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185B1 - 시료 고정용 지그 - Google Patents

시료 고정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185B1
KR100692185B1 KR1020050109551A KR20050109551A KR100692185B1 KR 100692185 B1 KR100692185 B1 KR 100692185B1 KR 1020050109551 A KR1020050109551 A KR 1020050109551A KR 20050109551 A KR20050109551 A KR 20050109551A KR 100692185 B1 KR100692185 B1 KR 10069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upport
fixing
mounting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연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를 간단히 설치하여 고정한 후 테스터로 절연저항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수치를 구할 수 있음과 다른 시료로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료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시료, 절연저항, 지그

Description

시료 고정용 지그{a jig fixing a sample}
도 1은 종래 절연저항 검출을 위한 시료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 고정용 지그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료 12: 압착단자
14: 케이블 15: 도체
100: 지그 110: 지지대
120: 고정봉 130: 설치대
140: 고정부재 142: 안착홈
144: 가압돌기 145: 가압홈
150: 결합부재 152,154: 제 1,2결합공
156: 스크류
본 발명은 시료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를 간단히 설치하여 고정한 후 테스터로 절연저항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수치를 구할 수 있음과 다른 시료로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료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용품제조 공장에서는 완성된 전기용품의 전기적 특정을 검사하며, 그 과정은 그 물품이 외부에 가해지는 전기적 여러 조건에 적합한가 또는 소비전력은 요구된 조건에 만족할만한 가동을 검사함으로서 물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즉, 이러한 물품의 전기적 특성인 소비전력, 내전압, 절연저항 등을 검사하게 된다.
특히, 절연저항(Insulation Resistance)이란 절연된 두 물체간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절연물의 표면과 내부에 약간의 누설전류가 흐르는데, 이 경우의 전압과 전류의 비를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절연저항을 검출할 압착단자(12)와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타단부의 피복을 벗겨 도체(15)를 노출시킨 케이블(14)(이하, '시료'라 통칭한다.)은 다수 개를 정렬하여 절연물인 한 쌍의 테이프(30) 사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시료(10)의 압착단자(12)는 양(+)의 검침집게(20a)와 전기적으 로 연결되고, 시료(10)의 도체(15)는 음(-)의 검침집게(2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양의 검침집게(20a)와 음의 검침집게(20b)는 테스터(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고, 상기 테스터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시료(10)의 절연저항을 수치로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종래 시료는 절연저항 검출을 위해 절연물인 테이프에 접착되는 공정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시료를 테이프로 붙이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시료는 절연저항 검출 후 다시 테이프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시료를 절연체인 지지대와 설치대 사이에 정렬하여 고정한 상태로 테스터로 절연저항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시료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시료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시료 고정용 지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세워진 상태로 나란하 게 배열되며 절연체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 각각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과 선택적으로 접하며 절연체인 설치대와, 상기 지지대와 설치대 사이에 절연저항 검침을 위한 시료를 개재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대와 설치대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시료의 설치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설치대를 상기 지지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로 구성된 시료 고정용 지그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부재로서 지지대 각각의 상측에 연속적으로 다수 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시료를 안착하여 정렬하기 위한 안착홈 및 상기 지지대의 안착홈에 대응되는 상기 설치대의 하측에 돌출되어 상기 시료를 가압함으로써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돌기로 구성하는 시료 고정용 지그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재로서 지지대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제 1결합공과, 상기 제 1결합공과 일치되는 상기 설치대에 형성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제 2결합공과, 상기 제 1결합공과 제 2결합공에 동시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대와 설치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시료 고정용 지그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료 고정용 지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100)는 지지대(110), 고정봉(120), 설치대(130), 고정부재(140) 및 결합부재(15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10)는 직육면체 형상의 판 모양이고, 절연체이다.
상기 지지대(110)는 다수 개를 나란하게 정렬하여 그 상부에 시료(10)를 정렬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110)가 판 모양인 이유는 절연저항을 검출하기 위한 시료(10)와의 접촉면적을 줄여 절연저항 검출시 정확한 데이터를 얻고자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시료(10)는 케이블(14)의 일단에 압착단자(12)를 접속하고, 타단부의 피복을 일부 벗겨 도체(15)를 노출시킨 것을 일컫는다.
그리고, 상기 시료(10)는 절연저항을 검출하기 위해 테스터(도시하지 않음)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검침집게(도시하지 않음)로써 압착단자(12)와 도체(15)를 각각 동시에 집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지지대(110)는 판 형상으로 시료(10)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해 세워 정렬된다.
그래서, 상기 지지대(110)는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봉(12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봉(120)은 다수 개의 지지대(110)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지지대(11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130)는 지지대(110) 상에 정렬된 시료(10)를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대(130)는 각각의 지지대(110)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시료(10)는 지지대(110)와 설치대(130) 사이에 개재시 고정부재(14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안착홈(142)과 가압돌기(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홈(142)은 지지대(110)의 상측면에 연속적으로 함몰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142)은 다수 개의 지지대(110)에서 일직선상이 되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시료(10)를 나란하게 나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돌기(142)는 설치대(130)의 하부에 돌출되어 해당하는 안착홈(142) 내부로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압돌기(142)는 안착홈(142)에 안착된 시료(10)의 둘레를 눌러 요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안참홈(142) 및 가압돌기(142)는 가압홈(145)을 형성하여 시료(10)의 둘레면 일부를 수용하며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홈(145)이 형성되는 이유는 시료(10)의 둘레면을 일부 감쌈으로서 시료(10)가 안착홈(142) 내부에서 좌우 방향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10)와 설치대(130)는 결합부재(15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150)는 지지대(11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통공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제 1결합공(152)과, 상기 제 1결합공(152)과 일치되도록 설치대(13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통공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제 2결합공(154) 및 상기 제 1결합공(152)과 제 2결합공(154)에 동시에 체결되는 스크류(1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10)와 설치대(130)는 스크류(156)로 체결되기 때문에 필요시 분리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료(10)를 쉽게 설치함과 아울러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료 고정용 지그에 의하면, 절연체인 지지대와 설치대 사이에 다수 개 정렬하여 고정한 상태로 절연저항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를 붙이는 불필요한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와 설치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시료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판 형상으로 세워진 상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절연체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 각각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과 선택적으로 접하며, 절연체인 설치대와;
    상기 지지대와 설치대 사이에 절연저항 검침을 위한 시료를 개재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대와 설치대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시료의 설치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설치대를 상기 지지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고정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대 각각의 상측에 연속적으로 다수 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시료를 안착하여 정렬하기 위한 안착홈과;
    상기 지지대의 안착홈에 대응되는 상기 설치대의 하측에 돌출되어 상기 시료를 가압함으로써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압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고정용 지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 및 가압돌기는 상기 시료의 상측 둘레 일부를 감싸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홈을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고정용 지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제 1결합공과;
    상기 제 1결합공과 일치되는 상기 설치대에 형성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제 2결합공과;
    상기 제 1결합공과 제 2결합공에 동시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대와 설치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고정용 지그.
KR1020050109551A 2005-11-16 2005-11-16 시료 고정용 지그 KR100692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551A KR100692185B1 (ko) 2005-11-16 2005-11-16 시료 고정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551A KR100692185B1 (ko) 2005-11-16 2005-11-16 시료 고정용 지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447U Division KR200407759Y1 (ko) 2005-11-16 2005-11-16 시료 고정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185B1 true KR100692185B1 (ko) 2007-03-12

Family

ID=3810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551A KR100692185B1 (ko) 2005-11-16 2005-11-16 시료 고정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1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467A (ja) * 1992-07-17 1994-02-10 Fujitsu Ltd ケーブルホルダ
KR970034881U (ko) * 1995-12-26 1997-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클립
KR20000001180U (ko) * 1998-06-22 2000-01-25 권호택 계측기
KR20000049651A (ko) * 2000-04-20 2000-08-05 우상엽 피씨비 테스트 장치
JP2004239967A (ja) 2003-02-03 2004-08-26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5134285A (ja) 2003-10-31 2005-05-26 Toppan Printing Co Ltd ワイヤプローブを用いたピッチ可変検査治具及びピッチ変換治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467A (ja) * 1992-07-17 1994-02-10 Fujitsu Ltd ケーブルホルダ
KR970034881U (ko) * 1995-12-26 1997-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클립
KR20000001180U (ko) * 1998-06-22 2000-01-25 권호택 계측기
KR20000049651A (ko) * 2000-04-20 2000-08-05 우상엽 피씨비 테스트 장치
JP2004239967A (ja) 2003-02-03 2004-08-26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5134285A (ja) 2003-10-31 2005-05-26 Toppan Printing Co Ltd ワイヤプローブを用いたピッチ可変検査治具及びピッチ変換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10052A (ja) プローブカード
TW201435363A (zh) 電子器件量測治具及量測裝置
US6424163B1 (en) Test fixtures for contacting assembled printed circuit boards
US7708607B2 (en) Precision printed circuit board testing tool
JP2000021526A (ja) 電子部品導電シート
KR100692185B1 (ko) 시료 고정용 지그
KR200407759Y1 (ko) 시료 고정용 지그
CN218524812U (zh) 一种激光器的老化载具及老化抽屉结构
KR100898043B1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US6441632B1 (en) Spring probe contactor for testing PGA devices
JP6422376B2 (ja) 半導体装置検査用治具
JP2018073571A (ja) ジャンパ線
KR100246320B1 (ko) 반도체 웨이퍼 검사용 프로브 카드
JP2004273192A (ja) コネクタ検査用治具
GB2339343A (en) IC socket for holding IC having multiple parallel pins
KR20140145426A (ko) 불량 행거 검사장치
JP2002207049A (ja) 四探針測定用コンタクトピンと、コンタクト機器と、被測定物側装置と、測定回路側装置
JPH0611462Y2 (ja) 基板検査用コンタクトプローブ
KR20110132298A (ko) 켈빈 테스트용 소켓
CN219737555U (zh) 一种sir电梳板插座固定治具及sir电梳板测试装置
KR0130142Y1 (ko)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소켓
KR200156803Y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용 로드보드
JPH04206752A (ja) 面実装形icの検査装置
JP3134296U (ja) 基板検査用治具に用いる受具
JPS63153481A (ja) 集積回路測定用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