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355B1 -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 - Google Patents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355B1
KR100691355B1 KR1020040047211A KR20040047211A KR100691355B1 KR 100691355 B1 KR100691355 B1 KR 100691355B1 KR 1020040047211 A KR1020040047211 A KR 1020040047211A KR 20040047211 A KR20040047211 A KR 20040047211A KR 100691355 B1 KR100691355 B1 KR 10069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randed
tension
r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2066A (ko
Inventor
신종덕
Original Assignee
(주)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 filed Critical (주)대영
Priority to KR102004004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355B1/ko
Publication of KR2005012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선 인장실린더의 상하부에 모든 실린더를 수용하는 수평의 링 파이프를 마련하고 이 링 파이프를 통해 각각의 실린더와 연결되어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유압호스를 연결함으로써 유압호스의 연결을 위한 구성부품이 단순화되고 간결하며, 유압호스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원가절감이 이뤄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흙막이공사에서 연선 인장실린더로 앵커용 연선을 인장하는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은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의 상하부외측에 링형의 수평유로를 갖도록 링 파이프(31,32)가 마련되고 이 링 파이프(31,32)가 복수의 고정부재(33)로 고정되며, 각각의 연선 인장실린더(20)의 피스톤(24)이 동시에 상승되고 하강되게 상기 링 파이프(31,32)와 연선 인장실린더(20)는 유압호스(35,36)가 연결되고 상기 링 파이프(31,32)엔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포트(31a,32a)가 마련된 것이다.
연선, 인장실린더, 케이싱, 유압호스

Description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tensioning machine of Stranded wire for anchor}
도 1은 종래의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연선을 인장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20: 연선 인장실린더
21: 실린더 22: 슬리브
23: 실린더 고정파이프 24: 피스톤
25: 척 251: 조우헤드
252: 웨지설치공간 253: 웨지조우
254: 조우 파지슬리브 255: 연선관통구멍
256: 스프링 257: 스프링 캡
30: 케이싱 31,32: 링 파이프
33: 고정부재 35,36: 유압호스
본 발명은 흙막이공사에서 절개 면에서의 흙이 무너져 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하는 앵커의 인장부재인 연선을 인장시키는 연선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의 상하부위치에 링형의 파이프를 마련하고 이 파이프를 통해 각각의 실린더와 연결되어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유압호스를 연결함으로써 유압호스의 연결이 간결하고 유압호스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장이나 건축공사장 등의 흙막이공사에서 지하터파기, 절토(절개)작업에 따른 절토부분의 흙이 무너져 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써 지중에 앵커를 매설한다. 이렇게 지중에 매설하는 앵커는 절토된 흙이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공사초기에 수직H빔을 일정간격마다 타설하고 상기 수직H빔의 한쪽에 수평H빔을 고정시켜 수직H빔의 쓰러짐과 절토된 면의 흙이 무너져 내림을 임시로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H빔에 일정간격마다 지중을 향하여 경사지게 관통구멍을 천공기로 천공한 후, 그 관통구멍으로 그라우트호스와 인장부재인 연선으로 구성된 내하체를 삽입하고, 그라우트호스를 통해 그라우트를 주입한 후, 주입된 그라우트가 내하체와 양생되면 양생된 그라우트와 지면을 연선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연선을 인장함으로써 연약한 지면을 보강하는 것이다.
이러한 흙막이공사에 사용되어지는 연선 인장장치가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 번호 제10-0329727호에 게재되어 있는데, 이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 받은 기술이다. 상기 등록특허에는 다수의 연선 인장실린더로 구성되며 이 연선 인장실린더는 실린더 내에 그 중심선방향으로 강선의 통과구멍을 갖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외면 및 실린더 내면과 기밀이 이뤄지면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 이 피스톤의 끝단부분에 3개 이상의 웨지조우가 한 쌍을 이루는 척으로 구성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록특허는 그라우팅을 위한 양생이 완료된 후, 연선 인장장치의 실린더 고정파이프, 슬리브 내부로 앵커용 연선을 관통시키면 피스톤 끝단의 척에 의해 연선이 파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피스톤을 작동시켜 후퇴시키면 연선이 당겨지므로 지중에 매설된 연선에 인장력이 작용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원하는 소정의 인장력이 걸리면 연선 인장장치와 함께 설치된 별개의 앵커용 헤드, 3개 이상의 웨지조우로 된 고정척을 이용하여 연선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앵커용 연선이 고정된 후 피스톤을 원래위치로 복귀시키면 슬리브 상부의 콘형부에 의해 척의 웨지조우를 외측방사상으로 확장시키므로 연선의 물림이 해제되고 이후에 앵커의 연선으로부터 연선 인장장치를 빼내어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등록특허의 연선 인장장치에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다수의 연선 인장실린더(20)가 외측으로 소정각도를 갖고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고 다수의 연선 인장실린더(20)가 배치된 중앙부에 밸브전환몸체(44)를 마련하고 이 밸브전환몸체(44)를 통해 각각의 연선 인장실린더(20) 상하부에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유압호스(35a,36a)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의 외부에는 이 연선 인장실린더(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싱(30a)이 베이스(10)와 고정클립(40)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 케이싱(30a)은 상하부의 링 파이프(31a,32a)가 복수의 지지대(33a)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연선 인장실린더(20)와 연결되는 유압호스(35a,36a)의 연결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케이싱(30)의 외부로 유압호스(35a,36a)가 돌출되어 여타의 다른 장비와 접촉되어 유압호스(35a,36a)의 손상 내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필수구성부품으로 밸브전환몸체(44)가 요구되어 부품수가 증가되고 이로 인한 유압호스(35a,36a)의 연결 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원가상승이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연선 인장실린더의 상하부에 모든 실린더를 수용하는 수평의 링 파이프를 마련하고 이 링 파이프를 통해 각각의 실린더와 연결되어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유압호스를 연결함으로써 유압호스의 연결을 위한 구성부품이 단순화되고 간결하며, 유압호스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원가절감이 이뤄지도록 한 앵커용 연선인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에 외측으로 소정각도를 갖고 경사진 상태로 장착된 다수의 연선 인장실린더;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들을 보호하기 위해 실린더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씌워지며 상기 베이스 또는 연선 인장실린더로 고정되는 케이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는 실린더 내에 그 중심선방향으로 연선의 통과구멍을 갖는 슬리브, 이 슬리브의 외면 및 실린더 내면과 기밀이 이뤄지면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 이 피스톤의 끝단부분에 3개 이상의 웨지가 탄력적으로 지지되어있는 척을 포함하는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의 상하부외측에 링 형의 수평유로를 갖는 링 파이프가 마련되고 이 링 파이프가 복수의 고정부재로 고정되며, 각각의 실린더 내에 설치된 피스톤이 동시에 상승 및 하강 되도록 상부의 링 파이프는 실린더의 상단부와 유압호스로 연결되고 하부의 링 파이프는 실린더의 하단부와 유압호스로 연결됨은 물론 상기 링 파이프엔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포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 파이프와 실린더에 유압호스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부의 링 파이프와 실린더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하부의 링 파이프와 실린더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척은 피스톤의 상단에 웨지설치공간을 갖는 조우헤드가 체결되고 이 조우헤드의 웨지설치공간에는 콘형을 이루도록 3개의 웨지조우가 안착되며 이 웨지조우의 상부에는 연선관통구멍을 갖는 조우 파지슬리브가 스프링에 의해 웨지조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스프링 캡이 씌워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0)에는 다수의 연선 인장실린더(20)가 장 착되되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소정각도를 갖고 경사져 마치 콘형으로 균등하게 배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들을 보호하도록 하는 케이싱(30)이 클립 또는 밴드(40)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30)은 실린더(21)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씌워져 있다.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는 실린더(21)와, 이 실린더(21)의 내부에 동심을 이루면서 그 중심선방향으로 앵커용 연선(w)이 통과되도록 설치되는 슬리브(22), 이 슬리브(22)를 실린더(21)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앵커용 연선(w)이 통과되도록 베이스(10)에 고정되는 실린더 고정파이프(23), 상기 슬리브(22)의 외면과 실린더(21)의 내면 사이엔 실린더(21)의 상하부에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24), 이 피스톤(24)의 상단부분에 슬리브(22) 및 피스톤(24)을 관통하는 앵커용 연선(w)을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척(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22)는 척(25)의 웨지조우(253)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분의 끝이 뾰족한 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척(25)은 피스톤(24)의 상단에 웨지설치공간(252)을 갖는 조우헤드(251)가 체결되고 이 조우헤드(251)의 웨지설치공간(252)에는 콘형을 이루도록 3개의 웨지조우(253)가 안착되며 이 웨지조우(253)의 상부에는 연선관통구멍(255)을 갖는 조우 파지슬리브(254)가 스프링(256)에 의해 웨지조우(25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스프링 캡(257)이 씌워져 있다.
상기 케이싱(30)은 다수의 연선 인장실린더(20)의 상하부외측에 링 형의 수평유로를 갖는 링 파이프(31,32)가 마련되고 이 링 파이프(31,32)가 서로 구획되도록 복수의 고정부재(33)로 고정되며, 각각의 연선 인장실린더(20)를 이루는 실린더(21) 내의 피스톤(24)이 동시에 상승 및 하강되도록 상기 링 파이프(31,32)와 연선 인장실린더(20)를 유압호스(35,36)로 연결되고 상기 링 파이프(31,32)엔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포트(31a,32a)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실린더(21) 내에 설치된 피스톤(24)이 동시에 상승 및 하강되도록 유압호스(35,36)의 연결은,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부의 링 파이프(31)과 실린더(21)의 상단부를 유압호스(35)로 연결하고 하부의 링 파이프(32)와 실린더(21)의 하단부를 유압호스(36)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 파이프(31,32)와 실린더(21)에 유압호스(35,36)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부의 링 파이프(31)와 실린더(21)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하부의 링 파이프(32)와 실린더(21)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싱(30)은 베이스(10)에 클립이나 밴드로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연선 인장실린더(20)를 이루는 실린더 고정파이프(23)에 직간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는 그 주요구성, 다시 말해서, 케이싱(30)과 연선 인장실린더(20) 및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에 작동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단순 간결하며, 이로 인한 유압호스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원가절감이 이뤄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에 대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그라우팅을 위한 양생이 완료된 후, 고정척(52)을 갖는 앵커용 헤드(50)와 누름실린더(54)를 본 발명의 연선 인장장치와 함께 설치하되, 각 연선 인장실린더(20)의 실린더 고정파이프(23), 슬리브(22) 내부로 앵커용 연선(w)을 관통시키면 피스톤(24)끝단의 척(25), 즉 스프링(256)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웨지조우(253)가 앵커용 연선(w)에 의해 밀리면서 웨지조우(253)가 확장되어 앵커용 연선(w) 직경보다 크게 확장되는 순간 스프링(256)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앵커용 연선(w)이 파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측 링 파이프(32)의 포트(32a)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면 유압호스(36)를 통해 실린더(21) 내부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만큼 실린더(21)내에서 피스톤(24) 이 상승되기 시작한다.
이렇게 피스톤(24)이 작동되어 상승되는 만큼 앵커용 연선(w)이 당겨지므로 지중에 매설된 앵커용 연선(w)에 인장력이 작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용 연선(w)을 인장시키되 작업자가 원하는 소정의 인장력이 걸리면 본 발명의 연선 인장장치 하부에 설치된 누름실린더(55)를 작동시켜 앵커용 헤드(50)에 수용 설치된 3개 이상의 웨지조우로 된 고정 척(52)을 밀어 넣음으로써 앵커용 연선(w)이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용 연선(w)이 고정된 후에는 상부측 링 파이프(31)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면 이와 연결된 유압호스(35)를 통해 실린더(21)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므로 피스톤(24)을 원래위치로 하강 복귀되게 된다. 이렇게 피스톤(24)이 하강되어 슬리브(22) 상단의 콘형부에 의해 척(25)의 웨지조우(253)를 상부로 밀어 올려 외측방사상으로 확장시키므로 앵커용 연선(w)의 물림이 해제되고 이후에 앵커용 연선(w)으로부터 연선 인장장치를 빼내어 제거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앵커용 연선 인장실린더는, 연선 인장실린더의 상하부에 모든 실린더를 수용하면서 각기 구획된 수평의 링 파이프를 마련하고 이 링 파이프를 통해 각각의 실린더와 연결되어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유압호스를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연선 인장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호스의 연 결이 단순화되고 간결하며, 유압호스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원가절감 등이 이뤄지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베이스(10)에 외측으로 소정각도를 갖고 경사진 상태로 장착된 다수의 연선 인장실린더(20);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들을 보호하기 위해 실린더(21)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씌워지며 상기 베이스(10) 또는 연장 인장실린더(20)로 고정되는 케이싱(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는 실린더(21) 내에 그 중심선방향으로 연선의 통과구멍을 갖는 슬리브(22), 이 슬리브(22)의 외면 및 실린더(21) 내면과 기밀이 이뤄지면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24), 이 피스톤(24)의 끝단부분에 3개 이상의 웨지조우(253)가 탄력적으로 지지되어있는 척(25)으로 구성된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은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의 상하부외측에 링 형의 수평유로를 갖는 링 파이프(31,32)가 마련되고 이 링 파이프(31,32)가 복수의 고정부재(33)로 고정되며, 각각의 실린더(21) 내에 설치된 피스톤(24)이 동시에 상승 및 하강되도록 상부의 링 파이프(31)는 각각의 실린더(21) 상단부와 유압호스(35)로 연결되고 하부의 링 파이프(32)는 각각의 실린더(21) 하단부와 유압호스(36)로 연결됨은 물론 상기 링 파이프(31,32)엔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포트(31a,32a)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25)은 피스톤(24)의 상단에 웨지설치공간(252)을 갖는 조우헤드(251)가 체결되고 이 조우헤드(251)의 웨지설치공간(252)에는 콘형을 이루도록 3개 의 웨지조우(253)가 안착되며 이 웨지조우(253)의 상부에는 연선관통구멍(255)을 갖는 조우 파지슬리브(254)가 스프링(256)에 의해 웨지조우(25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스프링 캡(257)이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
  3. 베이스(10)에 외측으로 소정각도를 갖고 경사진 상태로 장착된 다수의 연선 인장실린더(20);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들을 보호하기 위해 실린더(21)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씌워지며 상기 베이스(10) 또는 연장 인장실린더(20)로 고정되는 케이싱(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는 실린더(21) 내에 그 중심선방향으로 연선의 통과구멍을 갖는 슬리브(22), 이 슬리브(22)의 외면 및 실린더(21) 내면과 기밀이 이뤄지면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24), 이 피스톤(24)의 끝단부분에 3개 이상의 웨지조우(253)가 탄력적으로 지지되어있는 척(25)으로 구성된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은 상기 연선 인장실린더(20)의 상하부외측에 링 형의 수평유로를 갖는 링 파이프(31,32)가 마련되고 이 링 파이프(31,32)가 복수의 고정부재(33)로 고정되며, 각각의 실린더(21) 내에 설치된 피스톤(24)이 동시에 상승 및 하강되도록 상부의 링 파이프(31)는 각각의 실린더(21) 하단부와 유압호스로 연결되고 하부의 링 파이프(32)는 각각의 실린더(21) 상단부와 유압호스로 연결됨은 물론 상기 링 파이프(31,32)엔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포트(31a,32a)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
KR1020040047211A 2004-06-23 2004-06-23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 KR100691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211A KR100691355B1 (ko) 2004-06-23 2004-06-23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211A KR100691355B1 (ko) 2004-06-23 2004-06-23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066A KR20050122066A (ko) 2005-12-28
KR100691355B1 true KR100691355B1 (ko) 2007-03-12

Family

ID=3729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211A KR100691355B1 (ko) 2004-06-23 2004-06-23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582B1 (ko) * 2010-10-12 2013-07-05 김용만 강연선 인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08B1 (ko) * 2006-08-01 2007-10-17 (주)대영 토목공사용 인장재의 인장실린더
CN105464113B (zh) * 2014-12-01 2018-06-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地锚警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2012A (ko) 1974-03-14 1975-09-25
JPS6167347U (ko) 1984-10-11 1986-05-08
JPS6210368A (ja) 1985-07-04 1987-0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Pc鋼材束の予緊張方法と予緊張装置
JPH0978835A (ja) * 1995-09-12 1997-03-25 Hikari Kogyo Kk 圧力分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2012A (ko) 1974-03-14 1975-09-25
JPS6167347U (ko) 1984-10-11 1986-05-08
JPS6210368A (ja) 1985-07-04 1987-0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Pc鋼材束の予緊張方法と予緊張装置
JPH0978835A (ja) * 1995-09-12 1997-03-25 Hikari Kogyo Kk 圧力分散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582B1 (ko) * 2010-10-12 2013-07-05 김용만 강연선 인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066A (ko)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5261C (zh) 一种用拔桩机进行拔桩的施工方法
KR100949196B1 (ko) 강연선 재인장 장치
KR101072527B1 (ko)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US4997314A (en) Pressure grouted pier and pier inserting tool
CN103711507B (zh) 一种多钢绞线组合支护装置控制大松动圈巷道变形的方法
KR100691355B1 (ko) 앵커용 연선 인장장치
JP6537785B2 (ja) 鋼管類内での地下水移動の制御方法
KR100613046B1 (ko) 유압식 연선 인장장치
KR101135076B1 (ko) 제거식 앵커의 강연선 제거공법
KR100733146B1 (ko)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
CN211922651U (zh) 一种工程用锚索装置
KR100999880B1 (ko) 강관 압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물통 기초 시공 공법
JP2009127243A (ja) 埋設杭の抜去装置
CN212026256U (zh) 一种建筑用导向平台
KR20090007218U (ko) 인장부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0823603B1 (ko) 영구앵커체
KR101076695B1 (ko) 그라운드 앵커체를 위한 인장재 호스의 방수재 고정용 지그 어셈블리
KR100329727B1 (ko) 정압 연선 인장 실린더
JP6319942B2 (ja) 鋼管矢板の圧入方法およびパイプ類
JP2004308338A (ja) 既設杭の引抜き工法及び引抜き装置
KR102485680B1 (ko) 제거식 복합 지중앵커
US20140305706A1 (en) Drilling tool for laying a tube in the ground
JPH07127058A (ja) 上向きアンカーの施工方法及びアンカー
KR102435942B1 (ko) 긴장력을 도입하는 앵커시스템의 인장재 시공장치와 인장재 시공방법과 긴장력을 도입하는 앵커시스템의 인장재 시공장치의 처킹 가압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39314B1 (ko) 와이어 꺾임방지를 위한 정착헤드 및 상기 정착헤드가 장착된 와이어 인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