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967B1 - 병렬포트다중입력확장장치 - Google Patents

병렬포트다중입력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967B1
KR100406967B1 KR10-1998-0054366A KR19980054366A KR100406967B1 KR 100406967 B1 KR100406967 B1 KR 100406967B1 KR 19980054366 A KR19980054366 A KR 19980054366A KR 100406967 B1 KR100406967 B1 KR 10040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output
unit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126A (ko
Inventor
편도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96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 G06F13/36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with decentralised access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4Time supervision arrangements, e.g. real time clo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4Parallel ports, e.g. centr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 Control (AREA)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장치와 함께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특정한 장치와 통신을 하고, 또 필요에 따라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네 개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50), 하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부(50)에서 해당하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출력부(70); 상기 입력부(50)의 해당하는 장치와 출력부(70)의 통신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60)의 구성은, 전환신호 생성부(61),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 비지신호 전환부(63), 데이터 전환부(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
본 발명은 하나의 병렬 포트(Parallel Port)를 이용한 다중 입력 공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병렬통신에 있어서, 하나의 병렬 포트만으로 다수의 장치와 병렬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병렬 포트는 직렬 포트(Serial Port)에 비하여 빠른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일반 개인용 컴퓨터(Personnal Computer)와 같은 경우 프린터(printer)와의 연결 등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상기 병렬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병렬 포트를 이용한 통신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기술에 의한 병렬 포트를 이용한 통신은 하나의 장치가 다른 하나의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여러 개의 장치가 각각의 병렬 포트를 통하여 특정 장치의 포트와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제1통신장치(10)에서 송신시작 신호인 스트로브(strobe) 신호를 제2통신장치(20)로 보낸다.
그러면, 상기 제2통신장치(20)에서는 수신 가능신호인 비지(busy) 신호로 응답한다.
이 때, 비지 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제1통신장치(10)는 데이터를 출력할 것인지 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출력이 가능하면 데이터를 보내고, 그렇지 않으면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스트로브 신호를 보내서 상기 제2통신장치(200)의 상태를 검사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병렬 포트를 이용한 통신은 통신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제1통신장치(10)와 제2통신장치(20) 이외의 다른 장치가 연결될 수 없어, 타 장치와 한꺼번에 연결되어 통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장치와 함께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특정한 장치와 통신을 하고, 또 필요에 따라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하는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병렬 포트를 이용한 통신을 적용한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를 적용한 블럭도,
도3은 도2에서 전환신호 생성부의 상세 블럭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하나 이상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입력수단;
하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에서 해당하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출력수단;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수단의 모든 입력부의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수단과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수단을 찾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수단의 해당하는 입력수단을 상기 출력수단과 통신하도록 연결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 상기 입력수단의 각각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 중에서 입력되는 스트로브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만 상기 출력수단과 전환신호 생성수단으로 출력하는 스트로브신호 전환수단,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수단으로 출력하는 비지신호 전환수단,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 중 해당하는 입력부의 데이터만 출력수단과 통신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의 구성은,
입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초기화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클럭발생수단;
상기 클럭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수단;
상기 지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수만큼 계수하여 그에 따른 값을 각종 전환수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계수를 중단하고 그 값을 저장하는 계수 수단으로 되어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네 개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50);
하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부(50)에서 해당하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출력부(70);
상기 입력부(50)의 해당하는 장치와 출력부(70)의 통신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부(50)의 구성은,
제1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70)와 송수신할 수 있는 제1입력부(51);
제2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70)와 송수신할 수 있는 제2입력부(52);
제3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70)와 송수신할 수 있는 제3입력부(53);
제4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70)와 송수신할 수 있는 제4입력부(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입력부(51)의 구성은, 제1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응답하여 비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7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제1입력포트(51A)와, 상기 제1입력포트(51A)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제1버퍼(buffer, 5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입력부(52)의 구성은, 제2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응답하여 비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7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제2입력포트(52A)와, 상기 제2입력포트(52A)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제2버퍼(5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입력부(53)의 구성은, 제3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응답하여 비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7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제3입력포트(53A)와, 상기 제3입력포트(53A)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제3버퍼(53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입력부(54)의 구성은, 제4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응답하여 비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부(7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제4입력포트(54A)와, 상기 제4입력포트(54B)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제4버퍼(5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부(70)의 구성은, 입력되는 스트로브 신호에 따라 그에 응답하여 비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5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출력포트(71)와, 상기 출력포트(71)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출력버퍼(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60)의 구성은,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부(50)의 모든 입력부의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부를 찾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50)의 해당하는 입력부를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도록 연결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부(61);
상기 입력부(50)의 각각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 중에서 입력되는 스트로브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만 상기 출력부(70)와 전환신호 생성부(61)로 출력하는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
상기 출력부(70)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부로 출력하는 비지신호전환부(63);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부중 해당하는 입력부의 데이터만 출력부와 통신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전환부(6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의 구성은, 입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초기화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발생기(61A)와, 상기 클럭발생기(61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기(61B)와, 상기 지연기(61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수만큼 계수하여 그에 따른 값을 각종 전환부의 제어신호로 출력하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계수를 중단하고 그 값을 저장하는 카운터(counter, 61C)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입력부(50)는 네 개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출력부(70)는 하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부(50)에서 해당하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상기 입력부(50)의 해당하는 장치와 출력부(70)의 통신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60)의 전환신호 생성부(61)는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부(50)의 모든 입력부의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부를 찾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50)의 해당하는 입력부를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도록 연결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의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는 상기 입력부(50)의 각각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 중에서 입력되는 스트로브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만 상기 출력부(70)와 전환신호 생성부(61)로 출력하고, 비지신호전환부(63)는 상기 출력부(70)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부로 출력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환부(64)는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부중 해당하는 입력부의 데이터만 출력부와 통신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상기 제어부(6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60)의 전환신호 생성부(61)는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STS)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부(50)의 모든 입력부의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부를 찾는다.
즉, 클럭발생기(61A)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초기화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발생시키고, 지연기(61B)를 통하여 상기 클럭발생기(61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며, 카운터(61C)는 상기 지연기(61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수만큼 계수하여 그에 따른 값을 각종 전환부의 제어신호로 출력하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STS)가 있을 경우에는 계수를 중단하고 그 값을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전환신호 생성부(61)가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부를 찾는 중에, 상기 입력부(50)의 제1입력부(51)에 연결된 제1의 장치가 통신을 하기 위하여 제1입력포트(51A)를 통하여 스트로브신호(ST1)를 보내오면, 상기 제1입력포트(51A)는 해당하는 스트로브신호(ST1)를 제어부(60)의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로 출력한다.
그리고,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는 현재 통신하고 있는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스트로브신호(STS)를 출력부(70)의 풀력포트(71)와 제어부(60)의 전환신호 생성부(61)로 출력하는데,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의 카운터(61C)는 계수를 중단하고, 제1입력부(51)에 해당하는 값을 통신이 끝날 때까지 계속 유지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값을 제어신호(CTL1, CTL2, CTL3)로서 출력하여, 제어부(60)의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와, 비지신호 전환부(63)와, 데이터 전환부(64)로 출력하여, 각각의 전환부(62, 63, 64)가 제1입력부(51)와 출력부(70)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한다.
즉, 상기 스트로브신호 전환부(62)는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CTL1)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입력부(50)의 각 입력부(51, 52, 53, 54)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로브신호(ST1, ST2, ST3, ST4) 중에서 제1입력부(5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스트로브신호(ST1)만 출력부(70)의 출력포드(71)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50)의 다른 입력부(52, 53, 54)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로브신호(ST2, ST3, ST4)는 출력부(70)로 전송되지 못한다.
그리고, 상기 비지신호 전환부(63)는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STL2)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출력부(7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비지신호(BSOUT)를 수신하여 상기 제1입력부(51)의 제1입력포트(51A)로 전송하며, 다른 입력부(52, 53, 54)로는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전환부(64)는 상기 전환신호 생성부(6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CTL3)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입력부(50)의 버퍼들(51B, 52B, 53B, 54B)중에서 제1버퍼(51B)만 인에이블(enable)시킴으로써, 제1입력부(51)의 데이터만 출력부(70)의 출력버퍼(72)로 전송되게 한다.
상기에서 보듯이, 제어부(60)는 상기 제1입력부(51)와 출력부(70)거 스트로브신호와 비지신호를 송수신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의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다른 입력부(52, 53, 54)의 통신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러다가, 일정한 시간동안 상기 제1입력부(51)와 출력부(70)간의 통신이 없는 경우, 즉, 상기 스트로브신호 변환부(62)로부터 전환신호 생성부(70)의 카운터(61c)로 인가되던 스트로브신호가 일정시간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60)는 통신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부(70)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부를 찾는 동작을 계속한다.
그러던 중 또, 어느 입력부에서 스트로브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60)는 해당하는 입력부와 출력부(70)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출력부(70)에 연결되어 있는 어느 장치에 대하여 입력부(50)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장치들이 필요에 따라 별다른 조정이나 설치의 변경 등을 할 필요 없이 통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하나의 병렬 포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장치와 함께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특정한 장치와 통신을 하고, 또 필요에 따라 다른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제어 보드를 감시하기 위한 신호 방식에 적용될 경우, 고속 통신의 장점으로 인하여, 직렬 통신보다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와 프린터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여러 대의 개인용 컴퓨터를 하나의 프린터에 접속하여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나 이상의 장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입력수단;
    하나의 병렬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에서 해당하는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출력수단;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수단의 모든 입력부의 스트로브신호를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상기 출력수단과 통신하기를 원하는 입력수단을 찾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력수단의 해당하는 입력수단을 상기 출력수단과 통신하도록 연결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환신호 생성수단, 상기 입력수단의 각각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 중에서 입력되는 스트로브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만 상기 출력수단과 전환신호 생성수단으로 출력하는 스트로브신호 전환수단,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지선택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입력수단으로 출력하는 비지신호 전환수단,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수단 중 해당하는 입력부의 데이터만 출력수단과 통신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전환수단을 포함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신호 생성수단의 구성은,
    입력되는 리셋신호에 따라 초기화되어 일정한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발생수단;
    상기 클럭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수단;
    상기 지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수만큼 계수하여 그에 따른 값을 각종 전환수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스트로브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계수를 중단하고 그 값을 저장하는 계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포트 다중입력 확장장치.
KR10-1998-0054366A 1998-12-11 1998-12-11 병렬포트다중입력확장장치 KR100406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66A KR100406967B1 (ko) 1998-12-11 1998-12-11 병렬포트다중입력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66A KR100406967B1 (ko) 1998-12-11 1998-12-11 병렬포트다중입력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126A KR20000039126A (ko) 2000-07-05
KR100406967B1 true KR100406967B1 (ko) 2004-03-26

Family

ID=1956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366A KR100406967B1 (ko) 1998-12-11 1998-12-11 병렬포트다중입력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890A (ko) * 2003-04-30 2004-11-09 이태희 포트 확장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759A (ko) * 1992-12-30 1994-07-21 김주용 직/병렬 데이타 입력 동시 처리방법
US5619722A (en) * 1994-01-18 1997-04-08 Teramar Group, Inc. Addressable communication port expander
KR970016919A (ko) * 1995-09-20 1997-04-28 김광호 공유기 내장형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970066831A (ko) * 1996-03-07 1997-10-13 유원석 전화선을 이용한 프린터 공유기 안정화 회로
KR970055756U (ko) * 1997-07-15 1997-10-13 홍순근 양방향 프린터 공유기
JPH09305520A (ja) * 1996-05-15 1997-11-28 Pfu Ltd 周辺装置の装置状態確定方法
KR19980027723U (ko) * 1996-11-19 1998-08-05 김영환 피시(pc) 병렬 포트용 다중화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759A (ko) * 1992-12-30 1994-07-21 김주용 직/병렬 데이타 입력 동시 처리방법
US5619722A (en) * 1994-01-18 1997-04-08 Teramar Group, Inc. Addressable communication port expander
KR970016919A (ko) * 1995-09-20 1997-04-28 김광호 공유기 내장형 프린터 및 그 제어방법
KR970066831A (ko) * 1996-03-07 1997-10-13 유원석 전화선을 이용한 프린터 공유기 안정화 회로
JPH09305520A (ja) * 1996-05-15 1997-11-28 Pfu Ltd 周辺装置の装置状態確定方法
KR19980027723U (ko) * 1996-11-19 1998-08-05 김영환 피시(pc) 병렬 포트용 다중화기
KR970055756U (ko) * 1997-07-15 1997-10-13 홍순근 양방향 프린터 공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126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967B1 (ko) 병렬포트다중입력확장장치
US20040044822A1 (en) Computer I/O switching means based on network links
US7032061B2 (en) Multimaster bus system
JPS6040749B2 (ja) シリアル伝送装置
US20050216619A1 (en) Programmable peripheral switch
US6516419B1 (en) Network synchronization method and non-break clock switching method in extended bus connection system
JP2003177859A (ja) 操作キー入力制御装置
KR100681371B1 (ko) 듀얼 클럭 시스템의 포스트 라이트 버퍼, 컴퓨터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0145451B1 (ko) 아비터를 이용한 다중노드 공통 버스 송신 정합 장치
KR100226680B1 (ko)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
JPH0916517A (ja) バスインタフェース
KR100970615B1 (ko) 동기 입출력 포트 확장 장치
KR200379327Y1 (ko)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JP2000295114A (ja) データ転送回路
JPS61270952A (ja) デ−タ伝送方式
JP2634340B2 (ja) 制御回路
JP2000132506A (ja) 通信装置
KR100695523B1 (ko) 다중-입력 동기화 스위치 콘트롤러를 이용한 입출력데이터 제어장치
JP3329300B2 (ja) マルチポート双方向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プリンタ装置
JPS62139A (ja) 信号多重伝送システム
JP3239371B2 (ja) 機器接続処理方式
US20020131439A1 (en) Data transmission circuit and method
JP2002108407A (ja) 制御装置
JPH08191319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10177547A (ja) シリアルデータ通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