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212B1 -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 - Google Patents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212B1
KR100697212B1 KR1020050008374A KR20050008374A KR100697212B1 KR 100697212 B1 KR100697212 B1 KR 100697212B1 KR 1020050008374 A KR1020050008374 A KR 1020050008374A KR 20050008374 A KR20050008374 A KR 20050008374A KR 100697212 B1 KR100697212 B1 KR 100697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astragalus
administration
group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332A (ko
Inventor
조성용
박성규
강순아
박영준
김홍렬
장문석
오명숙
김지숙
이병희
양웅모
김원남
Original Assignee
서울향료(주)
강순아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향료(주), 강순아, 박영준 filed Critical 서울향료(주)
Priority to KR102005000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21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시클로포스파미드) 투여에 의해 나타나는 체중감소를 완화시키고, 전혈구 검사에서 적혈구 수, 백혈구 수,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 및 혈소판 수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며, 혈액 생화학적 분석에서 혈중 ALT 함량, 혈중 철분 함량, 혈중 철결합능력(TIBC), 혈중 비타민 B12 함량, 및 혈중 페리틴 농도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고, EPO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황달, 대장염, 또는 신우내 출혈과 같은 부작용 치료를 위한 조혈 촉진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hematopoietic enhancer comprising herbal mixture extract of Astragali Radix and Angelicae Gigantis Radix for treating side-effect caused by administrating anticancer agent}
도 1은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5:1)의 적혈구 수(RBC)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5:1)의 백혈구 수(WBC)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5:1)의 혈색소(Hgb)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5:1)의 적혈구 용적(Hct)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5:1)의 평균적혈구 용적(MCV)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5:1)의 평균적혈구 혈색소 량(MCH)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5:1)의 평균적혈구 혈색소 농도(MCHC)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5:1)의 평균적혈구 혈소판 수(PC)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암이란 주로 통제되지 않는 세포의 증식에서 시작되어 주위의 정상조직 또는 기관으로 침윤하여 파괴시키고 새로운 성장 장소를 만들 수 있어 개체의 생명을 빼앗아 갈 수 있는 질환 군을 총칭한다.
지난 10여년 동안 암을 정복하기 위해 세포주기나 세포사멸의 조절과 발암유전자나 암억제 유전자들을 포함한 새로운 표적을 모색함에 있어서 눈에 띄는 발전을 거듭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암의 발생률은 문명이 발달됨에 따라 증가되고 있다.
암 치료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수술, 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 면역요법 및 유전자치료법 등이 포함되며, 이중 항암화학요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암제는 암세포 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까지도 세포 독성을 나타내므로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구체적으로 소화기 장애, 골수조혈장 애 등이 수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항암제 중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는 알킬화 약물로서 항암범위가 넓어서 각종 병용요법의 기본 약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투여 후 심한 골수억제로 백혈구 감소증(leukopenia),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황달, 대장염, 신우내 출혈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며, 특히 빈혈 증상을 악화시킨다. 이러한 항암치료의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재생불량성 빈혈은 골수부전을 일으켜 혈소판이 감소하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조혈세포의 감소와 체내 에리트로포이에틴(erythropoietin)의 생성저하로 인해 헤모글로빈 농도의 저하와 빈혈증상을 유발한다.
빈혈은 헤모글로빈 또는 적혈구가 감소되어 혈액의 산소 운반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의미하며, 실험적으로는 혈액의 단위 용적내의 농도를 기준으로 한다. 혈액의 100㎖ 당 충진 적혈구 용적과 100㎖ 당 혈색소 양, 또는 1㎣ 당 적혈구 수가 정상치보다 감소하는 것을 말하며, 10% 이상의 감소를 빈혈이라고 한다.
빈혈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빈혈이 발생하는 기전을 중심으로 분류하면 1) 급성 또는 만성 출혈로 인한 적혈구 손실 증가로 인한 빈혈, 2) 적혈구 파괴 증가에 의한 용혈성 빈혈, 및 3) 적혈구 생성 부전에 의한 빈혈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3) 적혈구 생성 부전에 의한 빈혈로는 겸상적혈구병과 같은 유전적 원인인 질환, 철, 비타민 B12, 엽산 등 영양결핍에 기인된 질환, 항암제, 알콜 등 약물의 원인에 의한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에 대해 수혈을 하거나 약물치료로서 에리트로포 이에틴을 사용하여 빈혈을 치료하고 있으나 혈구증가나 증세호전의 효과가 일시적이며 근본적인 질환의 호전은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삼, 녹용, 숙지황, 당귀 등 부작용이 적은 생약재 또는 생약재의 복합처방을 대상으로 조혈작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빈혈의 유발방법에 있어서 동물실험모델로서 출혈을 야기하거나 용혈성 빈혈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만 국한되었으며,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빈혈 또는 다른 부작용 치료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어서, 이러한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황기(Astragali Radix)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일본·만주·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고,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특히,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에 효과적이며, 비장이 약해서 소화에 이상을 일으켜 설사할 때 사용하면 특효가 있다. 황기는 껍질을 벗기지 않고 그대로 쓰는 것이 약효가 더 좋다.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당귀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당귀는 심경, 간경, 비경에 작용하며, 혈액 생성을 촉진시켜 빈혈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고, 스트레스로 인한 생리불순에 효과적이며, 보혈, 부인병에 좋다. 또한 대변을 통하게 하고 출혈을 멈추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진정작용, 진통작용, 강압작용, 억균작용, 약한 이뇨작용, 이담작용 등이 밝혀졌다. 혈허증, 월경부조, 무월경, 징가, 산후복통, 타박상, 옹종, 변비, 이질, 비증 등에 쓰이며, 자궁발육부전, 신경쇠약, 자궁출혈 등에도 쓰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은 생약재로부터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에 대해 연구하던 중, 시클로포스파미드 투여에 의해 유발된 빈혈을 나타내는 흰쥐에 황기와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투여한 후 체중감소를 완화시키고, 전혈구 검사에서 적혈구 수, 백혈구 수,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 및 혈소판 수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며, 혈액 생화학적 분석에서 혈중 ALT 함량, 혈중 철분 함량, 혈중 철결합능력(TIBC), 혈중 비타민 B12 함량, 및 혈중 페리틴 농도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고, EPO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 생약재는 기력을 돋우는 보기약인 황기와 혈액을 보충하는 보혈약인 당귀로 이루어진다.
상기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는 황기:당귀를 5:1 ~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증류수를 가한 후 냉각기를 부착하여 2시간 동안 가열한다. 가열 후 여과지로 감압여과한 후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농축액을 동결건조한다.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시클로포스파미드) 투여에 의해 나타나는 체중감소를 완화시키고, 체모의 탈락과 체모의 윤택 등에서도 육안적으로 양호한 차이를 나타낸다. 특히, 식이섭취량에 있어서, 혼합 생약재 투여군이 음성대조군(생리식염수)에 비해 식이섭취량의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에 대한 식이효율이 높게 나타난다. 이는 체중이 식이섭취량 때문에 증가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투여로 체중감소 효과를 적게 함으로써 체중증가를 유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양성대조군(에리트로포이에틴)에서는 식이섭취량이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나 체중에 대한 식이효율이 낮게 나타나 시클로포스파미드 투여에 의해 감소된 체중의 회복에 양성대조물질인 에리트로포이에틴 투여가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 투여로 인한 빈혈 발생의 부작용 증상에 대하여 일정한 회복효과가 관찰되며, 전혈구 검사에서 적혈구 수, 백혈구 수,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 및 혈소판 수 등에 대하여 우수 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고, 혈액 생화학적 분석에서 혈중 ALT 함량, 혈중 철분 함량, 혈중 철결합능력(TIBC), 혈중 비타민 B12 함량, 및 혈중 페리틴 농도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혈색소 농도 및 비타민 B12 함량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이 1:1일때, 전혈구 검사에서 적혈구 수, 백혈구 수,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 및 혈소판 수 등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고, 혈액 생화학적 분석에서 혈중 ALT 함량, 혈중 철분 함량, 혈중 철결합능력(TIBC), 혈중 비타민 B12 함량, 및 혈중 페리틴 농도 등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낸다.
비타민 B12는 정상적인 혈액생산과 신경작용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결핍시에는 대부분 악성빈혈을 가져온다. 비타민 B12가 부족하면 DNA 합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거대적아구성 빈혈이 발생되며, 비타민 B12가 부족된 환자에게 비타민 B12를 투여해도 혈액학적 증세는 정상으로 복구되지만 결핍기간이 장기간인 경우는 신경장애를 완전히 회복되지 않을 수도 있어 중요한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EPO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킨다. 혈구의 형성과정은 SCF(stem cell factor), TPO(thrombopoietin), EPO (erythropoietin) 등의 조혈성장인자에 의해 조절되며, 이들은 골수세포에 작용하여 특정형질의 혈구세포의 분화와 성장의 상승효과를 가진다. EPO는 골수에서 조혈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EPO 유전자 발현의 증가는 혈청 EPO 수치의 증가를 반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황달, 대장염, 또는 신우내 출혈과 같은 부작용 치료를 위한 조혈 촉진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이 1:1 일때, 더욱 효과적이다. 만일 당귀를 과량 사용하게 되면 당귀의 독성으로 인해 인후통, 비공의 작열감 등의 허화상염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과량이 사용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5~30㎎/㎏ 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000㎎/㎏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5:1)의 제조
실험에 사용한 황기는 경동한약재 시장에서 구입하였고, 당귀는 강원도 평창 군 진부면에서 구입하였다.
황기 및 당귀를 깨끗이 세척하여 말린 후, 각각의 약재를 절편하여 황기 250g 및 당귀 50g을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6,000㎖를 가한 후 냉각기를 부착하여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 후 여과지로 감압여과한 후 얻어진 여과액을 로터리 진공 감압기(rotary vaccum evaporator, Eyela, 일본)를 사용하여 감압농축하고,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였다. 이때,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수율은 22.2% 이었다.
실시예 2 :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1:1)의 제조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을 1:1로 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황기 추출물의 제조
황기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1:5)의 제조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을 1:5로 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당귀 추출물의 제조
당귀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체중 변화와 식이 섭취량의 측정
Ⅰ.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체중변화와 식이 섭취량의 측정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약으로, 시클로포스파미드는 알키록산 500㎎ (중외제약, 한국)을, 재조합 사람 에리트로포이에틴(rHuEPO)은 리코몬 주사제(recormon inj.) PFS 1,000 IU (중외제약, 한국)로 사용하였다.
CLNM Fe (와코, 일본) 시약, 코바스 인테그라 트랜스페린(Cobas integra transferrin; 로슈, 독일), 시물 TRAC-SNB 방사성분석(Icn, U.S.A.)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 실험에 사용한 시약은 바이엘사(독일)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의 스푸라구-돌리(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샘타코, 한국)를 고형사료(삼양 배합사료 실험동물용, 삼양유지사료, 한국)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 이상 실험실 환경(온도 22±2℃, 습도 55±5%, 낮/밤 12 시간)에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4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1군당 실험동물 8마리씩 할당하였다.: 1) 정상군, 2) 빈혈 유발-정상식이-생리식염수 투여군(음성대조군), 3) 빈혈유발-정상식이-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 혼합 생약재 추출물 투여군(혼합 생약재 투여군), 및 4) 빈혈유발-정상식이-에리트로포이에틴 투여군(양성대조 군).
실험군의 빈혈유발은 시클로포스파미드를 30 ㎎/㎏ B.W./일로 3회 복강 투여하였다. 빈혈 유발된 흰쥐에, 음성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고,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0 ㎎/㎏ B.W./일로 14일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에는 에리트로포이에틴 1,000 IU/㎏ BW/일로 1주일 동안 3회씩 피하 주사로 14일 동안 투여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의 식이는 자유섭취방법으로 공급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섭취량은 매일 측정하였고, 체중은 2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식이 효율(food efficiency ratio : FER)은 실험시작일로부터 희생일까지를 총 실험기간으로 하여 실험기간 동안의 체중 증가량을 실험기간 동안의 식이 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식이 효율(FER, %) = 체중 증가량(g/일) / 식이 섭취량(g/일)
실험성적은 평균치±표준오차(Mean±SD)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과의 평균의 차이를 검정할 때에는 Student's t-test로 검정하여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초기 체중 (g) 최종 체중 (g) 체중증가량 (g/일) 식이섭취량 (g/일) 식이효율 (FER) (%)
정상군 136.1±6.0 247.8±11.0 7.4±0.4 23.4±3.5 0.316
음성대조군 125.7±10.2# 204.2±11.5### 5.2±0.7### 18.5±2.8## 0.281
혼합 생약재 투여군 (실시예 1) 125.1±9.1 213.8±13.9 5.9±0.6* 18.6±3.2 0.317
양성대조군 124.9±5.5 200.8±8.5 5.1±0.5 20.3±3.5 0.251
※ - 정상군 : 시클로포스파미드를 처리하지 않은 군,
- 음성대조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생리식염수,
- 혼합 생약재 투여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 혼합 생약재 추출물(1,000 ㎎/㎏ B.W./일) 경구투여, 및
- 양성대조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에리트로포이에틴(1,000 IU/㎏ BW/일) 피하 주사
※ 상기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
# : 상기 정상군 수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음.
(# : p<0.05; ## : p<0.01, ### : p<0.001),
* : 상기 음성대조군 수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음(* : p<0.0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기간 중 최종 체중은 음성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01), 혼합 생약재 투여군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양성대조군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회복되지 않았다.
식이 섭취량은 음성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1). 혼합 생약재 투여군은 음성대조군과 식이섭취량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양성대조군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식이섭취량이 증가하였다.
식이효율은 정상군과 음성대조군에서 각각 31.6%와 28.1%로 관찰되었다. 혼합 생약재 투여군 및 양성대조군은 각각 31.7% 및 25.1%의 순서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혼합 생약재 투여군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식이섭취량의 차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에 대한 식이효율이 높았다는 것은, 체중이 식이섭취량 때문에 증가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투여로 체중감소 효과를 적게 함으로써 체중증가를 유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양성대조군에서는 식이섭취량이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체중에 대한 식이효율이 낮게 나타나 시클로포스파미드 투여에 의해 감소된 체중의 회복에 양성대조물질인 에리트로포이에틴 투여가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Ⅱ.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체중변화와 식이 섭취량의 측정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Ⅰ과 동일하게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초기 체중 (g) 최종 체중 (g) 체중증가량 (g/일) 식이섭취량 (g/일) 식이효율 (FER) (%)
황기 추출물 (비교예 1) 129.6±6.6 208.8±13.2 5.8±0.6 17.0±3.3 0.338
혼합 생약재 투여군 (실시예 1) 125.1±9.1 213.8±13.9 5.9±0.6* 18.6±3.2 0.317
혼합 생약재 투여군 (실시예 2) 128.8±8.5 209.3±19.1 5.8±0.8 18.3±3.7 0.315
혼합 생약재 투여군 (비교예 2) 126.6±12.9 220.9±18.8 6.8±0.5 19.8±3.8 0.341
당귀 추출물 (비교예 3) 126.1±4.5 214.6±12.8 5.8±2.1 20.3±3.8 0.287
※ 상기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
- 황기 추출물 투여군(비교예 1)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황기 추출물(1,000 ㎎/㎏ B.W./일) 경구투여
- 혼합 생약재 투여군(실시예 1)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 혼합 생약재 추출물(5:1, 1,000 ㎎/㎏ B.W./일) 경구투여,
- 혼합 생약재 투여군(실시예 2)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 혼합 생약재 추출물(1:1, 1,000 ㎎/㎏ B.W./일) 경구투여,
- 혼합 생약재 투여군(비교예 2)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상기 비교예 2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 혼합 생약재 추출물(1:5, 1,000 ㎎/㎏ B.W./일) 경구투여, 및
- 당귀 추출물 투여군(비교예 3)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당귀 추출물(1,000 ㎎/㎏ B.W./일) 경구투여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기간 중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 최종 체중, 식이 섭취량 및 식이효율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혈액 분석 실험
Ⅰ.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혈액 분석 실험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빈혈 등의 부작용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혈액 채취
실험군은 상기 실험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시작 14일 후에 상기 실험군의 흰쥐를 희생하여 혈액을 심장천자(heart puncture) 방법으로 5㎖를 채취하였다. 1㎖는 EDTA(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로 처리된 채혈 튜브(Blood collection tube; BD vacutainer, USA)에 균등질이 되도록 잘 흔들어 4℃에 보관해 48시간이내에 전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 등을 측정하였다.
나머지 혈액은 생화학적 측정을 위하여 EDTA 없는 튜브에 담아 탁상용 원심분리기(tabletop centrifuge)에서 3,000 rpm,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었으며, 이 시료는 분석전까지 -70℃에 보관하였다.
2. 전혈구 검사
EDTA 튜브에 담은 전혈(whole blood)은 적혈구 수(red blood cell, RBC), 백혈구 수(white blood cell, WBC), 혈색소(hemoglobin, Hgb) 농도, 적혈구 용적(hematocrit, Hct), 평균적혈구 용적(mean corpuscular volume, MCV), 평균적혈구 혈색소 량(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평균적혈구 혈색소 농도(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및 혈소판 수(platelet count; PC)를 ADIVA™ 120 혈액분석기(바이엘, 독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성적은 평균치±표준오차(Mean±SD)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과의 평균의 차이를 검정할 때에는 Student's t-test로 검정하여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는 표 3 및 도 1 ~ 도 8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각 실험군에 대한 적혈구 수(RBC)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각 실험군에 대한 백혈구 수(WBC), 도 3은 각 실험군에 대한 혈색소(Hgb) 농도, 도 4는 각 실험군에 대한 적혈구 용적(Hct), 도 5는 각 실험군에 대한 평균적혈구 용적(MCV), 도 6은 각 실험군에 대한 평균적혈구 혈색소 량(MCH), 도 7은 각 실험군에 대한 평균적혈구 혈색소 농도(MCHC), 및 도 8은 각 실험군에 대한 평균적혈구 혈소판 수(PC)를 나타낸 도이다.
실험군 적혈구 수 (106/㎕) 백혈구 수 (103/㎕) 혈색소 농도 (g/㎗) 적혈구 용적 (%) 평균적혈구 용적 (fL) 평균적혈구 혈색소 량 (pg) 평균적혈구 혈색소 농도 (%) 혈소판 수 (103/㎕)
정상군 6.3±0.2 9.7±1.6 12.9±0.5 39.5±1.7 61.4±2.1 20.5±0.6 33.3±0.4 1027.4±74.4
음성대조군 5.67±0.3 4.0±1.3 11.9±0.8 37.2±0.8 64.0±2.0 21.4±0.7 33.2±0.5 741.3±54.5
혼합 생약재 투여군 (실시예 1) 6.1±0.2 5.7±0.4 12.7±0.3 38.6±0.9 62.6±1.3 20.6±0.4 33.0±0.5 941.3±98.8
양성대조군 6.8±0.3 8.2±1.2 14.0±0.8 45.5±1.6 67.0±1.4 20.7±0.5 30.8±0.7 1066.2±74.3
※ 상기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
- 정상군 : 시클로포스파미드를 처리하지 않은 군,
- 음성대조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생리식염수,
- 혼합 생약재 투여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 혼합 생약재 추출물(1,000 ㎎/㎏ B.W./일) 경구투여, 및
- 양성대조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에리트로포이에틴(1,000 IU/㎏ BW/일) 피하 주사
1) 적혈구 수 변화
표 3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적혈구 수 6.3±0.2(×106)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5.7±0.3(×106)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1). 혼합 생약재 투여군은 6.1±0.2(×106)으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관 찰할 수 있었으며(p<0.01), 양성대조군에서는 6.8±0.3(×106)으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1).
2) 백혈구 수 변화
표 3 및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백혈구 수 9.7±1.6(×103)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4.0±1.3(×103)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1).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5.7±0.4(×103)으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p<0.05), 양성대조군에서는 8.2±1.2(×103)으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1).
3) 혈색소 농도 변화
표 3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혈색소 농도 12.9±0.5 g/㎗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11.83±0.87 g/㎗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12.7±0.3 g/㎗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p<0.05), 양성대조군에서는 14.0±0.8(×103) g/㎗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1).
4) 적혈구 용적 변화
표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적혈구 용적 수치 39.5±1.7%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37.2±0.8%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38.6±0.9%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p<0.05), 양성대조군에서는 45.5±1.6%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1).
5) 평균적혈구 용적 변화
표 3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평균적혈구 용적 61.4±2.1 fL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64.0±2.0 fL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62.6±1.3 fL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감소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양성대조군에서는 67.0±1.4 fL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1).
6) 평균적혈구 혈색소 량 변화
표 3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평균적혈구 혈색소 량 20.5±0.6 pg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21.4±0.7 pg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20.6±0.4 pg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감소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양성대조군에서는 20.7±0.5 pg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7) 평균적혈구 혈색소 농도 변화
표 3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평균적혈구 혈색소 농도 33.3±0.4 %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33.2±0.5 %로 감소를 보였다.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33.0±0.5 %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감소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양성대조군에서는 30.8±0.7 %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1).
8) 혈소판 수 변화
표 3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군의 혈소판 수 1027.4±74.4(×103)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741.3±54.5(×103)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1).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941.3±98.8(×103)으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p<0.05), 양성대조군에서는 1066.2±74.3(×103)으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1).
3. 혈액 생화학적 실험
EDTA 없는 튜브에 담아 탁상용 원심분리기(tabletop centrifuge)에서 3,000 rpm,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에서, 혈중 AST(GOT) 및 ALT(GPT) 함량, 혈중 철 함량 및 철결합 능력(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을 ADIVA™ 1650(바이엘, 독일)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중 비타민 B12 함량은 감마 계수기(휴렛 팩커드, 미국) 기기로 측정하였으며, 트랜스페린 포화도(TS)는 코바스 인테그라(로슈, 독일) 기기로 측정하였다.
실험성적은 평균치±표준오차(Mean±SD)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과의 평균의 차이를 검정할 때에는 Student's t-test로 검정하여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AST 함량 (U/I) ALT 함량 (U/I) 철 함량 (㎍/㎗) 철 결합능력 (TIBC) (㎍/㎗) 비타민 B12 함량 (pg/㎖) 페리틴 농도 (ng/㎖)
정상군 100.0±14.6 44.7±5.8 203.9±25.7 454.6±27.7 1680.6±161.9 0.16±0.21
음성대조군 104.7±10.9 46.9±4.1# 167.0±34.0# 488.1±29.3# 1427.9±74.7## 0.30±0.16
혼합 생약재 투여군 103.0±7.1 40.6±4.0** 200.6±39.7 473.5±23.8 1576.2±157.9* 0.23±0.18
양성대조군 100.5±6.2 48.1±5.8 233.5±39.3* 449.3±14.4** 1509.2±59.3* 0.13±0.15*
1) - 정상군 : 시클로포스파미드를 처리하지 않은 군,
- 음성대조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생리식염수,
- 혼합 생약재 투여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 혼합 생약재 추출물(1,000 ㎎/㎏ B.W./일) 경구투여, 및
- 양성대조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에리트로포이에틴(1,000 IU/㎏ BW/일) 피하 주사
2) 상기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
# : 상기 정상군 수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음
(# : p<0.05; ## : p<0.01),
* : 상기 음성대조군 수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음
(* : p<0.05, ** : p<0.01).
1) 혈중 AST(GOT) 함량
정상군의 혈중 AST 함량 100.0±14.6 U/I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104.7±10.9 U/I로 나타났으며,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103.0±7.1 U/I 및 양성대조군에서는 100.5±6.2 U/I 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2) 혈중 ALT(GPT) 함량
정상군의 혈중 ALT 함량 44.7±5.8 U/I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46.9±4.1 U/I로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p<0.05),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40.6±4.0 U/I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회복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고(p<0.01), 양성대조군에서는 48.1±5.8 U/I 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상승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혈중 철분 함량
정상군의 혈중 철분 함량 203.7±25.7 ㎍/㎗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167.0±34.0 ㎍/㎗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p<0.05),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200.6±39.7 ㎍/㎗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회복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고, 양성대조군에서는 233.5±39.3 ㎍/㎗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상승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4) 혈중 철 결합 능력
TIBC는 트랜스페린에 있는 자유 이온 결합 위치의 수와 관련된 것으로 철 결핍시에 빠르게 증가하게 된다. 정상군의 혈중 TIBC 함량 454.6±27.7 ㎍/㎗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488.1±29.3 ㎍/㎗로 유의한 상승을 보였고(p<0.05),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473.5±23.8 ㎍/㎗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회복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고, 양성대조군에서는 449.3±14.4 ㎍/㎗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회복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1).
5) 혈중 비타민 B 12 함량
정상군의 혈중 비타민 B12 함량 1680.6±161.9 pg/㎖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1427.9±74.7 pg/㎖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1),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1576.2±157.9 pg/㎖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우수한 회복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고(p<0.05), 양성대조군에서는 1509.2±59.3 pg/㎖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회복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5).
6) 혈중 페리틴 농도
혈중 페리틴 농도는 철 저장량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며, 철분 결핍이 심한 경우에는 감소하지만 빈혈이 있는 암환자에서는 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군의 혈중 페리틴 함량 0.16±0.21 ng/㎖에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0.30±0.16 ng/㎖로 상승을 보였고,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는 0.23±0.18 ng/㎖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회복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고, 양성대조군에서는 0.13±0.15 ng/㎖로 유의성 있게 회복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 투여로 인한 빈혈 발생의 부작용 증상에 대하여 일정한 회복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전혈구 검사에서 적혈구 수, 백혈구 수,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 및 혈소판 수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고, 혈액 생화학적 분석에서 혈중 ALT 함량, 혈중 철분 함량, 혈중 철결합능력(TIBC), 혈중 비타민 B12 함량, 및 혈중 페리틴 농도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혈색소 농도 및 비타민 B12 함량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 투여에 의 해 유발되는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황달, 대장염, 또는 신우내 출혈과 같은 부작용 치료를 위한 조혈 촉진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Ⅱ.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혈액 분석 실험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빈혈 등의 부작용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Ⅰ과 동일하게 전혈구 검사 및 혈액 생화학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혈구 검사에 대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고, 혈액 생화학적 실험에 대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적혈구 수 (106/㎕) 백혈구 수 (103/㎕) 혈색소 농도 (g/㎗) 적혈구 용적 (%) 평균적혈구 용적 (fL) 평균적혈구 혈색소 량 (pg) 평균적혈구 혈색소 농도 (%) 혈소판 수 (103/㎕)
황기 추출물 (비교예 1) 5.9±0.3 5.4±1.2 12.4±0.6 37.7±1.6 63.7±1.2 20.9±1.1 32.6±0.9 861.0±265.9
혼합 생약재 투여군 (실시예 1) 6.1±0.2 5.7±0.4 12.7±0.3 38.6±0.9 62.6±1.3 20.6±0.4 33.0±0.5 941.3±98.8
혼합 생약재 투여군 (실시예 2) 6.2±0.3 5.1±0.7 13.0±0.5 39.5±1.6 63.8±1.4 21.0±0.7 32.9±0.5 919.0±66.8
혼합 생약재 투여군 (비교예 2) 6.1±0.2 5.0±0.8 12.7±0.6 38.3±2.1 62.6±2.1 20.7±0.8 33.1±0.5 997.4±178.5
당귀 추출물 (비교예 3) 6.1±0.2 5.4±0.6 12.8±0.2 38.4±1.1 62.8±1.2 20.9±0.6 33.2±0.5 1060.3±146.7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이 1:1일때 전혈구 검사에서 적혈구 수, 백혈구 수,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 및 혈소판 수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 를 나타내었다.
실험군 AST 함량 (U/I) ALT 함량 (U/I) 철 함량 (㎍/㎗) 철 결합능력 (TIBC) (㎍/㎗) 비타민 B12 함량 (pg/㎖) 페리틴 농도 (ng/㎖)
황기 추출물 (비교예 1) 9.0±20.4 42.7±5.6 178.5±28.8 470.7±18.3 1525.8±103.2 0.1±0.0
혼합 생약재 투여군 (실시예 1) 103.0±7.1 40.6±4.0 200.6±39.7 473.5±23.8 1576.2±157.9 0.23±0.18
혼합 생약재 투여군 (실시예 2) 107.4±8.8 42.3±2.9 144.4±37.7 465.0±29.0 1607.9±111.2 0.2±0.0
혼합 생약재 투여군 (비교예 2) 110.3±7.9 44.5±9.1 192.7±20.4 496.4±41.0 1572.6±146.1 0.1±0.2
당귀 추출물 (비교예 3) 103.8±11.1 44.3±5.8 119.8±35.4 482.8±24.4 1542.6±139.6 0.1±0.1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혼합 생약재 투여군에서,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이 1:1일때 혈액 생화학적 분석에서 혈중 ALT 함량, 혈중 철분 함량, 혈중 철결합능력(TIBC), 혈중 비타민 B12 함량, 및 혈중 페리틴 농도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EPO의 mRNA 발현 정도 측정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조혈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약으로는, 트리졸(Invitrogen, USA), 이소프로판올(덕산, 한국), 클로로포름(시그마, USA), 올리고 (dT) 프라이머 (프로메가, USA), MMLV 역전사효소(프로메가, USA), PCR-완충액(바이오퀘스트, 한국), dNTP(바이오퀘스트, 한국), 25mM MgCl2 (바이오퀘스트, 한국), Taq DNA 폴리머라제 (바이오퀘스트, 한국) 등을 사용하였다.
1. RNA 분리
총 RNA는 트리졸(Invitrogen U.S.A.)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조직당 적량의 트리졸을 가하여 볼텍싱으로 분쇄한 후 실온에 5분간 방치한 후 1/5 분량의 클로로포름을 넣고 섞었다. 소형 원심분리기(Eppendorf, U.S.A.)를 이용하여 4℃, 12,000×g에서 15 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수거하고 동량의 이소프로판올을 가하여 RNA를 침전시켰다. 얻어진 RNA 침전물을 DEPC(diethyl pyrocarbonate)가 처리된 멸균수에 녹였다.
2. cDNA 합성 및 PCR-증폭
cDNA는 65℃에서 변성된 총 RNA 5㎍, 올리고 (dT) 프라이머, MMLV 역전사효소를 사용하여 42℃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합성하였다. 99℃에서 5분간 가열하여 MMLV 역전사효소의 활성을 제거하고 얼음에서 급냉시켰다. 위의 과정에서 생성된 단일가닥의 cDNA 5㎕를 주형으로 하여 10×PCR-완충액 2.5㎕, 25 mM MgCl2 1㎕, dNTPs 1㎕, Taq DNA 폴리머라제 (2.5U) 0.5㎕, 유전자의 고유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CR 수행조건은 95℃에서 5분 반응시킨 후 95℃에서 30초, 54℃에서 1분, 72℃에서 1분을 30 주기로 실시하였고, 마지막에 72℃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PCR에 사용한 랫트 EPO 유전자 프라이머는 5-GTACATCTTGGAGGCCAAGG-3 (forward), 5-GTATCGGCTTGAAGTGTTCG-3 (reverse)이 사용하였다. PCR은 Peltier Thermal Cycler (MJ Research, 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365 bp PCR 산물은 1.5% 아가로즈겔에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다.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EPO 유전자의 발현 정도(%)
정상군 100.00±00
음성대조군 91.90±4.81##
황기 추출물(비교예 1) 92.62±1.57
혼합 생약재 투여군(실시예 2) 102.79±8.80
당귀 추출물(비교예 3) 97.21±13.80
양성대조군 53.91±15.33
※ - 정상군 : 시클로포스파미드를 처리하지 않은 군,
- 음성대조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생리식염수,
- 황기 추출물 투여군(비교예 1)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황기 추출물(1,000 ㎎/㎏ B.W./일) 경구투여
- 혼합 생약재 투여군(실시예 2)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 혼합 생약재 추출물(1:1, 1,000 ㎎/㎏ B.W./일) 경구투여,
- 당귀 추출물 투여군(비교예 3)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당귀 추출물(1,000 ㎎/㎏ B.W./일) 경구투여, 및
- 양성대조군 : 시클로포스파미드(30 ㎎/㎏ B.W./일) 복강 투여 + 에리트로포이에틴(1,000 IU/㎏ BW/일) 피하 주사
※ 상기 값은 평균±표준편차이다.
# : 상기 정상군 수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음(## : p<0.01)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91.9%로 유의하게 EPO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다 (p<0.01).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투여군은 황기 및 당귀의 혼합 비율이 1:1 일때, 102.79%로 가장 많이 발현되었다.
혈구의 형성과정은 SCF(stem cell factor), TPO(thrombopoietin), EPO (erythropoietin) 등의 조혈성장인자에 의해 조절되며, 이들은 골수세포에 작용하여 특정형질의 혈구세포의 분화와 성장의 상승효과를 가진다. EPO는 골수에서 조혈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EPO 유전자 발현의 증가는 혈청 EPO 수치의 증가를 반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황달, 대장염, 또는 신우내 출혈과 같은 부작용 치료를 위한 조혈 촉진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4 : 마우스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에 따른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4주령의 특정 병원체 부재(specific pathogens free) ICR 마우스로서 암컷 12 마리와 숫컷 12마리(암수 각각 3마리/용량군)를 온도 22±3℃, 습도 55±10%, 조명 12L/12D의 동물실내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는 실험에 사용되기 전 1주일 정도 순화시켰다. 실험동물용 사료((주)제일제당, 마우스 및 랫트용) 및 음수는 멸균한 후 공급하였으며 자유섭취시켰다.
상기 실시예 1 제조한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0.5% 트윈 80을 용매로 하여 50mg/㎖ 농도로 조제한 후, 마우스 체중 20g 당 0.04㎖(100mg/kg), 0.2㎖(500mg/kg), 0.4㎖(1,000mg/kg)씩 경구투여하였다. 시료는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7 일 동안 다음과 같이 부작용 또는 치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투여당일은 투여 후 1 시간, 4 시간, 8 시간, 12 시간 뒤에, 그리고 투여 익일부터 7 일째까지는 매일 오전, 오후 1회 이상씩 일반증상의 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투여 7 일째에 동물을 치사시켜 해부한 후 육안으로 내부 장기를 검사하였다. 투여당일부터 1 일 간격으로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에 의한 동물의 체중 감소 현상을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마우스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은 없었고 폐사된 마우스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모든 마우스 에서 1,000mg/k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이 적어도 1,000m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주사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1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유리로된 5㎖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은 항암제(시클로포스파미드) 투여에 의해 나타나는 체중감소를 완화시키고, 전혈구 검사에서 적혈구 수, 백혈구 수,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 및 혈소판 수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며, 혈액 생화학적 분석에서 혈중 ALT 함량, 혈중 철분 함량, 혈중 철결합능력(TIBC), 혈중 비타민 B12 함량, 및 혈중 페리틴 농도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고, EPO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빈혈,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황달, 대장염, 또는 신우내 출혈과 같은 부작용 치료를 위한 조혈 촉진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시클로포스파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혈 촉진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작용은 빈혈, 백혈구 감소증 또는 혈소판 감소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혈 촉진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기 및 당귀는 1:1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혈 촉진제.
KR1020050008374A 2005-01-29 2005-01-29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 KR100697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374A KR100697212B1 (ko) 2005-01-29 2005-01-29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374A KR100697212B1 (ko) 2005-01-29 2005-01-29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332A KR20060087332A (ko) 2006-08-02
KR100697212B1 true KR100697212B1 (ko) 2007-03-22

Family

ID=3717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374A KR100697212B1 (ko) 2005-01-29 2005-01-29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2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7867A3 (en) * 2008-12-15 2010-11-25 Ecopharm, Llc Treating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with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KR20160059176A (ko) 2014-11-18 2016-05-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구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60059177A (ko) 2014-11-18 2016-05-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가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035106B1 (ko) 2019-02-22 2019-10-23 심마니산삼영농조합법인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소판 감소증 또는 림프구 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235882A1 (ko) 2018-06-07 2019-12-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에 의한 이질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902A (ko) * 1997-10-15 1999-05-06 김성규 식품원료를 이용한 조혈제 조성물
KR20010100551A (ko) * 2000-05-03 2001-11-14 장인순 면역, 조혈기능 증진 및 방사선 방호용 생약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20020089817A (ko) * 2001-05-24 2002-11-30 한국원자력연구소 조혈기능 증진 및 방사선 방호용 생약추출물
KR20030091921A (ko) * 2003-11-17 2003-12-03 한국원자력연구소 조혈기능 증진 및 방사선 방호용 생약추출물
KR20040087711A (ko) * 2003-04-07 2004-10-15 한국원자력연구소 항암, 면역 및 조혈 기능 증진 효과와 산화적 생체 손상의억제 효과를 갖는 생약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902A (ko) * 1997-10-15 1999-05-06 김성규 식품원료를 이용한 조혈제 조성물
KR20010100551A (ko) * 2000-05-03 2001-11-14 장인순 면역, 조혈기능 증진 및 방사선 방호용 생약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20020089817A (ko) * 2001-05-24 2002-11-30 한국원자력연구소 조혈기능 증진 및 방사선 방호용 생약추출물
KR20040087711A (ko) * 2003-04-07 2004-10-15 한국원자력연구소 항암, 면역 및 조혈 기능 증진 효과와 산화적 생체 손상의억제 효과를 갖는 생약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30091921A (ko) * 2003-11-17 2003-12-03 한국원자력연구소 조혈기능 증진 및 방사선 방호용 생약추출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7867A3 (en) * 2008-12-15 2010-11-25 Ecopharm, Llc Treating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with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US8137710B2 (en) 2008-12-15 2012-03-20 EcoPharm Corporation Treating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with comprising extra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US8728543B2 (en) 2008-12-15 2014-05-20 EcoPharm Corporation Methods of treating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with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KR20160059176A (ko) 2014-11-18 2016-05-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구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60059177A (ko) 2014-11-18 2016-05-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가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WO2019235882A1 (ko) 2018-06-07 2019-12-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암제에 의한 이질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35106B1 (ko) 2019-02-22 2019-10-23 심마니산삼영농조합법인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소판 감소증 또는 림프구 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332A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6998B2 (en) Eurycoma longifolia extract and its use in enhancing and/or stimulating immune system
KR20100127420A (ko) 사포닌의 생체 이용률 증진 조성물
KR100697212B1 (ko) 황기 및 당귀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 치료용 조혈 촉진제
Aduwamai et al. Effect of Solanum nigrum methanol leaf extract on phenylhydrazine induced anemia in rats
CN104161909A (zh) 一种祛黄褐斑的药物组合物
CN106616587A (zh) 一种用于提升体力抗疲劳的含硒制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Beshel et al. The ethanolic extract of beetroot (Beta Vulgaris) ameliorates some red cell parameters in phenylhydrazine-induced anaemic rats
CN112617196A (zh) 一种抗缺氧、抗疲劳的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US6746675B2 (en) Physiologically active compositions based upon active ingredients of Basidiomycotina and Araliaceae
CN101336965B (zh) 一种用于改善糖耐量、降低血糖的中成药及其制备方法
KR20090087671A (ko) 두충을 이용한 고혈압 억제 음료 개발
KR20200081553A (ko) 진해거담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TWI678211B (zh) 管花肉蓯蓉萃取物及異類葉升麻苷於保護肌肉之用途
CN111150777A (zh) 具有治疗糖尿病功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Basharat et al. Beneficial effects of okra in diabetes mellitus
US7534457B2 (en) Hemostatic mistura of ipomoea balatas leaves,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WO2018072276A1 (zh) 一种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40080289A (ko) 산화적 뇌손상 및 뇌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95459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CN107536016B (zh) 一种保护心脏和促进肝脏健康的营养食品
CN1238205A (zh) 一种生命基因先导素
KR20030089253A (ko) 면역활성 및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KR100499384B1 (ko) 항고지혈증 활성을 갖는 한약재 추출조성액
CN116114871B (zh) 增强免疫力的中式养生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Naman et al. Anti-Anaemic Potential of Methanolic Leaf Extract of Mucuna Pruriens on Phenylhydrazine (Phz) Induced Anaemic Albino Wistar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