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742B1 - 차량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742B1
KR100696742B1 KR1019990048258A KR19990048258A KR100696742B1 KR 100696742 B1 KR100696742 B1 KR 100696742B1 KR 1019990048258 A KR1019990048258 A KR 1019990048258A KR 19990048258 A KR19990048258 A KR 19990048258A KR 100696742 B1 KR100696742 B1 KR 10069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istic line
clutch
pressure
torque
clutch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175A (ko
Inventor
미카엘 로이쉘
미카엘 살렉커
오스발트 프리드만
게오르그 홈메스
Original Assignee
루크 지에스 버”U퉁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지에스 버”U퉁스 카게 filed Critical 루크 지에스 버”U퉁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00035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06Clutch position
    • F16D2500/10412Transmission line of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2Signal inputs from the actuator
    • F16D2500/3024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1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from the input shaft
    • F16D2500/30412Torque of the in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5Torque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36Adaptations of the clutch characteristics, e.g. curve clutch capacity torque - clutch actuator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 F16D2500/70406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6Strategy of control
    • F16D2500/70605Adaptive correction; Modifying control system parameters, e.g. gains, constants, look-up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를 작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작동방법.{MOT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차량의 실시예를 일부 도시한 개략도.
*부호 설명
12 ... 클러치 입력토크 14 ... 토크센서
16, 20 ... 압력 18 ... 토크센서-압력센서
22 ... 컴퓨터 유니트 24 ... 클러치토크
26,30,34 ... 제어 장치 28 ... 기준값
32 ... 클러치 특성선
본 발명은 차량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방법 및 차량이 공지되어 있고, 차량의 클러치 특성선이 조정될 수 있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형태의 방법은 맞물림-위치를 조정하는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예를 들어, 클러치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위치들에서 엔진토크가 측정된다. 상기 두 개의 위치들에서 엔진토크의 토크차가 형성된다. 클러치가 개방될 때 한 개의 엔진토크가 측정되고 약 5 Nm 내지 20 Nm 정도로 다소 증가된 값에서 다른 한 개의 엔진토크가 측정된다. 엔진토크에 관한 상기 토크차가 클러치특성선의 조정을 위해 이용된다.
공지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차량내부에서 클러치특성선이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구동상태에서 공지된 장치 및 방법의 개선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클러치가 개방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을 때 클러치가 먼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방법은 완전하게 이용되지 못한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이 정지하거나 느린(creeping)주행상태일 때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러치 특성선을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조정할 수 있고 경제적이며 제조비용이 적게 들고 또한 고장이 잘 나지 않는 차량의 작동방법 및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개이상의 클러치를 가진 차량의 작동방법이 제공되고, 한 개이상의 압력에 의존하는 한 개이상의 클러치특성선들에 관한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이 결정되거나 감지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특성선을 결정하기 위하여 한 개이상의 압력값을 이용하는 한, 기준값으로 이용된 클러치위치들로 전환되는 것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특성선을 결정하기 위한 비용이 감소되고, 클러치특성선을 결정할 때 정밀도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방법에 의하면, 유압유체의 압력값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결정된다. 상기 위치들은 예를 들어, 토크센서의 위치 또는 토크센서와 근접한 위치이다. 상기 토크센서는 토크로부터 압력을 형성하거나 토크의 크기를 나타내는 압력값을 형성한다. 상기 토크센서는 엔진토크의 크기에 의존하여 압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압력은 엔진토크에 비례한다.
삭제
토크센서라는 용어는 넓게 해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 대신에 하중 또는 다른 값이 예를 들어, 엔진토크와 같은 토크에 의존하여 증가될 수 있다. 증가되는 상기 값은 클러치의 토크가 결정되는 값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방법에 의하면, 토크센서에 의해 증가된 압력이 토크센서-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특정위치에서 압력이 감지되는 유압유체가 차량의 유압회로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유압회로와 연결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제 9항을 따르는 차량의 작동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 값 또는 차량 매개변수와 같은 값이 제 2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 2 값은 제 1 값에 대해 미리 정해진 의존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특성선은 제 2 값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값은 특히 클러치특성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즉, 차량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값이 발생되고, 상기 값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제 2 값이 압력 또는 하중이고, 제 1 값이 엔진토크인 것이 선호된다.
특히 압력 또는 하중과 엔진토크사이에 의존성이 존재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의존성은 선형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의존성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포물선형 의존성이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특성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결정하거나 감지하기 위해 n 개의 벡터들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측정값들 또는 n 쌍의 값들 또는 n 개 그룹의 값들이 감지된다. n 개 그룹의 값들은 m 개의 값들을 포함하고, n,m N의 관계가 형성된다. 서로 다른 그룹의 값들에서 m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특정상태를 표시하는 서로 다른 변수들이 예를 들어, 한 개의 벡터로 감지된다. 상기 상태는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에서 클러치의 특정위치이다. 동일한 원리가 여러 그룹들의 값들 등에 적용된다.
감지된 값들 또는 벡터들 또는 그룹의 값들 또는 측정값들이 클러치특성선에 관한 한 개이상의 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측정값들은 클러치의 연결위치에서 감지된다.
클러치가 분리될 때, 값들 또는 벡터들 또는 그룹의 값들 또는 측정값들의 일부분이 감지된다.
클러치특성선의 한 점이 측정벡터 등과 같은 측정위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공지된 장치내에서, 클러치가 개방된 상태일 때 기준값이 항상 요구된다.
클러치특성선을 결정하기 위하여, 클러치가 연결되었을 때 기록된 값들만 감지된다. 적어도 한 개의 측정값 또는 적어도 한 쌍의 측정값들 또는 적어도 한 개의 벡터 또는 적어도 한 개의 그룹의 측정값들이 차량 또는 클러치에 관해 미리 정해진 한 개이상의 상태를 나타낸다.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태의 특징에 의하면, 클러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한 쌍의 측정값들 또는 적어도 한 개의 벡터 또는 적어도 한 개의 그룹의 측정값들에 관한 변수들이 동시에 감지된다.
클러치특성선의 한 점을 결정하기 위한 값들이 서로 다른 시간에 기록되는 종래기술과 상이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특성선의 한 점이 한 개의 시점에 감지된 한 개의 값 또는 한 개의 시점에 감지된 여러 값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자동으로 종래기술의 장치는 오랜 시간이 요구된다. 공지된 장치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작동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응답한다.
본 발명의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클러치특성선의 적어도 일부분이 엔진토크들의 토크차와 독립적으로 감지된다.
상기 클러치특성선은 엔진토크의 토크차와 독립적으로 완전하게 감지된다. 또한 클러치의 연결상태와 관련된 값 및 클러치의 분리상태와 관련된 값사이의 차이들과 독립적으로 클러치특성선이 결정되는 것이 선호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차량이 서행(creeping)운동할 때 클러치특성선이 결정될 수 있고 클러치를 가진 차량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차량에 연료가 공급되지 않고 가속페달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이용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특성선을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특성선들이 제공된다. 상기 서로 다른 특성선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용되거나 때때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엔진토크의 토크차에 의존하는 제 1 특성선에 따라 클러치특성선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용되거나 때때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토크차는 클러치의 연결상태와 클러치의 분리상태사이의 토크차를 나타낸다. 제 2 클러치특성선은 엔진토크의 토크차와 독립적이다.
클러치가 분리된 상태일 때 가지는 기준값에 의존하여 클러치특성선이 결정되는 방법이 제외되지 않고 본 발명의 방법은 차량을 작동시킬 때 클러치특성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결정하기 위해 간단히 이용될 수 있다. 즉 클러치가 개방상태일 때 엔진토크와 경미하게 상승된 엔진토크사이의 토크차이로부터 클러치특성선을 결정되지 않는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되거나 결정된 클러치특성선은 실제 클러치특성선이다.
클러치특성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지할 때, 미리 정해진 주변조건들이 제공되거나 준수되거나 형성된다.
상기 주변조건은 예를 들어, 온도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는 기본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클러치특성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지할 때, 예를 들어, 변속기온도 또는 변속기유체의 온도 또는 대기온도 또는 클러치온도 또는 다른 부품의 온도가 정해진 구간의 온도에 해당한다. 클러치특성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지할 때, 예를 들어, 상기 부품 또는 클러치 또는 대기의 온도가 정해진 경계값보다 작도록 온도가 관련된다. 온도는 미리 정해진 경계값이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는 40℃ 내지 70℃ 또는 50℃ 내지 60℃의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크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주변조건이 속도와 관련된다.
주변조건이 엔진속도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속도 또는 엔진속도가 미리 정해진 영역 또는 구간에 놓여진다. 클러치특성선 또는 클러치특성선의 한 점을 감지할 때, 예를 들어, 주변조건으로서 엔진토크가 대략 900rpm 내지 1000rpm의 범위에 해당한다.
속도 또는 엔진속도가 미리 정해진 경계속도보다 큰 값이거나 작은 값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계속도가 900rpm 내지 1000rpm의 범위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경계속도는 900rpm 이하, 예를 들어, 100rpm이나 200rpm, 300rpm 또는 400rpm, 또는 500rpm이나 600rpm, 700rpm 또는 800rpm이거나 1000rpm 이상, 예를 들어, 1100rpm이나 1200rpm, 1300rpm 또는 1400rpm, 1500rpm 또는 1600rpm 등이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변조건은 유압유체에 관련된다.
상기 주변조건은 모든 유압유체의 특성이나 상태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유압유체는 미리 정해진 점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한 개이상의 주변조건이 배압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압은 변속기의 오일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부품으로 발산되는 압력을 의미한다.
배압이 라디에이터, 분사펌프 및 토크센서내부의 압력강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배압에 관한 특성선의 적어도 한 점이 결정되고 기록되며 저장되고 고려되며 처리된다.
또한 배압에 관한 특성선을 결정할 때, 예를 들어 상기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엔진 속도와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및 적어도 하나의 유압유체와 관련된 매개변수가 고려되는 것이 유리하다.
배압에 관한 특성선을 결정하기 위해서, 클러치는 차량의 서행작동시 완전히 열리고 토크센서-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토크센서의 압력값이 기준값으로서 저장된다. 따라서 클러치의 개방상태에서 입력토크가 영이기 때문에 엔진토크에 의해 형성되는 일부 압력이 영이므로 상기 배압이 결정되거나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최초로 시동되기 전에 또는 공장내에서 정해진 조건과 정해진 횟수로 배압이 계산되어, 예를 들어, 메모리장치내에 저장되는 배압에 관한 특성선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감지되는 배압에 관한 특성선은 예를 들어, 점도 또는 온도 또는 토크와 같은 영향변수들을 고려할 수 있다.
배압에 관한 특성선들이 가지는 해당 값들이 매번 감지될 수 있다. 단지 온도, 속도 및 미리 정해진 또 다른 영향변수들을 형성하여, 측정된 압력값으로부터 엔진토크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분을 고려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
단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크거나 미리 정해진 속도범위에서만 조절작용이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배압에 관한 특성선이 서로 다르게 계산되거나 저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압력값들 또는 벡터 등의 감지된 값들로부터 적어도 한 개의 클러치토크가 결정된다. 클러치특성선 또는 클러치토크가 감지된 압력값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상기 압력값이 구동토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토크는 한편으로 실제 구동토크이고 다른 한편으로 클러치에 입력되는 입력토크이다.
클러치토크를 결정하는 값이 토크센서-압력센서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클러치토크가 엔진토크에 의존하는 적어도 한 개의 압력값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클러치토크가 함수 MKA= c ㆍ pMF (단 MKA는 클러치토크이고, pMF는 토크센서-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며, c는 계수)에 따라 감지되는 것이 선호된다.
예를 들어, 상기 c는 상수이다. 상기 c 가 변수이거나 조절가능한 값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가 함수이거나 관계식이다. 예를 들어, 상기 c 는 차량변수이다. 또한 상기 c 는 차량외부에 관련된 변수이거나 차량변수와 독립적인 것이 선호될 수 있다. 차량변수들은 예를 들어, 변속기 변수 또는 변속기 온도 또는 변속기속도인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클러치토크(MKA)는 실제 클러치압력값 또는 클러치 전류값과 비교된다. 그 결과, 클러치특성선이 형성되거나 기존의 클러치특성선이 동일화된다.
클러치압력값 또는 클러치 전류값을 대신하거나 부가하여, 클러치토크를 비교하거나 클러치특성선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형태의 기준값이 이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형태의 기준값은 단순히 압력값 또는 경로부분 또는 위치 또는 전류값을 나타낸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기준값은 마그네틱 밸브와 같은 밸브를 작동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류값이다. 상기 형태의 마그네틱 밸브는 예를 들어, 클러치작동 또는 유압클러치작동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클러치특성선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동일화된다. 예를 들어, 저장된 클러치특성선 및 감지된 실제 클러치특성선이 비교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된 클러치특성선이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상태들에서 새로운 클러치특성선으로 대체되거나 실제 클러치특성선이 수정된다. 미리 정해진 시간들은 예를 들어, 공장내 작업 또는 일반 작업을 위한 시간들이다. 예를 들어, 감지된 클러치특성선이 저장된 클러치특성선을 대체하거나 저장된 클러치특성선이 감지된 클러치특성선에 의해 다시 기록되는 것이 선호된다. 그러나 저장된 클러치특성선의 대체 또는 수정이 불필요하도록 특정 변수들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특성선은 유사 -정지상태에서 대체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토크센서의 압력값과 같이 미리 정해진 압력값이 미리 정해진 경계압력보다 클 때, 상기 압력값이 감지된다. 예를 들어, 토크센서-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이 배압 또는 배압에 관한 특성선보다 클 때, 클러치토크가 계산되거나 결정된다. 측정된 압력이 배압 또는 배압에 관한 특성선보다 클 때 예를 들어, 안전값이 더해 질 때, 클러치토크가 결정되거나 적응작업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시간들 또는 상태에서 클러치특성선이 실제 특성선 또는 목표 특성선으로부터 적응되도록 차량의 작동방법이 설계된다.
삭제
압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은 적어도 한 개의 클러치, 적어도 한 개의 토크센서 및 적어도 한 개의 토크센서-압력센서를 가진다. 엔진토크 또는 클러치입력토크와 같은 토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때때로 상기 토크에 의존하는 압력값이 상기 토크센서에 의해 발생된다. 적어도 한 개의 클러치특성선이 결정되고 상기 차량내에서 클러치특성선이 적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장치를 가진 차량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CVT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특징은 조합되어 적용되는 것이 선호된다. 한 가지 이상의 특징을 생략하면서 독립항에 기술된 특징들을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명세서에 언급하지 않은 모든 공지된 배열에 대한 세세한 부분들은 출원인과 발명자에게 공지되어 있어서 발명자는 공개되지 않는 한 보호받을 권리를 가진다.
"또는(or)"으로 특징을 설명할 때 상기 " 또는(or)"은 한편으로 수학적 "또는(or)"의 의미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 상호 가능성을 배제한 "또는(or)"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라는 용어와 여기에서 유추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 넓게 이해된다. 이것은 DIN을 기초한 조절 및 제어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여러 가지 수정예 및 구성이 제공되며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특히 본원에 기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엔진토크 또는 클러치 입력토크(12)가 토크센서(14)에 의해 입력토크에 의존하는 압력(16)으로 변환된다. 상기 압력(16)은 토크센서-압력센서(18)에 의해 감지되고 압력(20)으로서 컴퓨터유니트(22)로 전달된다. 컴퓨터유니트(22)내에서 공식 MKA = c· pMF (단 MKA는 클러치토크이고, pMF는 토크센서-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며, c는 계수)에 따라 클러치토크(24)가 계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장치는 제 1 제어장치(26), 제 2 제어장치(30) 및 제 3 제어장치(34)를 포함한다. 제 2 제어장치(30)내에서 제 1 제어장치(26)에 의해 발생되거나 제어되는 기준값(28)을 합산하면, 클러치토크(24)에 의해 클러치 압력값 또는 클러치 전류값, 클러치 특성선(32) 또는 클러치 특성선의 적어도 한 개의 값이 결정된다. 상기 과정(sequence)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제 3 제어장치(34)는 예를 들어, 엔진속도의 허용구간 또는 정해진 최소온도와 같은 미리 정해진 주변조건들이 만족되는 지를 점검(check)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작동방법 및 클러치특성선(32)이 압력(16)에 의존하는 차량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제출된 특허청구범위는 넓은 특허 보호를 얻기 위해 편견 없는 용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인은 명세서 또는 도면에서 지금까지 서술된 특징 이상을 요구할 권리를 보유한다.
각각의 적절한 종속항의 특징을 통하여 독립항의 주제의 다른 설계를 언급한 종속항에서 사용된 참증은 언급한 종속항의 특징을 위한 독립된 주제보호를 얻음으로 없어도 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아니한다.
상기 종속항의 주제는 역시 선행하는 청구항의 주제로부터 독립된 구성을 가지는 독립된 발명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명세서의 실시예로 제한하지 아니한다. 다양한 수정예 및 변형예, 도면에서 얻어지는 개별 특징 또는 요소 또는 과정 단계의 조합, 수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변형, 요소 및 조합 또는 물질 그리고 일반적인 서술과 연결되어 서술된 실시예 및 새로운 과정단계에서 새로운 주제 또는 제조, 시험 및 작업 과정에 관한 한 과정 단계의 순서에서 조합 가능한 특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Claims (77)

  1. 한 개이상의 클러치를 가지는 차량을 작동하기 위하여,
    한 개이상의 압력에 의존하는 한 개이상의 클러치특성선들에 관한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은 정해진 위치에서 유압유체의 압력에 관한 것이며, 엔진토크에 의존하는 유압을 형성하는 유압력이 토크센서의 구성영역에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토크센서가 엔진토크에 의존하여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토크센서에 의한 압력증가는 엔진토크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에 의한 압력증가는 토크센서-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특성선이 서행주행시 적어도 부분적이거나 때때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유압유체가 변속기의 유압회로와 연결되고 변속기의 유압회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압력을 정해진 특성값을 따르는 한 개이상의 제 2 값으로 변환시키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 값으로부터 클러치특성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클러치특성선을 결정하기 위해 제 2 값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엔진토크가 압력과 하중값 중 한 개이상의 값으로 변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엔진토크가 압력과 하중값 중 한 개이상의 값으로 변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압력과 하중값 중 한 개이상의 값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엔진토크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압력과 하중값 중 한 개이상의 값과 엔진토크사이에 선형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압력과 하중값 중 한 개이상의 값과 엔진토크사이에 선형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특성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결정하는 단계가
    n 개의 벡터들, 한 개이상의 측정값들, n 쌍의 값들 및 n 개 그룹의 m 개 값들 중 한 개이상의 값들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n, m N의 관계를 가지며, 클러치특성선 중 n 개의 위치들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감지된 값들, 측정값들, 벡터들, 그룹을 이루는 값들이 클러치특성선의 한 점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클러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클러치 특성선의 한 점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클러치특성선을 결정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러치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값들만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측정값, 한 쌍이상의 측정값들, 한 개이상의 그룹의 측정값들과 한 개이상의 벡터들 중 한 개이상의 값이 클러치와 차량 중 한 개의 미리 정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측정값, 한 쌍이상의 측정값들, 한 개이상의 그룹의 측정값들과 한 개이상의 벡터들 중 한 개이상의 값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된 클러치와 차량 중 한 개의 미리 정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측정값, 한 쌍이상의 값들, 한 개이상의 그룹의 값들 중 한 개이상의 값이 동시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엔진토크들의 토크차와 독립적으로 클러치특성선의 적어도 일부분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클러치연결상태와 한 개이상의 클러치분리상태사이에서 엔진토크의 토크차와 독립적으로 클러치특성선의 적어도 일부분이 결정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토크센서에 의한 압력증가는 토크센서-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4.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특성선이 서로 다른 두 개이상의 특성선들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이거나 때때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제 1 특성선에 따라 클러치특성선이 엔진토크의 토크차에 의존하여 결정되고,
    한 개이상의 제 2 특성선에 따라 클러치특성선이 엔진토크의 토크차와 독립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이거나 때때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6.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용되는 기준값에 의존하는 클러치특성선의 감지작용없이, 적어도 일부분의 클러치특성선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감지된 클러치특성선과 결정된 클러치특성선 중 한 개이상의 특성선이 실제 클러치특성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의 클러치특성선이 결정될 때, 미리 정해진 주변조건들이 제공되거나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주변조건이 온도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클러치특성선을 감지하고 클러치특성선의 한 개이상의 점을 감지할 때 한 개이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구간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클러치특성선을 감지하고 클러치특성선의 한 개이상의 점을 감지할 때 온도가 미리 정해진 경계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2. 제 29 항에 있어서, 클러치특성선과 클러치특성선의 한 개이상의 점을 감지할 때 한 개이상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경계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경계값이 50℃내지 60℃범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4. 제 28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주변조건이 속도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주변조건이 엔진속도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엔진속도와 속도 중 한 개이상의 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7. 제 34 항에 있어서, 엔진속도와 속도 중 한 개이상의 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범위가 900 rpm 내지 1000rpm의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39. 제 34 항에 있어서, 엔진속도와 속도 중 한 개이상의 값이 미리 정해진 경계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경계속도가 900rpm내지 1000rpm의 범위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경계속도가 900rpm 내지 1000rpm의 범위내에 놓이고, 미리 정해진 범위가 900rpm 내지 1000rp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2. 제 34 항에 있어서, 엔진속도와 속도 중 한 개이상의 값이 미리 정해진 경계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3. 제 28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주변조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압유체에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4. 제 28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주변조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압에 관련되고, 배압은 종래기술의 다이아프렘들에 의해 발산되는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5. 제 24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배압에 관한 특성선의 한 개이상의 점에서 수행되는 결정작용 및 기록작용 및 저장작용 및 고려작용 및 처리작용 중 한 개이상의 작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배압에 관한 특성선을 결정할 때 엔진속도와 온도 중 한 개이상의 값을 고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서행주행시 클러치특성선을 개방하는 단계 및 토크센서의 압력값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8. 제 45 항에 있어서, 추가로
    서행주행시 클러치특성선을 개방하는 단계 및 토크센서의 압력값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토크센서의 압력을 배압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0. 제 24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배압에 관한 한 개이상의 특성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감지된 값이 구동토크를 나타내는 압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2. 제 50 항에 있어서, 감지된 값이 토크센서-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3. 제 24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클러치토크가 미리 정해진 특성선에 따라 한 개이상의 감지된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4. 제 50 항에 있어서, 추가로 엔진토크에 의존하는 한 개이상의 압력의 함수로서 클러치토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5. 제 50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함수 MKA = c·pMF 에 따라 클러치토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MKA는 클러치토크이며, pMF는 토크센서-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고, c는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6. 제 55 항에 있어서, c가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7. 제 55 항에 있어서, c가 변수이거나 조절가능한 값 중 한 개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8. 제 55 항에 있어서, c 가 함수와 관계식 중 한 개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59. 제 24 항에 있어서, 배압에 관한 한 개이상의 특성선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0. 제 52 항에 있어서, c가 함수 및/또는 관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1. 제 53 항에 있어서, 감지된 값이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2. 제 24 항에 있어서, 추가로 클러치특성선을 형성하기 위해 한 개이상의 기준값과 클러치토크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3. 제 62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기준값이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4. 제 63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기준값이 클러치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5. 제 24 항에 있어서, 클러치 특성선을 형성하기 위해 한 개이상의 기준값과 클러치토크를 비교하거나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이 밸브를 작동하기 위한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7. 제 24 항에 있어서, 두 개이상의 클러치 특성선들을 동일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8. 제 67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클러치 특성선을 저장된 클러치 특성선과 동일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69. 제 24 항에 있어서, 저장된 클러치특성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리 정해진 한 개이상의 시간 및 상태들에서 새로운 클러치특성선으로 다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70. 제 69 항에 있어서, 저장된 클러치특성선을 미리 정해진 한 개이상의 시간 및 상태들에서 새로운 클러치특성선으로 다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71. 제 70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경계압력이 적어도 때때로 배압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72. 제 69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경계압력이 적어도 때때로 배압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73. 제 24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압력이 미리 정해진 경계압력보다 큰 것으로 감지될 때 클러치 특성선을 결정하거나 클러치 특성선을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74. 제 73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경계값이 배압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75. 제 24 항에 있어서, 클러치 특성선을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단계는 목표 클러치 특성선 및 실제 클러치 특성선 중 한 개이상의 클러치 특성선을 적응시키고 동일화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76. 제 1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토크센서가 적어도 때때로 엔진토크를 나타내는 압력값을 발생시키고,
    클러치 특성선을 결정하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한 개이상의 토크센서-압력센서가 차량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7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한 개이상의 CV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작동방법.
KR1019990048258A 1998-11-03 1999-11-03 차량의 작동방법. KR100696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0556.6 1998-11-03
DE19850556 1998-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175A KR20000035175A (ko) 2000-06-26
KR100696742B1 true KR100696742B1 (ko) 2007-03-16

Family

ID=788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258A KR100696742B1 (ko) 1998-11-03 1999-11-03 차량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22367B1 (ko)
JP (1) JP4621953B2 (ko)
KR (1) KR100696742B1 (ko)
CN (1) CN100389994C (ko)
DE (1) DE19951946A1 (ko)
FR (1) FR2785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1946A1 (de) * 1998-11-03 2000-05-04 Luk Getriebe Systeme Gmbh Kraftfahrzeug
FR2819564B1 (fr) * 2001-01-17 2003-03-14 Renault Procede d'etablissement de la courbe d'embrayage d'un organe d'embrayage monte entre 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t une boite de vitesses d'un vehicule automobile propluse par ce moteur
DE10244393B4 (de) 2002-09-24 2013-03-28 Volkswagen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Eingriffspunkts einer hydraulisch betätigten Kupplung
DE102004002057A1 (de) * 2003-01-17 2004-07-2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rgabe der Anpresskraft zwischen zwei reibschlüssig Drehmoment übertragenden Bauteilen eines Antriebssystems
US7121390B2 (en) 2003-02-20 2006-10-1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a clutch torque
ATE354751T1 (de) 2003-12-09 2007-03-15 Gkn Driveline Int Gmbh Axialverstellvorrichtung mit drehmomentbestimmung
EP1566560B1 (de) * 2004-02-18 2007-10-2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Tastpunktadaption an zumindest einer Kupplung eines automatisierten Getriebes und Einrichtung, insbesondere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S7549941B2 (en) * 2005-09-09 2009-06-23 Eaton Corporation Vehicle differential including pump with variable-engagement clutch
DE102005053555B3 (de) * 2005-11-08 2007-08-02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Kugelrampenanordnung mit variabler Steigung der Kugelrillen
DE102006045386B4 (de) * 2006-09-26 2019-08-14 Volkswag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ierten Kupplung
EP2011708B1 (en) * 2007-07-05 2010-03-10 Magneti Marelli S.p.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mechanical servo transmis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254A (ja) * 1992-05-08 1993-11-22 Mitsubishi Motors Corp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H07217677A (ja) * 1995-02-09 1995-08-15 Mazda Motor Corp 車両の伝達トルク制御装置
KR19980024681A (ko) * 1996-09-18 1998-07-06 볼프강 바이첼 자동차 기어의 변속과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제어장치
FR2785239A1 (fr) * 1998-11-03 2000-05-05 Luk Getriebe Systeme Gmbh Procede permettant une adaptation de la course caracteristique d'accouplement d'un vehicu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54942T2 (de) * 1987-05-22 1996-11-14 Komatsu Mfg Co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überbrückungskupplung
JPH0729571B2 (ja) * 1987-08-10 1995-04-05 スズキ株式会社 連続可変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方法
DE4234294B4 (de) * 1991-10-19 2008-04-0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egelscheibenumschlingungsgetriebe
CA2085517C (en) * 1992-01-02 1999-04-13 Chia-Hsiang Liu Touch point identification for automatic clutch controller
US5267635A (en) * 1992-07-13 1993-12-07 Automotive Products Plc Clutch actuator system
DE4241995C2 (de) * 1992-12-12 1996-07-11 Daimler Benz Ag Anordnung zur Einstellung des Kupplungsschlupfes einer im Kraftfluß einem Antriebsmotor eines Kraftfahrzeuges nachgeordneten Reibungskupplung
US5890992A (en) * 1994-02-23 1999-04-06 Luk Getriebe-Systeme Gmbh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transmission of torque in power trains
US5575367A (en) * 1995-07-31 1996-11-19 Mr. Gasket, Inc. Uniform high force clutch
US5850898A (en) * 1995-09-15 1998-12-22 Fahrzeugtechnik Ebern Gmbh Method and device for the hydraulic actuation of a clutch, especially for automobiles
DE19540921A1 (de) * 1995-11-03 1997-05-07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Steuerung einer Servokupplung
JPH09303424A (ja) * 1996-05-21 1997-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車用クラッチ制御装置
DE19630014C2 (de) * 1996-07-25 1998-05-20 Daimler Benz Ag Automatisch gesteuerte Kupplung
IT1291497B1 (it) * 1997-02-04 1999-01-11 Magneti Marelli Spa Metodo e dispositivo di controllo di una frizione di un veicolo
FR2762265B1 (fr) * 1997-04-18 1999-05-14 Renault Procede d'apprentissage du fonctionnement d'un embrayage pilot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254A (ja) * 1992-05-08 1993-11-22 Mitsubishi Motors Corp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H07217677A (ja) * 1995-02-09 1995-08-15 Mazda Motor Corp 車両の伝達トルク制御装置
KR19980024681A (ko) * 1996-09-18 1998-07-06 볼프강 바이첼 자동차 기어의 변속과정을 제어하는 방법 및 제어장치
FR2785239A1 (fr) * 1998-11-03 2000-05-05 Luk Getriebe Systeme Gmbh Procede permettant une adaptation de la course caracteristique d'accouplement d'un vehicule.
CN1253087A (zh) 1998-11-03 2000-05-17 卢克驱动系统有限公司 汽车
JP2000145831A (ja) 1998-11-03 2000-05-26 Luk Getriebe Syst Gmbh 車両を作動する方法、および車両
US6422367B1 (en) 1998-11-03 2002-07-23 Luk Getriebe-Systeme Gmbh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85239B1 (fr) 2006-12-22
US6422367B1 (en) 2002-07-23
CN1253087A (zh) 2000-05-17
DE19951946A1 (de) 2000-05-04
CN100389994C (zh) 2008-05-28
KR20000035175A (ko) 2000-06-26
FR2785239A1 (fr) 2000-05-05
JP4621953B2 (ja) 2011-02-02
JP2000145831A (ja) 200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914B1 (ko) 서보클러치제어장치
KR100696742B1 (ko) 차량의 작동방법.
US6895798B2 (en) Method of calibrating a solenoid operated pressure control valv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5315340B2 (ja) 閉ループフィードバックを備えた開ループトルク制御
US4489551A (en) Failure detection system for hydraulic pump
KR100504061B1 (ko) 자동 변속기의 클러치 유압의 제어 장치와 제어 방법
KR20070098780A (ko) 선형 센서의 출력 결정 및 교정에 유용한 수학적 모델
KR102209165B1 (ko) 차량 클러치 터치 포인트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974712B2 (en)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lutch as a starter element
CN104214243A (zh) 用于确定离合器的磨损的方法
US2013022005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condition of a positively engaging shifting element of a transmission device
EP08566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clutch of a vehicle
JP2009186377A (ja) ベンチ性能試験装置
CN107202656B (zh) 检查发动机能力的系统和确定发动机的扭矩的方法
US6119072A (en) Calibration method for transmission control clutches
JP2001065683A (ja) 可変の無段階変速比を備えた伝動装置の変速比の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7002575B (zh) 用于运行内燃机的方法
JP2012062998A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
CN106438979B (zh) 用于控制自动变速器的装置及其方法
JP5258902B2 (ja) エンジン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エンジン管理システム
JP2005106131A (ja) 比例電磁制御弁の特性補正装置
JP2008029174A (ja) アクチュエータの電流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3547602B2 (ja) ソレノイドの特性補正装置
JP2012021549A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
KR100488709B1 (ko) 자동 변속기의 라인압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