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523B1 -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523B1
KR100695523B1 KR1020050001497A KR20050001497A KR100695523B1 KR 100695523 B1 KR100695523 B1 KR 100695523B1 KR 1020050001497 A KR1020050001497 A KR 1020050001497A KR 20050001497 A KR20050001497 A KR 20050001497A KR 100695523 B1 KR100695523 B1 KR 100695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control unit
miss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1088A (ko
Inventor
구남수
안영태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5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05B3/08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having electric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for high temper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입력원에 의한 다수의 데이터를 단일의 출력원으로 동시에 전송할 경우 데이터의 충돌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 데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 데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가; 각각의 MISSC1, MISSC2, MISSC3, … , MISSCn의 ID를 설정하는 ID 생성부와, ID 생성부로부터 자신의 ID를 얻어 내부에 저장하고, 동작명령이 들어오면 신호라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라인의 상태를 얻어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태이면 RS-232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와 데이터 전송을 허락 받고 데이터 전송 제어부에 입력 데이터를 데이터라인으로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MISSC 제어부, MISSC 제어부로부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받아서 호스트로 전송하고, 호스트에서 온 제어신호를 MISSC 제어부로 전송하는 RS-232 통신부, 신호라인의 상태를 MISSC 제어부에 보내주고, MISSC 제어부에서 오는 상태로 제어라인의 상태를 변경하는 신호라인 제어부 및, MISSC 제어부에서 데이터 전송 명령이 오면 입력 데이터를 데이터라인으로 전송하여 호스트로 입력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 데이터 제어장치{INPUT-OUTPUT DATA CONTROL UNIT USING MULTI-INPUT SYNCHRONIZATION SWITCH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 데이터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와 호스트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스트, 20 ---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MISSC),
21 --- MISSC1, 22 --- MISSC2,
23 --- MISSC3, 24 --- MISSCn,
30 --- 신호라인, 40 --- RS-232 제어라인,
50 --- 데이터라인, 201 --- ID 생성부,
202 --- MISSC 제어부, 203 --- RS-232 통신부,
204 --- 신호라인 제어부,
205 --- 데이터 전송 제어부.
본 발명은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MISSC: Mult-Input Synchronization Switch Controller)를 이용하여 입출력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데이터 입력원이 다중이고 출력원이 단일인 시스템인 경우, 입력원의 출력 명령은 비동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해 주지 않으면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MISSC1(21)과 MISSC2(22)가 동시에 호스트(1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MISSC1(21)의 데이터와 MISSC2(22)의 데이터가 서로 충돌하여 정상적인 데이터를 호스트(10)로 전송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MISSC(21, 22, 23, …, 24)는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호스트(10)에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다수의 입력원에 의한 다수의 데이터를 단일의 출력원으로 동시에 전송할 경우 데이터의 충돌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 데이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입력원에 의한 다수의 데이터를 단일의 출력원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 데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는; 각각의 MISSC1, MISSC2, MISSC3, … , MISSCn의 ID를 설정하는 ID 생성부와, ID 생성부로부터 자신의 ID를 얻어 내부에 저장하고, 동작명령이 들어오면 신호라인 제어부로부터 신호라인의 상태를 얻어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태이면 RS-232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와 데이터 전송을 허락 받고 데이터 전송 제어부에 입력 데이터를 데이터라인으로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MISSC 제어부, MISSC 제어부로부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받아서 호스트로 전송하고, 호스트에서 온 제어신호를 MISSC 제어부로 전송하는 RS-232 통신부, 신호라인의 상태를 MISSC 제어부에 보내주고, MISSC 제어부에서 오는 상태로 제어라인의 상태를 변경하는 신호라인 제어부 및, MISSC 제어부에서 데이터 전송 명령이 오면 입력 데이터를 데이터라인으로 전송하여 호스트로 입력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수의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입출력 데이터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MISSC1(21), MISSC2(22), MISSC3(23), … , MISSCn(24)은 신호라인(30)과 연결되어 그 신호라인(30)의 상태를 확인한 후, 각각의 입력 데이터1,2,3,…,n을 데이터라인(50)을 통해 호스트(1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호스트(10)는 RS-232 제어라인(40)을 통해 상기 각각의 MISSC1(21), MISSC2(22), MISSC3(23), … , MISSCn(24)를 제어하고, 상기 각각의 MISSC1(21), MISSC2(22), MISSC3(23), … , MISSCn(24)에 의해 데이터라인(50)을 통해 전송된 각각의 입력 데이터1,2,3,…,n을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신호라인(30)은 각각의 MISSC1(21), MISSC2(22), MISSC3(23), … , MISSCn(24)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고 있는지(즉, 호스트(1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라인이고, RS-232 제어라인(40)은 동작중인 MISSC(21, 22, 23, … , 24)와 호스트(10)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송수신을 위한 라인이며, 데이터라인은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라인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MISSC)와 호스트(10)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온(ON)에 의해 동작명령이 발생한 MISSC1(21)가 입력 데이터1을 호스트(10)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신호라인(30)의 상태가 로우(Low)가 되어야 한다. 반면, 신호라인(30)의 상태가 하이(High)이면 MISSC1(21)는 대기상태가 되고, 신호라인(30)이 로우가 될 때까지 임의의 시간동안 대기하게 된다.
한편, 신호라인(30)이 로우상태이면 MISSC(21)는 MISSC2(22), MISSC3(23), …, MISSCn(24)의 동작을 대기시키기 위해 신호라인(30)을 하이로 만든다.
다음에, 신호라인(30)은 하이신호를 각각의 MISSC1(21), MISSC2(22), MISSC3(23), … , MISSCn(24)에 전달한다.
다음에, MISSC1(21)는 자신의 ID와 동작 메시지(Req)를 RS-232 제어라인(40)을 통해 호스트(10)로 전송하고 호스트(10)의 응답을 기다린다.
호스트(10)는 상기와 같이 상기 RS-232 제어라인(40)을 통해 MISSC1(21)의 요청이 들어오면, ID를 통해 MISSC1(21)의 정보를 기록하고, 요청한 ID와 응답(Ack)을 MISSC1(21)에 전송한 후, 입력 데이터를 기다린다.
상기 MISSC1(21)은 호스트(10)로부터 응답이 오면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호스트(10)에서 입력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받았다는 완료(Done) 메시지를 기다린다.
상기 호스트(10)가 입력 데이터의 수신을 마치면, MISCC1(21)의 ID와 완료(Done)를 RS-232 제어라인(40)을 통해 전송하고, 다음 요청을 기다린다.
한편, 상기 호스트(10)로부터 완료(Done) 메시지를 받은 MISSC1(21)은 신호라인(30)에 로우를 내보내고, 다음 동작명령을 기다린다.
결국, 신호라인(30)에 로우가 전달되면, 각각의 MISSC1(21), MISSC2(22), MISSC3(23), … , MISSCn(24)에 로우가 전달되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20: MISSC)는 ID 생성부(201)와, MISSC 제어부(202), RS-232 통신부(203), 신호라인 제어부(204) 및 데이터 전송 제어부(205)로 이루어진다.
상기 ID 생성부(201)는 도 1에서 각각의 MISSC1(21), MISSC2(22), MISSC3(23), … , MISSCn(24)의 ID를 설정하는 부분이고, MISSC 제어부(202)는 전체 MISSC(20)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MISSC 제어부(202)는, ID 생성부(201)로부터 자신의 ID를 얻어 내부에 저장하고, 동작명령이 들어오면 신호라인 제어부(204)로부터 신호라인(30)의 상태를 얻어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태이면 RS-232 통신부(203)를 통해 호스트(10)와 데이터 전송을 허락 받고 데이터 전송 제어부(205)에 입력 데이터를 데이터라인(50)으로 전송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RS-232 통신부(203)는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20: MISSC)와 호스트(10)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 RS-232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MISSC 제어부(202)로부터 받아서 호스트(10)로 전송하고, 호스트(10)에서 온 제어신호를 MISSC 제어부(202)로 전송한다.
상기 신호라인 제어부(204)는 신호라인(30)의 상태를 MISSC 제어부(202)에 보내주고 MISSC 제어부(202)에서 오는 상태로 제어라인(40)의 상태를 변경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제어부(205)는 MISSC 제어부(202)에서 데이터 전송 명령이 오면 입력 데이터를 데이터라인(50)으로 전송하여 호스트(10)로 입력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입력 데이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입력원에 의한 다수의 데이터를 단일의 출력원으로 동시에 전송할 경우 데이터의 충돌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Claims (1)

  1. 다수의 입력원에 의한 다수의 데이터를 단일의 출력원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20)를 이용한 입출력 데이터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20)는;
    각각의 MISSC1(21), MISSC2(22), MISSC3(23), … , MISSCn(24)의 ID를 설정하는 ID 생성부(201)와,
    신호라인(30)의 상태를 상기 MISSC 제어부(202)에 보내주고, 상기 MISSC 제어부(202)에서 오는 상태로 제어라인(40)의 상태를 변경하는 상기 신호라인 제어부(204) 및,
    상기 MISSC 제어부(202)에서 데이터 전송 명령이 오면 입력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라인(50)으로 전송하여 상기 호스트(10)로 입력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205)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 데이터 제어장치.
KR1020050001497A 2005-01-07 2005-01-07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KR100695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497A KR100695523B1 (ko) 2005-01-07 2005-01-07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497A KR100695523B1 (ko) 2005-01-07 2005-01-07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504U Division KR200379327Y1 (ko) 2005-01-07 2005-01-07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088A KR20060081088A (ko) 2006-07-12
KR100695523B1 true KR100695523B1 (ko) 2007-03-15

Family

ID=3717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497A KR100695523B1 (ko) 2005-01-07 2005-01-07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5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44A (ko) * 2002-11-19 200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시스템의 멀티 피비에이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44A (ko) * 2002-11-19 200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시스템의 멀티 피비에이 모니터링장치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4374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088A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23142B2 (ja) デ−タ通信システム用アダプタ
JPH1034019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0695523B1 (ko)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KR200379327Y1 (ko)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JP4541241B2 (ja) 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
JP2011198046A (ja) 中継装置及び方法
JP4657802B2 (ja) 2重系制御システム
KR100525677B1 (ko) 통신제어모듈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JP6428273B2 (ja) コマンド処理システム及びコマンド処理方法
JP2006033475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4186379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周辺ユニット
JP2006085263A (ja) コンピュータ操作システム
KR101636937B1 (ko) 병렬 배치형 온수생성모듈의 제어 방법
KR100986428B1 (ko) 적외선 통신 시스템
JP3505540B2 (ja) データ転送装置
KR100406967B1 (ko) 병렬포트다중입력확장장치
JPS63288317A (ja) プリンタ
JP3217086B2 (ja) 二重化システムにおける待機系制御装置とメッセージ装置間のメッセージ交信方式
JP3239371B2 (ja) 機器接続処理方式
KR100427789B1 (ko) 데이터 입출력 방법
JPH05236557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KR0151575B1 (ko) 중앙 처리 장치간의 통신방법
JPH05151185A (ja) 従属情報処理装置
JPH01311792A (ja) 遠隔監視制御方式
JPH04289944A (ja) 通信確立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