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446B1 -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446B1
KR100698446B1 KR20050064676A KR20050064676A KR100698446B1 KR 100698446 B1 KR100698446 B1 KR 100698446B1 KR 20050064676 A KR20050064676 A KR 20050064676A KR 20050064676 A KR20050064676 A KR 20050064676A KR 100698446 B1 KR100698446 B1 KR 100698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hamber
screen
supply port
gran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6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635A (ko
Inventor
미쯔구 후꾸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알닛세이
가와꾸보 겐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알닛세이, 가와꾸보 겐스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알닛세이
Publication of KR2006012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hinged to the rotor;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이나 크기가 정렬된 양호한 펠릿을 제조할 수 있는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조립기(40)를 챔버(41)와, 해머(47)를 구비한 회전체와, 스크린부(48)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스틸캔(10)을 공급구(42)로부터 챔버(41) 내에 넣고, 해머(47)로 충격을 가함으로써 스크린부(48)에 타격하여 펠릿으로 형성한 후에, 스크린부(48)에 형성된 취출 구멍(51, 51a)으로부터 취출하도록 하였다. 또, 스크린부(48)의 표면을 해머(47)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그 회전 궤도에 따른 곡면으로 형성하였다. 또, 상류측의 취출 구멍(51a)을 다른 취출 구멍(51)보다도 작게 하였다. 또한, 챔버(41) 내의 상부측에 충격용 공간부(43a)를 형성하였다. 또한, 챔버(41)의 공급구(42)의 근방에 커팅라이너(52)를 설치하였다.
조립기, 챔버, 해머, 스크린부, 공급구, 스틸캔, 커팅라이너

Description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ASSEMBLING APPARATUS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CAN HAV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2는 반송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3은 로터리킬른을 도시한 정면도.
도4는 조립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5는 조립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6은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이면도, (c)는 (a)의 6-6 단면도.
도7은 커팅라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커팅라이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도9는 파형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도10은 역류 방지판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틸캔
20 : 로터리킬른
40 : 조립기
41 : 챔버
42 : 공급구
43a : 충격용 공간부
44 : 축부
45 : 지지체
46 : 핀
47 : 해머
48 : 스크린부
49 : 스크린
51, 51a : 취출 구멍
52 : 커팅라이너
53 : 파형 스크린
55 : 역류 방지판
S : 캔용 재료 처리 장치
[문헌 1] 일본 특허 제3284398호 공보
본 발명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캔용 재료를 조립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음료수 등을 수용하기 위해 스틸이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캔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캔 중, 일반적으로 스틸캔은 바닥부와 주위면부가 스틸로 구성되어 덮개부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고, 알루미늄캔은 전체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캔 주위면부의 표면에는 도장에 의한 그림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또, 사용 후의 빈 캔은 폐기물 처리 시설에 있어서 재생 처리가 행해져 새로운 재료로서 재이용된다. 이 경우, 스틸재와 알루미늄재를 분리하여 따로따로 펠릿으로서 재생 처리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재생 처리에서는, 빈 캔을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여 도장층이나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조립기에 의해 입상의 펠릿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스틸재로 이루어지는 펠릿은 철이나 강의 재료로서 이용되거나, 제철이나 제강일 때에 냉각재로서 이용되거나 하고 있다. 또,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지는 펠릿은 철이나 강의 용융 금속 속에 포함되는 산소 가스나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슬래그의 개질을 하거나 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284398호 공보
전술한 빈 캔을 펠릿으로 재생 처리하는 경우, 펠릿의 형상이나 크기를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을 위해서는 가공 정밀도가 좋은 조립기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기나 그를 이용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에서는 균일한 펠릿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형상이나 크기가 정렬된 양호한 펠릿을 제조할 수 있는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조립기의 구성상의 특징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캔용 재료를 조립하여 소정의 크기의 펠릿으로 성형하는 조립기이며, 캔용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와, 소정의 크기로 성형된 펠릿을 통과시켜 취출하기 위한 취출 구멍이 마련된 챔버와, 챔버 내에 설치되어 캔용 재료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펠릿을 성형하는 해머를 구비한 회전체와, 챔버 내에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회전체의 외주부와의 대향면이 해머 선단부의 회전 궤도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회전 궤도에 따른 곡면으로 형성된 스크린부를 구비하고, 취출 구멍이 스크린부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관한 조립기에서는, 해머를 구비한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해머 선단부의 회전 궤도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회전 궤도에 따른 곡면으로 형성된 스크린부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공급구로부터 챔버 내에 공급된 캔용 재료는 해머의 타격을 받으면서 회전체와 스크린부 사이를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이동한다. 그 사이에, 캔용 재료는 해머와 스크린부에 충돌하면서 파쇄되어 소정의 크기의 입상의 펠릿으로 형성되어 간다.
이 경우의 해머 선단부의 회전 궤도라 함은, 해머만의 회전 궤도가 아니라, 회전체가 회전할 때 해머 선단부의 궤도이다. 또한, 해머 선단부의 회전 궤도에 따른 곡면은 해머가 복수개인 경우에, 각 해머 선단부의 회전 궤도에 따르는 곡면으로서도 좋고, 회전체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각 부분까지의 길이를 일정하게 한 곡면으로서도 좋다. 이와 같이, 스크린부에 있어서의 회전체와 대향하는 면이 해머 선단부의 회전 궤도에 따른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캔용 재료가 스크린부에 의해 세밀하게 절단되는 일 없이 양호한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캔용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상의 펠릿의 크기가 취출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가 되었을 때에, 그 펠릿은 취출 구멍으로부터 챔버의 외부로 나간다. 이 조립 처리는 모든 펠릿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로 되어 취출 구멍을 통과할 때까지 반복된다.
이 경우, 캔용 재료가 스틸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로 구성된 스틸캔이면, 조립기로부터 취출된 펠릿은 선별 장치를 이용하여 스틸로 이루어지는 펠릿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펠릿으로 선별한다. 이 경우, 자력을 이용한 선별 장치나 비중의 차를 이용한 선별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리 본체부와 덮개부를 분리시켜 스틸로 이루어지는 캔용 재료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캔용 재료로 나누고, 이들을 따로따로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캔용 재료는 캔 상태로 조립기의 챔버 내에 공급해도 좋고, 미리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챔버 내에 공급해도 좋다. 캔용 재료를 미리 소정의 크기로 절단해 두면, 조립기를 이용한 조립 처리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각 펠릿의 크 기를 정렬하기 쉬워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조립기의 다른 구성상의 특징은 스크린부를 챔버 내의 하부측 부분에 설치하고,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취출 구멍의 개구의 크기를,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취출 구멍의 개구의 크기보다도 작게 한 것에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 방향의 상류측의 취출 구멍의 부분을 통과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캔용 재료는 해머와 스크린부에 의해 충격되어 소정의 크기가 되었을 때에, 하류측의 취출 구멍을 통과하여 챔버의 외부로 나간다. 이로 인해, 펠릿의 크기는 개구가 작은 취출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와 개구가 큰 취출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 사이의 크기가 되어, 이렇게 얻어지는 펠릿의 크기가 소정의 범위 내에 정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양호한 펠릿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개구의 크기는 개구의 형상이 원형이면 직경으로 하고, 개구의 형상이 원형 이외이면 면적으로 하는 등, 개구가 작은 취출 구멍을 통과하는 펠릿의 크기가, 개구가 큰 취출 구멍을 통과하는 펠릿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좋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조립기의 또 다른 구성상의 특징은 스크린부를 챔버 내의 하부측 부분에 설치하는 동시에,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스크린부보다도 하류측 부분에 캔용 재료가 날아서 튀어오를 수 있는 충격용 공간부를 형성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챔버 내에 충격용 공간부를 마련함으로써, 캔용 재료가 충격용 공간부 내에서 날아서 튀어오르게 되어, 보다 구 형상에 근접해 간다. 즉, 해머와 스크린부 사이에서는, 캔용 재료는 눌러 찌부러지거나, 마찰되거나 하면서 회전체의 회전에 추종하여 회전 이동하지만, 충격용 공간부 내로 날아서 튀어오름으로써, 모서리부나 돌출부가 효과적으로 눌러 찌부러져 구 형상으로 되어 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조립기의 또 다른 구성상의 특징은 챔버 내에 있어서의 공급구의 근방에서,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충격용 공간부보다도 하류측의 부분에, 공급구에 공급된 캔용 재료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부를 설치한 것에 있다. 이에 따르면, 공급구로부터 챔버 내에 공급된 캔용 재료가 역류되지 않게 되므로, 캔용 재료는 적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효과적으로 펠릿으로 성형되어 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조립기의 또 다른 구성상의 특징은 챔버 내에 있어서의 공급구의 근방에서, 또한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스크린부보다도 상류측에 있어서의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캔용 재료를 절단 또는 파쇄하기 위한 커팅부를 설치한 것에 있다. 이에 따르면, 공급구로부터 챔버 내에 공급된 캔용 재료는 커팅부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절단 또는 파쇄된 후 스크린부에 이송되므로, 해머와 스크린부에 의한 조립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절단은 해머의 회전으로 캔용 재료를 커팅부에 타격함으로써 행하고, 캔용 재료를 해머와 커팅부 간격 이하의 크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조립기의 또 다른 구성상의 특징은 챔버 내에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회전체의 외주부와의 대향면이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따른 파형으로 형성된 파형 스크린부를 설치한 것에 있다. 이 파형 스크린부는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스크린부의 상류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챔버 내에 커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파형 스크린부는 커팅부와 스크린부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캔용 재료를 보다 구 형상에 근접한 펠릿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의 구성상의 특징은 조립기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이며, 조립기로 조립되기 전의 캔용 재료를 가열 처리하기 위한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 경우 가열 장치를 회전식의 로터리킬른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캔용 재료의 표면의 도장층이나 캔용 재료에 부착하는 불순물 등을 연소시켜 제거할 수 있어 양호한 펠릿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캔용 재료가 스틸의 본체부와 알루미늄의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스틸캔인 경우에는, 가열시 열팽창의 차이로부터 본체부와 덮개부와의 결합부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틸과 알루미늄을 분리하기 쉬워져 스틸로 이루어지는 펠릿에 알루미늄이 혼입되거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펠릿에 스틸이 혼입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열 장치를 로터리킬른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캔용 재료는 로터리킬른 속에서 회전하면서 가열된다. 이로 인해, 캔용 재료가 스틸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열팽창의 차이에 의해 결합부가 쉽게 떨어지는 동시에, 회전에 의한 진동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 결과, 가열 처리 후에 스틸과 알루미늄과의 분리 처리가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로터리킬른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하행 경사가 되도록 하여 설치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캔용 재료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원활하게 반송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조립기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S)을 나타내고 있다. 이 캔용 재료 처리 장치(S)은, 주로 쥬스나 맥주 등의 음료수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 사용 완료된 스틸캔(10)을 재생 처리하여 입상의 펠릿(도시하지 않음)으로 성형하기 위한 처리 장치이다. 이 캔용 재료 처리 장치(S)은 가열 처리용의 로터리킬른(20) 및 조립 처리용의 조립기(40)를 포함하는 각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 완료된 스틸캔(10)은, 예를 들어 가정용 쓰레기 수집장이나 자동 판매기의 회수 박스 등으로부터 회수되어 공공의 리사이클 스테이션(11)에 보관된 것이다. 그리고, 스틸캔(10)은 운반업자의 반송차(12)에 의해, 리사이클 스테이션(11)으로부터 펠릿을 성형하는 산업 폐기물 처리업자의 시설에 운반된다. 산업 폐기물 처리 업자의 시설에 운반된 스틸캔(10)은 시설 내의 반송 장치(13)에 의해, 로터리킬른(20)으로 반송된다.
반송 장치(13)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4a, 14b)를 구비하고 있고, 베이스(14a)에 부착된 버킷 컨베이어(15)와, 베이스(14b)에 부착된 벨트 컨베이어(16)로 구성되어 있다. 버킷 컨베이어(15)는 일정량의 스틸캔(10)을 수용할 수 있는 버킷(15a)과, 버킷(15a)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구비한 레일부 (15b)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부(15b)는 버킷(15a)을 상측 이동시킨 후에, 로터리킬른(20)의 상측을 향해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버킷(15a)이 레일부(15b)의 하류 단부(도2에 있어서의 상부의 좌측 단부)에 도달하였을 때에, 반전시켜 내부의 스틸캔(10)을 낙하시킨다.
벨트 컨베이어(16)는 상류 단부(도2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가 버킷 컨베이어(15)의 하류 단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하류 단부가 로터리킬른(2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16)의 상류 단부에는 버킷(15a)으로부터 낙하되어 오는 스틸캔(10)을 수취하여 벨트(16a) 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반송 호퍼(16b)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벨트 컨베이어(16)의 상류 단부는 축부(16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축부(16c)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16)의 하류 단부는 수평 방향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터리킬른(20)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부(21)에 설치된 회전통 부재(22), 회전통 부재(22)를 축선 주위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23, 24), 회전통 부재(2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25), 전로(前爐)(26) 및 후로(後爐)(27)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부(21)는 상류측(도3의 좌측)에 설치된 상하 2단으로 이루어지는 상류 다이부(21a), 중앙에 설치된 중간 다이부(21b) 및 하류측(도3의 우측)에 설치된 하류 다이부(21c)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류 다이부(21a)의 상하 단부에 있어서의 각 상면과 하류 다이부(21c)의 상면은 수평면으로 되어 있고, 중간 다이부(21b)의 상면은 상류로부터 하류에 걸쳐서 하행 경사가 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회전통 부재(22)는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류측 부분과 하류측 부분으로 각각 플랜지형의 가이드 돌기부(22a, 22b)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돌기부(22a, 22b) 사이에 있어서의 가이드 돌기부(22b)의 근방에는 구동 장치(25)의 구동부(25a)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형의 결합 돌기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23, 24)는, 각각 중간 다이부(21b)의 상면에 있어서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되어 회전통 부재(22)를 상류단부보다도 하류 단부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지지하고 있다.
가이드부(23, 24)는, 각각 가이드 돌기부(22a, 22b)의 주위면에 따르도록 하여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롤러(23a, 24a)와, 롤러(23a, 24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3b, 2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동 장치(25)는 중간 다이부(21b)의 상면에 있어서의 결합 돌기부(22c)의 근방 위치에 설치되고, 그 구동부(25a)를 결합 돌기부(22c)에 결합시키고 있다. 따라서, 구동 장치(25)를 구동시키면, 회전통 부재(22)는 가이드 돌기부(22a, 22b)의 주위면을 가이드부(23, 24)의 복수의 롤러(23a, 24a)에 있어서의 주위면에 접촉하고, 가이드부(23, 24)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축선 주위에 회전한다.
전로(26)는 회전통 부재(22)의 상류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하여 상류 다이부(21a)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로(26)의 상류측의 측부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는 회전통 부재(22)의 중심축을 향해 버너(26a)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버너(26a)의 발화에 의해 회전통 부재(22)의 내부로 반송되는 스틸캔(10)이 가열된다. 또한, 후로(27)는 회전통 부재(22)의 하류측 개구를 폐색하도록 하여 하류 다 이부(21c)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로(27)의 하류측의 측부에 있어서의 중앙에는 회전통 부재(22)의 중심축을 향해 버너(27a)가 부착되어 있고, 이 버너(27a)의 발화에 의해 회전통 부재(22) 내가 반송되는 스틸캔(10)이 가열된다. 또한 후로(27)의 하단부에는 배출구(2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로(26)의 하단부에는 더스트 컨베이어(26b)가 연결되고, 전로(26)의 전방부에는 투입 슈트(28)가 설치되어 있다. 더스트 컨베이어(26b)는 전로(26) 및 회전통 부재(2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소에 의한 탄화물이나 가루 형상의 더스트를 외부로 배출한다. 투입 슈트(28)는 벨트 컨베이어(16)의 하류 단부의 하방에 설치된 투입 호퍼(29)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투입 호퍼(29)를 통해 벨트 컨베이어(16)로부터 낙하되어 가는 스틸캔(10)을 수취하기 전로(26) 내로 이송한다. 또한, 투입 호퍼(29)의 상단부에는 상단부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상부 덮개(29a)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투입 호퍼(29)의 하단부에는 투입 호퍼(29)와 투입 슈트(28) 사이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하부 덮개(29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로(26)의 상단부에는 배출관(31)을 통해, 상류 다이부(21a)의 상단부에 설치된 재연소로(32)가 연결되어 있다. 재연소로(32)는 전로(26) 및 회전통 부재(2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온도가 대략 400 ℃의 배기 가스를 850 ℃까지 가열하여 완전 연소시킨 후에 물 스프레이식의 급냉탑(33)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급냉탑(33)으로 냉각된 배기 가스는 버그 필터(34)로 여과된 후에, 배풍팬(35)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로터리킬른(20)으로 가열 처리된 스틸캔(10)은 배출구(27b)로부터 배출되고, 컨베이어(13a)에 의해 조립기(40)로 반송되고, 조립 기(440)에 의해 소정의 입경의 펠릿이 될 때까지 조립 처리된다.
조립기(40)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조립기(40)는 박스형의 챔버(41)를 구비하고 있고, 챔버(41)의 상면에 있어서의 일단부에는 스틸캔(10)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챔버(41) 내의 공간부(43)에는 축부(4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원판형의 지지체(45)가 축부(44)의 축 방향에 따라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부(44)의 단부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지지체(45)는 축부(44)를 통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지지체(45)의 외주측 부분에는 원주에 따라서 복수의 핀(46)이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고, 각 핀(46)에 각각 복수의 해머(47)가 부착되어 있다. 해머(47)는 핀(4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축부(44)의 회전에 수반하여 요동함으로써 챔버(41) 내에 공급되는 스틸캔(10)을 때려 부순다. 또, 축부(44), 지지체(45), 핀(46) 및 해머(47)로 본 발명에 관한 회전체가 구성된다. 또한, 회전하는 해머(47)의 상부측을 제외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해머(47)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스크린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크린부(48)는, 도6에 도시한 스크린(49)을 6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고, 한 쪽의 단부와 공급구(42) 사이의 거리 및 다른 쪽의 단부와 공급구(42) 사이의 거리가 각각 대략 같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크린(49)은 만곡 판형의 곡면 부재(49a)와, 곡면 부재(49a)의 이면(만곡이 돌출된 면)에 부착된 막대 형상의 보강 부재(49b, 49c)로 구성되어 있다. 보강 부재(49b)는 곡면 부재 (49a)의 폭 방향(길이 방향)에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긴 막대로 구성되고, 곡면 부재(49a)의 이면에 있어서의 축부(44)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의 회전 방향(a)에 따른 양측 모서리부와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강 부재(49c)는 곡면 부재(49a)의 원호에 따른 만곡한 막대로 구성되고, 각 보강 부재(49b) 사이를 접속하도록 하여 축부(44)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의 축 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곡면 부재(49a)에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펠릿(도시하지 않음)을 취출하기 위한 복수의 원형의 취출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취출 구멍(51) 중 회전 방향(a)에서 나타낸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스크린(49)에 설치된 취출 구멍(51a)(도4 참조)의 직경은, 다른 취출 구멍(51)의 직경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직경은, 조립하는 펠릿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지만,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취출 구멍(51a)의 직경을, 다른 취출 구멍(51)의 직경보다도 1 ㎜ 정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구(42)의 하방에 있어서의 스크린부(48)의 상측 부분에는, 본 발명의 커팅부를 구성하는 커팅라이너(52)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팅라이너(52)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커팅라이너(52)는 판형의 평면부(52a)의 표면에 측면 형상이 가늘고 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된 4개의 돌기부(52b)를 상부측의 폭이 좁게, 하부측의 폭이 넓게 되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각 돌기부(52b)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52c)의 깊이는 상부측이 얕게, 하부측이 깊게 되어 있다. 또한, 평면부(52a)의 소정의 4 부위에는 부착용의 구멍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커팅라이너(52)는 이 구멍부(53)에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과시켜 챔버(41)의 벽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커팅라이너(52)의 폭 방향의 길이는 스크린(49) 폭의 대략 1/4로 형성되어 있고, 4개의 커팅라이너(52)를 수평 방향에 배치하여 커팅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커팅라이너(52)의 돌기부(52b)의 하단부와 회전하였을 때 해머(47)의 선단부 사이의 간극의 길이는 챔버(41) 내에 있어서의 스크린부(48) 등과 해머(47)의 선단부 사이의 간극의 길이 중에서 최소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커팅라이너(52)로 구성되는 커팅부와, 스크린부(48) 사이에는 표면이 파형으로 된 파형 스크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파형 스크린부는, 도9에 도시한 파형 스크린(53)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크린(49)과 대략 동일 형태의 곡면판(53a)의 표면(만곡의 오목부측의 면)에 파형의 복수의 요철부(53b)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부(48)의 하류측 단부와 챔버(41)의 내벽면 사이에는 구획판(54)이 형성되고, 구획판(54)과 공급구(42)의 근방 부분 사이에 넓은 충격용 공간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충격용 공간부(43a)의 하류 단부에는 공급구(42)로부터 공급된 스틸캔(10)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판(5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역류 방지판(55)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41)에 고정되는 고정부(55a), 고정부(55a)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하방에 연장되는 방지판(55b)과, L형으로 형성된 고정부(55a)와 방지판(55b)의 양측 부분에 각각 설치된 보강판(55c)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지판(55b)의 하단부와 회전 상태의 해머(47)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는, 공급구(42)로부터 공급된 스틸캔(10)은 통과할 수 없고, 소정의 크기로 절단 또는 파쇄된 스틸캔(10)은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공급구(42)와 역류 방지판(55) 사이에는 공급구(42)에 공급된 스틸캔(10)을 하방에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5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챔버(41)의 상면에 있어서의 공급구(42) 이외의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57)가 챔버(41)의 측부에 설치된 축부(57a)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캔용 재료 처리 장치(S)은 캔용 재료 처리 장치(S)이 구비되는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사용 완료된 스틸캔(10)을 입상의 펠릿으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우선 리사이클 스테이션(11)으로부터 스틸캔(10)을 처리 시설로 반입한다. 계속하여, 스틸캔(10)을 버킷 컨베이어(15)의 버킷(15a)에 넣고, 제어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캔용 재료 처리 장치(S)이 구비되는 각 장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버킷(15a)은 레일부(15b)에 따라서 상승한 후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레일부(15b)의 하류 단부에 도달하였을 때에 반전하여 내부의 스틸캔(10)을 반송 호퍼(16b) 내에 낙하시킨다.
벨트 컨베이어(16)는 반송 호퍼(16b)를 통해 벨트(16a) 상에 낙하되어 가는 스틸캔(10)을 벨트 컨베이어(16)의 하류 단부측으로 반송한다. 이 경우, 축부(16c)를 중심으로 하여, 벨트 컨베이어(16)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벨트 컨베이어(16)의 하류 단부를 투입 호퍼(29)의 상측에 위치 결정해 둔다. 또한, 이 때, 투입 호퍼(29)는 상부 덮개(29a)가 제거되어 상단부가 개구되고, 하부 덮개(29b)가 폐쇄되어 하단부가 폐색된 상태로 둔다. 벨트 컨베이어(16)의 하류 단부로 반송된 스틸캔(10)은 투입 호퍼(29) 내에 낙하되어 저장되어 간다.
투입 호퍼(29) 내에 소정량의 스틸캔(10)이 저장되면, 하부 덮개(29b)가 개방되어 스틸캔(10)은 투입 슈트(28)를 통과하여 전로(26)로부터 회전통 부재(22) 내에 충전되어 간다. 그리고, 회전통 부재(22) 내에 소정량의 스틸캔(10)이 충전될 때까지, 하부 덮개(29b)를 개폐 조작시키면서 버킷 컨베이어(15) 및 벨트 컨베이어(16)에 의한 스틸캔(10)의 반송이 행해진다. 그리고, 회전통 부재(22) 내에 소정량의 스틸캔(10)이 충전되면, 투입 호퍼(29)의 상단부 개구에 상부 덮개(29a)를 부착시키는 동시에, 하부 덮개(29b)를 폐쇄한다.
회전통 부재(22) 내에 들어간 스틸캔(10)은 전로(26)의 버너(26a)와 후로(27)의 버너(27a)와의 발화에 의해 가열되면서, 회전통 부재(22)의 상류 단부로부터 하류 단부로 반송된다. 이 때, 버너(26a, 27a)는 회전통 부재(22)의 중앙부 또는 중앙부보다도 약간 상방을 향해, 버너(26a, 27a)의 발화가 직접 빈 캔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둔다. 이에 의해, 스틸캔(10)은 덮개부를 구성하는 알루미늄재를 과도하게 산화시키는 일 없이, 표면의 도장층을 탄화시키는 동시에 내부의 잔액 등을 연소시켜 제거할 수 있다.
또, 회전통 부재(22) 내의 온도가 적절한 온도인 400 ℃에 도달하면, 버너(26a, 27a)의 발화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스틸캔(10)을 회전통 부재(22) 내로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통 부재(22) 내의 온도가 저하되어, 예를 들 어 350 ℃ 이하가 되면, 다시 버너(26a, 27a)를 발화시킨다는 등의 조작을 행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스틸캔(10)의 가열 온도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틸캔(10)이 회전통 부재(22) 내를 통과할 때, 스틸캔(10)은 가열되고, 그 스틸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와의 결합부가 서로의 열팽창율의 차이로부터 결합을 해제하고자 하여 변형한다. 또한, 스틸캔(10)은 회전통 부재(22)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는 동시에 진동된다. 이 교반에 의해, 스틸캔(10)의 표면 전체가 대략 균일하게 가열되어 도장층이 양호한 탄화가 가능해진다. 또, 진동에 의해 스틸과 알루미늄은 더 분리하고자 한다. 이 결과, 회전통 부재(22) 내를 통과하기까지 스틸캔(10)의 스틸재와 알루미늄재는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하지 않았던 상태가 된다.
그리고, 회전통 부재(22)의 하류 단부로 반송된 빈 캔은 후로(27)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구(27b)로부터 배출되어 하방에 낙하한다. 배출구(27b)로부터 낙하한 스틸캔(10)은 컨베이어(13a)에 의해 조립기(40)로 반송된다. 또한, 그 때 회전통 부재(22) 내에서 발생하는 탄화물이나 분진은 더스트 컨베이어(26b)에 의해 외부로 이송되어 처리되고, 배기 가스는 재연소로(32)로 이송되어 고온 가열하여 완전 연소시킨 후에 여과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조립기(40)로 반송된 스틸캔(10)은 공급구(42)로부터 조립기(40)의 공간부(43) 내로 투입된다. 그리고, 조립기(40)의 공간부(43)에 들어간 스틸캔(10)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에 부착된 복수의 해머(47)에 의해 커팅라이너(52)에 압박되어 절단되거나 파쇄되거나 한다. 또한, 스틸캔(10)은 해머(47)에 의 해 파형 스크린(53)이나 스크린부(48)에 타격하면서 입상으로 되어 간다. 이 때, 스틸캔(10)은 해머(47)의 선단부와 파형 스크린(53)이나 스크린부(48)에 의해 돌출한 부분을 깎아 내어지도록 하여 소정의 크기의 입상의 펠릿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스틸캔(10)은 파형 스크린(53)이나 스크린부(48)를 통과할 때에는, 표면이 매끄러운 곡면이 되도록 가공된다.
소정의 크기로 성형된 입상의 펠릿은 취출 구멍(51)으로부터 낙하하고, 소정의 용기(도시하지 않음) 내로 수용된다. 이 경우, 펠릿의 입경은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치수, 예를 들어 5 ㎜ 내지 40 ㎜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취출 구멍(51)의 직경을 17 ㎜로 설정한 경우, 이렇게 얻어지는 펠릿의 입경을 15 ㎜ 이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취출 구멍(51) 중 상류측에 위치하는 취출 구멍(51a)의 직경은 16 ㎜ 정도로 해 둔다.
또한, 크기가 지나치게 커 취출 구멍(51)으로부터 취출할 수 없는 펠릿은 충격용 공간부(43a) 내로 이동한다. 그리고, 충격용 공간부(43a) 내로 날아서 튀어올라 구 형상으로 더 근접한 형상이 된 후에 다시, 공급구(42)의 하방으로부터 스크린부(48)측으로 운반되어 간다. 그리고, 소정의 크기의 펠릿이 되었을 때에, 취출 구멍(51)으로부터 외부로 나간다. 그리고, 선별 장치에 의해 스틸로 이루어지는 펠릿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펠릿으로 분별되어, 각각의 용도에 따라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조립기(40)에서는 공급구(42)로부터 챔버(41) 내에 공급된 스틸캔(10)은 해머(47)의 타격을 받으면서 회전체와, 커팅라이너(52), 파형 스크린(53) 및 스크린부(48) 사이를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이동한다. 그 사이에, 스틸캔(10)은 해머(47)와 스크린부(48)에 충돌하면서 파쇄되어 소정의 크기의 입상의 펠릿으로 형성되어 간다. 이 경우, 스크린부(48)에 있어서의 곡면 부재(49a)가 해머(47)의 선단부의 회전 궤도에 따른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틸캔(10)은 양호한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입상의 펠릿의 크기가 취출 구멍(51)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가 되었을 때에, 그 펠릿은 취출 구멍(51)에서 외부로 나가기 때문에, 각 펠릿의 크기는 모든 같은 정도가 된다.
또, 회전체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취출 구멍(51a)의 크기를, 다른 취출 구멍(51)의 크기보다도 작게 하였기 때문에, 펠릿의 크기는 작은 취출 구멍(51a)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와 큰 취출 구멍(51)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 사이의 크기가 되어, 이렇게 얻어지는 펠릿의 크기가 소정의 범위 내에 정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양호한 펠릿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챔버(41) 내의 상부측 부분에 충격용 공간부(43a)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스틸캔(10)이 충격용 공간부(43a) 내로 날아서 튀어오르게 되고, 모서리부나 돌출부가 효과적으로 눌러 찌부러져 스틸캔(10)은 보다 양호한 구 형상에 근접해 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S)은 회전식의 로터리킬른(20)으로 이루어지는 가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스틸캔(10) 표면의 도장층이나, 스틸캔(10)에 부착하는 불순물 등을 연소시켜 제거할 수 있어 양호한 펠릿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틸캔(10)은 로터리킬른(20) 속에서 회전하면서 가열되기 때문에, 스틸로 이루어지는 본체 부분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가 열팽창의 차이에 따라 결합부가 쉽게 떨어지는 동시에, 회전에 의한 진동으로 분리하거나 분리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 결과, 가열 처리 후에 스틸과 알루미늄과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스틸캔(10)을 조립 처리하기 전에, 소정의 크기로 절단해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대향하여 설치된 회전 칼날부를 구비한 공지의 분쇄기(슈레더)(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절단 처리는 스틸캔(10)을 가열 처리하기 전에 행해도 좋고, 가열 처리 후에 행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조립기(40)로 이송되어 오는 알루미늄 입상체 성형용의 재료는 스틸캔(10)이 아니라,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알루미늄의 절단 부재이므로, 조립기(40)에 의한 조립 처리가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성형되는 알루미늄 입상체의 크기도 일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또, 스틸캔(10) 대신에, 알루미늄관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틸과 알루미늄을 선별하는 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캔용 재료를 구성하는 스틸캔이나 알루미늄관의 크기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용량이 350 cc 이하의 작은 캔으로부터 드럼캔과 같은 큰 캔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열 장치나 조립기는, 상술한 로터리킬른(20)이나 조립기(4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한 장치이면, 다른 구조의 장치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형상이나 크기가 정렬된 양호한 펠릿을 제조할 수 있는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삭제
  2.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캔용 재료를 조립하여 소정의 크기의 펠릿으로 성형하는 조립기이며,
    상기 캔용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와, 소정의 크기로 성형된 상기 펠릿을 통과시켜 취출하기 위한 취출 구멍이 마련된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캔용 재료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펠릿을 성형하는 해머를 구비한 회전체와,
    상기 챔버 내에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와의 대향면이, 상기 해머 선단부의 회전 궤도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회전 궤도에 따른 곡면으로 형성된 스크린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 구멍이 상기 스크린부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부를 상기 챔버 내의 하부측 부분에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취출 구멍의 개구의 크기를,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취출 구멍의 개구의 크기보다도 작게 한 조립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를 상기 챔버 내의 하부측 부분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린부보다도 하류측 부분에, 상기 캔용 재료가 날아서 튀어오를 수 있는 충격용 공간부를 형성한 조립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충격용 공간부보다도 하류측의 부분에, 상기 공급구에 공급된 상기 캔용 재료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부를 설치한 조립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린부보다도 상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캔용 재료를 절단 또는 파쇄하기 위한 커팅부를 설치한 조립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린부보다도 상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캔용 재료를 절단 또는 파쇄하기 위한 커팅부를 설치한 조립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충격용 공간부보다도 하류측의 부분에, 상기 공 급구에 공급된 상기 캔용 재료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부를 설치한 조립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린부보다도 상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캔용 재료를 절단 또는 파쇄하기 위한 커팅부를 설치한 조립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린부보다도 상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캔용 재료를 절단 또는 파쇄하기 위한 커팅부를 설치한 조립기.
  10.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캔용 재료를 조립하여 소정의 크기의 펠릿으로 성형하는 조립기이며,
    상기 캔용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와, 소정의 크기로 성형된 상기 펠릿을 통과시켜 취출하기 위한 취출 구멍이 마련된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캔용 재료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펠릿을 성형하는 해머를 구비한 회전체와,
    상기 챔버 내에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와의 대향면이, 상기 해머 선단부의 회전 궤도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회전 궤도에 따른 곡면으로 형성된 스크린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 구멍이 상기 스크린부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부를 상기 챔버 내의 하부측 부분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린부보다도 하류측 부분에, 상기 캔용 재료가 날아서 튀어오를 수 있는 충격용 공간부를 형성한 조립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충격용 공간부보다도 하류측의 부분에, 상기 공급구에 공급된 상기 캔용 재료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부를 설 치한 조립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린부보다도 상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캔용 재료를 절단 또는 파쇄하기 위한 커팅부를 설치한 조립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린부보다도 상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캔용 재료를 절단 또는 파쇄하기 위한 커팅부를 설치한 조립기.
  14.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캔용 재료를 조립하여 소정의 크기의 펠릿으로 성형하는 조립기이며,
    상기 캔용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와, 소정의 크기로 성형된 상기 펠릿을 통과시켜 취출하기 위한 취출 구멍이 마련된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캔용 재료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펠릿을 성형하는 해머를 구비한 회전체와,
    상기 챔버 내에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와의 대향면이, 상기 해머 선단부의 회전 궤도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회전 궤도에 따른 곡면으로 형성된 스크린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 구멍이 상기 스크린부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충격용 공간부보다도 하류측의 부분에, 상기 공급구에 공급된 상기 캔용 재료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부를 설치한 조립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린부보다도 상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캔용 재료를 절단 또는 파쇄하기 위한 커팅부를 설치한 조립기.
  16.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캔용 재료를 조립하여 소정의 크기의 펠릿으로 성형하는 조립기이며,
    상기 캔용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와, 소정의 크기로 성형된 상기 펠릿을 통과시켜 취출하기 위한 취출 구멍이 마련된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캔용 재료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펠릿을 성형하는 해머를 구비한 회전체와,
    상기 챔버 내에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와의 대향면이, 상기 해머 선단부의 회전 궤도로부터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회전 궤도에 따른 곡면으로 형성된 스크린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 구멍이 상기 스크린부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챔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구의 근방에서, 또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린부보다도 상류측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캔용 재료를 절단 또는 파쇄하기 위한 커팅부를 설치한 조립기.
  17.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에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의 외주부와의 대향면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에 따른 파형으로 형성된 파형 스크린부를 설치한 조립기.
  18.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기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이며,
    상기 조립기로 조립되기 전의 캔용 재료를 가열 처리하기 위한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캔용 재료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를 회전식의 로터리킬른으로 구성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
  20. 제17항에 기재된 조립기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이며,
    상기 조립기로 조립되기 전의 캔용 재료를 가열 처리하기 위한 가열 장치를 포함하는 캔용 재료 처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를 회전식의 로터리킬른으로 구성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
KR20050064676A 2005-05-25 2005-07-18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 KR100698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3095A JP2006326479A (ja) 2005-05-25 2005-05-25 造粒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缶用材料処理システム
JPJP-P-2005-00153095 2005-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635A KR20060121635A (ko) 2006-11-29
KR100698446B1 true KR100698446B1 (ko) 2007-03-23

Family

ID=3744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64676A KR100698446B1 (ko) 2005-05-25 2005-07-18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326479A (ko)
KR (1) KR100698446B1 (ko)
CN (1) CN1869257B (ko)
TW (1) TWI2891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587B1 (ko) 2006-10-25 2007-11-15 (주)글로브로지텍 회전식 소성로, 그를 이용한 알루미늄폐캔의 분리회수방법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2403A (zh) * 2021-02-24 2021-06-04 南京知行合贸易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制粒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187A (ja) * 2003-10-06 2005-04-28 R Nissei:Kk アルミニウム粒状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9059Y2 (ko) * 1978-10-30 1982-08-27
US4389258A (en) * 1981-12-28 1983-06-21 Allied Corporation Method for homogenizing the structure of rapidly solidified microcrystalline metal powders
JPS6022945A (ja) * 1983-07-15 1985-02-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ハンマ−ミル
JPS6358644U (ko) * 1986-10-03 1988-04-19
JP3284398B2 (ja) * 1996-08-23 2002-05-20 日青鋼業株式会社 空缶処理システム
JP2000126627A (ja) * 1998-10-22 2000-05-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造粒装置
JP2001334163A (ja) * 2000-05-26 2001-12-04 Nissei Kogyo Kk スイング式一軸回転破砕・切断機
CN1396282A (zh) * 2002-06-14 2003-02-12 抚顺铝厂科学研究所 用铝电解废弃物制取再生氟化盐、氧化铝的装置
JP2004290727A (ja) * 2003-02-05 2004-10-21 Nissei Kogyo Kk 使用済み缶処理システムおよび使用済み缶処理方法
JP4210531B2 (ja) * 2003-03-05 2009-01-21 株式会社キンキ 金属類廃棄物の処理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187A (ja) * 2003-10-06 2005-04-28 R Nissei:Kk アルミニウム粒状体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7-113187호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587B1 (ko) 2006-10-25 2007-11-15 (주)글로브로지텍 회전식 소성로, 그를 이용한 알루미늄폐캔의 분리회수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9257B (zh) 2010-05-12
CN1869257A (zh) 2006-11-29
TWI289160B (en) 2007-11-01
TW200641146A (en) 2006-12-01
KR20060121635A (ko) 2006-11-29
JP2006326479A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56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d aluminum can recycling
JPH0338014B2 (ko)
KR101379913B1 (ko) 폐콘크리트로부터 모래를 재생하는 폐콘크리트 리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643654B1 (ko) 건식 이중 회전드럼식 골재재생기를 이용한 순환골재의생산방법 및 장치
JP2014527457A (ja) 密度および/またはコンシステンシーの異なる物質を含む集合体の機械的分離装置
JP2005525927A (ja) 粉砕機
JP2020063626A (ja) アスファルト混合物の製造方法
KR100648386B1 (ko) 폐알루미늄캔으로부터 금속 알루미늄을 회수하는 방법
KR100698446B1 (ko) 조립기 및 그를 구비한 캔용 재료 처리 장치
US3848815A (en) Granulating apparatus
JPH10231004A (ja) 車載式固形物粒状化装置
CN100563977C (zh) 混合废塑料的分离方法
CN115636605A (zh) 一种节能折流立式石灰窑炉
KR100584723B1 (ko) 소결연료 코크스의 균일입도 파쇄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장치
KR100530084B1 (ko) 스테인레스강 정련로의 슬래그 재활용 설비 및 방법
JPH0891883A (ja) 廃棄物溶融スラグの水砕処理装置
US3958764A (en) Granulating apparatus
JP3859080B2 (ja) ゴルフボールの処理システム及びゴルフボールの処理方法
JP3735004B2 (ja) ロータリーキルンから排出される溶融物の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97864B1 (ko) 분환원철 함유 환원체의 괴성체 제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용철제조장치
JP2004204132A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内のガス中の硫黄化合物低減方法
CN220759413U (zh) 建筑垃圾给料破碎筛分结构
JPS5855051A (ja) 回転衝撃破砕装置及び鉱物の衝撃粉砕方法
JPS6337680Y2 (ko)
JP2005016843A (ja) スラグ排出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