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808B1 - 경사조절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경사조절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808B1
KR100693808B1 KR1020060072856A KR20060072856A KR100693808B1 KR 100693808 B1 KR100693808 B1 KR 100693808B1 KR 1020060072856 A KR1020060072856 A KR 1020060072856A KR 20060072856 A KR20060072856 A KR 20060072856A KR 100693808 B1 KR100693808 B1 KR 100693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urved rail
curved
substrat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한건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건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건정공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61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rack and pinio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구간과 경사구간을 반복해서 운행하는 승강기의 자세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기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힌지부를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형 곡선레일을 상기 승강기의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곡선레일과 치합된 구동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이 상기 곡선레일로 바로 전달되어 상기 승강기의 수평자세가 조절되므로 동력전달계통을 짧고 단순화시켜 제작이 쉽고 안전성이 향상되는 경사조절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경사구간 지주 및 수직구간 지주에 롤러로 지지되면서 이들 지주들과 나란하게 승강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단에 힌지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상기 승강기의 상단에 고정 형성되는 곡선레일; 그리고 상기 승강기가 상기 경사 및 수직구간의 경계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곡선레일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승강기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상기 기판 상단의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곡선레일과 치합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곡선레일, 레일롤러, 웜기어, 웜휠

Description

경사조절 리프트장치{Inclination control Lif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경사조절 리프트장치의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장치의 곡선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장치의 경사구간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장치의 수직구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리프트 경사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곡선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경사구간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수직구간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리프트 경사조절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곡선레일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경사구간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수직구간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경사구간 지주 11 : 수직구간 지주
20 : 기판 21 : 롤러
30 : 승강기 31 : 힌지부
40 : 곡선레일 41 : 웜휠
42 : 곡선레일부 43 : 레일롤러
50 : 구동수단 51 : 브래킷
52 : 감속모터 53 : 구동축
54 : 베어링부 55 : 웜기어
401 : 래크 401a : 래크형 기어
402 : 곡면부 501,501a : 피니언
본 발명은 수직구간 및 경사구간을 운행하는 승강기가 항상 수평이 유지되어 승객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한 경사조절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를 받쳐주는 힌지부를 중심점으로 하는 곡선레일을 승강기의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곡선레일과 치합되어 승강기를 경사조절시키는 구동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경사조절시 승강기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 경사조절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는 건설현장 또는 산업현장에서 인력 및 장비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 수직 지주에 승강기가 롤러로 결합되어 승강되는 구성이다.
상기 지주는 수직 구간뿐만 아니라 경사구간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서해대교같은 사장교의 주탑 내부 점검용 리프트도 있으며, 경사구간에서도 상기 승강기는 수평을 유지해야 인력 및 장비의 전복을 막을 수 있다.
종래에는 경사구간에서 수직구간으로 변경되는 동안 승강기가 수평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체인, 전자클러치 및 로터리 엔코더를 사용하였다. 상기 승강기는 경사구간 지주 또는 수직구간 지주의 래크와 치합된 구동 피니언이 구동수단으로 정역회전되면서 승강되는 구조로써, 상기 래크와 치합된 회전수 감지용 종동 피니언이 상기 로터리 엔코더 및 전자클러치와 연결되었다.
따라서 상기 회전수 감지용 종동 피니언의 정해진 회전수가 상기 로터리 엔코더로 감지되면 상기 전자클러치가 작동되어 상기 종동 피니언의 회전력으로 상기 체인이 회전되고, 상기 체인과 리드스크류 및 볼조인트로 연결된 상기 승강기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수평자세가 유지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동 피니언의 정해진 회전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승강기로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전자클러치가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종동 피니언의 축 회전력이 체인을 통하여 리드스크류로 전달되면 상기 리드스크류와 치합된 너트가 왕복이동되고 이때 상기 너트와 볼조인트를 통하여 상기 승강기가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면서 수평자세를 유지하는 구성이므로 동력전달 계통이 복잡하고, 상기 종동 피니언의 축 회전수를 감지하는 로터리 엔코더 및 이를 제어하는 회로부를 더 구비해야되므로 시설비가 많이 들어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류와 치합된 너트가 볼조인트를 통하여 상기 승강기와 연결된 구성이므로 약한 바람에도 상기 승강기가 흔들려 승차감이 떨어지고 승객이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구간과 경사구간을 반복해서 운행하는 승강기의 자세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기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힌지부를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형 곡선레일을 상기 승강기의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곡선레일과 치합된 구동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이 상기 곡선레일로 바로 전달되어 상기 승강기의 수평자세가 조절되므로 동력전달계통이 짧고 단순화되므로 제작이 쉽고 안전성이 향상되는 경사조절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승강기가 상기 곡선레일을 통하여 수평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곡선레일과 맞물리는 레일롤러를 기판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기의 흔들림이 잡히도록 하여 탑승객의 불안감이 해소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구동수단의 치합이 풀리지 않도록 한 경사조절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곡선레일에 형성되는 기어부를 판형으로 제작한 뒤 이를 절곡하여 곡선형으로 변형하고 상기 곡선레일에 조립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기어부를 처음부터 곡선형으로 가공하는데 따르는 어려움 및 제작비용 증가를 줄일 수 있는 경사조절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사구간 지주 및 수직구간 지주에 롤러로 지지되면서 이들 지주들과 나란하게 승강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단에 힌지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기;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상기 승강기의 상단에 고정 형성되는 곡선레일; 그리고 상기 승강기가 상기 경사 및 수직구간의 경계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곡선레일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승강기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상기 기판 상단의 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레일과 치합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경사조절 리프트장치의 계략도 로써, 경사구간 지주(10) 및 수직구간 지주(11)가 구비되고, 상기 지주(10)(11)들과 상,하측의 롤러(21)로 결합되어 상기 지주들과 나란하게 승강되는 기판(20)이 구비된다. 상기 기판(20)의 상측에는 상기 지주(10)(11)들과 근접되게 나란한 래크(12)에 치합되는 피니언(23)을 갖는 승강모터(22)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모터(22)의 전동력으로 상기 기판(20)이 승강되며, 가버너(24)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기판(20)의 추락시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20)의 전면에는 하단의 힌지부(31)로 연결되어 항상 수평자세가 유지되도록 회동되는 승강기(30)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20)의 상측에는 상기 승강기(30) 상단의 곡선레일(40)과 치합되는 구동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구간 및 수직구간의 경계부에는 서로 떨어진 상,하측의 리미트스위치(57)가 마련되어 상기 기판(20)이 승강되는 동안 상기 기판(20)에 돌출된 돌기(56)에 의해 ON/OFF되면서 상기 구동수단(50)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 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리미트스위치 방식으로 상기 구동수단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 어하는 것이나, 이것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래크(12)와 치합되는 피니언(23)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홀센서 또는 상기 래크와 치합되는 별도의 피니언을 마련한 뒤 이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홀센서를 마련하고, 상기 홀센서들의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에 도달되면 상기 구동수단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제어되도록 하는 방식도 채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장치의 곡선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장치의 경사구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곡선레일(40)은 상기 힌지부(31)를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가 되도록 상기 승강기(30)의 상면에 고정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곡선레일(40)의 상면에는 웜휠(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선레일(40)의 하단에는 T자형 곡선레일부(42)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기판(20)의 전면에서 상기 승강기(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51)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브래킷(51)의 저면에 양단이 베어링부(54)로 지지되는 구동축(53), 상기 구동축(53)의 한쪽에 결합되는 감속모터(52) 및 상기 구동축(53)의 중간에 형성되어 상기 웜휠(41)에 치합되는 웜기어(5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51)의 저면 사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롤러축(44) 매달려 상기 곡선레일부(42)에 구름접촉되는 레일롤러(43)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롤러(43)는 상기 승강기(30)의 흔들림을 잡아주고 상기 웜기어(55) 및 웜휠(41)의 치합이 외부의 강한 충격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이중 역할을 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장치는 경사구간 및 수직구간을 반복 운행하는 승강기의 수평자세를 상기 곡선레일(40) 및 상기 구동수단(50)으로 유지시킴으로 동력전달계통이 짧고 별도의 볼조인트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승강기(30)가 흔들릴 우려가 없으며, 상기 곡선레일부(42) 및 상기 레일롤러(43)로 인하여 상기 승강기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다.
도 3은 상기 승강기(30)가 경사구간을 이동할 때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기판(20)은 상기 경사구간 지주(10)와 나란한 형태이고, 상기 승강기(30)는 상기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기판(20)과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수평자세를 유지하는 상태이다.
이런 상태에서 승강모터(22)가 작동되면 상기 피니언(23)의 구동으로 상기 기판(20)이 래크(12)를 타고 상승되며 이때 상기 기판(20)은 상기 경사구간 지주(10)들과 구름접촉되는 롤러(21)에 의해 그 자세가 흔들리지 않고 상승된다. 상기 기판(20)이 상승되어 이의 돌기(56)가 하단의 리미트스위치(57)를 건드리면 상기 구동수단(50)의 감속모터(52)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구동축(53)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웜기어(55)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와 치합된 상기 웜휠(41)을 통하여 상기 곡선레일(40)이 상기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승강기(30)가 상기 기판(20) 쪽으로 당겨진다.
상기 기판(20)의 돌기(56)가 상기 상측의 리미트스위치(57)를 건드리면 상기 구동수단(5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서 상기 곡선레일(40) 및 상기 승강기(30)의 회동이 정지되고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기(30)는 상기 기판(20)과 나란한 상태가 되며 상기 기판(20)은 상기 수직구간 지주(11)로 접어들어 결과 적으로 상기 승강기(30), 기판(20) 및 수직구간 지주(11)가 나란한 상태로 된다.
상기 곡선레일(40)이 상기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승강기(30)를 회동시키는 동안 상기 기판(20)으로 지탱되는 상기 브래킷(51) 하단의 상기 레일롤러(43)들이 상기 곡선레일부(42)에 구름접촉되고 있으므로 상기 곡선레일(40) 및 상기 승강기(30)는 흔들림 없이 정숙하게 회동되어 상기 기판(20)과 나란하게 된다.
상기 상,하단의 리미트스위치(57)들은 상기 구동수단(50)의 감속모터(52)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경사구간 및 수직구간의 경계부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기(30)가 이들 구간을 통과하는 동안 그 자세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상기 리미트스위치 대신 근접센서 또는 상기 승강모터(22)로 회전되는 피니언(23)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회전수에 따라 상기 감속모터(52)를 제어할 수 도 있다.
도 4는 상기 승강기(30)가 수직구간을 이동할 때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기판(20) 및 상기 승강기(30)는 상기 수직구간 지주(11)와 나란한 형태이다. 상기 구동수단(50)의 웜기어(55)는 상기 곡선레일(40)의 웜휠(41)과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모터(52)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한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웜기어(55)와 치합된 상기 웜휠(41)은 기어 이빨이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웜기어(55)가 정지되면 상기 웜휠(41) 역시 정지상태이므로 상기 곡선레일(40)이 고정 설치된 상기 승강기(30) 역시 회동되지 않고 수평자세를 유지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30)가 하강되어 도 3과 같이 경사구간으로 내려갈 때는 상승될 때의 역순으로 상기 상단의 리미트스위치(57)가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수단(50)의 감속모터(52)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곡선레일(40)이 상기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승강기(30)가 수평자세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리프트 경사조절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곡선레일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경사구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 역시 상기 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곡선레일 및 구동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승강기(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곡선레일(40)이 구비되고, 상기 곡선레일(40)의 상단면은 상기 승강기를 받쳐주는 하단의 힌지부(31)를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 구간에 해당되는 곡면부(40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면부(402)에 면접되는 곡면부를 갖는 래크(401)가 구비된다. 상기 래크(401)는 도 6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평탄도를 갖는 래크를 기계적으로 절곡하거나 또는 열처리하여 굽힘으로써 상기 곡면부(402)와 접하는 곡면으로 처리한 것이다.
상기 래크(401)는 처음부터 곡면으로 가공하는 것 보다 평판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쉬우며 가공비도 많이 들어가지 않는다. 이처럼 판상으로 제작된 래크를 절곡하여 곡면으로 처리할 경우 상기 래크(401)의 기어 이빨들의 끝단이 곡면상에 배치되는 것은 당연하므로 처음부터 곡면으로 형성된 판재에 기어 이빨들을 가공하는 것과 유사한 치형을 가지면서 제작은 쉽게 된다.
상기 승강기(30)는 그 형태상 상기 힌지부(31)를 중심점으로 하는 상기 곡면부(402)의 반경이 약 2,500mm 정도이므로 거의 직선에 가깝다. 따라서 상기 래크(401) 역시 직선에 가까운 곡면을 가지므로 이를 기계적으로 휨변형 시키더라도 기어 이빨들의 배열이 상기 힌지부(31)를 향해 경사지게 되므로, 처음부터 곡면으로 처리된 판재에 기어 이빨들을 가공할 때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곡면으로 처리된 래크(401)를 상기 곡선레일(40)의 곡면부(402)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시켜 상기 래크(401)의 기어이빨 들이 상기 승강기(30)의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한 원호상에 놓이도록 해준다.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기판(2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승강기(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51)이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51)의 상측에는 수직으로 감속모터(52)가 구비된다. 상기 감속모터(52)의 모터축은 상기 브래킷(51)을 관통하여 상기 래크(401) 쪽으로 향하고 상기 모터축에는 상기 래크(401)에 치합되는 피니어(501)이 구비된다. 상기 감속모터(52)는 전자식 브래이크장치가 내장된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 감속모터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모터축 및 피니어(501)이 제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51)의 내측면에는 상기 곡선레일(40)의 측면에 구름접촉하면서 상기 래크(401) 및 피니언(501)의 치합관계를 유지시키는 레일롤러(43)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기(30)의 흔들림을 잡아준다. 따라서 상기 승강기(30)가 도 1에서와 같이 수직구간 지주(11) 및 경사구간 지주(10)의 경계를 이동하는 동안 리미 트스위치(57)가 작동되거나 또는 별도의 로터리 엔코더의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감속모터(52)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상기 피니언(401)이 회전되고 이와 치합된 래크(501) 및 곡선레일(40)을 통하여 상기 승강기(30)가 회동되고 그 수평 자세가 유지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승강기의 힌지부(31)를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상에 상기 래크(401)의 기어 이빨들이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래크(401)를 절곡한 특징으로 갖는다. 상기 래크(401)를 평판상으로 제작한 뒤 롤러 사이에 통과시켜 절곡하거나 또는 가열시켜 굽혀주는 방식으로 곡면으로 처리하여 상기 래크(401)의 기어 이빨들이 곡면상에 놓이게 한 것이다. 이처럼 할 경우 기어 이빨들을 처음부터 곡면으로 가공할 때보다 쉽게 상기 래크(401)를 제작할 수 있으며 그만큼 제작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피니언(501)은 기어 이빨 들이 축방향으로 나란한 일반적인 피니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래크(401)의 곡면상에 놓인 기어 이빨들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백래쉬를 설정하면 된다. 또는 상기 피니언(501)을 제작할 때 상기 힌지부(31) 쪽으로 약 1도 내외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하여 상기 힌지부(31) 쪽으로 경사진 상기 래크(401)의 기어 이빨들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승강기(30)가 경사구간에서 수직구간으로 바뀌는 동안 상기 감속모터(52)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피니어(501)의 회전으로 상기 래크(401)가 이동된다. 상기 래크(401)는 상기 승강기(30)의 힌지부(31)를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상에 놓여 있으므로 상기 래크(401)는 원호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승강기(30)는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도 8에서와 같이 수직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감속모터(52)는 전자식 브레이크장치가 내장된 타입이므로 동력이 공급되지 않아도 상기 모터축 및 피니어(501)이 구속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피니어(501)과 치합된 래크(401) 및 승강기(30) 상기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수직구간 지주(11) 또는 경사구간 지주(1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51)은 상기 곡선레일(40) 및 래크(401)를 덮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이물질이 상기 래크(401)의 기어 이빨들 사이에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하며, 상기 브래킷(51)에 형성된 레일롤러(43)에 의해 상기 래크(401) 및 피니어(501)의 치합이 유지되면서 상기 승강기(3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도 9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리프트 경사조절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곡선레일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경사구간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 역시 상기 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곡선레일 및 구동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승강기(30)의 상면에 구비되는 곡선레일(40)의 측면으로 래크형 기어(401a)가 구비된다.
상기 래크형 기어(401a)는 기어 이빨들이 상기 승강기(30) 하단의 힌지부(31)를 중심점으로 경사져 구성되며 이러한 기어는 일반적인 기어의 형태가 아니므로 특수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주문 제작해야되며 가공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 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비하여 기어 이빨을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승강기의 동작 성능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래크형 기어(401a)와 치합되는 피니언(501a) 역시 상기 힌지부(31)를 중심점으로 테이퍼형의 기어 이빨로 제작해야 되는 것은 당연하며, 상기 피니언(501a)은 전자식 브레이크장치가 내장된 감속모터(52)와 연결되고, 상기 감속모터(52)는 상기 기판(20)에 브래킷(51)으로 고정된다. 상기 테이퍼 형태의 이빨들을 갖는 래크형 기어(401a) 및 피니언(501a)은 상기 힌지부(31)를 중심점으로 하여 맞물리기 때문에 백래쉬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정역회전시 흔들림이 감소되어 상기 승강기(30)를 정숙하게 이동시켜 수평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그 동작관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구간 및 수직구간을 반복 운행하는 승강기의 상부에 상기 승강기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곡선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곡선레일과 치합되는 구동수단을 기판에 마련함으로써, 동력전달계통을 단순화시켜 구성이 간단하고, 특히 구동수단의 웜기어와 곡선레일의 웜휠이 서로 교차되면서 치합되므로 상기 웜기어가 정지되면 상기 웜휠이 상기 웜기어에 맞물려 걸린 상태로 상기 승강기가 수평자세로 정지되므로 상기 승강기를 잡아주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상기 곡선레일에는 상기 승강기의 회동시 흔들림을 잡아주는 곡선레일부 및 레일롤러가 구비되어 탑승객의 승차감을 좋게 해주고, 상기 구동수단의 웜기어 및 웜휠의 치합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안전장치의 역할도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선레일에 결합되는 래크를 평판상으로 제작한 뒤 이를 절곡하여 기어 이빨들의 끝단이 상기 승강기의 힌지부를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상에 놓이도록 해주고, 상기 래크와 치합되는 피니언을 상기 구동수단의 감속모터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기의 수평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크를 평판상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가공비가 많이 들어가지 않고 쉽게 제작이 가능하므로 부품 교체 및 수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의 힌지부를 중심점으로 기어 이빨들이 경사지도록 래크형 기어를 제작하고 상기 기어 이빨들과 치합되는 피니언을 제작할 경우 기어들의 치합 정밀도가 높아지고 백래쉬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승강기의 수평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회동시킬 때 동작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경사구간 지주 및 수직구간 지주에 롤러로 지지되면서 이들 지주들과 나란하게 승강되는 기판 그리고 상기 기판에 하단의 힌지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경사 및 수직구간에서 수평이 유지되는 승강기를 갖는 경사조절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상단에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반경으로 웜휠이 형성된 곡선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기판의 브래킷 저면에는 감속모터로 회전되는 구동축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의 중앙에는 상기 웜휠과 치합되어 상기 승강기를 회동시키는 웜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곡선레일의 하단에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반경으로 곡선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브래킷 저면에는 상기 곡선레일부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승강기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레일롤러가 다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 리프트장치.
  4. 경사구간 지주 및 수직구간 지주에 롤러로 지지되면서 이들 지주들과 나란하게 승강되는 기판 그리고 상기 기판에 하단의 힌지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경사 및 수직구간에서 수평이 유지되는 승강기를 갖는 경사조절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상단에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반경으로 곡면부가 형성된 곡선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곡선레일의 곡면부에 면접 고정되도록 기어 이빨들이 형성된 평판을 절곡하여 상기 기어 이빨들이 상기 힌지부 쪽으로 향하게 한 래크가 구비되며,
    상기 기판의 브래킷 저면에는 전자식 브레이크가 내장된 감속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감속모터로 회동되는 피니언이 상기 래크와 치합되어 상기 승강기를 회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조절 리프트장치.
  5. 삭제
KR1020060072856A 2006-03-28 2006-08-02 경사조절 리프트장치 KR100693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7702 2006-03-28
KR1020060027702 2006-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808B1 true KR100693808B1 (ko) 2007-03-12

Family

ID=3810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856A KR100693808B1 (ko) 2006-03-28 2006-08-02 경사조절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8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45B1 (ko) 2009-12-18 2010-07-26 (주)챔피온코리아 수평 유지 리프트 장치
KR101036906B1 (ko) 2010-11-22 2011-05-25 주식회사 리프텍 리프트 케이지의 경사 및 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124671B1 (ko) * 2009-07-16 2012-03-19 김윤호 건축용 리프트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609A (ja) 1981-09-09 1983-03-14 Toshiba Corp 弾性表面波装置
JPS59167474A (ja) * 1983-03-15 1984-09-20 日立造船株式会社 エレベ−タ
JP2002193567A (ja) 2000-12-28 2002-07-10 Ishikawajima Plant Construction Co Ltd 橋梁の橋塔用エレベータ
KR200294519Y1 (ko) 2002-08-17 2002-11-08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경사 안내부 및 경사형 엘리베이터시스템
KR20020094519A (ko) * 2001-06-12 2002-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판의 이송장치
JP2005213009A (ja) 2004-01-30 2005-08-11 Sugiyasu Corp 階段昇降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609A (ja) 1981-09-09 1983-03-14 Toshiba Corp 弾性表面波装置
JPS59167474A (ja) * 1983-03-15 1984-09-20 日立造船株式会社 エレベ−タ
JP2002193567A (ja) 2000-12-28 2002-07-10 Ishikawajima Plant Construction Co Ltd 橋梁の橋塔用エレベータ
KR20020094519A (ko) * 2001-06-12 2002-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판의 이송장치
KR200294519Y1 (ko) 2002-08-17 2002-11-08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경사 안내부 및 경사형 엘리베이터시스템
JP2005213009A (ja) 2004-01-30 2005-08-11 Sugiyasu Corp 階段昇降機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945190000 *
59167474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671B1 (ko) * 2009-07-16 2012-03-19 김윤호 건축용 리프트 장치
KR100972345B1 (ko) 2009-12-18 2010-07-26 (주)챔피온코리아 수평 유지 리프트 장치
KR101036906B1 (ko) 2010-11-22 2011-05-25 주식회사 리프텍 리프트 케이지의 경사 및 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0718B1 (en) Incline lift unit and incline lift
JP6131975B2 (ja) 搬送機構
KR100693808B1 (ko) 경사조절 리프트장치
CN108454723A (zh) 一种缆索攀爬机器人
JP2006519726A (ja) 物体の走行機構
CN110182523A (zh) 一种链式板材缓存架
JP2013165746A (ja) 昇降テーブル
WO2005035420A2 (es) Mejoras para elevador de pasajeros o carga con base al uso de cadenas, contrapesos y servomotores
KR100778245B1 (ko) 리프트 발판 경사조절장치
KR101075827B1 (ko) 요동방지 멀티무대장치
JP4071521B2 (ja) リフト装置
KR20130005056U (ko) 원통형 구조물의 용접용 롤링 장치
KR101034025B1 (ko) 금속부재 절곡장치
CN111395200B (zh) 一种利用齿轮传动的桥梁顶推组件
CN107007073A (zh) 一种带自锁保护的电动升降婴儿床
CN109680919A (zh) 可自由变轨式滑梯
KR100675662B1 (ko) 엘리베이터
JPS62133129A (ja) 紡機のリフテイング装置
JPH0745572Y2 (ja) 紡機のリングレール昇降制御装置
KR100657885B1 (ko) 랙기어 구동요람의 제어장치
KR200227998Y1 (ko) 곤도라의 와이어 로프 보상장치
CN213679592U (zh) 一种升降平台
CN102221247A (zh) 空气处理装置及其高度位置检测方法
JP4860780B2 (ja) 昇降装置
KR20090007650U (ko) 굴곡형 리프트의 수평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