 흐르는 전류는 통전 플레이트(109)를 통해서 그 사이를 흐르는 전류와 비교해서 단지 적은 양이고, 따라서 스프링 탄성부(121)는 주로 스프링으로 역할한다. 다른 한 편으로, 통전 경로부들(122)은 통전 플레이트(109)를 통해서 흐르는 대부분의 전류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분기된 부분의 협착부(constriction) 또는 보다 좁은 부분(narrower portion)(126)은 상기 분기된 부분의 잔여부분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분기된 부분에서의 스프링 상수는 적당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 을 다시 참조하여, 접극자(110)는 힌지 스프링(124)에 의해서 요크(104)에 결합되어 코어(105)와 함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접극자(110)는 요크(104)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힌지 스프링(124)에 의해서 유지되어, 지레 받침대로서 이 상단부를 사용해서 스윙 가능하도록 된다. 가동 스프링(108)의 각각의 분기된 부분은 통전 플레이트(109)에 가까운 굴곡부(125)에서 단차를 형성하기 위해서 구부러지고, 전방 단부에서 가동 콘택트(107)가 부착된다. 각각의 굴곡부(125)는 U형 슬릿(120)의 상부 부분들에 연결된 2개의 슬릿들을 가진다.
L형 요크(104)는 베이스(116) 상에 장착된 플레이트형 부분을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형 부분에는 그 안에 장착된 코어(105)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구멍(104a)이 형성된다. 요크(104)의 플레이트형 부분은 또한 베이스(116)의 일단부로 연장되는 웨지(wedge)형 부분(104-2)을 가진다. 웨지형 부분(104-2)은 베이스(116)에 형성된 구멍(116b)으로 삽입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웨지형 부분(104-2)에는 구멍(104-2a)이 형성되고, 그 안으로 중간 단자부(119)가 압입된다. 상기 형태의 요크(104)는 요크(104) 또는 자석 어셈블리(106)를 베이스(116)에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자기 회로 형성과는 별도로, 요크(104)의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방산 효과를 개선하는데 기여한다.
도 3은 2개의 코일 단자들(123) 중 하나 및 2개의 백스톱 단자들(115) 중 하나를 예시한다.
2개의 백스톱 단자들(115)은 3개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114) 중에서 베이스(116)의 양측 상에 그리고 양측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114)에 가까운 위치에 고정된다. 백스톱 단자들(115)은 코일 어셈블리(103)에 여기전류가 오프될 때 정해진 위치에서 가동 접촉 스프링 어셈블리(111)의 상향 움직임을 멈추게 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전자계전기의 기본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개/폐 단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전기의 응용 형태의 하나의 예시에 대해 설명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전기가 스타결선의 3상 모터(200)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3상 모터(200)는 제어기(300)에 접속된 일단부를 각각 가지는 U상 코일(200U), V상 코일(200V), 및 W상 코일(200W)을 포함한다. 상기 스타결선에서, U상 코일(200U), V상 코일(200V), 및 W상 코일(200W)은 타단부에서 서로 공통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 예시에서, U상 코일(200U), V상 코일(200V), 및 W상 코일(200W)은 타단부에서 전자계전기의 3개의 단자부들(119)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접속방식 때문에, 전자계전기가 온될 때, U상 코일(200U), V상 코일(200V), 및 W상 코일(200W)은 거의 동시에 제어기(300)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전기의 각각의 컴포넌트들의 재료들의 일례에 대해 설명된다. 가동 스프링(108)으로는 베릴륨 구리, 가동 콘택트(107) 및 고정 콘택트(112)로는 은계(silver-based) 합금, 그리고 요크(104), 코어(105), 및 접극자(110)로는 연자성철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재료들은 단지 하나의 예시이고, 컴포넌트들의 재료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전기는 20 ×15 ×15mm 이하의 외부크기를 가지며, 1mΩ 이하의 단자간 저항 및 100A에서 연속 120초의 통전 용량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전자계전기는 3개의 회로를 동시에 온 및 오프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가동 스프링의 전방 단부가 4개의 부분들로 분기되고 각각의 분기된 부분들에 부착된 가동 콘택트가 통전 플레이트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경우에, 최대 6개의 회로들을 동시에 온오프하고, 3개의 회로들처럼 가동 콘택트들 사이의 전도성 및 가동 콘택트들을 지지하는 스프링 탄성이 뛰어난 전자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전자계전기에 따르면,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다수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을 배열함으로써, 이들 각각의 조합에 의해서 유도된 단자간 도체 저항은 서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고정 단자들 중 하나 - 가동 접촉부 - 다른 외부 고정 단자를 통한 전류 경로길이는 외부 고정 단자 - 가동 접촉부 - 중간 고정 단자를 통한 전류 경로길이보다 더 길게 되기 때문에, 단자간 도체 저항의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나, 단자간 도체 저항은, 정렬된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 중에서 중간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의 트렁크부의 길이 또는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서로 동일하게 만들 수 있다. 이어, 3개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이 가동 접촉 스프링 어셈블리의 스윙 모션(swing motion)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동시에 접속 또는 접속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얻어진 전자계전기는 3상 모터를 제어하는 역할을 잘 한다.
또한, 각각의 고정 단자들을 원통형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단자의 증가된 단면적이 보장되고, 베이스 상에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동일한 외부 크기를 가지는 전자계전기와 비교해서 통전 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전자계전기가 종래의 전자계전기처럼 구성되는 것을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단자들 사이의 통전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3개의 고정 접촉 단자 어셈블리들을 단락시키는 역할을 하는 가동 스프링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고 전류가 흐르는 길이를 가능한 한 많이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가동 스프링의 3개의 분기된 부분들은 3개의 통상 개방 접촉부들의 어셈블리 정확성을 허용하는 정도까지 서로로부터 독립성을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경우에, 가동 스프링의 길이가 증가되는 반면, 가동 스프링의 단면적은 감소되어야 하는데, 이는 통전 성능의 개선에 역행하는 것이다.
다른 한 편으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가동 스프링의 3개의 분기된 부분들은 스프링 탄성부 및 통전 경로부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U형 슬릿들이 각각 형성되고, 큰 전도성을 가지는 통전 플레이트가 3개의 통전 경로부들에 접합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스프링 탄성부는 단면적 및 스프링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3개의 분기된 부분들은 독립성이 증가하는 반면에 스프링 상수가 감소될 수 있고, 각각의 통전 경로부들은 통전 경로 길이가 짧아지는 반면에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어서, 통전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전자계전기의 2개의 접촉 갭들은 3상 회로들 각각의 1상의 회로에 대해 직렬로 존재한다. 따라서, 접촉 갭이 동일한 크기의 전자계전기에 비해 2배가 되므로, 차단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장기적인 신뢰도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계전기는 소형이면서 통전 성능 및 차단 성능이 뛰어난 3상 제어가 가능하다.

Claims (10)

  1. 주위에 코일이 감겨진 코어;
    일단측에서 상기 코어에 고정된 실질적으로 L형의 요크;
    타단측에서 상기 코어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코어가 여기될 때 상기 코어에 흡인되는 접극자(armature);
    상기 접극자를 스윙 가능하게(swingably) 지지하는 힌지 스프링;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3개 이상의 가동 콘택트들을 가지며, 상기 접극자의 스윙 모션에 응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접극자에 결합된 가동 스프링 ; 및
    상기 가동 콘택트들의 수와 같은 수의 고정 콘택트들을 가지는 고정 단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콘택트들은 상기 힌지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접극자의 지지부로부터 떨어진 측 상의 상기 가동 스프링의 일단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고정 콘택트들은 상기 가동 콘택트들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가동 콘택트들 및 상기 고정 콘택트들은 상기 접극자의 스윙 모션에 응답하여 거의 동시에 개폐되며,
    상기 가동 콘택트들의 수는 3개이고,
    상기 가동 스프링은 일단부에서 3개의 부분들로 분기되고,
    상기 각각의 분기된 부분들에는 상기 분기된 부분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실질적으로 U형인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양측 상에 스프링 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안쪽으로 통전 경로부(current-carrying path portion)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 콘택트들은 상기 분기된 부분의 전방 단부에서 상기 분기된 부분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3개의 가동 콘택트들이 상기 통전 플레이트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도록 상기 3개의 통전 경로부들에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통전 플레이트가 접합된 전자계전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들이 장착된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자들은 원통 형태를 각각 가지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들의 수는 3개이며,
    상기 3개의 고정 단자들 각각은 상기 고정 콘택트에 부착된 원통형 트렁크부,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된 원통형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트렁크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3개의 고정 단자들 중에서 중간에 위치한 고정 단자의 상기 트렁크부의 길이와 상기 단자부의 길이 사이의 비율은 다른 고정 단자들 각각의 트렁크부 길이와 단자부의 길이 사이의 비율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분기된 부분들은 상기 통전 플레이트에 가까운 위치에서 단차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진 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U형 슬릿의 상부(top portion)에 연결된 2개의 슬릿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분기된 부분들은 상기 분기된 부분의 잔여부분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는 협착부(constriction portion)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스프링은 상기 힌지 스프링으로부터 상기 가동 콘택트들을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3개 포인트들에서 상기 접극자에 고정되어 접합되고, 상기 3개의 포인트들은 상기 3개의 분기된 부분들의 길이 방향으로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콘택트들의 상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의 양측 상의 상기 3개의 고정 단자들의 양측에 가까운 위치에 2개의 백스톱 단자들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L형 요크는 상기 베이스 상에 장착된 플레이트형 부분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형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일단부로 연장되는 웨지(wedge)형 부분을 가지며, 상기 웨지형 부분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KR1020040068063A 2003-08-28 2004-08-27 소형 전자계전기 KR100699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03801 2003-08-28
JP2003303801A JP3896548B2 (ja) 2003-08-28 2003-08-28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934A KR20050021934A (ko) 2005-03-07
KR100699114B1 true KR100699114B1 (ko) 2007-03-21

Family

ID=3421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063A KR100699114B1 (ko) 2003-08-28 2004-08-27 소형 전자계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73232B2 (ko)
JP (1) JP3896548B2 (ko)
KR (1) KR100699114B1 (ko)
CN (1) CN1324624C (ko)
DE (1) DE10200404096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4039B1 (fr) * 2005-03-29 2007-05-04 Daniel Lucas Actionneur bistable
DE102006036613B3 (de) * 2006-08-04 2008-04-10 Tyco Electronics Austria Gmbh Relais mit einer Konkaktanordnung aus Kontaktfedern
JP4553003B2 (ja) * 2007-12-06 2010-09-2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装置及び車輪速度センサ
JP5004244B2 (ja) * 2008-05-30 2012-08-22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804769B2 (ja) * 2011-05-18 2015-11-0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864960B2 (ja) * 2011-09-01 2016-02-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02623249A (zh) * 2012-04-17 2012-08-01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防震动的电磁继电器
SG2012068896A (en) * 2012-09-17 2014-04-28 Schneider Electric South East Asia Hq Pte Ltd Tool and method for switching an electromagnetic relay
JP2015191857A (ja) * 2014-03-28 2015-11-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258138B2 (ja) * 2014-07-03 2018-01-1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422249B2 (ja) * 2014-07-03 2018-11-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WO2016013485A1 (ja) * 2014-07-23 2016-01-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433706B2 (ja) * 2014-07-28 2018-12-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CN104217899B (zh) * 2014-09-11 2016-08-31 海拉(厦门)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l型底座的印制板式电磁继电器
CN104319186B (zh) * 2014-11-17 2017-11-17 蒋胜泉 可控制多负载的时序继电器
JP6981732B2 (ja) * 2015-09-28 2021-12-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1592933S (ko) * 2017-03-15 2017-12-11
JP1592947S (ko) * 2017-05-16 2017-12-11
JP2023054942A (ja) * 2021-10-05 2023-04-1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1486A2 (en) 1994-07-04 1996-01-18 Alojz Lovrencic Electromagnetic contactor element
KR100291117B1 (ko) 1996-01-09 2001-07-12 타테이시 요시오 전자계전기
KR100389500B1 (ko) 2000-12-23 2003-06-25 김용학 전자개폐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5505B (sv) * 1984-11-13 1986-06-23 Tocksfors Verkstads Ab Elektriskt rele
JP3253877B2 (ja) * 1996-11-28 2002-02-04 株式会社タイコーデバイス 電磁継電器
DE19747167C1 (de) * 1997-10-24 1999-04-29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CN2342458Y (zh) * 1998-02-11 1999-10-06 张宝奇 三相交流三极单断点直动式接触器
JP3478211B2 (ja) * 1999-11-24 2003-12-15 株式会社デンソー マグネットスイッチ
JP2003037995A (ja) 2001-07-24 2003-02-07 Koyo Seiko Co Ltd モータ駆動回路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898021B2 (ja) * 2001-10-05 2007-03-28 株式会社タイコーデバイス 電磁継電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1486A2 (en) 1994-07-04 1996-01-18 Alojz Lovrencic Electromagnetic contactor element
KR100291117B1 (ko) 1996-01-09 2001-07-12 타테이시 요시오 전자계전기
KR100389500B1 (ko) 2000-12-23 2003-06-25 김용학 전자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96548B2 (ja) 2007-03-22
US20050046527A1 (en) 2005-03-03
DE102004040964A1 (de) 2005-03-24
KR20050021934A (ko) 2005-03-07
CN1591730A (zh) 2005-03-09
US6873232B2 (en) 2005-03-29
CN1324624C (zh) 2007-07-04
DE102004040964B4 (de) 2020-10-29
JP2005071946A (ja)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114B1 (ko) 소형 전자계전기
US6677840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4837538A (en) Electromagnetic relay
US5216396A (en) Switching relay
US8008999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7372350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7439834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6853275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4734668A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01185015A (ja) 多連電磁継電器
EP0382525A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503316B1 (ko) 전자접촉기
US4482876A (en) Electromagnetic relay
US6229417B1 (en) Operator for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EP4336538A1 (en) Electromagne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JP3219416B2 (ja) 電磁継電器
JPH0834079B2 (ja) 電磁リレー
JPH07118253B2 (ja) 回路しゃ断器
KR20000069919A (ko) 계전기 자석 유지 장치
JP2522448Y2 (ja) 電磁リレー装置
JP5567895B2 (ja) リダンダンシーを有する大電流電源開閉用、または緊急遮断用リレーの構造
JPH0447926B2 (ko)
JPH06203722A (ja) 複数極を有するリモコンリレーの連動レバーの軸構造
EP1562209A2 (en)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at least one relay actuator and a receptable for relay actuators
KR20000001455U (ko)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