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603B1 -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603B1
KR100692603B1 KR1020000031794A KR20000031794A KR100692603B1 KR 100692603 B1 KR100692603 B1 KR 100692603B1 KR 1020000031794 A KR1020000031794 A KR 1020000031794A KR 20000031794 A KR20000031794 A KR 20000031794A KR 100692603 B1 KR100692603 B1 KR 10069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water
polymer
formula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234A (ko
Inventor
백인섭
이종기
김홍선
장석우
박근서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0003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603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08Polymeric surface-active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68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에어컨 냉각핀과 같이 조밀한 그릴과 같은 틈새로 인해 세정이 곤란하고 번거로운 금속 표면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효과가 우수하고 재오염의 방지를 통해 부수적인 수작업을 통한 세척을 하지 않아도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머와 유화 안정제 및 용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0의 저분자량을 가지며 분자내에 -COO_, -SO3 _, -PO3 _ 등의 음전하를 띠는 작용기를 반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음이온성 폴리머인 것에 의한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The aqueous aerosol cleaner composition}
본 발명은 금속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에어콘디셔너의 냉각핀 등과 같이 비교적 내화학성이 작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복잡한 구조를 갖는 금속의 표면에 형성된 먼지, 기름때, 곰팡이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에어콘디셔너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에서 저온의 건조한 공기로 변화되어 공급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열교환시스템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열교환기의 저온의 냉각핀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이루어게 되는데, 이때 냉각핀은 고온의 다습한 공기를 저온의 건조한 공기로 빠른 시간내에 변화 시켜야 하므로 그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접촉면적의 최대화를 위해 대단히 복잡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비교적 얇게 설계되어 있다.
또, 상기 냉각핀에 사용하는 재질은 열전달의 효과가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야 하는데, 대체적으로 열전달의 효과가 좋은 금속에는 희귀금속이 있으나, 상기 희귀금속의 경우 고가이므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비교적 내식성이 떨어지는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열교환시스템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열교환기의 저온의 냉각핀과 접촉함으로서 저온의 건조한 공기로 변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과정에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냉각핀에서 응축되어 응축수를 형성하고, 상기 응축수는 냉각핀의 표면을 타고 하부의 응축수 저장부 및 배출경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의 응축과정에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각종의 유기물질, 곰팡이, 세균 등도 응축수에 흡착된 상태로 함께 응축되게 되는데, 이때 수분과 함께 응축된 먼지 등의 오염물은 열교환체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응축수와 함께 배출이 되지 못하고 냉각핀의 틈새에 잔류하게 되며, 상기 오염물은 에어컨디셔너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누적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 결과 열교환체에 잔류되어 누적된 오염물질은 열교환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내에 존재하는 곰팡이나 박테리아 등과 같은 세균이 열교환체 내의 습도와 온도조건에 의해 점차 번식하게 되고, 이 번식된 세균들은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실내로 배출됨에 따라 알레르기나 기관지 천식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왔다.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에어컨디셔너 등과 같은 열교환체는 사용도중이나 사용초기에 세정제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과정을 거쳐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사용하여 왔다.
상기 세정작업을 위하여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정제는 강알칼리성 용제를 주로 사용하여 왔는데, 특히 세정제의 세정력 증가를 목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며 또한 이와 관련한 많은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일본 특공소 63-21754호에는 알칼리와 규산염을 포함하는 세정제가 공지되어 있으며, 일본 특개평 8-157899호에는 가성소다, 가성칼륨, 인산염, 규산염 등의 알칼리제를 포함하는 알칼리성 조성물에 셀룰로스 에스테르 등과 같은 증점제를 사용하여 점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오염된 표면에서 오염성분과의 접촉시간을 늘려 세정력을 향상시키고자 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세정제들은 유성 또는 유기물 오염에 우수한 세정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세정대상물이 부식에 대해 노출되어 있거나 민감한 금속 표면인 경우에는 사용 즉시 세정제 잔유물을 깨끗하게 씻어내는 2차 작업이 필요하다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무수히 많은 요철이 형성된 냉각핀과 같은 금속표면에서 점도를 상승시킨 세정액은 오염물질을 녹인 후에 그 흐름성이 불량하므로 재오염의 가능성이 있고, 또한 분사에 의한 물리적 특성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들은 일반적으로 강알칼리성을 나타내고 있어 세정작업과정이나 세정작업 후 그 세정용제를 완전하게 씻어내지 않은 경우 알칼리성 용제가 호흡을 통해 체내에 흡입됨으로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개평 10-140196호에서는 pH10 내지 pH11 범위의 알칼리성 조성물로 세정력이 뛰어나고 알칼리성이면서도 알루미늄 핀에 대한 부식성을 줄이기 위해 카르복시에틸티오호박산을 사용한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부식 방지제를 사용한 세정제의 경우에도 완전하게 부식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여전히 알칼리제의 사용으로 인한 사용중 인체 흡입 등에 의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개평 11-92795호에서는 이러한 알칼리 세제의 제품 부식성과 인체 위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금속표면 세정제로서 중성 세정액에 관한 기술을 공지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거품형성이 거의 없고 점성이 없으며 특히 중성범위의 pH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어 인체에 대한 안정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편리성을 개선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조성물은 거품형성을 적게하고 추가적인 2차 세척작업을 하지 않기 위해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세정력에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심한 오염의 경우는 세정액의 표면흡착 및 침투가 용이하지 않아 세정액이 단순히 흘러내려가 버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추가적인 손작업에 의한 세척작업을 가해 주지 않음으로 인해 오염 행굼 배수 과정에서 경수 이온의 불용성 무기염의 형성과 금속 표면에서의 부착으로 인해 변색과 건조 얼룩, 즉 재오염 스케일을 형성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에어컨 냉각핀과 같이 조밀한 그릴과 같은 틈새로 인해 세정이 곤란하고 번거로운 금속 표면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효과가 우수하고 재오염의 방지를 통해 부수적인 수작업을 통한 세척을 하지 않아도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머와 유화 안정제 및 용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0의 저분자량을 가지며 분자내에 -COO_, -SO3 _, -PO3 _ 등의 음전하를 띠는 작용기를 반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음이온성 폴리머인 것에 의한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머는 분자내에 -COO_, -SO3 _, -PO3 _ 등의 음전하를 띠는 작용기를 반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음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음이온성 폴리머는 수용액 중에서 칼슘이온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2가 금속이온을 봉쇄하게 되어 입자성 오염원을 분산시켜 세정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0인 저분자량을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한데, 이때 분자량이 2,000 미만일 경우 분자량이 너무 낮아 고 분자로서의 금속이온 봉쇄효과와 오염 분산효과를 얻을 수 없고, 분자량이 50,000을 초과할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에어로졸의 분사성이 열악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아크릴계, 메타아크릴계, 무수말레인산계의 중합체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며, 특히 분자내에 카르복시기를 가지는 폴리머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시기를 가지는 폴리머중에서도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0 사이의 저분자량을 가지면서 하기한 화학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산 중합체 또는 화학식2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산과 말레인산의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112000011756611-pat00001
상기 화학식1에서 n은 양의 정수이며, M+는 수소원자나 1가의 금속이온을 나타낸다.
Figure 112000011756611-pat00002
상기 화학식2에서 n, m은 양의 정수이며, M+는 수소원자나 1가의 금속이온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폴리머류는 칼슘, 마그네슘, 철과 같은 +2가의 금속을 봉쇄할 뿐만 아니라 입자성 오염을 분산시키고, 5ppm 내지 50ppm의 낮은 농도에서도 오염 표면에 강하게 흡착하며, 분자 구조상 음으로 하전된 폴리머가 세정물 표면에 흡착하여 그곳에 흡착된 오염의 음전하를 더욱 상승시켜 표면 전하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한 오염 입자와 세척될 표면사이에서 쿨롱 반발력의 증가로 오염의 재부착을 어렵게 하여 강력한 정전기적 세정력의 기능을 나타낸다.
특히, 2차적인 수세 작업 없이 냉각핀의 응결수에 의해 자연스럽게 중력에 의해 씻겨 내려오는 에어컨 냉각핀 세정메카니즘과 같은 경우는 부식 방지와 입자성 오염의 분산 작용은 세정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발휘 하게 되는데, 에어컨 냉각핀과 같은 금속 표면의 세정에 있어서 세정과정은 에어로졸 제품을 분사함으로 계면활성제와 용제에 의한 직접적인 1차 세정 과정과 에어컨 가동시 발생하는 냉각수에 의해 자연낙하로 씻겨 내려가는 2차 헹굼작업으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종래 2차 헹굼작업시 헹굼수가 표면에 쉽게 습윤되지 않을 경우 용해된 염을 포함하는 물방울이 형성되고 물이 증발함에 따라 염이 표면에 잔존하여 얼룩이나 회색화 현상을 나타내게 되는데, 본 발명의 폴리머를 사용한 세정의 경우 냉각수에의한 헹굼과정은 헹굼수의 표면장력을 낮추어서 금속표면과의 접촉각을 더 작게 습윤화시키고 이러한 더 낮은 표면장력은 오염 행굼수의 체류시간을 줄이고 헹굼수의 흘러내림을 더 빠르게 촉진시킨다.
즉, 상기 폴리머는 헹굼수에 있어서 표면을 더 습윤화시켜서 재오염을 생성시키지 않는 기능을 한다.
또한, 기존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중성 세정액에 있어서는 오염 표면의 요철 및 복잡성 또는 조밀성으로 인한 세정액 침투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포성 유화 안정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침투력은 우수하여도 표면에서의 오염에 대한 용해력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사용은 2차적인 인위적 세척작업을 생략하기 위해서 가능한 그 농도를 최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온성, 극성 물질 또는 견고한 오염에는 세정력의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전술한 폴리머는 물의 표면 장력을 낮추고 물의 침투를 도와 오염을 느슨하게 만들며 에멀젼화 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므로 유화 안정제의 함량을 줄이더라도 충분한 세정력을 상승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에 대한 용해성이 극히 우수하기 때문에 잔존물이 남지 않고 분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상기한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폴리머는 전체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미만일 경우 금속 이온의 봉쇄 및 재오염 방지에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액물의 점도를 상승시켜 에어로졸의 분사상태가 열악해지는 문제점을 일으키므로 음이온성 폴리머는 전체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5.0 중량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세정력을 증진시키고 제조된 세정액을 충진시 충진가스와의 충분한 유화성을 가지도록 유화 안정제를 첨가하게 되는데, 상기 유화안정제는 총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없으며,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된 세정액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과량의 거품 형성과 함께 표면에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유화 안정제는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 안정제로는 고급 알코올의 옥시에틸렌 부가물, 고급 알코올의 옥시에틸렌 또는 옥시프로필렌 공중합 부가물, 알킬페놀의 옥시에틸렌 부가물,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또는 알케닐아민의 옥시에틸렌 부가물, 알카놀 아미드, 고급 지방산의 옥시에틸렌 부가물과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옥시에틸렌 중합체, 옥시프로필렌 중합체, 옥시프로필렌 또는 옥시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진제로서 사용하는 가스와의 적절한 유화상태와 에어졸 분사시 세정대상 표면에서의 저기포성 조건을 잡기 위해서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래 사용되는 유화 안정제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유화안정제로 하기한 화학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시에틸렌 중합체나 옥시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0011756611-pat00003
상기 화학식3에서 a, b, c는 각각 0내지 20사이의 정수이며, 이때 a+b+c는 0이 아닌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음이온성 폴리머와 유화안정제 이외에 용제를 포함하도록 하는데, 이때 용제로서는 종래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에 사용되는 용제를 통상의 첨가범위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물과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게되는데, 상기 용제는 세정 대상 표면의 이온성 물질과 유기물에 대한 세정작용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기 용제로 사용 가능한 것에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알킬디올 등과 같은 알코올계 용제와 에틸렌(디에틸렌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디에틸렌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디에틸렌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에테르와 같은 글리콜 에테르계 용제, 낮은 독성과 환경 친화성이 높은 3-메톡시-3-메틸-1-부탄올(MMB) 또는 피롤리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과 알코올 및 특이 용제취를 가지지 않는 유기용제의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화합물 이외에도 헥산, 옥탄, 노난, 데칸 및 파라핀계 탄화수소계 용 제와 동식물성 유지 등을 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원조성의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곰팡이 제거제, 항균제, 소취제, 방청제, 천연향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탄올2000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200g 및 정제수 7650g을 혼합한 용제에 폴리머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50g, 유화안정제로 알킬페놀 옥시에틸렌 부가물 100g을 첨가혼합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하기한 방법으로 오염시편의 세정력 및 실제 사용시 세정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 오염시편의 세정력 -
오염시편의 세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비이커에 우지(牛脂):두지(豆脂):카본블랙을 3:6:1로 혼합한 후 물 중탕을 이용하여 40℃에서 카본블랙이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30분간 교반하여 오염액을 제조하고, 이와는 별도로 아세톤으로 탈지 건조시킨 50mm×100mm×0.1mm 크기의 알류미늄판에 상기 제조된 오염액을 고운 붓을 이용하여 전면에 골고루 도포한 후 도포한 알루미늄판을 25℃에서 24시간 자연 건조시켜 오염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와는 별도로 세정제 조성물 270ml와 LPG를 135ml를 에어로졸 캔용기에 강제 주입시킨 다음 25℃ 항온조에서 제조 제품을 30분간 담가두어 항온 조건을 지속한 후, 평평한 면에 상기에서 제조한 오염시편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에어로졸 캔 용기를 상하로 결렬히 5회 흔든 후 5초간 분무하여 오염 알루미늄 시편을 씻어내면 분무부위에 알루미늄판의 표면이 노출되게 되는데 이때 완전노출되어진 카본 블랙의 지름을 측정하여 하기한 방법으로 오염시편의 세정력을 나타내었다. 이때 지름이 클수록 세정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 : 노출부위의 지름이 2.5cm 이상
○ : 노출부위의 지름이 2.0cm 내지 2.5cm
△ : 노출부위의 지름이 1.0cm 내지 2.0cm
× : 노출부위의 지름이 1.0cm 미만
- 실제 사용시 세정력 -
세정제 조성물 270ml와 LPG를 135ml를 에어로졸 캔용기에 강제 주입시킨 다음 25℃ 항온조에서 제조 제품을 30분간 담가두어 항온 조건을 지속한 후, 장기 보관한 슬림형 가정용 실내 에어컨디셔너의 열교환기 부분을 노출하고 물이 담겨진 분무기로 전면에 분사하여 완전히 적신 다음 1시간 방치하여 여름철 사용조건과 유사하게 만든 후, 상기 에어로졸 캔용기를 상하로 격렬히 5회 흔든 후 에어컨에 전량 분사하고 에어컨을 가동시켜 발생하는 자연적인 냉각수에 의해 2차 헹굼작업이 일어나게 한 후, 초기 냉각핀 상태와 육안 비교하여 하기한 방법으로 세정상태 및 표면 재오염 상태를 나타내었다.
<세정상태>
◎ : 초기 냉각핀 상태와 비교하여 볼 때 깨끗하게 세정이 이루어져 세정상태가 매우 양호함.
○ : 초기 냉각핀 상태와 비교하여 볼 때 극히 일부분 오염물질이 남아 있으나 전체적으로 세정상태가 양호함.
△ : 초기 냉각핀 상태와 비교하여 볼 때 일부분 오염물질이 남아 있어 세정상태 불량함.
× : 초기 냉각핀 상태와 비교하여 볼 때 전면에 오염물질이 남아 있어 세정상태가 매우 불량함.
<표면 재오염 상태>
◎ : 얼룩부분이 없음
○ : 얼룩부분이 극히 일부 발생
△ : 얼룩부분이 일부 발생
× : 전면에 얼룩부분이 발생
<실시예 2>
유화안정제로 옥시프로필렌과 옥시에틸렌 공중합체 100g을 첨가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시편의 세정력 및 실제 사용시 세정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유화안정제로 옥시프로필렌과 옥시에틸렌 공중합체 50g 및 알킬페놀 옥시에틸렌 부가물 50g을 첨가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시편의 세정력 및 실제 사용시 세정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폴리머을 첨가하지 않고 유화안정제로는 옥시프로필렌과 옥시에틸렌 공중합체 50g 및 알킬페놀 옥시에틸렌 부가물 100g을 첨가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시편의 세정력 및 실제 사용시 세정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에탄올2000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200g 및 정제수 7649g을 혼합한 용제에 폴리머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1g, 유화안정제로는 옥시프로필렌과 옥시에틸렌 공중합체 50g 및 알킬페놀 옥시에틸렌 부가물 100g을 첨가혼합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시편의 세정력 및 실제 사용시 세정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에탄올2000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200g 및 정제수 7500g을 혼합한 용제에 폴리머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150g, 유화안정제로는 옥시프로필렌과 옥시에틸렌 공중합체 50g 및 알킬페놀 옥시에틸렌 부가물 100g을 첨가혼합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시편의 세정력 및 실제 사용시 세정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에탄올2000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200g 및 정제수 7100g을 혼합한 용제에 폴리머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550g, 유화안정제로는 옥시프로필렌과 옥시에틸렌 공중합체 50g 및 알킬페놀 옥시에틸렌 부가물 100g을 첨가혼합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시편의 세정력 및 실제 사용시 세정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에탄올2000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200g 및 정제수 7150g을 혼합한 용제에 폴리머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500g, 유화안정제로는 옥시프로필렌과 옥시에틸렌 공중합체 50g 및 알킬페놀 옥시에틸렌 부가물 100g을 첨가혼합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시편의 세정력 및 실제 사용시 세정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에탄올2000g,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200g 및 정제수 7500g을 혼합한 용제에 폴리머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 50g, 유화안정제로는 옥시프로필렌과 옥시에틸렌 공중합체 50g, 알킬페놀 옥시에틸렌 부가물 100g, 천연향 30g, 항균제 40g 및 소취제 30g을 첨가혼합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염시편의 세정력 및 실제 사용시 세정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구분 오염시편의 세정력 실제 사용시 세정력
세정상태 표면 재오염 상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 ×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상기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화안정제로서 옥시프로필렌 또는 옥시에틸렌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첨가하여 실시한1 내지 실시예2는 유화안정제를 옥시프로필렌과 옥시에틸렌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첨가한 실시예3에 비해 세정력이 약간 저하되었으나 세정상태가 우수한 것을 상기 표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실시한 실시예4 내지 8에서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4와 폴리머의 첨가량을 본 발명의 첨가범위를 초과하도록 실시한 실시예8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폴리머를 첨가한 실시예5 내지 7에 비해 세정력이 매우 불량하고 표면 재오염 많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원 조성의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항균제, 소취제 및 천연향을 첨가한 실시예9의 경우 세정력도 우수하고 표면 재오염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컨 냉각핀과 같이 조밀한 그릴과 같은 틈새로 인해 세정이 곤란하고 번거로운 금속 표면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효과가 우수하고 재오염의 방지를 통해 부수적인 수작업을 통한 세척을 하지 않아도 오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르복시기를 가지면서 분자량이 2,000 내지 50,000 사이의 저분자량이며 하기한 화학식1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산 중합체 또는 하기한 화학식2로 나타내어지는 아크릴산과 말레인산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0.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와; 하기한 화학식3으로 나타내어지는 옥시에틸렌 중합체나 옥시프로필렌중합체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유화안정제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및 잔량의 용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61923764-pat00004
    상기 화학식1에서 n은 양의 정수이며, M+는 수소원자나 1가의 금속이온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61923764-pat00005
    상기 화학식2에서 n, m은 양의 정수이며, M+는 수소원자나 1가의 금속이온을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61923764-pat00006
    상기 화학식3에서 a, b, c는 각각 0내지 20사이의 정수이며, 이때 a+b+c는 0이 아닌 정수를 나타낸다.
  5. 삭제
KR1020000031794A 2000-06-09 2000-06-09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 KR100692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794A KR100692603B1 (ko) 2000-06-09 2000-06-09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794A KR100692603B1 (ko) 2000-06-09 2000-06-09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234A KR20010111234A (ko) 2001-12-17
KR100692603B1 true KR100692603B1 (ko) 2007-03-13

Family

ID=4162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794A KR100692603B1 (ko) 2000-06-09 2000-06-09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4515A (zh) * 2017-11-27 2018-05-1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八研究所 一种用于空调清洗的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929B1 (ko) * 2002-08-28 2005-09-20 이진식 양쪽 말단에 알콜성 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의료기기 소독 세척제 및 그의 제조방법 2
KR100515928B1 (ko) * 2002-08-28 2005-09-20 이진식 양쪽 말단에 알콜성 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의료기기 소독 세척제 및 그의 제조방법 1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174A (ja) * 1992-09-11 1994-05-17 Osaka Aerosol Ind Corp 水性プラスチックフォーム構造体形成用噴射剤型エマ ルジョン組成物
JPH0853344A (ja) * 1994-06-08 1996-02-27 Osaka Ship Building Co Ltd 高固形分含有エアゾール剤の製造法
KR20010102653A (ko) * 2000-05-03 2001-11-16 성재갑 에어컨 냉각핀 세척용 에어로졸형 세척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174A (ja) * 1992-09-11 1994-05-17 Osaka Aerosol Ind Corp 水性プラスチックフォーム構造体形成用噴射剤型エマ ルジョン組成物
JPH0853344A (ja) * 1994-06-08 1996-02-27 Osaka Ship Building Co Ltd 高固形分含有エアゾール剤の製造法
KR20010102653A (ko) * 2000-05-03 2001-11-16 성재갑 에어컨 냉각핀 세척용 에어로졸형 세척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4515A (zh) * 2017-11-27 2018-05-1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八研究所 一种用于空调清洗的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234A (ko)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0765A (en) Composition for cleaning hard surfaces
US6140291A (en) General purpose aqueous cleaner
CN101146905B (zh) 抗腐蚀清洁剂组合物及其在清洗牙科器械和医疗器械中的应用
CA2163892A1 (en) Foam surface cleaner
JP4025953B2 (ja) 洗浄剤組成物
EP0565950A1 (en) Glass cleaner having antifog properties
JP3007916B2 (ja) 金属表面洗浄用水性液状アルカリ洗浄剤組成物
KR100692603B1 (ko) 수용성 에어로졸 세정제 조성물
CN116948760A (zh) 一种弱酸性瓷面清洗剂
US5470508A (en) Aqueous oil removal composition containing higher-alkyl pyrrolidone
EP1287099B1 (en) Cleaning surfaces
JPH09502759A (ja) 洗浄組成物
WO1999053003A1 (en) Cleaning chemical composition
KR100447429B1 (ko) 세정제 조성물
JP2908904B2 (ja) 消泡剤およびアルカリ洗浄剤組成物
JP2000008080A (ja) 工業用洗浄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洗浄方法
JP3299039B2 (ja) 硬質表面洗浄剤組成物
JP3366718B2 (ja) 硬質表面洗浄剤組成物
KR20050102312A (ko) 수계 유리 세정제 조성물
KR100453354B1 (ko) 다용도세정제조성물
JP2791600B2 (ja) 液体洗浄剤
JP3161671B2 (ja) 硬質表面洗浄剤組成物
JPH0680994A (ja) 低泡性中性洗浄剤
JPH11199893A (ja) 金属・プラスチック部品用洗浄剤組成物
JPH01139863A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用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